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053B1 -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053B1
KR102247053B1 KR1020200138450A KR20200138450A KR102247053B1 KR 102247053 B1 KR102247053 B1 KR 102247053B1 KR 1020200138450 A KR1020200138450 A KR 1020200138450A KR 20200138450 A KR20200138450 A KR 20200138450A KR 102247053 B1 KR102247053 B1 KR 10224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regulations
control unit
traffic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국
Original Assignee
(주)비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비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0013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6K2209/1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촬영부,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TRAFFIC SAFETY INFORMATION SYSTEM FOR SCHOOL Z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어린이 등 보행자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 보호 구역/스쿨존을 주행하는 자동차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교통 안전 관련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자동차 및 보행자의 안전을 담보하고, 보행로의 환경을 개선(보행자 보호 의무 위반 계도, 안전한 무신호 횡단보도 환경 구축, 보행자 충돌방지, 차량접근 알림, 과속경고, 감속유도 등)하며,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 구역/스쿨존의 교통 법규를 지속적으로 잘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기법을 제공한다.
2019년 9월 11일 충남 아산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사건을 계기로, 이른바 민식이법으로 불리는 도로교통법 및 특가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고 현재 시행 중이다. 민식이법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의 자동차에 의한 사고 발생시 운전자에게 안전운전 의무 위반 등의 귀책사유가 있는 경우 가중처벌한다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의 안전 운전을 촉구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법의 처벌 수위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존재하나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의 어린이의 보호 및 안전운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국민 대부분이 동감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민식이법은 가중처벌이라는 방식을 통해 운전자의 주의 및 안전운전 의무를 강제하며, 징벌적 처벌 규정을 통해 도로에서의 안전을 담보하고자 하고 있으나, 강력한 처벌 만으로는 법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외국의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통 법규를 위반한 자에 대한 처벌 보다는 교통 법규를 준수한 자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오히려 교통 법규 위반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들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고, 관련 제도 또는 시스템, 장치, 기타 방법론의 구축을 통해 기술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교통 안전 문화 장착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기존의 도로 또는 인도에서의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장치는 단순하게 자동차의 속도 관련 정보만 출력하거나, 안내 전광판이 설치된 지역의 교통 관련 주의 사항/정보를 출력하는데 그치고 있어 교통 안전 달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영상 인식, 신호처리 기법 및 유무선 통신 시스템 등 IT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자동차 또는 보행자(특히 어린이)를 인식하고, 자동차의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교통 안전 관련 시설물이 설치된 주변의 운전자/보행자를 대상으로 교통 안전 관련 유용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교통 법규를 준수한 자(특히 운전자)에 대한 자동적 보상 제공 기법 개발을 통해 교통 법규 준수에 따른 도로 안전 제고와 함께 교통 법규 준수한 자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술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상 인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자동차 또는 보행자를 식별하고, 이에 기반하여 자동차의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자동적으로 교통 안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법규를 준수한 운전자에 대한 다양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교통 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추첨에 응모하고, 추첨 일시에 각 응모 대상 경품마다 기 설정된 수만큼의 당첨자를 추첨하고,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혜택 포인트가 기 설정된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응모 대상 경품에 응모할 수 있음을 알리는 응모 가능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경품에 응모한 경우, 혜택 포인트에서 경품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인 응모 포인트를 차감하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응모한 경품에 관한 정보, 추첨 일시에 관한 정보, 차감된 혜택 포인트의 내역에 관한 정보, 응모 포인트의 차감에 따른 잔여 혜택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자동으로 응모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의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응모한다.
