KR102249193B1 - 플렉서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193B1
KR102249193B1 KR1020200042727A KR20200042727A KR102249193B1 KR 102249193 B1 KR102249193 B1 KR 102249193B1 KR 1020200042727 A KR1020200042727 A KR 1020200042727A KR 20200042727 A KR20200042727 A KR 20200042727A KR 102249193 B1 KR102249193 B1 KR 10224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panel
lighting device
optical panel
flexibl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884A (ko
Inventor
오사무 사토
조이치 사이토
세이지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장치 전체가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요성을 가지는 전기 광학 패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전기 광학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기판과, 접속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접속 기판과 전기 광학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와, 고정 테이프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고정 테이프에 고정된 금속판과, 금속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금속판과 고정되는 한편 접속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을 가지는 전원 기판과, 고정 테이프 및 금속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되는 한편 금속판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용 금속을 구비하고, 고정 테이프, 금속판 및 슬라이딩용 금속이, 전기 광학 패널의 구부러짐에 전원 기판을 추종시키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조명 장치 {Flexibl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다양한 타입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가 발명되고 있다. 예를 들면 조명 패널로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조명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유기 EL 소자를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여, 플렉서블 조명 장치로서의 기대가 높아졌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16-159585 호
그러나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필요한 용도로 조명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명 패널뿐만 아니라 전원 장치 등을 포함한 장치 전체가 가요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치 전체가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와,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금속판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접속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을 가지는 전원 기판과, 상기 고정 테이프 및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되는 한편 상기 금속판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용 금속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테이프, 상기 금속판 및 상기 슬라이딩용 금속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구부러짐에 상기 전원 기판을 추종시키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고정 테이프와 상기 슬라이딩용 금속의 고정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고정 테이프와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간극용 쿠션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간극용 쿠션은, 상기 금속판과만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장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단축 측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각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네 변의 중심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전원 기판이 발생시킨 열을 방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 사이에 방열 시트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OLED 표시 패널,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와,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접속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을 가지는 전원 기판과, 상기 전원 기판과 상기 고정 테이프 사이에, 그리고 또한 상기 전원 기판의 양 단부에 구비된 슬라이딩용 쿠션과, 상기 전원 기판과 상기 슬라이딩용 쿠션을 접착하는 제 1 양면 점착 테이프와, 상기 슬라이딩용 쿠션과 상기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는 제 2 양면 점착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용 쿠션, 상기 제 1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제 2 양면 점착 테이프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구부러짐에 상기 전원 기판을 추종시키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고정 테이프와 상기 전원 기판 사이에 간극용 쿠션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간극용 쿠션은, 상기 전원 기판과만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장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단축 측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각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네 변의 중심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 사이에 방열 시트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OLED 표시 패널,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패널에 패널 추종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 전체가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1)를,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우측면으로부터 본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OLED 패널을,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B-B선을 중심으로 장축 방향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a)의 경우의 패널 추종 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b)의 경우의 패널 추종 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F-F 대각선을 중심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G-G선을 중심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우측면으로부터 본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패널 추종 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패널 추종 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목적, 장점 및 신규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다른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면의 축척은 정확하지 않은 점을 이해하길 바란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1)를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를 우측면으로부터 본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1)는,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형상은 다소 다른 경우가 있지만,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1)는, 조명 패널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OLED 패널(2)을 사용하고 있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1)는, OLED 패널(2)에서 발생된 빛을 탑 측(도면의 하방)을 향해서 방출한다. 도면의 화살표는, 빛의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 OLED 패널(2)은, 본 예에서는 400 mm X 50 mm의 장방형이지만, 이 사이즈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는, 그 장축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1)는, OLED 패널(2), 방열 시트(3), 접속 기판(4), 고정 테이프(5), 양면 점착 테이프(6), 고정용 쿠션(7), 간극용 쿠션(8), 금속판(9), 열전도 시트(10), 전원 기판(11),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을 구비하고 있다.
OLED 패널(2)은, 전술한 것과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조명 패널이다. 또한 점등 시의 밝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OLED 패널(2)의 애노드 및 캐소드에 전기를 공급하는 2개의 전극(14)은, 본 예에서는 OLED 패널(2)의 단축 측의 양단에 설치된다. 전극(14)은,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가진다.
