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28B1 - 청소 가능 세탁기 - Google Patents

청소 가능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628B1
KR102247628B1 KR1020190172573A KR20190172573A KR102247628B1 KR 102247628 B1 KR102247628 B1 KR 102247628B1 KR 1020190172573 A KR1020190172573 A KR 1020190172573A KR 20190172573 A KR20190172573 A KR 20190172573A KR 102247628 B1 KR102247628 B1 KR 10224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op
washing machine
wash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원
Original Assignee
이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원 filed Critical 이근원
Priority to KR102019017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세탁기를 오래 사용하면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의 양측면에 오염물이 축적되어 붙어있어서 위생상 불결하고 악취와 세균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청소를 해야 하나 그 공간에 접근이 되지 않아 세탁기를 분해하여 청소하고 있으나 비용 발생과 기계적인 결함 발생과 불편함이 발생하여 주부들이 많은 불편을 격는 것을 해결하고자 세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상부면을 개폐하는 청소용 문을 설치하고, 통돌이세탁기(탑로딩식 수직축형 세탁기)의 경우에는 세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세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측면을 개폐하는 청소용문을 설치하고 그 문을 열면 저수조 외면을 만날 수 있다.
저수조 외면에 원주와 직각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구멍인 청소구를 형성하고, 그 구멍을 덮을수 있는 호형(弧形)의 청소구 덮개를 만들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청소걸레의 고정돌기를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에 부착하고 그 청소구 덮개를 닫고 세탁조를 회전하면 세탁조의 이면이 청소되며, 이 청소걸레를 떼어내어 청소걸레 고정돌기를 세탁조걸레고정홀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청소구 덮개를 덮고 세탁조를 회전하면 저수조 내면이 청소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걸레를 제거하고 청소구 덮개를 덮고, 세탁기 케이스의 청소용 문을 닫으면 발명에 의한 세탁기 청소작업을 완료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 가능 세탁기{cleanable washing machine}
가정용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면(205:세탁조의 저수조와 대향하는 면)과 저수조 내면(206:저수조의 저수측면)을 닦아서 청소할 수 있는 청소 가능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세탁기의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 공간의 양면(세탁조의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에는 세탁기의 사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매우 오염된 세탁물 찌꺼기(세탁 섬유소, 세제 찌꺼기, 머리카락, 끈적거리는 오물 등)가 달라붙어 있어 곰팡이가 생기고 악취가 나는 등 그 오염도가 매우 심해서 세탁을 해도 불결하며, 세균 오염도가 변기보다 훨씬 심하다고 하는 정도인 경우도 있는데 이곳을 닦아내는 청소를 하려고 하면 세탁기를 분해하고 세탁조를 분리하여야 하며, 기술자가 작업을 하여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도 많이 들며 또 사용 기간이 오래된 세탁기는 볼트가 안 풀리고 부품이 망가지는 등 장애가 많고, 조립 후에도 세탁기 상태가 비정상이 되는 등의 부작용이 많아서 세탁기를 분해하여 청소하는 방법도 마땅치 않아서 불결한 세탁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가정이 대부분이다.
근래에는 화학 용제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는 방법을 쓰고 있으나 일명 통돌이 세탁기(수직형 세탁기)에는 물을 가득 채우고 용제를 풀어 넣어 장시간 불리면 오염물이 제거된다고 하나, 드럼세탁기는 수평형이어서 물을 가득 채우는 것이 어려우며 세탁조와 저수조가 극히 일부분만 물에 잠기어서 장시간 물에 불려도 효과가 없는 구조이므로 용제에 의한 청소도 마땅치 않다.
