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065B1 -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065B1
KR102248065B1 KR1020200004321A KR20200004321A KR102248065B1 KR 102248065 B1 KR102248065 B1 KR 102248065B1 KR 1020200004321 A KR1020200004321 A KR 1020200004321A KR 20200004321 A KR20200004321 A KR 20200004321A KR 102248065 B1 KR102248065 B1 KR 10224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astic
urea
weight
silica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467A (ko
Inventor
최길주
Original Assignee
(주)대건씨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건씨앤엘 filed Critical (주)대건씨앤엘
Publication of KR2020009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07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 E01C7/325Joining different layers, e.g. by adhesive layers; Intermediate layers, e.g. for the escape of water vapour, for spreading st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육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층;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형성된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 여기서 상기 우레아는 탄성 시트의 표면에 0.5 mm 이하의 두께로 도포되며; 상기 우레아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규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리서페이서층; 및 상기 리서페이서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탑 코팅층을 포함하는 탄성코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성 코트 및 그 제조 방법{ELASTIC CO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성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육시설용 탄성 코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체육 시설용 탄성 바닥은 시공면에 탄성 칩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포설한 후 다짐하는 방식의 포설 방식으로 시공되거나, 공장에서 제조된 롤 형태의 탄성 시트를 시공면에 부착하는 시트 부착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다.
테니스 코트와 같이 보다 정밀하고 균일한 탄성이 필요한 탄성 코트의 경우에는 하부에 탄성 바닥을 시공한 후, 탄성 특성 개선을 위해서 탄성 바닥면 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 후, 추가로 리서페이서층과 탑 코팅층을 차례로 형성한다. 하지만, 시트 부착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바닥면을 이루는 탄성시트 사이의 편차와 탄성 시트들 사이의 수축 팽창으로 인해 이음매 부분의 균열 문제가 상부층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961698호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탄성 시트들을 나란히 시공한 후, 리서페이서층을 시공하기 전에 전체적으로 우레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프라이머와 리서페이서 및 탑코트층을 형성하는 방식이 개시된다. 우레아층은 탄성 시트들이 시공된 상태에서 대략 2~3 mm 정도의 두께로 스프레이 시공되며, 하나의 우레아층이 여러개의 탄성시트를 잡아주게 되므로, 탄성 시트의 편차나 수축 팽창의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할 있게 된다.
하지만, 탄성 시트 위에 우레아 층을 스프레이 시공하는 방식은 우레아층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시공 시 바람을 타고 분산되어 주위의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1684468호에서는 탄성 시트의 제조시에 표면에 우레아층을 형성한 탄성-우레아 복합시트를 제시하고, 제조시 우레아층에 롤러를 이용해 요철을 형성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롤과 롤 사이의 이음매 부분의 불균일성과 요구하는 균일한 두께를 해소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707099호에서는 이러한 탄성 시트사용과 포설 다짐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기층 바닥면에 평탄화를 위해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고, 유리섬유를 설치하여 바닥면과 탄성층의 결합력을 높이고, 설치된 유리섬유직물 위에 0.5 ~ 1.0mm 크기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비결정성고분자물질) 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라텍스를 코팅하여 하부 탄성층과, 0.5 mm 이하 크기의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비결정성고분자물질) 입자를 포함한 아크릴라텍스를 코팅하여 상부탄성층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탄성층 위에 섬유질과 광물질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마감층(700)-리서페이서층을 형성하고, 마감층 위에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여 컬러층(800)-탑코트층을 형성한 탄성 코트를 개시하지만, 기층 바닥에 별도의 평탄화층을 형성해야 하며, 탄성층의 시공연결부 바닥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유리섬유직물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탄성 코트는 다량의 접착제를 이용한 시공에도 불구하고, 기층에서 유입되는 수분과 온도변화로 인한 열팽창 등에 여전히 취약하고, 시공 후에도 지속적인 하자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 시트를 사용하면서도 이음부의 접착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량의 접착제를 이용한 시공에도 불구하고, 기층에서 유입되는 수분과 온도변화로 인한 수축팽창 등 여전히 취약하고, 시공 후에도 지속적인 시공 이음매의 하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본 발명에서, '우레아층의 두께'는 규사를 표면으로 돌출된 규사를 제외한 우레아 수지의 두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는 아크릴 단량체를 중합 또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탄성층;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형성된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 여기서 상기 우레아층은 탄성 시트의 표면에 0.5 mm 이하의 두께로 도포되며;