도 5는, OLED 패널(2)을,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OLED 패널(2)은, 탑 측으로부터 바텀 측(도면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OCF(Out Coupling Film, 15), 배리어 필름(16), 폴리이미드 필름(17), 애노드(18), 유기 발광층(19), 캐소드(20), 캡슐 봉지체(21), 금속박(22) 및 절연 필름(23)으로 구성된다.
전극(14)의 플러스 단자는 애노드(1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극(14)의 마이너스 단자는 캐소드(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애노드(18)로부터 캐소드(20)로 전류(제어 신호)가 흐름으로써 유기 발광층(19)에서 발생된 빛이, 탑 측(도면의 하방)을 향해서 방출된다.
방열 시트(3)는, OLED 패널(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균일화)시킨다. 방열 시트(3)는, OLED 패널(2)의 바텀 측에 배치된다. 또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가 장축 방향으로 구부리기 쉬워지도록 중심 부분이 분리된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다.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열 시트(3)의 크기는, OLED 패널(2)보다 작다. 방열 시트(3)는, 예를 들면 AL과 Cu의 금속박 또는 그라파이트 시트가 사용된다.
접속 기판(4)은, 전원 기판(11)으로부터의 출력(제어 신호)을 OLED 패널(2)로 입력한다. 접속 기판(4)은, 방열 시트(3) 상에 배치된다. 접속 기판(4)은, 2개의 전극(14)에 대응되는 부분에 2개의 단자(24)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24)는,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가진다. 그리고 단자(24)의 플러스 단자와 전극(14)의 플러스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자(24)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극(14)의 마이너스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들 접속은, 납땜과 ACF(이방성 도전막)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접속 기판(4)은 커넥터부(25)를 더욱 가지며, 전원 기판(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기판(4)은, 본 예에서는 편면 FPC이다.
고정 테이프(5)는, 접속 기판(4) 및 방열 시트(3)를 OLED 패널(2)에 고정한다. 고정 테이프(5)의 크기는,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열 시트(3)보다 크고, OLED 패널(2)보다 작다. 고정 테이프(5)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5)는, 후술하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6)는, 고정 테이프(5)와 고정용 쿠션(7)을 접착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6)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5)와 고정용 쿠션(7)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접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용 쿠션(7)은, 금속판(9)을 고정 테이프(5)에 고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용 쿠션(7)과 고정 테이프(5)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6)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고정용 쿠션(7)과 금속판(9)의 접착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된다. 고정용 쿠션(7)은,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간극용 쿠션(8)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이 OLED 패널(2)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간극용 쿠션(8)은 1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고정 테이프(5)와 금속판(9) 사이에 1 mm 정도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층이 단열층의 역할을 한다. 간극용 쿠션(8)은, 고정 테이프(5)와 금속판(9) 사이에 설치된다. 간극용 쿠션(8)과 금속판(9)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된다. 한편 간극용 쿠션(8)과 고정 테이프(5)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가 구부러졌을 때 간극용 쿠션(8)과 고정 테이프(5)가 서로에 대해서 어긋나는 것이 가능하여,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추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간극용 쿠션(8)은,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금속판(9)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을 방열하는 한편(히트 싱크로서 작용) 슬라이딩용 금속(13)과 협동해서 플렉서블 조명 장치(1)를 구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금속판(9)은, 그 두께가 0.1 mm 정도로 얇다. 또한 금속판(9)은, 후술하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금속판(9)은, 예를 들면 AL판, Cu판, 인청동판 등이 사용된다.
열전도 시트(10)는,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을 금속판(9)으로 전도한다. 열전도 시트(10)는, 금속판(9)과 전원 기판(11) 사이에 설치된다. 열전도 시트(10)와 금속판(9), 그리고 열전도 시트(10)와 전원 기판(11)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된다. 열전도 시트(10)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시트, 실리콘계 시트, 스티렌계 시트 등이 사용된다.
전원 기판(11)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을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OLED 패널(2)의 점등을 제어한다. 전원 기판(11)은, FPC의 표면에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고 가요성을 가진다. 전원 기판(11)은, 본 예에서는 양면 FPC이지만, 회로 설계에 따라 편면 FPC, 다층 FPC가 되는 경우도 있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슬라이딩용 금속(13)을 고정 테이프(5)에 접착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그 두께가 금속판(9)과 동일한 정도(0.1 mm)이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후술하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1)가 구부러졌을 때 금속판(9)이 플렉서블 조명 장치(1)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그 두께가 0.1 mm 정도로 얇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후술하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예를 들면 AL판, Cu판, 인청동판 등이 사용된다.
