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012B1 -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012B1
KR102249012B1 KR1020190156830A KR20190156830A KR102249012B1 KR 102249012 B1 KR102249012 B1 KR 102249012B1 KR 1020190156830 A KR1020190156830 A KR 1020190156830A KR 20190156830 A KR20190156830 A KR 20190156830A KR 102249012 B1 KR102249012 B1 KR 10224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unit
support
damag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호
Original Assignee
충청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남도 filed Critical 충청남도
Priority to KR102019015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는 저장탱크의 파손부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 주변에 밀착 배치되는 제 1 차단부; 상기 파손부의 외측 주변에 밀착 배치되는 제 2 차단부; 상기 제 2 차단부를 상기 파손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차단 구동부; 및 상기 1 차단부와 상기 제 2 차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채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APPARTUS FOR ISOLATING A HAZARDOUS SUBSTANCE}
본 발명은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류를 포함하는 유해화학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저장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내외부 표면에 보호층을 코팅하여 크랙, 파손 등으로 발생하는 누설을 방지한다.
그러나, 불미스러운 사고에 의해 저장탱크에 큰 파손이 발생하면, 다량의 유해물질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인명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각종 화학약품 등을 이용하여 중화시킨 후 수거처리해야 하므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유해물질 저장탱크에서 사고로 인하여 노출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 쐐기 등을 강제적으로 파손 부위에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강제적으로 파손 부위를 막는 방법은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압력에 의하여 쐐기를 설치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파손 부위에 설치된 쐐기는 유해물질의 압력에 의해 천천히 빠져나오게 되므로 저장탱크의 파손 부위를 완전히 밀폐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해물질 저장탱크의 파손 부위를 신속하게 복구하여, 유해물질의 노출로 인한 환경오염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는 저장탱크의 파손부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 주변에 밀착 배치되는 제 1 차단부; 상기 파손부의 외측 주변에 밀착 배치되는 제 2 차단부; 상기 제 2 차단부를 상기 파손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차단 구동부; 및 상기 1 차단부와 상기 제 2 차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채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부는 상기 차단 구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3 지지부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구동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 상기 제 1 차단부가 체결 배치되는 체결부; 및 내부에 상기 채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는 제 2 차단부가 상기 제 1 차단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2 차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부는 끝단에 상기 채움재가 주입되는 제 1 채움재 주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상기 채움재가 관통로를 따라 흘러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채움재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과 상기 채움재 배출구의 통공이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부는 상기 제 2 차단부 내측으로 상기 채움재가 주입되는 제 2 채움재 주입구; 및 상기 파손부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물질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에는 동력 제공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는 유해물질 저장탱크의 파손 부위를 신속하게 복구하여, 유해물질의 노출로 인한 환경오염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가 저장탱크의 파손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의 차단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 설치된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가 저장탱크의 파손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10)는 제 1 차단부(100), 제 2 차단부(200), 차단 구동부(300) 및 채움재(4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차단부(100)는 유류 및 각종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해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에 파손된 부위인 파손부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1)의 내측 주변에 밀착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차단부(100)는 저장탱크(1)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저장탱크(1)의 파손부의 크기보다 더 큰 범위를 커버하도록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차단부(100)는 차단 구동부(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110)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회동하는 제 2 지지부(120)를 더 포함한다.
더하여, 제 1 지지부(110)는 원통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차단 구동부(300)에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차단부(100)는 제 1 지지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부(130)와 일단이 상기 연결부(13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지지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3 지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더하여, 연결부(130)는 원통형태를 가져 상기 제 1 지지부(110)를 내부로 통과시킬 수 있고 제 3 지지부(140)의 양단부는 연결부(130)와 제 2 지지부(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 1 지지부(110)와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제 3 지지부(140)는 연결부(130)가 상기 제 1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고, 상기 제 2 지지부(120)는 상기 제 3 지지부(14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차단부(100)는 제 2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2 지지부(120)의 회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차단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더하여, 차단부재(15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이나 고탄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차단부(200)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차단부(200)가 저장탱크(1)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210), 상기 제 2 차단부(200) 내측으로 채움재(400)가 주입되는 제 2 채움재 주입구(220) 및 저장탱크(1)의 파손부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물질 배출구(230)를 포함한다.
