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636B1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636B1
KR100933636B1 KR1020030027533A KR20030027533A KR100933636B1 KR 100933636 B1 KR100933636 B1 KR 100933636B1 KR 1020030027533 A KR1020030027533 A KR 1020030027533A KR 20030027533 A KR20030027533 A KR 20030027533A KR 100933636 B1 KR100933636 B1 KR 10093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residual water
hole
cov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598A (ko
Inventor
이현무
최정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6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하부패널에 착탈이 간편하게 마련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를 설치하여 이물질 수집부재로부터 이물질을 소제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드럼세탁기가 개시된다. 상기 커버는 이물질 수집부재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잔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패널에 형성된 리세스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의 후벽과 각 측벽이 맞닿는 부분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리세스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에 끼워진다. 각 힌지홀은 후벽과 각 측벽에 걸쳐서 형성된 제 1 힌지홀과 제 2 힌지홀로 이루어지며, 제 1 힌지홀은 힌지축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세스의 전방으로 빠져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의 전벽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세스의 상부에는 후크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크홀이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Drum Washing Machine}
도 1은 하부패널에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착탈이 간편하게 마련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 개방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 중에 있는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 폐쇄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 이물질 제거용 홀 5: 잔수 제거용 홀
7: 하부패널 8: 리세스
10: 이물질 수집부재 11: 배수 펌프
20: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
25: 힌지홀 26: 제 1 힌지홀
27: 제 2 힌지홀 28: 힌지축
30: 후크 31: 후크홀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수 펌프와 연결된 이물질 수집부재를 소제할 때 발생하는 이물질과 잔수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 착탈이 간편하게 마련된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조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이 세탁수와 함께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진 후에 낙하하게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회전조는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하우징의 전면판에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회전조의 내부로 넣거나 회전조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의 바닥에는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펌프가 설치되어 세탁수를 하우징의 외부로 강제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배수 펌프의 유입 측에는 이물질 수집부재가 설치되어 배수 펌프로 유입되는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 수집부재의 선단부는 이물질 제거용 캡에 의해 덮여져서 전면판의 하단에 배치되게 되며, 상기 이물질 수집부재의 개구된 선단부를 덮는 상기 이물질 제거용 캡은 전면판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용 홀을 통해 착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의 하단부에는 이물질 수집부재의 소제작업시 이물질 수집부재에 잔류된 물을 빼내기 위한 잔수제거용 홀이 형성되어 이물질 수집부재의 하단에 연결되며 잔수 제거용 캡이 결합된 잔수 제거용 호스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과 잔수 제거용 홀이 마련된 전면판의 하단에는 하부패널이 결합되어 상기 홀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드럼세탁기의 회전조에 세탁물을 넣고서 드럼세탁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수조에 일정 높이로 세탁수가 공급된 후 회전조가 회전하게 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며, 세탁이 완료되면 배수 펌프가 작동되어 이물질 수집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세탁수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드럼세탁기를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이물질 수집부재에 많은 이물질이 수집되게 되므로 이물질 수집부재는 정기적으로 소제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이물질 수집부재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면판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패널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이물질 제거용 캡을 벗겨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길이가 긴 하부패널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이물질 수집부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때 먼저 잔수 제거용 캡을 벗겨서 이물질 수집부재에 잔류된 물을 빼내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잔수 제거 작업시 물이 드럼세탁기가 설치된 실내의 바닥에 떨어져서 오염되지 않도록 잔수 제거용 캡의 하부에 잔수를 받을 수 있는 용기나 잔수를 흡수할 수 있는 수건 등을 받쳐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패널에 착탈이 간편하게 마련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를 설치하여 이물질 수집부재로부터 이물질을 소제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 수집부재에서 배출되는 이물질과 잔수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수집부재와 배수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 수집부재로부터 이물질과 잔수를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용 홀과 잔수 제거용 홀이 마련되어 있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하부에는 하부패널이 부착되되 상기 하부패널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과 잔수 제거용 홀을 덮는 위치에 착탈이 간편하게 설치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는 바닥과 양 측벽, 그리고 전후벽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상기 이물질 수집부재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잔수를 수용할 수 있도 록 하며, 상기 하부패널에는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에 대응하는 크기의 리세스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의 후벽과 상기 각 측벽이 맞닿는 부분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패널의 리세스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각 