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11B1 -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Google Patents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7611B1 KR102247611B1 KR1020190151621A KR20190151621A KR102247611B1 KR 102247611 B1 KR102247611 B1 KR 102247611B1 KR 1020190151621 A KR1020190151621 A KR 1020190151621A KR 20190151621 A KR20190151621 A KR 20190151621A KR 102247611 B1 KR102247611 B1 KR 1022476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deck
- support
- seating
- 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포트 장치는, 슬라브 시공용 데크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데크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슬라브 시공용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 상기 데크와 데크지지프레임을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브 시공용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상기 데크 및 데크지지프레임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 데크를 이용하여 슬라브를 시공하는 경우, 예컨대 사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할 때, 상기 사각형의 가장자리에 외측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사각형의 내측으로 다수의 지지빔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고, 상기 각 지지빔에 데크지지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데크지지프레임 양단부를 상기 외측프레임에 결합하여 격자 형태의 틀을 완성한다. 상기 각 격자가 형성하는 공간에 데크 판넬을 설치하여 슬라브 시공을 위한 데크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러한 종래 슬라브 시공용 데크 설치 방식은,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외측프레임과 일일이 고정하는 작업을 거친 후 데크 판넬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슬라브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서로 분리하여 데크 및 데크지지프레임을 해체하여야 하므로 해체 과정 역시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데크 및 데크지지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데크 및 데크지지프레임을 신속하게 분리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브 시공용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 상기 데크 및 데크지지프레임을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는, 슬라브 시공용 데크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데크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부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핀이며, 상기 결합핀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부는 상기 삽입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지지판 및 상기 제1,2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2 지지판 사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상측에 상기 회전축이 체결되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외측벽부; 상기 외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벽부; 상기 상부벽부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측벽부; 상기 외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부벽부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수직으로 연장한 가상선과 교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은, 서포트 장치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걸림부를 제거하여 상기 회동부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상기 데크를 동시에 낙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복수의 지지빔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빔의 양측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지지빔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조인트바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상기 데크를 동시에 낙하시는 단계는, 상기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빔에 결합된 지지핀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지지핀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핀의 하측에 마련된 스토퍼에 걸릴 때 때까지 상기 지지빔을 따라 낙하하는 낙하부;를 포함하는 드롭장치에 의해, 상기 조인트바와 상기 조인트바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상기 데크와 함께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은, 슬라브 시공용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외측지지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외측지지프레임이 간편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외측지지프레임이 형성하는 공간에 데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 회동부를 회동시키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외측지지프레임의 하방으로 그대로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데크가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로 낙하시켜 상기 데크 및 데크지지프레임을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장치가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서포트 장치의 사시도,
도4는 삽입부에 대한 사시도,
도5는 회동부에 대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측면도,
도7은 회동부가 회전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은 회동부가 회전할 때, 데크지지프레임이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9 내지 도12은 데크지지프레임 및 회전부재가 단계별로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13은 드롭장치의 사시도,
도14는 도13의 정면도,
도15는 도13의 단면도,
도16은 마찰부의 사시도,
도17은 헤드부의 단면도,
도18은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19는 도18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20는 도19의 평면도이다.
도21은 외측지지프레임에 데크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2는 데크지지프레임과 데크가 동시에 낙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서포트 장치의 사시도,
도4는 삽입부에 대한 사시도,
도5는 회동부에 대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측면도,
도7은 회동부가 회전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은 회동부가 회전할 때, 데크지지프레임이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9 내지 도12은 데크지지프레임 및 회전부재가 단계별로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13은 드롭장치의 사시도,
도14는 도13의 정면도,
도15는 도13의 단면도,
도16은 마찰부의 사시도,
도17은 헤드부의 단면도,
도18은 회전부재의 사시도,
도19는 도18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20는 도19의 평면도이다.