또한, 플랜지(2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이나 고탄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차단부(200)는 차단 구동부(300)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되고, 상기 차단 구동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차단 구동부(300)는 제 2 차단부(200)를 제 1 차단부(100) 및 저장탱크(1)의 파손부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의 차단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구동부(3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310), 상기 제 1 차단부(100)가 체결 배치되는 체결부(320), 내부에 채움재(400)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스크류부(310)는 제 2 차단부(200)가 상기 제 1 차단부(100)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 차단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더하여, 스크류부(310)의 일단은 상기 체결부(320)의 끝단과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부(310)의 끝단에는 채움재(400)가 주입되는 제 1 채움재 주입구(311)가 포함된다.
더하여, 체결부(320)는 외주면에 채움재(400)가 관통로(330)를 따라 흘러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채움재 배출구(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지지부(110)는 상기 제 1 지지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 1 지지부는 관통공(111)과 채움재 배출구(321)의 통공이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부(320)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스크류부(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부(3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제공부(500)가 결합되고, 작업자는 상기 동력 제공부(500)를 돌려 상기 차단 구동부(3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더하여, 체결부(320)의 일단에는 삽입유도부(3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유도부(322)는 저장탱크(1)의 파손부로 제 1 차단부(100)가 쉽게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저장탱크(1)의 파손부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10)의 제 1 차단부(100)를 접은 상태로 파손부의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이후,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10)의 제 1 차단부(100)를 상기 파손부에 삽입하고, 상기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10)를 저장탱크(1)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차단부(100)는 접혀진 상태에서 펼친 상태가 되고 저장탱크(1)의 내측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동력 제공부(500)를 돌려 회전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동력 제공부(500)와 연결된 스크류부(310)가 회전하게 되고, 제 2 차단부(200)가 상기 제 1 차단부(100)를 향해 이동한다.
즉, 제 2 차단부(200)는 저장탱크(1)의 파손부 주변에 밀착 배치되며, 상기 제 1 차단부(100)와 제 2 차단부(200) 사이에 채움재(400)를 채워 넣을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작업자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10)의 차단 구동부(300)에 포함된 제 1 채움재 주입구와 제 2 차단부(200)에 포함된 제 2 채움재 주입구를 통하여 채움재(400)를 주입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움재(400)는 경화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손부를 통한 유체의 누설을 차단하고 화학물질에 강인한 내화학성을 가지는 것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화성 실리콘은 제 1 차단부(100)와 제 2 차단부(20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서 서서히 경화되고, 그 경화 과정에서 팽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차단부(100), 제 2 차단부(200) 및 채움재(400)는 저장탱크(1)의 파손부를 신속하게 막아, 노출되는 유해물질로부터 환경오염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움재(400)에 의해 저장탱크(1)의 파손부를 실링할 수 있어, 유류 및 각종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유해물질의 누설을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제 1 차단부
200: 제 2 차단부
300: 차단 구동부
400: 채움재

Claims (8)

  1. 저장탱크의 파손부에 삽입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 주변에 밀착 배치되는 제 1 차단부;
    상기 파손부의 외측 주변에 밀착 배치되는 제 2 차단부;
    상기 제 2 차단부를 상기 파손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차단 구동부; 및
    상기 제 1 차단부와 상기 제 2 차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채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 구동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부, 상기 제 1 차단부가 체결 배치되는 체결부 및 내부에 상기 채움재가 이동할 수 있는 관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부는, 제 2 차단부가 상기 제 1 차단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 2 차단부와 결합되되, 끝단에 상기 채움재가 주입되는 제 1 채움재 주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상기 채움재가 관통로를 따라 흘러 외부로 배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채움재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차단부는, 상기 제 2 차단부 내측으로 상기 채움재가 주입되는 제 2 채움재 주입구 및 상기 파손부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해물질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움재는, 경화성 실리콘이고, 상기 경화성 실리콘은 상기 제 1 차단부와 상기 제 2 차단부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 내에서 서서히 경화되어 저장탱크의 파손부를 실링하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부는,