힌지홀에 끼워지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힌지홀은 대략 "ㄱ" 형상을 이루어서 상기 후벽에는 제 1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측벽에는 상기 제 1 힌지홀과 연통된 제 2 힌지홀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후벽에 형성된 제 1 힌지홀은 상기 힌지축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세스의 전방으로 빠져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의 전벽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패널의 리세스의 상부에는 상기 후크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크홀이 마련되어서, 상기 각 힌지축이 상기 각 측벽에 형성된 제 2 힌지홀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를 상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홀에 끼워지도록 하면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상기 하부패널의 리세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하부패널에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착탈이 간편하게 마련된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박스형상을 이루어 형성되며 전면판(2)을 구비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현가 설치된 수조(미도시)와 회전조(미도시), 그리고 하우징(1)의 바닥에 설치된 이물질 수집부재(10)와 배수펌프(11)(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전면판(2)의 상부에는 드럼세탁기를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 패널(3)이 배치되어 있으며, 전면판(2)의 하부 일측에는 이물질 수집부재(10)와 연통되는 이물질 제거용 홀(4)과 잔수 제거용 홀(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2)에는 세탁물을 하우징(1)의 내부로 넣거나 하우징(1)으로부터 꺼내기 위한 도어(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4)과 잔수 제거용 홀(5)이 형성된 전면판(2)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판(2)의 가로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길게 형성된 하부패널(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4)과 잔수 제거용 홀(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패널(7)의 일측단에는 평상시에는 이물질 제거용 홀(4)과 잔수 제거용 홀(5)을 덮어서 가리는 기능을 하고, 이물질 수집부재(10)를 소제할 때에는 이물질 수집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과 잔수를 받아서 처리하는 기능을 하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의 하부에 부착되는 하부패널(7)에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를 설치하기 위 한 리세스(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리세스(8)의 내측에는 각각 이물질 제거용 캡(12)과 잔수 제거용 캡(13)이 끼워져 있는 이물질 제거용 홀(4)과 잔수 제거용 홀(5)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용 캡(12)은 평상시에는 이물질 수집부재(10)의 선단부를 막아서 이물질 수집부재(10)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배수펌프(11)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이물질 수집부재(10)의 입구관(14)과 출구관(15)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며, 이물질 수집부재(10)을 소제할 때는 이물질 수집부재(10)로부터 분리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잔수 제거용 캡(13)은 평상시에는 이물질 수집부재(10)의 하단으로부터 잔수 제거용 홀(5)까지 연장된 잔수 제거용 호스(16)를 막아서 이물질 수집부재(10)를 소제할 경우에만 잔수 제거용 호스(16)로부터 분리되어 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패널(7)의 리세스(8)에 설치되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는 하부패널(7)에 마련된 리세스(8)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전벽(21)과 후벽(22), 그리고 양 측벽(23)과 바닥(24)을 구비하여 대략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리세스(8)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그 내부공간에 이물질 수집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찌꺼기와 잔수를 받아서 버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를 리세스(8)에 분리가 간편하게 설치하기 위해 리세스(8)의 양 측면 하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한 힌지축(28)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양 측벽(23)과 후벽(22)이 맞닿는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힌지축(28)이 끼워지는 힌지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홀(25)은 각 측벽(23)과 후벽(22)에 걸쳐서 대략 "ㄱ"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서 후벽(22)에 형성된 부분은 제 1 힌지홀(26)을 이루게 되고, 각 측벽(23)에 형성된 부분은 제 2 힌지홀(27)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 힌지홀(26)은 리세스(8)에서 돌출된 힌지축(28)의 수평길이보다 약간 더 큰 길이로 형성되어서, 도 2 에서와 같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눕혀진 상태에서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제 1 힌지홀(26)을 통해 힌지축(28)들로부터 전방으로 빠져서 분리되거나 이 제 1 힌지홀(26)을 통해 다시 힌지축(28)들에 끼워질 수 있게 되며, 제 2 힌지홀(27)을 통해서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힌지축(28)들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하여 리세스(8)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를 리세스(8)에 개방이 가능하게 폐쇄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전벽(21)의 대략 중앙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홈(2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29)의 바닥에는 후크(30)가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리세스(8)의 상부에는 상기 후크(30)가 끼워지는 후크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후크(30)가 후크홀(31)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29)을 동전과 같은 딱딱한 물건으로 누르게 되면 후크(30)가 간단하게 후크홀(31)로부터 분리되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를 개폐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 개방된 상태로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4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에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 중인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5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하부패널의 리세스를 폐쇄한 상태로 결합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리세스(8)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리세스(8)를 폐쇄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후부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홀(25)들의 각 제 1 힌지홀(26)에 리세스(8)의 하부 양측에 마련된 각 힌지축(28)이 끼워지도록 하면, 도 3과 