세탁기의 이런 청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고 세탁기의 세탁조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을 청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저수조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덮개를 설치하여 세탁조와 저수조의 청소가 가능한 세탁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 분야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정용 세탁기의 세탁조를 분리하지 않고 세탁조의 세탁물 투입공간의 이면(세탁조의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저수조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설치하고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 공간에 청소걸레를 삽입하여 세탁조의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을 청소할 수 있는 가정용 세탁기를 개발하는 것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3557호(2013.11.13.) 드럼세탁기의 청소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345258호(2002.11.14.) 자동세탁기용 풀리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정용 세탁기를 분해하여 세탁조와 저수조를 청소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세탁조의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의 공간에 청소도구나 손이 접촉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세탁조의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에 청소도구가 접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장치와 청소도구를 개발하고 청소도구에 의하여 청소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저수조에 있는 물도랑 겸 히터 삽입구와 같은 장애물을 청소도구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드럼세탁기(프론트로딩식 수평축형 세탁기)의 경우는 세탁기 케이스의 상부면(101)에 상부면을 개폐하는 청소용 문(102)을 설치하고, 통돌이세탁기(탑로딩식 수직축형 세탁기)의 경우에는 세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세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측면을 개폐하는 청소용문을 설치하고 그 문을 열면 저수조 외면(207)을 만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저수조 외면(207)에 원주와 직각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구멍인 청소구(202)를 형성하고, 그 구멍을 덮을수 있는 호형(弧形)의 청소구 덮개(103)를 만들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청소걸레의 고정돌기(504)를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404)에 부착하고 그 청소구 덮개를 닫고 세탁조(204)를 회전하면 세탁조의 이면(205)이 청소되며, 이 청소걸레를 떼어내어 청소걸레 고정돌기를 세탁조걸레고정홀(301)에 끼워 넣어 고정하고, 청소구 덮개를 덮고 세탁조를 회전하면 저수조 내면(206)이 청소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걸레(500)를 제거하고 청소구 덮개를 덮고, 세탁기 케이스의 청소용 문을 닫으면 발명에 의한 세탁기 청소작업을 완료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가정용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간이 경과하면 세탁조의 이면과 저수조의 내면에 각 종의 비위생적인 오염물질이 달라붙어 있어서 악취가 나며 세탁을 하여도 세균의 오염도가 매우 심하여 비위생적이고 청결하지 못하여 역한 냄새가 나고 불쾌감을 준다.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경우는 케이스의 상부면을, 통돌이세탁기의 경우에는 케이스의 전면 또는 측면에 청소용 문을 설치하고 개방하면 저수조를 접할 수 있고 저수조를 개폐할 수 있는 호형 덮개를 설치하고 호형 덮개에 청소걸레를 부착하여 세탁조를 청소하고, 세탁조에 청소걸레를 부착하여 저수조 내면을 청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세탁기를 분해하지 않고 청소할 수 있으며 기술자를 불러서 청소하는 비용이 절감되고, 세탁기를 분해하여 청소함으로써 발생하는 기계적인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주부들도 언제나, 쉽게 세탁기를 청소하여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인 세탁 생활을 할 수 있다.
오염된 세탁기를 혐오하여 신생아 등 어린이 부모는 세탁기를 기피하고 손세탁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 현실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깨끗한 세탁기는 육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주부들의 청결한 가정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 업그레이드된 세탁기로써 세탁기 산업 발전에 효과가 매우 클 것이다.
도 1은 대표도이며 세탁기 케이스(101)에 청소용 문(102)과 저수조에 청소구 덮개(103)를 설치한 구성도
도 2는 세탁조와 저수조의 부호를 표시하는 구조도
도 3은 저수조의 청소구, 청소구 덮개틀(201), 세탁조걸레고정홀(301)을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저수조의 청소구 덮개(103)와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405), 청소구덮개 걸레고정 홀(404)을 표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청소구 덮개(103)에 청소걸레(500)을 부착한 도면
도 6 상은 청소걸레를 세탁조걸레고정홀에 부착하고 청소구 덮개를 닫고 세탁조를 회전하여 저수조 내면을 닦아서 청소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6 하는 청소걸레를 청소구 덮개의 걸레고정홀(404)에 부착하고 청소구 덮개를 닫고 세탁조(204)를 회전하여 세탁조 이면을 닦아서 청소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도 6 상의 공정을 측면에서 보는 단면도
도 8은 청소걸레(500)의 구조도
가정용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수평축형 프론트로딩식 세탁기)와 통돌이세탁기(수직축형 탑로딩식 세탁기)로 구분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모두에게 적용이 되지만 발명의 설명을 편리하고 쉽게 하기 위하여 드럼세탁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통돌이세탁기에도 드럼세탁기를 회전각도 90도 회전한 것으로 보고 똑같이 적용되는 것은 당연한 것임을 전제로 한다.
