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169B1 -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169B1
KR102247169B1 KR1020140000459A KR20140000459A KR102247169B1 KR 102247169 B1 KR102247169 B1 KR 102247169B1 KR 1020140000459 A KR1020140000459 A KR 1020140000459A KR 20140000459 A KR20140000459 A KR 20140000459A KR 102247169 B1 KR102247169 B1 KR 10224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ulcer
composition
testis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874A (ko
Inventor
김익수
전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마리서치프로덕트
Priority to KR102014000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1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성 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며, 복강내로 투여시 소화성 궤양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 of DNA fragments separated from fish's testi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eptic ulcer}
본 발명은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화성 궤양(peptic ulcer)은 소화관 점막의 일부에 원형, 타원형 또는 선형의 궤양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강력한 소화력을 갖는 위액이 접촉하는 부위, 즉, 식도 하부, 위 전정부, 십이지장의 근위부, 맥켈게실(Meckel diverticulum) 및 위장 봉합부위에 호발한다. 주로 위, 십이지장 부위에서 발병하므로,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을 통칭하여 소화성 궤양이라고도 한다.
소화성 궤양은 위산, 펩신, NSIDs,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등의 유해 인자(noxious factor) 등에 의한 점막 기능 장해(mucosal defense impair)가 일어나거나, 간문맥 또는 노화에 의한 위질환(portal of aging gastropathy)에 의한 점막 장벽 상해에 기인하여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식도를 통과하여 위장에 도착한 음식물은 위산에 의해 잘게 부숴진 형태로 소장으로 이동되어 영양분으로 흡수되므로, 위장은 위산, 각종 소화효소, 담즙, 복용한 약물, 알코올 등과 같이 세포를 손상시키는 공격인자에 의해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격요인에 대해 생체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방어요인이 갖추어져 있으나, 이러한 공격과 방어의 균형이 깨질 때 위장의 점막(mucosa)이 손상되어 소화성 궤양이 발생된다.
소화성 궤양의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감염,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SAIDs)의 복용, 흡연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십이지장 궤양에서는 위산 분비가 많아져서 궤양이 발생하지만 위궤양에서는 위산분비가 증가하는 것보다 위장 점막의 병적인 변화에 의한 방어인자의 감소가 위궤양 발생에 더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위장에서 십이지장으로 음식이 넘어가는 유문부위의 압력이 증가되어 공격인자의 배출이 늦어지는 것도 발병의 주요한 역할이 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주로 위장에 감염되는 세균이므로 이러한 병리 현상에 모두 관여하여 위궤양을 일으킨다.
상기 진통제에 의해 소화성 궤양이 발생하는 기전은 약물이 위장 점막에 직접 닿아서 자극을 일으키거나 또는 위장 점막 세포층의 재생과 기능을 조절하는 프로스타글라딘이라는 물질의 생성 과정이 진통제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위장 점막이 손상되어 궤양이 발생한다.
또한, 흡연은 위장 점막세포의 재상과 점막하 조직의 혈액순환 등에 장애를 가져오므로 궤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격인자에 의해 유발된 소화성 궤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헬리코박터 파이롤리 균의 증식 억제, 위산 분비 억제, 점액 분비 촉진 등의 효능을 가진 약물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약물 중 소화기에 감염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제균(除菌)하기 위해, 항균제를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약제가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스무트 제제,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클라리스로마이신, 오플록사신,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균제, 티니다졸, 메트로니다졸 등의 항원충제를 프로톤 펌프(Proton pump) 저해제와 단독으로 혹은 둘 내지 세 가지의 약제를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 가장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온 약물은 제산제(antacid)이다.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을 직접 중화시켜 위장을 보호하고 속쓰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증상에 대한 효과는 가장 빠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제산제는 위산이 나오는 것을 막지 못하고, 이미 분비된 위산을 잠깐동안 중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화액이 과다하게 분비하는 시간 동안에는 한밤 중이나 새벽 등 시간대를 막론하고 계속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변비, 설사, 요로 결석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서는, 프로톤 펌프 저해제(proton pump inhibitor),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등이 있다.