여기서, 상기 응모 대상 경품은 상품 교환권 또는 주차권 또는 특정 지역에서 결제 가능한 화폐 또는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각 응모 대상 경품 마다 응모에 필요한 응모 포인트가 개별적으로 설정되고,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복수의 응모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쇄 포인트만큼 주기적으로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 및 혜택 포인트의 변화에 기초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에 규정을 준수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규정 준수에 따라 증가된 혜택 포인트, 총 혜택 포인트, 규정을 준수한 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규정 위반에 따라 감소된 혜택 포인트, 총 혜택 포인트, 규정을 위반한 회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방향, 운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초기화 시키고, 기 설정된 페널티 기간 동안 혜택 포인트가 증가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의 속도 규정을 위반하였거나,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제한 속도에 기 설정된 초과 한계 속도를 더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한 경우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어린이 보호 구역에 교통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등이 존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도로의 교통 신호를 관제하는 기관으로부터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도로의 차선 및 정지선을 식별하고,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가 정지 신호일 때 자동차인 객체가 정지 신호를 위반하거나 정지선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1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1 가중치 한계 값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2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2 가중치 한계 값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상기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보행자의 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하되, 혜택 포인트 P, 기존 혜택 포인트 Q, 가산 포인트 a, 제1 가중치 k1, 제2 가중치 k2, 제3 가중치 k3에 대하여, k1, k2, k3은 0 이상 1 이하이고, 수학식 P = Q + a * (1 + k1) * (1 + k2) * (1 + k3)를 만족한다.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4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4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4 가중치 한계 값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5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5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5 가중치 한계 값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상기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보행자의 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하되, 혜택 포인트 P, 기존 혜택 포인트 Q, 감산 포인트 b, 제4 가중치 k4, 제5 가중치 k5, 제6 가중치 k6에 대하여, K4, k5, k6은 0 이상 1 이하이고, 수학식 P = Q - b * (1 + k4) * (1 + k5) * (1 + k6)를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인 객체가 어린이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교통 안전 정보에 인근에 어린이가 있으므로 운전시 주의를 촉구하는 텍스트를 포함시키며, 상기 출력부의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강조 효과를 적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판별하되, 상기 규정 위반 단계 정보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정도가 심할수록 상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가 할당되며, 규정 위반 단계 정보의 단계가 높을수록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적용되는 강조 효과의 가짓수가 증가하고, 상기 강조 효과는, 색상 반전 효과, 출력 텍스트 또는 이미지 크기의 증가,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점멸 빈도 수 증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가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영상 촬영부가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추첨에 응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추첨 일시에 각 응모 대상 경품마다 기 설정된 수만큼의 당첨자를 추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 및 혜택 포인트의 변화에 기초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객체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안전 정보에 인근에 어린이가 있으므로 운전시 주의를 촉구하는 텍스트를 포함시키고,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의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강조 효과를 적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혜택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교통 안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혜택 포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품의 추첨에 응모할 수 있고, 추첨을 통해 당첨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할 수 있어, 운전자인 당첨자에게 교통 법규 준수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도록 격려/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경품 추첨에 응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자동적 보상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교통 법규 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혜택 포인트의 증가 및 감소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조건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가산 및 감산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교통 법규 준수의 양상에 따른 보상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인 보행자를 인식하고, 어린이의 존재 여부를 다양한 강조 효과를 통해 주변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로에서의 어린이의 교통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이 어린이 보호 구역에 적용된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안전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조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품 추첨 응모의 세부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규정 준수 여부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변화 및 그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 생성의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제2 및 제3 가중치를 적용하여 혜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6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제4, 제5 및 제6 가중치를 적용하여 혜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제5 및 제6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가중치를 적용하여 혜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 보호 구역/스쿨존을 주행하는 자동차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교통 안전 관련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자동차 및 보행자의 안전을 담보하고,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 구역/스쿨존의 교통 법규를 지속적으로 잘 준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기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은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단순하게 시스템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단순하게 제어 방법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어린이 보호 구역은 스쿨존으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 중 하나인 영상 촬영부는 단순하게 촬영부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지역/구역에 적용 가능하며,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명세서에서 어린이 보호구역은 통상의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도로 위/주변의 특정 범위의 지역, 또는 노인 등 교통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하게 지정된 노인 보호구역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내에 기재된 명칭인 