도 1과 같이 드럼세탁기의 케이스 상부면(101)에 청소용 문(102)을 설치하고 이 청소용 문을 개방하면 저수조 외면(207)을 접할 수 있다.
상기 청소용 문(102)에 대향하는 저수조에 가능한 한 저수조 내에 위치한 세탁조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a)와 약150㎜ 정도 넓이(b)의 직사각형의 청소구(202)를 형성한다.
상기 청소구의 가장자리에 저수조의 강도를 보강하고 그 청소구를 개폐하는 청소구 덮개(103)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청소구 덮개틀(201)을 마련한다.
청소구 덮개틀 위에는 청소구 덮개를 덮어 청소구를 폐쇄하고 세탁기를 사용할 때 세탁수가 청소구 덮개와 청소구 덮개틀 사이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청소구 덮개 패킹(501)을 설치한다.
세탁기 청소 후 청소구 덮개를 닫고 청소구를 폐쇄함에 있어서 청소구 덮개와 청소구 덮개틀과의 사이에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로 조립하는 것으로 도면에 표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이며 스냅패스너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고, 드럼세탁기에 있어서는 청소구가 세탁기의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청소구 덮개와 청소구 덮개틀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통돌이세탁기에 있어서는 누수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택하는 것은 필요하다.
청소구 덮개(103)는 청소구 덮개틀(201)에 설치되며 호형(弧形)으로 되어 저수조에 형성된 청소구(202)를 덮는데 적합하게 하고 저수조에 형성된 청소구와 청소구 덮개틀과 청소구 덮개 패킹(501)으로 인하여 청소구 덮개를 덮었을 때 청소구 덮개와 저수조 내면(206)과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저수조 내면(206)을 청소할 때에 세탁조에 고정된 걸레가 회전하면서 이 높이 차이에 의한 턱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레가 청소구 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청소 걸레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청소구 덮개(103)에 그 높이 차이를 메우는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405)을 설치한다.
상기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405)에는 청소걸레를 부착할 수 있는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404)을 형성하여 청소걸레고정돌기(504)를 끼워 넣어 청소걸레(500)를 부착한다.
청소걸레(500)는 걸레고정돌기(504)가 붙어있고 고무나 합성수지 등 가변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걸레바닥층(503)과 걸레가 세탁조 이면이나 저수조 내면을 청소할 때에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의 공간에서 압축되면 복원력이 있어서 양측으로 탄력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하는 걸레탄력층(505)과 세탁조 이면(205) 및 저수조 내면(206)에 접촉하여 접촉면을 닦아서 청소하는 걸레부직포층(502)으로 구성되며 이 3층(걸레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 구조의 걸레의 높이는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 공간의 간격보다 높게 하여 청소구 덮개의 누름에 의하여 압축되어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저수조(203)에는 세탁수의 수온을 높이는 히터를 장치할 목적이나 배수를 위하여 물도랑 겸 히터 삽입구(208)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럴 경우에는 저수조 브릿지(209)를 구비하여 상기 청소걸레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저수조 브릿지에는 배수를 위하여 브릿지 배수홀(210)을 구비하며, 상기 청소걸레는 상기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 이면을 청소할 때에, 세탁조에 부착.고정된 청소걸레가 원활하게 통과 하도록 상기 세탁조가 회전하는 양방향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형상을 갖춘다
상기에서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405)에 청소걸레가 부착된 상태에서 청소구 덮개를 닫으면 청소걸레가 세탁조 이면에 압축되어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세탁조를 회전하면 상기 청소걸레의 탄력층의 팽창력에 의하여 세탁조 이면(205)에 청소걸레(500)가 밀착되어 닦이면서 청소가 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세탁조 이면의 청소가 끝나면 청소구 덮개를 개방하고 청소구 덮개의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에 붙어있는 청소걸레(500)를 제거하여 세척 후 이 걸레를 세탁조에 구성된 세탁조걸레고정홀(301)에 걸레고정돌기(504)를 끼워 넣어 청소걸레를 고정하고, 청소구 덮개(103)를 덮고 세탁조를 회전하면 세탁조에 고정된 걸레가 회전하면서 저수조 내면을 닦아서 청소한다.