상기 우레아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규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리서페이서층; 및
상기 리서페이서층이 표면에 형성되는 탑 코팅층
을 포함하는 탄성코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탄성 코트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매트형 탄성층일 수 있으며, 또는 포설형 탄성층, 예를 들어, 단층 포설형, 복층 포설형 탄성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매트형 탄성층은 고무칩과 바인더로 이루어진 통상의 탄성 매트일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단층 포설형은 탄성층은 SBR(styrene-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의 탄성칩 80~100중량%, 아크릴계 라텍스 수지 또는 우레탄 바인더 15~60중량%, 및 콜크 분말 1~15중량%로 이루어진 탄성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복층 포설형 탄성층은 대구경의 SBR(styrene-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의 탄성칩 30~70중량%, 아크릴 라텍스 수지 또는 우레탄 바인더 15~60중량%, 및 콜크 분말 1~15중량%로 이루어진 탄성층과, 소구경의 SBR(styrene-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의 탄성칩 30~70중량%, 아크릴 라텍스 수지 또는 우레탄 바인더 15~60중량%, 및 콜크 분말 1~15중량%로 이루어진 탄성층일 수 있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콜크 분말은 천연 재활용 탄성재로서 콜크의 재활용과 탄성코트의 환경 친화성와 코트의 경량화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층은 우레아 수지와 규사의 혼합물층이며, 바람직하게는 우레아 수지층에 규사가 분사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우레아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규사는 1~100 중량부의 무게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입도가 0.1~1mm 직경 범위의 규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1 mm 직경이 규사의 중량이 전체 규사 중량의 5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사의 입자가 상기 범위보다 커지게 되면, 박막의 우레아 수지에 의한 고정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며, 규사의 입자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규사가 우레아 수지층에 파묻혀 요철효과를 발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 수지층은 0.5 mm 이하의 두께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4 mm 이하의 두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우레아층이 얇게 박막으로 형성됨으로써, 탄성층의 거친 표면을 따라서 얇게 코팅되어 우레아층이 코팅된 후에도 표면이 요철을 이루게 된다. 상기 우레아층의 두께가 커지게 되면, 우레아의 자체 레벨링에 의해서 상부 표면이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게 되어 그 위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층과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레아층은 기층에서 탄성칩 사이의 틈새를 통해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고, 탄성층과의 결합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탄성층에 형성된 공극을 메우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액상 도포형 우레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액상 도포형 우레아는 스프레이 형태의 속건형 우레아와 달리 서서히 경화되기 때문에, 도포 후 공극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탄성칩 사이의 공극을 메울 수 있으며, 탄성 매트의 경우 매트 접합부위 홈을 메울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탄성층과의 결합면적이 넓어지면서 큰 층간 접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액상 도포형 우레아는 1 분 이내에 경화가 일어나는 스프레이 형태의 속건성 우레아와 달리 건조에 시간이 소요되는 액상형 우레이며, 바람직하게는 가사 시간이 15분이 이상, 바람직하게는 15분에서 1시간 소요되는 액상형 우레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분, 20분, 25분, 또는 30 분의 가사시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연된 가사시간을 가지는 우레아의 일예로는 줄눈형 우레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 수지와 규사의 혼합물층이며,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 수지층에 규사가 분산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프라이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규사는 1~100 중량부의 무게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입도가 0.5~1mm 직경 범위의 규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사의 입자가 상기 범위보다 커지게 되면, 프라이머 수지층에 균일한 표면층을 형성하기 어렵게 되면, 규사의 입자가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규사가 프라이머에 파 뭍여 요철 효과를 발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에 포함되는 규사는 우레아층에 포함되는 규사보다 평균 직경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우레탄계 또는 아크릴계 프라이머 일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은 0.1~1.0 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0.