<패널 추종 기구의 구조>
다음으로, 패널 추종 기구(26)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 추종 기구(26)는, 금속판(9) 및 금속판(9)에 접속된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추종시킨다. 이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를 장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널 추종 기구(26)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1)를, B-B선을 중심으로 장축 방향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 6(a)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의 발광면 측 중심을 하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 도 6(b)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의 발광면 측 중심을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a)의 경우의 패널 추종 기구(26)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b)의 경우의 패널 추종 기구(26)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패널 추종 기구(26)는, 고정 테이프(5), 금속판(9),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으로부터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패널 추종 기구(26)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1)가 도 7과 같이 구부러진 경우, 금속판(9)은 고정 테이프(5),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화살표 방향(C)으로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은,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맞춰서 추종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조명 장치(1)가 도 8과 같이 구부러진 경우, 금속판(9)은 고정 테이프(5),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화살표 방향(D)으로 슬라이딩 한다. 그 결과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은,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맞춰서 추종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패널 추종 기구(26)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의 장축 측 방향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패널 추종 기구(26)가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의 단축 측 중 어느 단부 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도,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는 장축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에 따르면, OLED 패널이 장방형인 경우, OLED 패널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패널 추종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OLED 패널)가 장축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므로, 그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OLED 패널이 정방형인 경우, OLED 패널의 대각선 상에 패널 추종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OLED 패널)는, 그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그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3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31)의 평면도이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31)는, 조명 패널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OLED 패널(32)을 사용하고 있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31)는, OLED 패널(32)에서 발생된 빛을 바텀 측(즉, 도면의 하방)을 향해서 방출한다. 도면의 화살표는, 빛의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 OLED 패널(32)은, 본 예에서는 300 mm X 300 mm의 정방형이지만, 이 사이즈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31)는,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의 E-E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 방향(F-F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31)는, OLED 패널(32), 방열 시트(33), 접속 기판(34), 고정 테이프(35), 양면 점착 테이프(6), 고정용 쿠션(7), 간극용 쿠션(8), 금속판(9), 열전도 시트(10), 전원 기판(11),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을 구비하고 있다.
OLED 패널(32)은, 전술한 것과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조명 패널이다. 또한 점등 시의 밝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OLED 패널(32)의 애노드 및 캐소드에 전기를 공급하는 4개의 전극(14)은, 본 예에서는 OLED 패널의 4변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OLED 패널(32)의 단면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OLED 패널(2)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방열 시트(33)는, OLED 패널(3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균일화)시킨다. 방열 시트(33)는, OLED 패널(32)의 바텀 측에 배치된다. 또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1, OLED 패널(2))가 F-F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굽어지기 쉬워지도록 중심 부분이 분리된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다.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열 시트(33)의 크기는, OLED 패널(32)보다 작다. 방열 시트(33)는, 예를 들면 AL과 Cu의 금속박 또는 그라파이트 시트가 사용된다.
접속 기판(34)은, 전원 기판(11)으로부터의 출력(제어 신호)을 OLED 패널(32)로 입력한다. 접속 기판(34)은, 방열 시트(33) 상에 배치된다. 접속 기판(34)은, 2개의 전극(14)에 대응되는 부분에 4개의 단자(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24)의 플러스 단자와 전극(14)의 플러스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자(24)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극(14)의 마이너스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기판(34)은, 커넥터부(25)를 더욱 가지며, 전원 기판(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기판(34)은, 본 예에서는 편면 FPC이다.
고정 테이프(35)는, 접속 기판(34) 및 방열 시트(33)를 OLED 패널(32)에 고정한다. 고정 테이프(35)의 크기는,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열 시트(33)보다 크고, OLED 패널(32)보다 작다. 고정 테이프(35)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35)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6)는, 고정 테이프(35)와 고정용 쿠션(7)을 접착한다. 또한 고정 테이프(35)와 고정용 쿠션(7)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접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용 쿠션(7)은, 금속판(9)을 고정 테이프(35)에 고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용 쿠션(7)과 고정 테이프(35)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6)에 의해 수행된다.