상기의 저수조면맞춤판(405)이나 세탁조(204)의 걸레고정홀에 청소걸레를 고정하는 방법은 일 실시 예에 해당하며 벨크로를 이용한 접착방법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청소걸레의 길이가 짧아서 저수조의 폭에 미달하여 저수조의 내면이 닦이지 않는 부분을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길이가 더 길어서 저수조 폭을 닦을 수 있는 별도의 청소걸레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저수조 내면의 청소가 끝나면 청소구 덮개를 개방하여 청소걸레를 제거한 후 청소구 덮개를 덮고 폐쇄하며 청소용 문(102)을 닫으면 세탁기 청소가 완료된다.
상기에서 세탁조에 형성된 세탁조걸레고정홀(301)과 상기의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404)은 고정홀의 간격 및 규격이 동일하여 청소걸레의 부착에 있어서 호환이 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가정용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람의 손이나 청소도구가 닿지 못하는 부분에 세탁으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이 습기로 인하여 부패하고 침착되어 매우 비위생적이어서 심한 경우 세탁기를 분해하여 크리닝을 하는 경우도 발생하나 경제적, 기술적, 사용연수 등의 여러 여건상 마땅치 못하여 가정주부들이 심한 불편을 격 끄면서도 그대로 사용하는 현실에서 세탁기 자체를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발한다면 편리하고 위생적이며 경제적인 세탁기로서 주목을 받을 것이며, 새로운 세탁기 산업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100: 세탁기 101: 세탁기 케이스
102: 청소용 문 103: 청소구 덮개
201: 청소구 덮개틀 202: 청소구 a: 길이 b: 넓이
203: 저수조 204: 세탁조
205:세탁조 이면 206:저수조 내면
207:저수조 외면 208: 물도랑 겸 히터 삽입구
209: 저수조 브릿지 210: 브릿지 배수홀
301: 세탁조걸레고정홀
401: 청소구 덮개 체결 볼트구멍
402: 경첩 403: 청소구 덮개 체결 너트
404: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
405: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
500: 청소걸레 501: 청소구 덮개 패킹
502: 걸레부직포층 503: 걸레바닥층
504: 걸레고정돌기 505: 걸레탄력층
701: 세탁조 회전축

Claims (11)

  1. 세탁기 케이스;
    상기 세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기케이스에 구비되며, 세탁기 청소 시에 개방하는 청소용 문;
    상기 저수조에 구비되며, 세탁기 청소 시에 청소걸레를 출입시키는 청소구;
    상기 청소구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청소구 덮개틀;
    상기 청소구 덮개틀에 구비되며, 청소구를 개폐하는 청소구 덮개;
    상기 저수조 내면의 오목한 부분에 구비되며, 청소걸레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저수조 브릿지;
    상기 세탁조에 구비되며, 청소걸레를 부착할 수 있는 세탁조 걸레고정홀;
    상기 세탁조 걸레고정홀 및 상기 청소구 덮개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저수조 내면과 상기 세탁조 이면을 청소하는 청소걸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구 덮개에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에 청소걸레를 부착할 수 있는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걸레에는 걸레고정돌기;가 있어서 상기 세탁조걸레고정홀 또는 상기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에 끼워 넣어 상기 청소걸레를 고정하여 상기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 이면을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걸레는 상기 걸레고정돌기가 구비된 걸레바닥층;과 상기 걸레바닥층 위에 걸레탄력층;과 그 걸레탄력층 위에 걸레부직포층;이 구비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 이면을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6. 제 4항에 있어서 청소걸레는 상기 세탁조가 회전하는 양방향 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청소걸레를 사용하여 상기 저수조의 내면과 세탁조 이면을 청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에 상기 걸레고정돌기를 끼워 넣어 상기 청소걸레를 부착하고 상기 청소구 덮개를 덮으면 상기 청소걸레가 압축되면서 세탁조 이면에 접촉되고 세탁조를 회전하면 걸레탄력층의 팽창력에 의하여 세탁조 이면이 닦여서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걸레고정홀에 상기 걸레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청소걸레를 부착. 