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적어지면 우레아층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하기 어렵고, 프라이머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커지면, 코트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서페이서층은 아크릴계 수지와, 활성탄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공지된 리서페이서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탄은 탄성 코트의 시공 후 잔류하는 VOC를 흡착하고, 또한, 수분에 의한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고 공기 청정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상기 CNT는 리서페이스 층의 인강 강도 및 신장률, 내마모성 증가와 층간 부착 강도의 증가, 더불어 그 구조가 다공형 입체 구조로 충격흡수성이 증가하며 열전달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하절기에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반 대전방지 코팅제와 달리 영구적인 대전 방지 효과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서페이스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활성탄 0.1~5 중량부 및 CNT 0.1~5 중량부의 범위에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활성탄 및 CNT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탄성 코트의 탄성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면 실질적인 효과를 발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은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서 시공되며, 탑코팅 작업의 용이성과 하부 리서페이서와의 결합력의 증대 및 차열 효과를 위해서, 중공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재료의 경량화로 인해서 코팅작업이 용이하고 공극으로 인한 연결고리 생성으로 액상용액의 결합성이 증대되고 차열효과를 발현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필러는 탑코팅되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중공 필러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탄성 코트의 탄성 불균일성과 팽창에 의한 크렉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중공 필러의 함량이 낮은 경우 실질적인 효과를 발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탄성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액상 도포형 우레아가 탄성층의 표면에 0.5 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우레아층의 표면에 규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층의 표면에 리서페이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리서페이서층의 표면에 탑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성 코트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서 탄성층과 우레아층을 포함하여 열팽창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우레아층과 다른 층과의 접합력이 우수한 새로운 탄성 코트가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코트는 수분 및 수축팽창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공 중 사용되는 재료에서 발생되는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과, 공기 정화, 및 대전 방지 특성, 인장강도와 신장률과 같은 기본 물성의 증대와 더불어 충격흡수성 증대 및 차열 특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기층에 부착된 탄성 시트를 이용하여 시공된 탄성 코트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라 기층에 포설되는 단층 탄성층을 이용하여 시공된 탄성 코트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따라 기층에 포설되는 2층 탄성층을 이용해서 시공된 탄성 코트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 실시예 1에 따라 기층에 부착된 탄성 시트를 이용해서 시공된 탄성 코트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비교 실시예 2에 따라 기층에 포설된 단층 탄성층 이용해서 시공된 탄성 코트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양생된 기층(110)의 표면에 소정 폭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 시트(121)(Dongguan Berson Plastic Flooring, BS-1004)를 나란히 부착하여 탄성층(120)을 형성하였다. 탄성층(120)이 표면에 폴리우레아 용액(가사 시간 20분)과 0.2~0.4 mm 직경을 가지는 규사를 탄성층(120)표면에 1차 도포하였다. 폴리우레아 용액이 탄성층에 형성된 틈새와 탄성 시트(121)들 사이의 틈새로 흘러 들어가면서 표면을 얇게 도포되어 경화되었다. 탄성층(120)의 표면에 약 0.4 mm의 두께로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130)을 형성하였다. 우레아층(130)은 박막의 우레아 수지층(131)과 우레라 수지층(131)에 분산되어 고정된 규사(132)로 이루어지며, 우레아 수지층(131)과 규사(132)의 중량비는 100: 70를 이루었다.
우레아층(130)이 도포되어 경화되면, 우레아층(130)의 상부에 프라이머층(140)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140)은 우레탄 프라이머(강남화성,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T-44)와 규사로 이루어지며, 우레탄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0.6~0.9 mm의 직경을 가지는 규사 70 중량부를 도포 및 살포하여 제조된다.
상기 프라이머층(140)은 0.5 mm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면은 우레아층(130)의 요철을 메우면서 우레아층(130)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부는 표면에 규사입자가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평탄면을 이루게 된다.
프라이머층(140)이 경화되면 아크릴 수지(대건씨앤엘)와 활성탄 파우더와 탄소나노튜브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리서페이서층(150)을 형성한다. 아크릴 수지와 활성탄과 탄소나노튜브는 100:1:1의 중량부로 혼합되었다.
리서페이서층(150)이 경화된 후, 녹색 염료와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대건씨앤엘)와 중공 필러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탑코팅층(160)을 형성하였다.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와 중공 필러와 녹색 염료의 중량비는 100:1:0.1 이었다. 시공된 탄성 코트 위에 라인을 그려서 테니스 코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양생된 기층(210)의 표면에 평균 직경 2 mm 내외의 EPDM 칩과 우레탄 바인더(강남화성, 일액형, TP-1190s)를 혼합하여 포설한 단층의 탄성층(220)을 형성하였다.