간극용 쿠션(8)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이 OLED 패널(32)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간극용 쿠션(8)은, 1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고정 테이프(35)와 금속판(9) 사이에 1 mm 정도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층이 단열층의 역할을 한다. 간극용 쿠션(8)은, 고정 테이프(35)와 금속판(9) 사이에 설치된다. 간극용 쿠션(8)과 금속판(9)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된다. 한편 간극용 쿠션(8)과 고정 테이프(35)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31)가 구부러졌을 때 간극용 쿠션(8)과 고정 테이프(35)가 서로에 대해서 어긋나는 것이 가능하여,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32)의 구부러짐에 추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금속판(9)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을 방열하는 한편(히트 싱크로서 작용) 슬라이딩용 금속(13)과 협동해서 플렉서블 조명 장치(31)를 구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금속판(9)은,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열전도 시트(10)는,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을 금속판(9)으로 전도한다.
전원 기판(11)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을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OLED 패널(32)의 점등을 제어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슬라이딩용 금속(13)을 고정 테이프(35)에 접착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31)가 구부러졌을 때 금속판(9)이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패널 추종 기구의 구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패널 추종 기구(26)는, 고정 테이프(5),
금속판(9),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으로부터 구성되고, 금속판(9) 및 금속판(9)에 접속된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32)의 구부러짐에 추종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추종 기구(26)는, OLED 패널(32)의 E-E 대각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를 E-E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 방향(F-F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31)를, F-F 대각선을 중심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 11(a)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를, F-F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발광면 측 중심을 하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 도 11(b)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를, F-F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발광면 측 중심을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낸다. 어느 경우에도 금속판(9)이, 고정 테이프(5),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슬라이딩 할 수 있고,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은 OLED 패널(32)의 구부러짐에 맞춰서 추종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패널 추종 기구(26)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의 E-E 대각선 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패널 추종 기구(26)가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의 E-E 대각선 상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모서리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플렉서블 조명 장치(31, OLED 패널(32))는, E-E 대각선 상에서 대향하는 두 모서리 방향(F-F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에 따르면, OLED 패널이 정방형인 경우, OLED 패널의 대각선 상에 패널 추종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OLED 패널)가 대향하는 두 모서리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므로, 그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OLED 패널이 정방형인 경우, OLED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에 패널 추종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OLED 패널)는, 대향하는 두 변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그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4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41)의 평면도이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41)는, 조명 패널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OLED 패널(42)을 사용하고 있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41)는, OLED 패널(42)에서 발생된 빛을 바텀 측(즉, 도면의 하방)을 향해서 방출한다. 도면의 화살표는, 빛의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 OLED 패널(42)은, 본 예에서는 300 mm X 300 mm의 정방형이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41)는,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의 대향하는 두 변 방향(G-G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41)는, OLED 패널(42), 방열 시트(43), 접속 기판(44), 고정 테이프(45), 양면 점착 테이프(6), 고정용 쿠션(7), 간극용 쿠션(8), 금속판(9), 열전도 시트(10), 전원 기판(11),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을 구비하고 있다.
OLED 패널(42)은, 전술한 것과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조명 패널이다. 또한 점등 시의 밝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OLED 패널(42)의 애노드 및 캐소드에 전기를 공급하는 4개의 전극(14)은, 본 예에서는 OLED 패널의 네 변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다. 또한 OLED 패널(42)의 단면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OLED 패널(2)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방열 시트(43)는, OLED 패널(4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균일화)시킨다. 방열 시트(43)는, OLED 패널(42)의 바텀 측에 배치된다. 또한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가 G-G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굽어지기 쉬워지도록 중심 부분이 분리된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다.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열 시트(43)의 크기는, OLED 패널(42)보다 작다. 방열 시트(43)는, 예를 들면 AL과 Cu의 금속박 또는 그라파이트 시트가 사용된다.
접속 기판(44)은, 전원 기판(11)으로부터의 출력(제어 신호)을 OLED 패널(42)로 입력한다. 접속 기판(44)은, 방열 시트(43) 상에 배치된다. 접속 기판(44)은, 2개의 전극(14)에 대응되는 부분에 4개의 단자(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24)의 플러스 단자와 전극(14)의 플러스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단자(24)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극(14)의 마이너스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기판(44)은, 커넥터부(25)를 더욱 가지며, 전원 기판(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기판(44)은, 본 예에서는 편면 FPC이다.