차량 번호 정보는 자동차등록번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저장부가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S110)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촬영부가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S120)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S13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S140)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S150)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S16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S170)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S180)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S190)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40)와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50)가 동시에 또는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각 단계의 선후 관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은 제어 방법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혜택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교통 안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된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각 구성요소/장치/네트워크 간 유무선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2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L은 영상 촬영부(200), 출력부(400), 통신부(500)를 포함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L에 포함되는 영상 촬영부(200), 출력부(400), 통신부(500)는 각각 독립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L은 영상 촬영부(200), 출력부(400), 통신부(500)를 포함하는 단일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영상 촬영부(200), 출력부(400) 및 통신부(500)가 하나의 단일 장치로 구성되거나 지리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여 유무선 근거리 통신망(L)을 구성하는 사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 및 저장부(300)는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와 저장부(300)가 하나의 서버로서 구축될 수도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 예는 교통 관련 정보를 수집(영상 촬영부, 200)하거나 출력(출력부, 400)하는 근거리 통신망 또는 장치(L)가 여러 위치에 설치되고, 특정 제어 및 저장 장치(100, 300)를 통해 이들을 관리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도 2의 통신부(200)는 영상 촬영부(200), 출력부(400)가 백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은 제어부(100), 영상 촬영부(200), 저장부(300), 출력부(400) 및 통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복수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반도체 칩 또는 전자 회로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상기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웨어와 상기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외부 또는 타 구성요소로부터 전송된 전기/전자적 신호 또는 데이터/정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로써 목적하는 신호/정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는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200)는 카메라, 광학 센서 등의 영상 촬영 수단을 통해 도로, 인도 또는 도로 주변의 기 설정된 감지 영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에 기초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영상 정보는 기 설정된 압축방식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3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이다. 특히, 저장부(3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정보/데이터 및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데이터를 상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에 관한 정보, 교통 법규/규정에 관한 정보(어린이 보호 구역에 관한 교통 법규/규정을 포함함),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등도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0)는 감지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신호/데이터/정보의 처리 결과물(예를 들어, 배경과 분리된 객체에 관한 정보,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운행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0)는 교통 안전 정보와 관련된 기 설정된 텍스트(예를 들어, 규정 준수를 칭찬 또는 응원하는 메시지/텍스트, 규정 준수를 경고하는 메시지/텍스트, 규정 위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지시 등)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 상의 변수 또는 반도체 칩, 메모리, 하드디스크/SSD, NAS/데이터 저장 서버/PC 등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4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부(400)는 디스플레이 패널, LED, 램프 등의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4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이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동일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하나의 정보의 각기 다른 부분/영역을 출력하여 하나의 정보를 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통신부(500)는 외부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다양한 방식의 유선 및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00)는 유선 케이블/유선랜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NFC,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기타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LTE, 5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부(500)의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500)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통신 프로그램/변수, 또는 물리적 단자, 포트, 유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무선 통신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500)는 제어부(100), 영상 촬영부(200), 저장부(300), 출력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외부의 타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의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500)는 모듈 등으로 구현되어 제어부(100), 영상 촬영부(200), 저장부(300), 출력부(400)의 일부로써 포함됨으로써, 각 제어부(100), 영상 촬영부(200), 저장부(300), 출력부(400)가 상호간 그리고 외부의 타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신호/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300), 외부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00),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300),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영상 촬영부(200)와 출력부(400)가 한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한 사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은 복수의 영상 촬영부(200) 또는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영상 촬영부(200)가 생성한 감지 영상 정보를 직접적으로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감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배경과 분리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과 분리된 객체는 자동차, 사람 또는 특정 사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어린이인 객체를 별도로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다양한 패턴 인식 기법, 영상 신호 처리 기법,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 등을 통해 전술한 객체의 인식 및 어린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 또는 인식된 자동차인 객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 또는 인식된 자동차인 객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여부는 자동차가 주행 중인지, 주차 또는 정차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부(100)는 다양한 패턴 인식 기법, 영상 신호 처리 기법,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 등을 통해 자동차인 객체의 번호판 또는 문자/숫자의 