도21은 외측지지프레임에 데크지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2는 데크지지프레임과 데크가 동시에 낙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장치가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서포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4는 삽입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5는 회동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6은 도5의 측면도이다. 도7은 회동부가 회전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회동부가 회전할 때, 데크지지프레임이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2은 데크지지프레임 및 회전부재가 단계별로 낙하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200)는, 슬라브 시공용 데크(1)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외측지지프레임(140)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고,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 데크(1) 및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은 슬라브 시공용 데크(1)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은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외벽패널(130)의 상측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각형은 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상기 바닥면은 시공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과 함께 상기 데크(1)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빔(100)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빔(100)의 상측에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과 함께 상기 데크(1)를 지지하는 헤드부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빔(100)의 좌우측에는 각각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빔(100)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빔(100)의 좌우측에 각각 데크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프레임을 내측프레임이라 할 때, 상기 내측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200)는, 삽입부(210), 회동부(220), 및 걸림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에 삽입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2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지판(211) 및 제2 지지판(2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2 지지판(211,212)의 후면측에는 상기 제1,2 지지판(211,212)을 연결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는 연결판(213)이 결합된다. 상기 제1,2 지지판(211,212)의 상측에는 회전축(201)이 삽입되는 상부홀(2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지지판(211,212)의 하측에는 걸림부(240)가 삽입되는 하부홀(215)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은 외측벽부(141), 상부벽부(142), 내측벽부(143), 및 하부벽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은 대략 ""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벽부(14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상부벽부(142)는 상기 외측벽부(141)의 상단부로부터 지지빔(100)이 위치하는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내측벽부(143)는 상기 상부벽부(142)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내측벽부(143)는 상기 외측벽부(14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벽부(144)는 상기 외측벽부(141)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부벽부(142)와 평행하게 상기 내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외측벽부(141), 상부벽부(142), 내측벽부(143), 하부벽부(144)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회동부(220)는, 상기 삽입부(210)에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220)는 상기 제1,2 지지판(211,212) 사이에 결합되어 회동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220)는, 결합부(221) 및 연장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221)는 상기 삽입부(2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측에 상기 회전축(201)이 체결되는 제1 체결공(224)이 형성되고, 하측에 걸림부(240)가 결합되는 제2 체결공(225)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결합부(22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상기 연장부(222)의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이 안착되는 안착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0)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즉, 상기 걸림부(240)가 상기 회동부(220)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240)가 상기 회동부(220)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220)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240)는 상기 삽입부(210) 및 회동부(2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핀이다. 상기 삽입부(210)에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되는 제1 삽입공(21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핀이 상기 제1 삽입공(215)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공(225)에 삽입 체결되면,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결합핀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부(220)는 상기 삽입부(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상기 안착부(223)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223)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부(220)는 상기 내측벽부(143)를 수직으로 연장한 가상선과 교차하지 않는다. 즉, 상기 안착부(223)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부(220)에서 상기 지지빔(100) 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은,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단부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단부와 간극이 존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223)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안착부(223)가 상기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223)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222)와 상기 안착부(223)를 서로 연결하는 절곡부의 내측은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의 하부벽부(144)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의 위치가 상기 지지빔(100)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 된다. 상기 지점과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간극이 있으므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상기 회동부(220)와 간섭되지 않고 그대로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장치(200)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패널(130) 위에 외측지지프레임(140)이 장착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빔(100)이 배치된다. 상기 지지빔(100)의 상측에 헤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의 양측으로 각각 데크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된다. 상기 헤드부와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서로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내측프레임을 형성한다.
도2를 참고하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의 내측에 3 개의 내측프레임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된다. 즉,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프레임이 서로 이격되어 3개가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 장치(200)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에 결합되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양단부는 각각 지지한다. 즉, 서포트 장치(200)는, 내측프레임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40)를 삽입부(210) 및 결합부(221)를 관통하여 체결하여, 상기 안착부(223)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223)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안착시킴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설치할 수 있다.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 도7 및 도8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하방으로 그대로 낙하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40)가 제거되면, 상기 안착부(223)가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상기 회동부(220)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단부를 하방으로 연장한 가상선과 간섭하지 않으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서포트 장치(200)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걸림부(240)를 제거하여 상기 회동부(220)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데크(1)를 동시에 낙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장치(200)에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안착부(223)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안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장치(200)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에 삽입하고 상기 회동부(220)의 안착부(223)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동부(220)를 회동시킨 후 상기 걸림부(240)를 제2 체결공(225)에 삽입하여 상기 안착부(223)가 제1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상태에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단부를 상기 안착부(223)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장치(200)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이 배치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에 삽입된다. 도21은 상기 서포트 장치(200)에 데크지지프레임(110)이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장치에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의 내측에 복수의 지지빔(10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빔(100)의 양측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배치하고, 상기 지지빔(10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조인트바(120)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빔(1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빔(100)을 세우고, 상기 지지빔(100)의 상측에 헤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조인트바(120)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데크지지프레임(110)이 배치하고 조인트바(12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인트바(120)는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서로 결속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바(12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단면의 바이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에는 하단부 측에 상기 조인트바(120)가 삽입되도록, 상측리브(111) 및 하측리브(1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측리브(111) 및 하상측리브(112)는 상기 조인트바(120)의 하단 측에 상기 조인트바(120)의 폭만큼 상하로 이격되어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조인트바(12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과 볼트 결합된다. 상기 헤드부의 양측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되면, 상기 헤드부의 상면과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상면은 서로 평탄한 면을 형성한다.