고정 테이프(45)는, 접속 기판(44) 및 방열 시트(43)를 OLED 패널(42)에 고정한다. 고정 테이프(45)의 크기는,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방열 시트(43)보다 크고, OLED 패널(42)보다 작다. 고정 테이프(45)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45)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6)는, 고정 테이프(45)와 고정용 쿠션(7)을 접착한다. 또한 고정 테이프(45)와 고정용 쿠션(7)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접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용 쿠션(7)은, 금속판(9)을 고정 테이프(45)에 고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용 쿠션(7)과 고정 테이프(45)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6)에 의해 수행된다.
간극용 쿠션(8)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이 OLED 패널(42)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간극용 쿠션(8)은, 1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고정 테이프(45)와 금속판(9) 사이에 1 mm 정도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층이 단열층의 역할을 한다. 간극용 쿠션(8)은, 고정 테이프(45)와 금속판(9) 사이에 설치된다. 간극용 쿠션(8)과 금속판(9)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된다. 한편 간극용 쿠션(8)과 고정 테이프(45)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41)가 구부러졌을 때 간극용 쿠션(8)과 고정 테이프(45)가 서로에 대해서 어긋나는 것이 가능하여,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42)의 구부러짐에 추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금속판(9)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을 방열하는 한편(히트 싱크로서 작용) 슬라이딩용 금속(13)과 협동해서 플렉서블 조명 장치(41)를 구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금속판(9)은,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열전도 시트(10)는,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을 금속판(9)으로 전도한다.
전원 기판(11)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을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OLED 패널(42)의 점등을 제어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슬라이딩용 금속(13)을 고정 테이프(45)에 접착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12)는,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41)가 구부러졌을 때 금속판(9)이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슬라이딩용 금속(13)은, 패널 추종 기구(26)의 일부를 구성한다.
<패널 추종 기구의 구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패널 추종 기구(26)는, 고정 테이프(5),
금속판(9),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으로부터 구성되고, 금속판(9) 및 금속판(9)에 접속된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42)의 구부러짐에 추종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추종 기구(26)는, OLED 패널(42)의 H-H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를, G-G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41)를, G-G선을 중심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 도 14(a)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를, G-G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발광면 측 중심을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 도 14(b)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의 발광면 측 중심을 하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낸다. 어느 경우에도 금속판(9)이, 고정 테이프(5), 양면 점착 테이프(12) 및 슬라이딩용 금속(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슬라이딩 할 수 있고, 금속판(9) 및 전원 기판(11)은 OLED 패널(42)의 구부러짐에 맞춰서 추종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패널 추종 기구(26)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의 H-H선 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패널 추종 기구(26)가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의 H-H선 상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변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도, 플렉서블 조명 장치(41, OLED 패널(42))는, G-G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져,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에 따르면, OLED 패널이 정방형인 경우, OLED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에 패널 추종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OLED 패널)가 대향하는 두 변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므로, 그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 패널 추종 기구는 고정 테이프, 금속판,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슬라이딩용 금속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조명 장치로부터 금속판을 없앤 구성에 있어서, 전원 기판과 고정 테이프를, 쿠션을 통해서 접속함으로써,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변형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 조명 장치(5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51)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플렉서블 조명 장치(51)를 우측면으로부터 본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51)는, OLED 패널(2), 방열 시트(3), 접속 기판(4), 고정 테이프(5), 양면 점착 테이프(52), 고정용 쿠션(53), 간극용 쿠션(54), 슬라이딩용 쿠션(55), 양면 점착 테이프(56) 및 전원 기판(11)을 구비하고 있다.