고정하고 상기 청소구 덮개를 덮으면 상기 청소걸레가 압축되면서 상기 청소구 저수조면맞춤판에 접촉되고 세탁조를 회전하면 걸레탄력층의 팽창력에 의하여 저수조 내면이 닦여서 청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걸레고정홀은 상기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과 그 고정홀의 규격 및 홀간의 간격이 동일하여 청소걸레의 부착에 있어서 호환이 가능하여 상기 청소걸레 하나로 상기 세탁조걸레고정홀 또는 상기 청소구덮개 걸레고정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층으로 구성된 상기 청소걸레 층의 총 높이는 상기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 공간의 간격보다 높게 하여 상기 청소구 덮개의 누름에 의하여 압축되어 상기 저수조와 세탁조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저수조 내면의 오목한 부분에 구비된 저수조 브릿지에는 배수 때에 세탁수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브릿지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가능 세탁기.
KR1020190172573A 2019-12-22 2019-12-22 청소 가능 세탁기 KR10224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73A KR102247628B1 (ko) 2019-12-22 2019-12-22 청소 가능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73A KR102247628B1 (ko) 2019-12-22 2019-12-22 청소 가능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628B1 true KR102247628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573A KR102247628B1 (ko) 2019-12-22 2019-12-22 청소 가능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258B1 (ko) 1994-05-02 2002-11-14 월풀코포레이션 자동식세탁기용풀리시스템
JP2004141587A (ja) * 2002-10-24 2004-05-20 Hideaki Tanaka 洗濯槽掃除ブラシ
KR20130123557A (ko)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청소장치
CN106811908A (zh) * 2015-11-27 2017-06-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258B1 (ko) 1994-05-02 2002-11-14 월풀코포레이션 자동식세탁기용풀리시스템
JP2004141587A (ja) * 2002-10-24 2004-05-20 Hideaki Tanaka 洗濯槽掃除ブラシ
KR20130123557A (ko)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청소장치
CN106811908A (zh) * 2015-11-27 2017-06-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914B1 (ko) 세탁기
KR101348719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605591B1 (ko) 세탁기
KR101432585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KR101326305B1 (ko) 드럼 세탁기
KR20080081744A (ko)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622010B1 (ko) 세탁기
KR20100031385A (ko) 드럼 세척 장치를 갖는 세탁기
CN112120613A (zh) 用于智能洗地机的滚刷的自清洁方法和组件
JP2004508854A (ja) 洗濯装置
KR102009594B1 (ko) 세탁기 내부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130117606A (ko) 운동화 자동 세척기
KR101221459B1 (ko)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KR102247628B1 (ko) 청소 가능 세탁기
KR102050196B1 (ko) 자체 청소 가능 세탁기
WO2018135019A1 (ja) 衣類処理装置
KR20130123557A (ko) 드럼세탁기의 청소장치
CN207024027U (zh) 洗鞋装置
KR200428798Y1 (ko) 수조 및 회전조의 청소기능이 부가된 세탁기
KR20090114213A (ko) 걸레 세탁기
KR100933636B1 (ko) 드럼세탁기
KR960014574B1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KR100488614B1 (ko) 세탁기의 세탁드럼통 세척장치
KR102318353B1 (ko) 운동화 전용 드럼세탁기의 세척조
KR20170047586A (ko) 세탁기 내부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