복수의 지지빔(100)에 데크지지프레임(110)이 일방향으로 결합되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프레임부가 완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부의 양단부가 상기 서포트 장치(200)의 안착부(223)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데크(1)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과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서로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데크(1)와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하부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데크(1)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외측지지프레임(140)과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에 데크(1)를 간편하게 끼워 넣어서 설치할 수 있다.
슬라브 시공을 완료한 후,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과 데크(1)는 동시에 낙하시켜서 제거된다.
우선 상기 걸림부(240)를 제거하여 상기 회동부(220)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킨다. 상기 회동부(220)가 제2 위치로 회동하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그대로 낙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헤드부의 하방에서 조인트바(120)에 의해 결합된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지지하고 있는 드롭장치를 작동시켜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 및 데크(1)를 동시에 낙하시킨다.
먼저, 상기 드롭장치는, 조인트바(120)의 양측에 데크지지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에 데크(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데크(1) 및 데크지지프레임(110)을 동시에 낙하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드롭장치는, 지지부재(10)와 낙하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상기 조인트바(120)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0)는 받침부재(20)와 마찰부(30)를 포함한다.
도13 및 도14를 참고하면,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 조인트바(120)를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재(20)에는 안착면(21), 걸림리브(22), 및 끼움리브(2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1)은 상기 조인트바(120)의 저면과 접촉한다. 상기 헤드부(101)의 양측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이 일방향으로 배열될 때, 상기 조인트바(120)는 도9를 기준으로 앞쪽과 뒤쪽에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20)에는 안착면(21)이 2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리브(22)는, 상기 안착면(2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바(12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서로 이격된 상기 걸림리브(22)의 사이에 상기 조인트바(120)가 위치한다.
상기 끼움리브(23)는, 상기 받침부재(20)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로서, 후술하는 마찰부(30)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상측에 조인트바(120)가 끼워지고, 하측으로 상기 마찰부(30)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부(30)는, 상측에 상기 받침부재(20)가 안착되고 내측으로 상기 지지빔(100)과 마찰되는 마찰패드(70)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패드(70)는 상기 지지빔(100)을 향하여 탄성 가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찰패드(70)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지지빔(100) 측으로 탄성 가압된다. 상기 탄성부재(50)의 일단은 상기 마찰부(30)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탄성부재(50)의 타단은 상기 마찰패드(70)와 접촉한다.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마찰부(30)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마찰패드(7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70)는 상기 지지빔(100)과 마찰된다.
상기 마찰패드(70)는 위치조절부(6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60)는 상기 마찰패드(70)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마찰패드(70)의 위치를 조절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부(60)는 상기 마찰부(30)에 형성된 결합공(32)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서, 상기 볼트의 단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마찰패드(7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마찰부(30)가 상기 지지빔(100)을 따라 마찰하면서 낙하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마찰패드(70)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낙하부(40)는 상기 지지부재(10)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빔(100)에 결합된 지지핀(42)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지지핀(42)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핀(42)의 하측에 마련된 스토퍼(43)에 걸릴 때 때까지 상기 지지빔(100)을 따라 낙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낙하부(40)는, 회전부재(41), 지지핀(42), 및 스토퍼(43)를 포함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는 상기 마찰부(30)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빔(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재(41)는 바디부(411)와 타격부(412)를 포함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411)는, 상기 지지빔(100)에 삽입되는 관통공(413)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411)는 실린더형태로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공(41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13)은 상기 지지빔(100)이 삽입되는 중심공(414)과, 상기 지지빔(100)에 결합되는 지지핀(42)이 통과되는 확장공(415)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411)의 상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져, 상기 마찰부(3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타격부(412)는, 사용자가 타격하여 상기 바디부(41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바디부(41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격부(412)는 상기 바디부(411)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이 마련된다. 상기 타격부(412)는 상기 외주면에 중공의 형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격부(412)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바디부(411)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타격부(412)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은 하중을 감소시키고, 상기 타격부(412)의 상단은 상기 바디부(411)와 함께 평탄한 면을 형성하여 상기 마찰부(30)를 지지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한다.