OLED 패널(2)은, 가요성을 가지는 조명 패널이다. 방열 시트(3)는, OLED 패널(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균일화)시킨다. 방열 시트(3)는, OLED 패널(2)의 바텀 측에 배치된다. 접속 기판(4)은, 전원 기판(11)으로부터의 출력(제어 신호)을 OLED 패널(2)로 입력한다. 접속 기판(4)은, 방열 시트(3) 상에 배치된다. 고정 테이프(5)는, 접속 기판(4) 및 방열 시트(3)를 OLED 패널(2)에 고정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52)는, 고정 테이프(5)와 고정용 쿠션(53)을 접착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52)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정 테이프(5)와 고정용 쿠션(53)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접착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용 쿠션(53)은, 전원 기판(11)을 고정 테이프(5)에 고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고정용 쿠션(53)과 고정 테이프(5)의 접착은, 양면 점착 테이프(52)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고정용 쿠션(53)과 전원 기판(11)의 접착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된다. 고정용 쿠션(53)은,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간극용 쿠션(54)은, 전원 기판(11)이 발생시킨 열이 OLED 패널(2)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간극용 쿠션(54)은 1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고정 테이프(5)와 전원 기판(11) 사이에 1 mm 정도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층이 단열층의 역할을 한다. 간극용 쿠션(54)은, 고정 테이프(5)와 전원 기판(11) 사이에 설치된다. 간극용 쿠션(54)과 전원 기판(11)은, 예를 들면 양면 점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된다. 한편 간극용 쿠션(54)과 고정 테이프(5)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51)가 구부러졌을 때 간극용 쿠션(54)과 고정 테이프(5)가 서로에 대해서 어긋나는 것이 가능하여,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추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간극용 쿠션(54)은,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슬라이딩용 쿠션(55)은, 전원 기판(11)과 고정 테이프(5) 사이, 그리고 또한 전원 기판(11)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슬라이딩용 쿠션(55)은, 예를 들면 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양면 점착 테이프(56)는, 고정 테이프(5)와 슬라이딩용 쿠션(55) 사이, 그리고 슬라이딩용 쿠션(55)과 전원 기판(11) 사이에 설치되고, 고정 테이프(5)와 슬라이딩용 쿠션(55), 그리고 슬라이딩용 쿠션(55)과 전원 기판(11)을 접착한다. 양면 점착 테이프(56)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슬라이딩용 쿠션(55)과 양면 점착 테이프(56)는 협동해서, 플렉서블 조명 장치(51)가 구부러졌을 때 패널 추종 기구(57)를 구성한다.
전원 기판(11)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출력을 바탕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OLED 패널(2)의 점등을 제어한다.
<패널 추종 기구의 구조>
다음으로, 패널 추종 기구(57)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 추종 기구(57)는,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추종시킨다. 이로써 플렉서블 조명 장치(51, OLED 패널(2))를 장축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널 추종 기구(57)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51, OLED 패널(2))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패널 추종 기구(57)는, 슬라이딩용 쿠션(55) 및 양면 점착 테이프(56)로부터 구성되고, 전원 기판(11)을,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추종시킨다. 도 18 및 도 19는, 패널 추종 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6(a)의 경우, 즉 플렉서블 조명 장치(51, OLED 패널(2))의 발광면 측 중심을 하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51)가 도 18과 같이 구부러진 경우, 슬라이딩용 쿠션(55) 및 양면 점착 테이프(56)가 화살표 방향(C)으로 어긋남으로써, 전원 기판(11)이 화살표 C로 슬라이딩한다. 이 결과 전원 기판(11)은,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맞춰서 추종할 수 있다.
한편 도 19는, 도 6(b)의 경우, 즉 플렉서블 조명 장치(51, OLED 패널(2))의 발광면 측 중심을 상방을 향하도록 휘어서 구부린 경우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조명 장치(51)가 도 19와 같이 구부러진 경우, 슬라이딩용 쿠션(55) 및 양면 점착 테이프(56)가 화살표 방향(D)으로 어긋남으로써, 전원 기판(11)이 화살표 D로 슬라이딩한다. 이 결과 전원 기판(11)은 OLED 패널(2)의 구부러짐에 맞춰서 추종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가 장방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제 2 실시형태 또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플렉서블 조명 장치가 정방형인 경우에도 변형예의 패널 추종 기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에 사용하는 조명 패널로서, OLED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과 같은, 가요성을 가지는 다른 전기 광학 패널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있어서 구성 요소의 삭제, 추가, 치환을 포함한 다양한 변형예가 생각될 수 있다.