같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리세스(8)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물질 제거용 캡(12)과 잔수 제거용 캡(13)을 분리하게 되면 이물질 수집부재(10)로부터 이물질과 잔수를 꺼내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에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를 전방으로 빼내게 되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에 수용된 이물질 찌꺼기와 잔수를 하수구 등에 버릴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힌지축(28)들이 각 제 2 힌지홀(26)에 걸려진 상태에서 이물질 및 잔 수 제거용 커버(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동작을 계속해서 진행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후크(30)가 리세스(8)의 후크홀(31)에 끼워져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는 리세스(8)를 폐쇄한 상태로 리세스(8)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리세스(8)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홈(29)에 동전과 같은 딱딱한 물건으로 누르게 되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의 홈(29) 주위가 눌려지면서 후크(30)가 후크홀(31)로부터 분리되어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20)가 상술한 폐쇄동작의 역순으로 하향으로 회동하여 리세스(8)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이물질 수집부재를 소제하기 위해 이물질 제거용 홀과 잔수 제거용 홀을 덮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를 착탈이 간편하게 하부패널에 설치함으로써 이물질 수집부재로부터 이물질과 잔수의 배출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이물질 수집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과 잔수를 받아서 버릴 수 있게 됨으로써 이물질 수집부재의 소제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잔수를 받기 위해 별도의 용기나 수건을 준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면판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수집부재 및 배수펌프와,
    상기 이물질 수집부재로부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판의 하부에 마련된 이물질 제거용 홀과,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수집부재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한 잔수 제거용 홀과,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과 상기 잔수 제거용 홀을 개폐하며 상기 이물질 제거용 홀로부터 유출되는 이물질과 상기 잔수 제거용 홀로부터 유출되는 잔수를 임시 수용하는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 바닥과 양 측벽, 그리고 전 후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는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는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하부에는 하부 패널이 부착되며,
    상기 하부 패널에는 상기 힌지홀이 끼움되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은 상기 후벽에 형성되는 제1 힌지홀과, 상기 제1 힌지홀에 연통되며, 상기 각 측벽에 형성되는 제2 힌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홀은 상기 힌지축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및 잔수 제거용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패널의 전방으로 빠져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KR1020030027533A 2003-04-30 2003-04-30 드럼세탁기 KR10093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533A KR100933636B1 (ko) 2003-04-30 2003-04-30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533A KR100933636B1 (ko) 2003-04-30 2003-04-30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598A KR20040093598A (ko) 2004-11-06
KR100933636B1 true KR100933636B1 (ko) 2009-12-28

Family

ID=3737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533A KR100933636B1 (ko) 2003-04-30 2003-04-30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94B1 (ko) * 2006-12-20 2007-11-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잔수 배출장치
KR101236194B1 (ko) * 2008-02-12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626Y1 (ko) * 1994-03-14 1998-12-15 김광호 드럼세탁기
KR19990003415U (ko) * 1997-06-30 1999-01-25 이영서 드럼식 세탁기의 잔수 누출 방지 이물질 수집장치
JP2001321596A (ja) 2000-05-17 2001-11-20 Sharp Corp フィルター装置及び排水ポンプ装置
JP2002282616A (ja) * 2001-03-27 2002-10-02 Sharp Corp フィル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626Y1 (ko) * 1994-03-14 1998-12-15 김광호 드럼세탁기
KR19990003415U (ko) * 1997-06-30 1999-01-25 이영서 드럼식 세탁기의 잔수 누출 방지 이물질 수집장치
JP2001321596A (ja) 2000-05-17 2001-11-20 Sharp Corp フィルター装置及び排水ポンプ装置
JP2002282616A (ja) * 2001-03-27 2002-10-02 Sharp Corp フィル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598A (ko) 200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61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RU2287628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водосливной кожух, и водосливной кожух
JP4959840B2 (ja) リフターを備える洗濯機
JP405923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070240457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 filtering drain pump
WO2020124967A1 (zh) 超声波清洗装置及洗衣机
JP6063332B2 (ja)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JP2018153374A (ja) 洗濯機
KR200408352Y1 (ko) 진공청소기의 배수장치
KR101225167B1 (ko)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KR100933636B1 (ko) 드럼세탁기
JP2014226176A (ja) 洗濯機用ろ過装置及びこれを取り付けた洗濯機
US7272961B2 (en) Washing machine
RU2423564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доступа к сливному фильтру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с верхней загрузкой
JP4793411B2 (ja) 洗濯機
CN207024027U (zh) 洗鞋装置
KR20080088175A (ko) 세탁기
KR100503435B1 (ko) 세탁건조기
KR101054424B1 (ko) 드럼세탁기의 잔수 배출구조
KR100889822B1 (ko) 드럼세탁기
KR101191188B1 (ko) 잔수제거호스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KR100223416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필터 오픈구조
KR20070084929A (ko) 세탁기
KR100793764B1 (ko) 세탁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US20230138243A1 (en) Mop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system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