상기 프로톤 펌프 저해제로는 오메프라졸(omeprazole)과 란소프라졸 (lansoprazol) 등이 있으며, 위벽세포에서의 산 분비를 최종단계에서 저해하여 강력한 산 분비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에 의한 궤양치유 환자에서도 재발율은 감소되지 않고 있으며, 연변, 설사, 발열, 두통,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상기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로는, 시메티딘(cimetidine), 라니티딘(ranitidine), 파모티딘(famotidine) 등이 있으며, 위점막 내의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히스타민 분자가 위세포로 하여금 산을 분비하게 하는 작용을 억제시킨다. 그런데, 상기 히스타민 H2 수용체 길항제 약물 중 시메티딘은 남성의 성욕감퇴, 남성의 여성형 유방, 호중구 감소증 등의 부작용을 비롯하여 약물상호작용까지 나타내므로 사용을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라니티딘이나 파모티딘은 장기간 사용 시 약효가 크게 감소되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위궤양과 같은 소화성 궤양 치료제들은, 대부분 위산으로부터의 공격을 억제하여 궤양을 악화시키지 않게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뿐이므로 실제 궤양을 치료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동안의 약물 투여를 필요로 하게 되고, 그만큼 약물의 단기적 급성 독성 뿐만 아니라 만성 독성 및 그로 인한 부작용도 고려되어야 좋은 치료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과 같은 소화성 궤양의 치료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던 중,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위궤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이란, 인산, 4종류의 염기, 데옥시리보오스로 이루어진 생체고분자에 해당하는 DNA가 어류 정소로부터 추출, 정제된 후 그 분자량이 저감된 단편 형태의 상태로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을 지칭한다.
한편, 국제공개특허 제2010-049898호에는 어류 유래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로서, 분자량이 20~2500kDa, 더 바람직하게는 50~240kDa의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골관절 치료용 주사제로 이용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골관절 치료용 주사제로 이용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위궤양 등의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음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비특허문헌으로서, Altavilla D 등은 어류의 정액으로부터 수득된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가 마우스의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으나(Altavilla D, Bitto A, Polito F, et al., Cardiovasc Hematol Agents Med Chem 2009;7:313-21.) 이 문헌에도 상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음에 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국제공개특허 제2010-049898호(INJECTABLE POLYDEOXYRIBONUCLEOTIDE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ICULAR DISEASES, 2009.10.28. 공개)
Altavilla D, Bitto A, Polito F, et al. Polydeoxyribonucleotide(PDRN): a safe approach to induce therapeutic angiogenesis in peripheral artery occlusive disease and in diabetic foot ulcers. Cardiovasc Hematol Agents Med Chem 2009;7:313-21.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어류는 연어과의 어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어 또는 송어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연어이다.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의 분자량은 40kDa~2000kDa인 것이 바람직하고, 50kDa~1500kD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2mg/kg~25mg/kg의 농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kg~20mg/kg의 농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6mg/kg~16mg/kg의 농도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소화성 궤양은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이란, 인산, 4종류의 염기, 데옥시리보오스로 이루어진 생체고분자에 해당하는 DNA가 어류 정소로부터 추출, 정제된 후 그 분자량이 저감된 단편 형태의 상태로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1공정) 어류 정소를 해동하고, 혈액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2공정) 해동된 정소에 정제수를 넣어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는 단계;
(3공정) 상기 2공정의 정소 분쇄액과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냉각하는 단계;
(4공정) 상기 3공정의 냉각된 반응액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10~12가 되도록 한 후 교반 및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5공정) 상기 4공정의 여과액에 pH 6.5~8.5가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고 냉각한 후 이를 여과하여 DNA단편 혼합물이 포함된 여과액을 얻는 단계;