조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 결과물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차량 번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의 영상 프레임별 객체의 변위량, 변위방향 및 위치의 변화 여부에 기초하여 객체가 이동하는 방향, 이동하는 속도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에서 영상 프레임의 객체의 변위량과 감지 영상 정보에서의 단위 변위량(예를 들어 1픽셀) 별 실제 이동 거리와 하나의 영상 프레임 별 시간의 역수를 곱함으로써 객체의 실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부(100)는 객체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 예는 이에 의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의 영상 프레임별 객체의 변위 방향에 기초하여 객체의 방향을 산출할 수 있으며, 감지 영상 정보의 영상 프레임별 객체의 변위량 및 변위방향에 기초하여 객체의 주행 여부/이동 여부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100)가 객체의 이동 방향, 주행 여부/이동 여부를 산출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에 의하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00)는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람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보행 여부를 추가적으로 더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종류, 크기, 색상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한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법규 및 규정상 60km/h 이하로 주행해야 하는 도로에서 자동차인 객체가 85km/h로 주행하는 경우 해당 자동차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의 규정과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의 규정 속도(예를 들어, 30km/h) 이하로 주행해야 하는 도로에서 자동차인 객체가 45km/h로 주행하는 경우 해당 자동차가 어린이 보호 구역의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써, 제어부(100)는 감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또는 도로의 외곽선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지 영상 정보에서 도로의 갓길 또는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자동차인 객체가 기 설정된 시간 또는 규정에 따른 정차 시간 이상 정차 또는 주차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으며, 만약 해당 도로가 주차 또는 정차 금지 지역인 경우 해당 자동차인 객체의 주정차 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법규 및 규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자동차의 차량 운행 정보와 상기 저장된 교통 법규 및 규정과의 비교를 통해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람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보행 여부에 기초하여 객체인 사람/보행자의 규정 준수 여부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인 객체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을 나타내는 경우에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사람인 객체가 무단횡단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후술하는 교통 안전 정보에 보행자의 무단횡단 사실을 경고하는 문구/텍스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사항들은 제어부(100)가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는 예시적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00)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2가3456 자동차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규정 속도를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차량 번호 정보 12가3456에 대응하는 사용자(차량 번호가 12가3456인 자동차의 소유자 또는 운전자) P의 혜택 포인트 500점에 규정 준수에 따른 가산 포인트 50점을 더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및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안전 정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의 규정 속도를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와 해당 자동차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교통 안전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의 규정 속도의 준수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지속적인 규정 준수를 당부하거나 응원하는 취지의 텍스트(예를 들어, 당신은 어린이 안전 지킴이)를 교통 안전 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어린이 보호 구역의 규정 속도의 위반에 대한 경고를 나타내는 텍스트 (예를 들어, 서행하세요)를 교통 안전 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100)는 주정차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정차 시간, 정차를 중지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것을 촉구하는 텍스트를 교통 안전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교통 안전 정보는 시스템 또는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00)가 설치된 지역의 규정 및 교통/안전 관련 안내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안전 정보는 해당 구역이 어린이 보호 구역임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안전 정보는 자동차의 색상, 크기, 종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처럼 제어부(100)는 자동차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을 교통 안전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안전 정보에 고속으로 접근하는 초록색 트럭을 조심하라는 텍스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교통 안전 정보는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규정 속도를 위반한 경우, 혜택 포인트가 30포인트 차감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교통 안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교통 안전 정보의 양상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에서 텍스트는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이미지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 안전 정보가 이미지로써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추첨에 응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정해진 추첨 일시에 각 응모 대상 경품마다 기 설정된 수만큼의 당첨자를 추첨하고,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경품 응모 및 추첨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도 9 및 도 10에서 다루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 및 혜택 포인트의 변화에 기초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900)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통신부(50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규정 준수에 따라 혜택 포인트가 50포인트 증가했음을 통지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규정을 준수한 사용자 P의 단말(9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P는 자신이 규정을 준수하였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았음을 인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00)는 규정 위반에 따라 혜택 포인트가 50포인트 감소했음을 통지하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규정을 위반한 사용자 P의 단말(9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P는 자신이 규정을 위반하였고, 그에 따른 제제 받았음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출력부(400)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인 객체가 어린이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인 사람이 어린이인지 여부는 다양한 패턴 인식 기법, 영상 신호 처리 기법,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 등을 통해 판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만약 인식된 객체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교통 안전 정보에 인근에 어린이가 있으므로 운전시 주의를 촉구하는 텍스트(또는 이미지)를 출력부(400)의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강조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혜택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교통 안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혜택 포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품의 추첨에 응모할 수 있고, 추첨을 통해 당첨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할 수 있어, 운전자인 당첨자에게 교통 법규 준수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도록 격려/유도할 수 있다.