1, 31, 41, 51: 플렉서블 조명 장치
2, 32, 42: OLED 패널
3, 33, 43: 방열 시트
4, 34, 44: 접속 기판
5, 35, 45: 고정 테이프
6, 52: 양면 점착 테이프
7, 53: 고정용 쿠션
8, 54: 간극용 쿠션
9: 금속판
10: 열전도 시트
11: 전원 기판
12: 양면 점착 테이프
13: 슬라이딩용 금속
14: 전극
15: OCF(Out Coupling Film)
16: 배리어 필름
17: 폴리이미드 필름
18: 애노드
19: 유기 발광층
20: 캐소드
21: 캡슐 봉지체
22: 금속박
23: 절연 필름
24: 단자
25: 커넥터부
26, 57: 패널 추종 기구
55: 슬라이딩용 쿠션
56: 양면 점착 테이프

Claims (20)

  1. 가요성을 가지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와,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금속판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접속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을 가지는 전원 기판과,
    상기 고정 테이프 및 상기 금속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되는 한편 상기 금속판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용 금속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테이프, 상기 금속판 및 상기 슬라이딩용 금속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구부러짐에 상기 전원 기판을 추종시키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와 상기 슬라이딩용 금속의 고정은,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한 접착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와 상기 금속판 사이에 간극용 쿠션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간극용 쿠션은, 상기 금속판과만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장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단축 측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각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네 변의 중심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전원 기판이 발생시킨 열을 방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 사이에 방열 시트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OLED 표시 패널,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2. 가요성을 가지는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속 기판과,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 기판과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와,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부에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고정 테이프와 고정되는 한편 상기 접속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을 가지는 전원 기판과,
    상기 전원 기판과 상기 고정 테이프 사이에, 그리고 또한 상기 전원 기판의 양 단부에 구비된 슬라이딩용 쿠션과,
    상기 전원 기판과 상기 슬라이딩용 쿠션을 접착하는 제 1 양면 점착 테이프와,
    상기 슬라이딩용 쿠션과 상기 고정 테이프를 접착하는 제 2 양면 점착 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용 쿠션, 상기 제 1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제 2 양면 점착 테이프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구부러짐에 상기 전원 기판을 추종시키는 패널 추종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와 상기 전원 기판 사이에 간극용 쿠션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간극용 쿠션은, 상기 전원 기판과만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장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단축 측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각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이고, 상기 패널 추종 기구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대향하는 두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상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은,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네 변의 중심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과 상기 접속 기판 사이에 방열 시트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20.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은, OLED 표시 패널,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조명 장치.
KR1020200042727A 2019-07-24 2020-04-08 플렉서블 조명 장치 KR102249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35785A JP7265440B2 (ja) 2019-07-24 2019-07-24 フレキシブル照明装置
JPJP-P-2019-135785 2019-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884A KR20210012884A (ko) 2021-02-03
KR102249193B1 true KR102249193B1 (ko) 2021-05-06

Family

ID=7456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27A KR102249193B1 (ko) 2019-07-24 2020-04-08 플렉서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65440B2 (ko)
KR (1) KR1022491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1310A (ja) 2015-12-16 2017-06-22 シチズンファイン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39B1 (ko) 2013-09-30 2018-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38926B1 (ko) * 2014-03-28 2020-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58714B1 (ko) * 2014-12-22 2021-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6159585A (ja) 2015-03-04 2016-09-05 三菱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それを用いた有機el素子及び有機el照明装置
KR102504128B1 (ko) 2016-03-11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0709B1 (ko) * 2016-04-19 2023-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보호테이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800005B2 (ja) 2016-12-02 2020-12-16 株式会社カネカ 曲面発光建材部材、及びこれを含む建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1310A (ja) 2015-12-16 2017-06-22 シチズンファイン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5440B2 (ja) 2023-04-26
KR20210012884A (ko) 2021-02-03
JP2021018394A (ja)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430B2 (en) Backlight device and plana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304102B1 (ko) 표시 장치
KR100900376B1 (ko) 조명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EP2309312A1 (en) Light module
JP2013149511A (ja) 面状照明装置
KR102249193B1 (ko) 플렉서블 조명 장치
KR102036757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048560B (zh) 显示装置
JP5013524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514114B1 (ko) Oled 조명 모듈
KR101283068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06066236A (ja) 面状照明装置
KR101408384B1 (ko) Oled 조명 모듈
JP2012009235A (ja) 面状照明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表示モジュール
WO2017038663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6142808B2 (ja) 照明パネル
JP414438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20252777A1 (en) Linear light-emitting device
JP6101458B2 (ja) 有機elモジュール及び有機elモジュールの敷設構造
US10429575B2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247350B2 (ja) 面状照明装置
JP2007188719A (ja) 液晶表示装置
KR102070639B1 (ko) 방열회로기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700428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8216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