(6공정) 상기 5공정의 여과액을 겔여과를 통해 분획하여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40~2,000kDa, 더 바람직하게는 50~1,500kDa의 DNA 단편 혼합물의 분획액을 얻는 단계;
(7공정) 상기 6공정의 분획액에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DNA 단편 혼합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및
(8공정) 상기 7공정의 DNA 단편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에탄올로 세척하고 이를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
상기 DNA 단편 혼합물은 백색 또는 미황색의 결정형 파우더로서 물과 알칼리에 조금 녹고, 알콜에 매우 녹기 어렵고, 에테르와 아세톤에 거의 녹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의 분자량은 40kDa~2000kDa인 것이 바람직하고, 50kDa~1500kDa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DNA 단편 혼합물의 분자량이 40kDa 미만이면 소화성 궤양 치료에 있어 약효지속성문제가 있고, 2000kDa을 초과하면 속효성이 문제가 있어 오히려 약효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2mg/kg~25mg/kg의 농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kg~20mg/kg의 농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6mg/kg~16mg/kg의 농도로 투여된다. DNA 단편 혼합물의 투여 농도가 2mg/kg 미만이면, 소화성 궤양의 치료 효과를 얻기 어렵고, 25mg/kg을 초과하면 사용량 대비 소화성 궤양의 치료 효과의 상승 정도가 크지 않아 실익이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과 같은 소화성 궤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NA 단편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생리식염수(saline, 인산염 완충액으로 pH 7.0)에 녹여 멸균 주사용액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 형태의 조성물은 소화성 궤양을 치료할 수 있는 추가적인 약제와도 병용 사용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주사제에 사용되는 약제학적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 조성물은 위궤양의 치료를 위해 복강 내로 직접 주사할 수 있다.
상기 DNA 단편 혼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mg/kg~25mg/kg의 농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kg~20mg/kg의 농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6mg/kg~16mg/kg의 농도로 투여되고,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NA 단편 혼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어류 정소로부터 유래된 DNA 단편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투여에도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화성 궤양을 조기에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상군(A), 대조군(B), 및 실험군(C~F) 각각에 대한 위궤양의 관찰 사진(a) 및 위궤양의 크기(gastric ulcer size)를 나타내는 그래프(b)이다.
도 2는, 정상군(A), 대조군(B), 및 실험군(C~F) 각각에 대한 H&E 염색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DNA 단편 혼합물 및 위궤양 실험동물의 준비>
1-1. 연어 정소로부터 DNA 단편 혼합물의 제조
연어의 정소로부터 DNA 단편 혼합물을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1) 정소 준비 공정
냉동된 정소 10g을 해동한 다음 탈혈 및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해동된 정소 10g에 정제수 400㎖을 넣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정소 분쇄액을 제조하였다
(2) 단백질 및 지방 제거 공정
이 후, 정제수 500㎖에 200g의 염화나트륨을 녹여 염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염화나트륨 용액 500㎖과 상기 정소 분쇄액을 혼합한 다음,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에 냉각하였다. 상기 냉각된 반응액에 30%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pH 11.0이 되도록 한 후 이를 1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여 단백질과 지방이 제거된 여과액을 얻었다.
(3) 분자량 저감 공정
상기 여과액에, pH 7.0이 되도록 염산을 첨가하여 10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이를 냉각한 뒤 다시 여과를 실시하여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여과액을 얻었다.
(4) 분자량 분획 공정
여과액에 30%(w/v)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다시 pH 10가 되도록 한 후 겔여과를 통해 50~1,500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DNA 단편 혼합물의 분획액을 얻은 다음 35%(w/v) 염산을 사용하여 pH7.0으로 조정한다.
(5) 침전 및 건조 공정
상기 분획액에 냉각된 에탄올(여과액 부피의 2배)을 첨가한 다음 10분간 교반하고 원심분리한 뒤,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여 이를 70%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진공 하에서 건조시켜 DNA 단편 혼합물을 수득하였으며, 분말화된 DNA 단편 혼합물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1mm 체에 거르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상기 DNA 단편 혼합물의 최종 수율은 4%이었고, 분자량은 겔 이미지 분석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 50~1,500kDa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평균분자량은 350kDa이었다.