탄성층(22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용액(가사 시간 20분)에 0.2~0.4 mm 직경을 가지는 규사를 탄성층(220) 표면에 1차 도포하였다. 폴리우레아 용액이 탄성층에 형성된 틈새와 탄성 시트(221)들 사이의 틈새로 흘러 들어가면서 표면을 얇게 도포되어 경화되었다. 폴리우레아 전구체 탄성층(120)의 표면에 약 0.3 mm의 두께로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230)을 형성하였다. 우레아층(230)은 박막의 우레아 수지층(231)에 규사층(231)이 분산되어 고정된 규사(232)로 이루어지며, 우레아 수지층(231)과 규사(232)의 중량비는 100: 50를 이루었다.
우레아층(230)이 도포되어 경화되면, 우레아층(230)의 상부에 프라이머층(240)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240)은 우레탄 프라이머(강남화성,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T-44)와 규사로 이루어지며, 우레탄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0.6~0.9 mm의 직경을 가지는 규사 50중량부 도포 및 살포하여 제조된다. 상기 프라이머층(240)은 0.5 mm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면은 우레아층(230)의 요철을 메우면서 우레아층(230)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부는 표면에 규사입자가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평탄면을 이루게 된다.
프라이머층(240)이 경화되면 아크릴 수지(대건씨앤엘)와 파우더형 활성탄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리서페이서층(250)을 형성한다. 아크릴 수지와 활성탄과 탄소나노튜브는 100:1:1의 중량부로 혼합되었다.
리서페이서층(250)이 경화된 후, 녹색 염료와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와 중공 필러를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탑코팅층(260)을 형성하였다.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와 중공 필러와 녹색 염료의 중량비는 100:1;0.1 이었다. 시공된 탄성 코트 위에 라인을 그려서 테니스 코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양생된 기층(310)의 표면에 평균 직경 2-3 mm 내외의 SBR 칩(원파워, 타이어 재생고무)과 우레탄 바인더(강남화성, 일액형, TP-1190s)를 혼합하여 포설한 제1 탄성층(321)을 형성하였다. 이후, 평균 직경 1mm 내외의 SBR 칩(원파워, 타이어 재생고무)과 우레탄 바인더(강남화성, 일액형, TP-1190s)를 혼합하여 포설한 제2 탄성층(322)을 형성하였다
탄성층(322)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전구체 용액(가사 시간 20분)에 0.1~0.2 mm 직경을 가지는 규사를 혼합한 후, 탄성층(320)의 표면에 1차 도포하였다. 폴리우레아 전구체 용액이 탄성층에 형성된 틈새와 탄성 시트(321)들 사이의 틈새로 흘러들어가면서 표면을 얇게 도포되어 경화되었다. 폴리우레아 전구체 탄성층(320)이 표면에 약 0.25 mm의 두께로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330)을 형성하였다. 우레아층(330)은 박막의 우레아 수지층(331)에 규사층(331)이 분산되어 고정된 규사(332)로 이루어지며, 우레아 수지층(331)과 규사(332)의 중량비는 100: 30를 이루었다.
우레아층(330)이 도포되어 경화되면, 우레아층(330)의 상부에 프라이머층(340)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340)은 우레탄 프라이머(강남화성,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T-44)와 규사로 이루어지며, 우레탄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서 0.6~0.9 mm의 직경을 가지는 규사 30 중량부를 도포 및 살포하여 제조된다. 상기 프라이머층(340)은 0.5 mm의 두께로 형성되어, 하면은 우레아층(330)의 요철을 메우면서 우레아층(330)과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부는 표면에 규사입자가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평탄면을 이루게 된다.
프라이머층(340)이 경화되면 아크릴 수지와 활성탄과 탄소나노튜브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리서페이서층(350)을 형성한다. 아크릴 수지와 활성탄과 탄소나노튜브는 100:1:1의 중량부로 혼합되었다.