상기 지지핀(42)은, 상기 회전부재(41)의 낙하 전에, 상기 회전부재(41)를 지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42)은 상기 지지빔(100)에 마련된다. 상기 지지핀(42)은 상기 지지빔(100)에 2개가 마련되며, 각 지지핀(42)은 상기 지지빔(100)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되어 상기 지지빔(100)를 따라 낙하할 때, 상기 회전부재(41)의 낙하거리를 규제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지지핀(42)의 하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지지빔(100)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지지빔(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43)의 외주면은 클램프 장치에 의해 조여진다. 상기 스토퍼(43)의 상하 위치는 상기 클램프 장치를 해제하여 원하는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도19 및 도20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회전부재(41)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9는 회전부재(41)를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20는 도19의 평면도이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는 제1 면(51)과 제2 면(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면(51)은, 상기 타격부(412)가 타격되어 상기 회전부재(41)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핀(42)이 미끄럼 접촉하는 면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으로 마련된다.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제1 면(51)과 접촉하는 구간을 제1 접촉구간(R1)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 면(52)은 상기 제1 접촉구간(R1)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비스듬이 기울어져 연장되는 면으로써,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제2 면(52)과 접촉하는 구간을 제2 접촉구간(R2)으로 정의한다. 상기 지지핀(42)은 상기 제1 접촉구간(R1)을 거쳐 제2 접촉구간(R2)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1)는 걸림구간(L1)과 통과구간(L2)을 포함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간(L1)은,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회전부재(41)의 저면에 걸려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지지빔(1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핀(42)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구간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간(L1)에서는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회전부재(41)의 저면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41)가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구간(L1)은 상기 관통공(413) 중에서 상기 중심공(414)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상기 통과구간(L2)은,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할 때 상기 지지핀(42)이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부재(41)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41)가 하방으로 낙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통과구간(L2)은, 그 내경이 상기 가이드바(2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지지핀(42)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과구간(L2)은 상기 관통공(413) 중에서 확장공(415)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과구간(L2)은 상기 제2 접촉구간(R2)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핀(42)이 통과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되어 상기 지지핀(42)이 걸림구간(L1)을 거쳐 통과구간(L2)에 도달하면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통과구간(L2)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부재(41)는 상기 지지빔(100)을 따라 낙하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30)에는 상기 지지핀(42)이 통과되는 제1 통과공(3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에는 상기 지지핀(42)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 통과공(31)과 연통되는 제2 통과공(24)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되어 상기 지지핀(42)이 통과구간(L2)에 도달하며, 상기 제1 통과공(31)과 제2 통과공(24)은 상기 통과구간(L2)과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42)에 의한 상기 회전부재(41)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부재(41)가 스토퍼(43)까지 낙하한다. 이때, 상기 마찰부(30)의 내측에 마련된 마찰패드(70)와 상기 지지빔(100)이 서로 마찰되면서 서서히 낙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1)는 제1 스토퍼면(53)과 제2 스토퍼면(54)을 포함한다.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토퍼면(53)은 상기 걸림구간(L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핀(42)이 걸리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스토퍼면(53)은 상기 걸림구간(L1)의 일단부에서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핀(42)의 이동을 규제한다.