1-2. 실험동물의 준비
10~12주령의 몽골리안 저빌을 실험에서 사용한다. 실험 절차는 미국국립보건원(NID) 및 대한의학회의 실험동물 사육관리 가이드라인을 따랐다. 실험동물은 온도(23 ± 2℃), 햇빛(8시부터 20시)인 조건에서 음식과 물을 주며 사육하였고, 임의로 하기 6개 그룹으로 나누었다(각 실험동물 그룹당 n=10).
구분 실험동물군의 처리조건
1. 정상군 A군 위궤양 비유발 후 증류수 투여군
2. 대조군 B군 위궤양 유발 후 증류수 투여군

3. 실험군
C군 위궤양 유발 후 DNA 단편 혼합물 2mg/kg 투여군
D군 위궤양 유발 후 DNA 단편 혼합물 4mg/kg 투여군
E군 위궤양 유발 후 DNA 단편 혼합물 8mg/kg 투여군
F군 위궤양 유발 후 DNA 단편 혼합물 16mg/kg 투여군
1-3. 위궤양 유발 방법
위궤양 유발 방법은 이하의 수술방법에 따른다(Okabe et al. 2005). 몽골리안 저빌을 Zoletil 50® (10 mg/kg, i.p.; Vibac Laboratories, Carros, France)로 마취시킨다. 위는 복부의 중간 라인에 약 2cm의 절개에 의해 노출되었다. 아세트산(15uL, 70%의 V/V)을 마이크로 실린(General 600, Hemilton Company, USA)을 사용하여 위의 장막하신경층(subserosal surface)의 표면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동물들은 저체온증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2일 동안 관찰하였다. 정상군(A군)으로서, 아세트산을 주입하지 않아 위궤양을 유발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다른 동물실험군과 일하게 관리하였다.
몽골리안 저빌은 위궤양 유발 후 2일의 회복기간(convalescent period)를 통해 회복될 수 있도록 하고, 그 후 실험군(C군 내지 F군)에 대해서는 저빌의 복강(intraperitoneal)에 14일 동안 각 농도의 DNA 단편 혼합물을 주입하였다. 그리고, 정상군(A군) 및 대조군(B군)에 대해서는, 상기 실험군과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14일 동안 투여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위궤양 치료 효과 확인>
1-1. 조직 표본 크기 측정을 통한 위궤양 유발의 확인
몽골리안 저빌은 위궤양 유발 후 16일이 지난 뒤 희생시켰고, 희생된 저빌에서 위를 수거하였다. 위궤양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위장을 기판위에서 만곡부(greater curvature)를 따라 전방으로 절개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위궤양의 사진은 도 1과 같으며, 측정한 위궤양의 넓이는 다음 표 2와 같다.
시험동물군 위궤양의 면적
A군 0.00 ± 0.00 cm2
B군 2.30 ± 0.15 cm2
C군 1.99 ± 0.10 cm2
D군 1.90 ± 0.18 cm2
E군 1.46 ± 0.14 cm2
F군 1.47 ± 0.17 cm2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고하면, 아세트산의 주입이 점막 상피 세포(mucosal epithelium)에서 위궤양 제방(gastric ulcer crater)를 유도하였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DNA 단편 혼합물을 주입하여 치료한 실험군에서, 위궤양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8mg/kg, 및 16mg/kg의 용량으로 DNA 단편 혼합물을 투입한 실험군(E군 및 F군)의 경우, 그 위궤양의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2. 위궤양 조직 절편에 대한 슬라이드 제작
위와 같이 위궤양의 크기를 측정한 후, 위궤양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고정하고, 에탄올(graded ethanol)로 탈수한 후, 크실렌(xylene)을 처리하고 나서, 파라핀에 포매하였다. 이 후, 파라핀 마이크로톰(paraffin microtome)(Thermo Co., Cheshire, UK)에 의해 만들어진 5μm 두께의 관상 절편(coronal section)을 슬라이드 위에 고정한 뒤 핫플레이트 위에서 37℃로 하룻밤 동안 건조시켰다. 각 군별로 평균 여섯 조각의 절편을 수집하였다.