    상기 차단 구동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2 지지부의 회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 1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3 지지부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회동하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지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관통공과 상기 채움재 배출구의 통공이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끼움 결합되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에는 동력 제공부가 더 구비되는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KR1020190156830A 2019-11-29 2019-11-29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KR10224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30A KR102249012B1 (ko) 2019-11-29 2019-11-29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30A KR102249012B1 (ko) 2019-11-29 2019-11-29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012B1 true KR102249012B1 (ko) 2021-05-07

Family

ID=7591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830A KR102249012B1 (ko) 2019-11-29 2019-11-29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240B1 (ko) * 2021-11-18 2022-10-14 울산테프론 주식회사 누출방지장치
KR20230162183A (ko) 2022-05-20 2023-11-28 배병태 저장탱크용 보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103A (ko) * 2008-05-03 2008-05-22 전성권 선박 피공 응급 보완구
KR100944353B1 (ko) * 2008-03-05 2010-03-03 선영재 오일 유출 방지장치
KR101050724B1 (ko) * 2008-12-31 2011-07-26 오승수 선박의 기름유출 방지장치
KR101591897B1 (ko) * 2014-04-18 2016-02-12 정천섭 액체유출 방지장치
KR101856569B1 (ko) * 2016-10-28 2018-05-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응급 보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53B1 (ko) * 2008-03-05 2010-03-03 선영재 오일 유출 방지장치
KR20080045103A (ko) * 2008-05-03 2008-05-22 전성권 선박 피공 응급 보완구
KR101050724B1 (ko) * 2008-12-31 2011-07-26 오승수 선박의 기름유출 방지장치
KR101591897B1 (ko) * 2014-04-18 2016-02-12 정천섭 액체유출 방지장치
KR101856569B1 (ko) * 2016-10-28 2018-05-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응급 보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240B1 (ko) * 2021-11-18 2022-10-14 울산테프론 주식회사 누출방지장치
KR20230162183A (ko) 2022-05-20 2023-11-28 배병태 저장탱크용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012B1 (ko) 유해물질 노출차단 장치
RU2121100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US86679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US5353842A (en) Inflatable plug for use in plugging a large diameter pipe
KR101856569B1 (ko) 선박 응급 보수장치
US6581938B2 (en) Flexible seal forming member
KR100383237B1 (ko) 비굴착 방식에 의한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 부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RU2341721C1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ремонтных работ на трубопровод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ремен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варианты) и тампон-герметизатор для времен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EP3347640B1 (en) Coating/membrane repair kit
CN211948777U (zh) 检查井
KR20170004135U (ko) 하수관 유지보수용 물막이 장치
NO320677B1 (no) Elektrisk bronnpumpesystem med motorvern i elastomermateriale
CN212617045U (zh) 一种油管法兰渗漏快速修复装置
KR100547367B1 (ko) 비굴착식 하수관로 함몰부위 보수장치
CN107100882B (zh) 核反应堆冷却剂泵及其非能动停车密封装置
CN219082548U (zh) 一种油罐人孔井用维修密封套
JP2000146078A (ja) 管体用補修カバー及び管体の補修方法
KR101470955B1 (ko) 예비실링유닛을 갖는 스턴튜브 실링장치
JP2003090460A (ja) パイプライン埋設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シール手段
KR102433096B1 (ko) 리크보수유니트
CN210566227U (zh) 一种防腐的泵阀密封垫
CN210003827U (zh) 一种高压气瓶或高压出气口的保护装置
CN212583719U (zh) 一种隧道涌水堵漏装置
KR200313097Y1 (ko) 관로와 구조물의 차수구조
JPH07151292A (ja) 配管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