상기 제2 스토퍼면(54)은, 상기 통과구간(L2)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핀(42)이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41)가 회전되어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통과구간(L2)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지지핀(42)이 상기 회전부재(41)를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스토퍼면(54)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1)가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드롭장치에 의해 데크(1) 및 데크지지프레임(110)이 동시에 낙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지지프레임(110)과 헤드부(101)는 일방향으로 조립되어 있다. 이때, 양측의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조인트바(12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바(120)는 받침부재(2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받침부재(20)의 하측으로 마찰부(30)와 회전부재(41)가 위치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1)는 지지핀(4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상기 헤드부(101)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9는 조인트바(120)와 헤드부(101)의 볼팅이 해체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도11은 회전부재(41)가 회전되어 지지핀(42)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회전부재(41), 마찰부(30), 및 받침부재(20)가 동시에 낙하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핀(42)이 통과구간(L2)에 도달하면, 상기 지지핀(42)은 마찰부(30)의 제1 통과공(31), 및 받침부재(20)의 제2 통과공(2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그대로 낙하한다. 즉,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조인트바(120)를 해체하지 않고, 상기 조인트바(120)가 받침부재(20)에 안착된 상태로 그대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1)는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기준할 때, 양 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그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바(120)가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과 함께 낙하할 때, 상기 헤드부(101)의 측면이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조인트바(120)는 상기 헤드부(101)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낙하할 수 있다.
도12는 회전부재(41)가 스토퍼(43)까지 낙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41)가 스토퍼(43)까지 낙하할 때, 마찰패드(70)가 지지빔(100)과 마찰되어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은 서서히 낙하하게 된다. 상기 마찰패드(70)와 지지빔(100)과의 마찰력은 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되므로, 작업 환경에 따라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의 낙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데크(1) 및 데크지지프레임(110)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낙하되어 해체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 시공이 완료된 후 회동부(220)를 회동시키고, 드롭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데크(1)가 결합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110)을 그대로 낙하시켜 신속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지지부재 20... 받침부재
21... 안착면 22... 걸림리브
23... 끼움리브 24... 제2 통과공
30... 마찰부 31... 제1 통과공
32... 결합공 40... 낙하부
41... 회전부재 411... 바디부
412... 타격부 413... 관통공
414... 중심공 415... 확장공
42... 지지핀 43... 스토퍼
51... 제1 면 52... 제2 면
53... 제1 스토퍼면 54... 제2 스토퍼면
50... 탄성부재 60... 위치조절부
70... 마찰패드 100... 지지빔
101... 헤드부 102... 걸림턱
110... 데크지지프레임 111... 상측리브
112... 하측리브 120... 조인트바
140... 외측지지프레임 1... 데크
141... 외측벽부 142... 상부벽부
143... 내측벽부 144... 하부벽부
R1... 제1 접촉구간 R2... 제2 접촉구간
L1... 걸림구간 L2... 통과구간
200... 서포트 장치 201... 회전축
210... 삽입부 211... 제1 지지판
212... 제2 지지판 213... 연결판
214... 상부홀 215... 하부홀
220... 회동부 221... 결합부
222... 연장부 223... 안착부
224... 제1 체결공 225... 제2 체결공
240... 걸림부
21... 안착면 22... 걸림리브
23... 끼움리브 24... 제2 통과공
30... 마찰부 31... 제1 통과공
32... 결합공 40... 낙하부
41... 회전부재 411... 바디부
412... 타격부 413... 관통공
414... 중심공 415... 확장공
42... 지지핀 43... 스토퍼
51... 제1 면 52... 제2 면
53... 제1 스토퍼면 54... 제2 스토퍼면
50... 탄성부재 60... 위치조절부
70... 마찰패드 100... 지지빔
101... 헤드부 102... 걸림턱
110... 데크지지프레임 111... 상측리브
112... 하측리브 120... 조인트바
140... 외측지지프레임 1... 데크
141... 외측벽부 142... 상부벽부
143... 내측벽부 144... 하부벽부
R1... 제1 접촉구간 R2... 제2 접촉구간
L1... 걸림구간 L2... 통과구간
200... 서포트 장치 201... 회전축
210... 삽입부 211... 제1 지지판
212... 제2 지지판 213... 연결판
214... 상부홀 215... 하부홀
220... 회동부 221... 결합부
222... 연장부 223... 안착부
224... 제1 체결공 225... 제2 체결공
240... 걸림부
Claims (8)
- 슬라브 시공용 데크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데크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부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핀이며,
상기 결합핀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부는 상기 삽입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 삭제
- 슬라브 시공용 데크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데크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삽입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지지판 및 상기 제1,2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2 지지판 사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 슬라브 시공용 데크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데크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측에 상기 회전축이 체결되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 슬라브 시공용 데크에 의해 다각형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다각형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다각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과 함께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데크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갖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위치에 놓이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동부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여 상기 안착부는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의 지지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외측벽부;