리서페이서층(350)이 경화된 후, 녹색 염료와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 및 중공 필러를 혼합한 혼합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탑코팅층(360)을 형성하였다.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와 중공 필러와 녹색 염료의 중량비는 100:1;0.1 이었다. 시공된 탄성 코트 위에 라인을 그려서 테니스 코트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양생된 기층(410)의 표면에 소정 폭을 가지는 다수의 탄성 시트(421)(Dongguan Berson Plastic Flooring, BS-1004)를 나란히 부착하여 탄성층(420)을 형성하였다. 탄성층(420)의 표면에 속건성 폴리우레아를 스프레이로 3mm의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하여 우레아층(430)을 형성하였다. 우레아층(430)이 도포후 경화되면, 우레아층(430)의 상부에 프라이머층(440)이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440)은 우레탄 프라이머(강남화성,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T-44)로 이루어진다.
프라이머층(440)이 경화되면 아크릴 수지와 활성탄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리서페이서층(450)을 형성한다. 리서페이서층(450)이 경화된 후, 녹색 염료와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를 혼합하여 도포한 후 경화시켜 탑코팅층(460)을 형성하였다. 시공된 탄성 코트 위에 라인을 그려서 테니스 코트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양생된 기층(510)의 표면에 평균 직경 2 mm 내외의 EPDM 칩(대건씨앤엘)과 우레탄 바인더(강남화성, 일액형, TP-1190s)를 혼합하여 포설한 단층의 탄성층(520)을 형성하였다. 탄성층(520)의 표면에 속건성 폴리우레아를 스프레이로 3mm의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하여 우레아층(530)을 형성하였다. 우레아층(530)이 도포 후 경화되면, 우레아층(530)의 상부에 프라이머층(540)을 형성하였다. 프라이머층(540)은 우레탄 프라이머로 이루어진다.
프라이머층(540)이 경화되면 아크릴 수지(대건씨앤엘)와 활성탄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리서페이서층(550)을 형성한다. 리서페이서층(550)이 경화된 후, 녹색 염료와 탑코팅용 아크릴 수지를 혼합하여 도포한 후 경화시켜 탑코팅층(560)을 형성하였다. 시공된 탄성 코트 위에 라인을 그려서 테니스 코트를 형성하였다.
물성 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비교실시예 1 내지 2에서 기층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인장강도, 신율, 충격 흡수성 및 수직 방향 변형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 2
인장강도(Mpa) 0.72 0.70 0.65 0.53 0.57
신장률(%) 46 45 42 40 41
충격흡수성(%) 28 20 19 14 14
수직방향 변형(mm) 0.9 1.1 0.9 1.0 1.2
물성 측정은 KSF3888-2 심사기준에 따름.
110: 기층
120: 탄성층
130: 우레아층
140: 프라이머층
150: 리서페이서층
160: 탑코팅층

Claims (10)

  1. 탄성층;
    상기 탄성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우레아층,
    여기서, 상기 우레아층은 우레아 수지층과 상기 우레아 수지층에 고정된 규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레아 수지층에 고정된 규사는 상기 우레아 수지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규사는 0.1~1mm 직경 범위를 가지며,
    상기 우레아 수지층은 0.5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우레아 수지층은 가사 시간이 15~30분인 액상 도포형 우레아가 경화된 수지층이며;
    상기 우레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규사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리서페이서층,
    여기서, 상기 리서페이서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활성탄 0.1~5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리서페이서층이며; 및
    상기 리서페이서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탑코팅층,
    여기서, 상기 탑코팅층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중공 필러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탑코팅층이며;
    을 포함하는 탄성 코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아층은 우레아 100 중량부에 대해서 규사 1~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사는 입도가 0.1~1mm 직경 범위의 규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코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프라이머 100 중량부에 대해 규사 1~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0.5~1mm 직경 범위의 규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코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매트형 탄성층 또는 포설형 탄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코트.
  9. 탄성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탄성층의 표면에 규사를 포함하는 우레아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우레아층은 우레아 수지층과 상기 우레아 수지층에 고정된 규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레아 수지층에 고정된 규사는 상기 우레아 수지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요철을 형성하며,
    상기 규사는 0.1~1.0 mm 범위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우레아 수지층은 0.5 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우레아 수지층은 가사 시간이 15~30분인 액상 도포형 우레아가 경화된 수지층이며;
    상기 우레아층의 표면에 규사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 층의 표면에 리서페이서 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리서페이서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활성탄 0.1~5 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리서페이서층이며: 및
    상기 리서페이서층의 표면에 탑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탑코팅층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중공 필러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탑코팅층이며;
    를 포함하는 탄성 코트의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은 콜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코트 시공 방법.