1-3. H&E 염색
위궤양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1-2에서 제작한 슬라이드에 대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였다. 슬라이드를 30초 동안 Mayer's Hematoxylin(DAKO, Glostrup, Denmark)에 담갔다 빼고, 깨끗해질 때까지 물로 씻은 다음, 다시 10초 동안 eosin(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 담갔다가 뺀 후 깨끗해질 때까지 수돗물로 씻는다. 이후,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건조시키고, 95% 에탄올에 두 번, 100% 에탄올에 두 번, 50% 에탄올과 50% 크실렌 혼합용액에 두 번, 및 100% 크실렌에 두 번 담그는 과정을 순서대로 거친다. 커버슬립은 Permount를 사용하여 마지막에 고정하고,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를 [도 2]에 제시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H&E 염색을 실시한 결과 궤양 형성 후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 시 궤양 부위를 감소시키는 것이 관찰되며, 특히, 8mg/kg 및 16mg/kg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E군 및 F군)의 경우가, 현저한 궤양 부위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사용예 1. 약학적 제제예>
1-1.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DNA 단편 혼합물 2.0g을 pH 7.0의 생리식염수(saline) 용액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121℃에서 2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Claims (5)

  1.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DNA 단편 혼합물의 분자량은 50~1500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연어과의 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정소 유래의 DNA 단편 혼합물은 2mg/kg~25mg/kg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성 궤양은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40000459A 2014-01-02 2014-01-02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59A KR102247169B1 (ko) 2014-01-02 2014-01-02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59A KR102247169B1 (ko) 2014-01-02 2014-01-02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874A KR20150080874A (ko) 2015-07-10
KR102247169B1 true KR102247169B1 (ko) 2021-05-03

Family

ID=5379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459A KR102247169B1 (ko) 2014-01-02 2014-01-02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1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896A (en) 1983-05-30 1987-04-1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gestive ulc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896A (en) 1983-05-30 1987-04-1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gestive ul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874A (ko)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8918B2 (ja) 抗菌剤およびその使用法
Subrahmanyam Addition of antioxidants and polyethylene glycol 4000 enhances the healing property of honey in burns
US2021030819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enteritis containing dna fragment mixture isolated from sperm or testis of fish
CN116133673A (zh) 用于修复黏膜损伤或皮肤创伤的多肽及其应用
KR102247169B1 (ko) 어류 정소로부터 분리된 디엔에이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06270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ncreatitis
Banerjee et al. Bees make medicine for mankind
EA012294B1 (ru) Лечебные средства, приготовленные на основе мёда, их применение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WO2007033591A1 (fr) Substance active pour prothese en cas de blessures
CN109689064B (zh) 含有Uldavioside A化合物的伤口治疗用组合物
JPH08337538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除菌用組成物
KR101820519B1 (ko) 설글리코타이드의 피부 상처 치유 촉진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JP463336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剤
KR20140093461A (ko) 음용감이 우수한 소화기능 개선용 민트명수액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77963A1 (zh) 注射用泮托拉唑钠冻干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
CA2829832C (en) Use of a sprayable composition comprising ambroxol
CN106668069A (zh) 胆提取物、其提取方法及其应用
KR100938033B1 (ko) 세포재생용 조성물
WO2016208880A1 (ko) 어류의 정액 또는 정소로부터 분리된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869869B (zh) Eugenol在预防和/或治疗骨关节炎中的应用
RU2245716C2 (ru) Способ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ого тракта
CN110075196A (zh) 生肌1号
US20230127213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skin ulcer and the use thereof
KR20110075337A (ko) 위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RU203956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и дистроф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слизистых оболочек органов пищевар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