상기 외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부벽부;
상기 상부벽부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측벽부;
상기 외측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부벽부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부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수직으로 연장한 가상선과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포트 장치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걸림부를 제거하여 상기 회동부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는 단계;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상기 데크를 동시에 낙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내측에 복수의 지지빔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빔의 양측에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지지빔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조인트바에 의해 연결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과 상기 데크를 동시에 낙하시는 단계는,
상기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빔에 결합된 지지핀에 의해 걸린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지지핀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핀의 하측에 마련된 스토퍼에 걸릴 때 때까지 상기 지지빔을 따라 낙하하는 낙하부;를 포함하는 드롭장치에 의해,
상기 조인트바와 상기 조인트바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데크지지프레임을 상기 데크와 함께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621A KR102247611B1 (ko) | 2019-11-22 | 2019-11-22 |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621A KR102247611B1 (ko) | 2019-11-22 | 2019-11-22 |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611B1 true KR102247611B1 (ko) | 2021-05-03 |
Family
ID=7591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1621A KR102247611B1 (ko) | 2019-11-22 | 2019-11-22 |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61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09598A (zh) * | 2022-03-02 | 2022-07-29 |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 模板固定装置及楼面支撑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1825A (ko) * | 2005-03-21 | 2006-09-26 | (주)거혁건설 |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
CN108868126A (zh) * | 2018-07-03 | 2018-11-23 | 广东奇正科技有限公司 | 一种圆管圆柱定位早拆头装置 |
KR20190114068A (ko) * | 2018-03-28 | 2019-10-10 | 백희정 |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
KR20190114731A (ko) * | 2018-03-28 | 2019-10-10 | 백희정 |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1621A patent/KR1022476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1825A (ko) * | 2005-03-21 | 2006-09-26 | (주)거혁건설 |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
KR20190114068A (ko) * | 2018-03-28 | 2019-10-10 | 백희정 |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
KR20190114731A (ko) * | 2018-03-28 | 2019-10-10 | 백희정 |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
CN108868126A (zh) * | 2018-07-03 | 2018-11-23 | 广东奇正科技有限公司 | 一种圆管圆柱定位早拆头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09598A (zh) * | 2022-03-02 | 2022-07-29 |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 模板固定装置及楼面支撑结构 |
CN114809598B (zh) * | 2022-03-02 | 2023-08-15 |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 模板固定装置及楼面支撑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93551B (zh) | 空间结构体 | |
AU2005211415B2 (en) | Suspended storage shelf | |
KR102247611B1 (ko) | 데크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지지프레임 낙하 방법 | |
US20070012847A1 (en) | Hanger assemblies and brackets therefor | |
KR20110128413A (ko) |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 |
KR101938598B1 (ko) | 어스앵커 시공용 띠장 및 대좌 설치구조 | |
KR20120037686A (ko) | 배관 높이조절 구조 | |
CN111321837A (zh) | 多向可调节的吊顶面板悬挂结构 | |
KR101016768B1 (ko) | 거더의 전도방지장치 | |
KR20170004640A (ko) | 낚시 받침틀 지지장치 | |
KR101093573B1 (ko) | 유지 보수형 스페리컬 교좌장치 | |
EP1754929A2 (en) | Adjustable mount | |
KR101713634B1 (ko) | 내진설계 무대장치 | |
KR20090112512A (ko) | 쐐기형 전단키 | |
KR101171822B1 (ko) | 드롭어셈블리 | |
KR102247612B1 (ko) | 데크지지프레임 드롭장치 | |
JP2023027953A (ja) | ブレース上部取付金具 | |
KR101101115B1 (ko) |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 |
CN216006658U (zh) | 一种桥墩盖梁支架结构 | |
CN214994728U (zh) | 钢结构梁柱连接结构 | |
KR101171823B1 (ko) | 슬라브패널 조립체 | |
KR101177072B1 (ko) |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 |
KR102304956B1 (ko) | 데크 낙하 방지 장치 | |
KR102259386B1 (ko) | 데크 드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 분리 및 해체 방법 | |
KR20140127995A (ko) |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