KR1020200004321A 2019-02-14 2020-01-13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 KR102248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7177 2019-02-14
KR1020190017177 2019-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67A KR20200099467A (ko) 2020-08-24
KR102248065B1 true KR102248065B1 (ko) 2021-05-04

Family

ID=7223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21A KR102248065B1 (ko) 2019-02-14 2020-01-13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341B1 (ko) * 2021-01-12 2023-12-06 (주)대건씨앤엘 Pva를 이용한 친환경 탄성 코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10A (ja) * 2000-08-02 2002-02-15 Mitsui Chemicals Inc 弾性舗装の表面仕上げ方法
JP2004068279A (ja) * 2002-08-01 2004-03-04 Bridgestone Corp 弾性舗装材
KR101034990B1 (ko) * 2010-10-13 2011-05-16 우림건설 주식회사 전면 투수성 탄성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81484B1 (ko) * 2010-11-05 2011-11-15 주식회사 애플그린 스포츠시설 및 어린이 놀이터용 일체형 연질 폴리우레탄계 바닥재
KR101325024B1 (ko) * 2013-04-16 2013-11-04 한서포리머주식회사 테니스 코트용 난슬립 바닥재의 시공방법 및 그의 상도층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00B1 (ko) * 2011-02-21 2013-02-20 김복일 규사와 방수·방식용 수지의 살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규사와 방수·방식용 수지 도막방수의 기계화시공방법
KR102032778B1 (ko) * 2017-06-22 2019-10-17 박성준 친환경 탄성포장재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610A (ja) * 2000-08-02 2002-02-15 Mitsui Chemicals Inc 弾性舗装の表面仕上げ方法
JP2004068279A (ja) * 2002-08-01 2004-03-04 Bridgestone Corp 弾性舗装材
KR101034990B1 (ko) * 2010-10-13 2011-05-16 우림건설 주식회사 전면 투수성 탄성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81484B1 (ko) * 2010-11-05 2011-11-15 주식회사 애플그린 스포츠시설 및 어린이 놀이터용 일체형 연질 폴리우레탄계 바닥재
KR101325024B1 (ko) * 2013-04-16 2013-11-04 한서포리머주식회사 테니스 코트용 난슬립 바닥재의 시공방법 및 그의 상도층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67A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102B1 (ko)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586035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01502763A (ja) スポーツ用サーフェス
KR101058231B1 (ko) Mma 레진을 이용한 혼합용 교면 방수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상판 무이음 교면 방수 시공방법
US20110225918A1 (en) Construction Plate Suitable for a Tile Support
US6913785B2 (en) Wear-resistant reinforcing coating applied to a particulate substrate
KR102020039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0639933B1 (ko) 스포츠 시설용 탄성바닥재의 제조방법, 그 탄성바닥재 및스포츠 시설 바닥면 시공방법.
KR102002499B1 (ko) 교면 방수용 하이브리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과 시공장치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2248065B1 (ko) 탄성 코트 및 그 시공 방법
CN108589468A (zh) 运动地坪及其制备工艺
KR102096061B1 (ko) 다중 코팅막으로 투수 성능을 향상한 도로포장용 코르크 칩의 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로포장용 코르크 칩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0664501B1 (ko) 방수 시공을 위한 복합조인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방수섬유시트 방수 공법
KR102363591B1 (ko) 고강도 및 고내구 복합심재를 사용한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JP6050144B2 (ja) 床版用防水部材、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892250B1 (ko) 친환경 폴리우레탄 탄성포장재 제조방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0822588B1 (ko) 건식형 미끄럼방지 매트 및 그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07099B1 (ko) 체육시설용 아크릴탄성바닥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US20170291389A1 (en) Laminate Surface Covering Suited for Marine Environments
KR101426488B1 (ko) 충격흡수 및 크랙방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스포츠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3401069A (en) Method for installing resinous floor coverings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065388B1 (ko) 교량표면용 방수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표면 방수 코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