도 3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3은 모든 구성요소가 통신부에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IoT 실시 예 또는 클라우드 시스템의 실시 예에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제어부(100), 영상 촬영부(200), 저장부(300) 및 출력부(400)는 직접적으로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생성되거나 처리된 신호/정보/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 전송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각 구성이 상호간 밀접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이 유무선 통신만 수행될 수 있다면 어느 곳이든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보다 자유롭게 영상 촬영부(200) 및 출력부(400)를 위치시킬 수 있어 각 장소에 최적화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4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어부(100), 영상 촬영부(200), 저장부(300), 출력부(400) 및 통신부(500)가 하나의 교통 안전 정보 제공 장치(L)로 구현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교통 안전 정보 제공 장치(L)는 도로변에 위치한 디지털 사이니지 또는 도로변 기둥 등에 설치되는 전자식 안내 전광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교통 안전 정보 제공 장치(L)는 통신부(200)를 통해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중계 서버(1000)를 통해 제어되거나 타 교통 안전 정보 제공 장치와 연동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구성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저장부(300)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900)을 통해 저장부(30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소프트웨어적인 인터페이스(홈페이지 등 포함),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900)을 통해 저장부(300)에 저장된 자신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접근할 수 있으며 혜택 포인트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900)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품에 대한 응모, 자동 응모 지시, 경품의 지정 등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100) 또는 저장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00)는 안내 메시지, 교통 안전 정보, 경품 추첨 일시에 관한 정보, 경품의 당첨 여부, 당첨된 경품에 대한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9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이 어린이 보호 구역에 적용된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제어부(100), 저장부(300) 및 통신부(500)는 생략되었다. 그리고, 도 5에서 영상 촬영부(200) 및 출력부(40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촬영부(200) 및 출력부(400)의 설치 대수 및 위치, 방향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영상 촬영부(200)는 광 센서, 렌즈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수단의 규격 및 기술적 제약 조건에 따라 특정 화각 및 촬영 가능 거리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촬영부(200)는 도로 및 인도의 특정 감지 영역(SA)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 따르면 영상 촬영부(200)가 도로, 인도 및 횡단보도를 한번에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횡단보도로 접근하는 자동차(V)와 횡단보도를 건너는 어린이(P1) 및 일반 보행자(P2)에 대한 감지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영상 촬영부(200)의 위치 및 설치 방향은 도 5에 의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에 따르면 출력부(400)가 횡단보도 인근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건너는 어린이(P1)에게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이 자동차(V)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 자동차가 접근하고 있으므로 횡단보도에서 주의를 요할 것을 촉구하거나 접근하는 자동차(V)의 속도, 방향, 또는 별도로 식별된 자동차의 크기, 색상, 종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는 고속으로 접근하는 초록색 트럭을 사전에 인지하고 지금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한편, 도 5의 경우와는 달리 출력부(400)의 광 출력 수단의 방향이 자동차(V)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안전 정보에 어린이(P1)가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음을 알리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포함되고, 출력부(400)를 통해 해당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출력된 경우, 자동차(V)의 운전자는 횡단보도를 통과할 때 보다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출력부(400)의 설치 방향 등에 대한 이러한 사례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한 사항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안전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특히 출력부(400)가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다양한 양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410, 420, 430은 각각 개별 광 출력 수단으로써, LCD/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410, 420, 430은 하나의 광 출력 수단(디스플레이 패널)의 서로 다른 특정 영역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및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생성된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부(400)의 광 출력 수단(410, 420, 4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안전 정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조합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규정 준수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지속적인 규정 준수를 당부하거나 응원하는 취지의 텍스트(예를 들어, 당신은 어린이 안전 지킴이)를 교통 안전 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규정 위반에 대한 경고를 나타내는 텍스트 (예를 들어, 서행하세요)를 교통 안전 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는 주정차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정차 시간, 정차를 중지하고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것을 촉구하는 텍스트를 교통 안전 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6(a)는 차량 번호 정보, 해당 자동차의 속도, 해당 자동차의 규정 위반에 따른 경고 텍스트, 규정 위반에 따라 차감되는 혜택 포인트를 함께 출력한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따르면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를 다른 정보보다 상태적으로 크게 출력함으로써 해당 자동차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다. 물론, 자동차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규정 준수에 따라 증가되는 혜택 포인트도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6(b), 도 6(c)는 복수의 광 출력 수단(420, 430) 또는 광 출력 수단의 복수의 영역을 통해 서로 다른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통 안전 정보는 규정 준수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규정 위반에 따른 경고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규정 위반 사항에 대하여 규정 위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지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b)의 좌측 광 출력 수단 또는 좌측 영역(420)은 규정을 준수한 차량 번호 정보, 자동차의 속도 및 규정 준수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출력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우측 광 출력 수단 또는 우측 영역(430)은 주정차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위반한 규정의 명칭 및 규정 위반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지시를 교통 안전 정보로써 출력하고 있다.
도 6(c)도 동시에 복수의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사례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6(c)는 서로 다른 크기의 광 출력 수단 또는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영역(420, 430)을 통해 서로 다른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사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광 출력 수단의 영역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유롭게 크기와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는 출력되는 교통 안전 정보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교통 안전 정보는 시스템 또는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설치된 지역의 규정 및 교통/안전 관련 안내 사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c)의 우측 영역(430)처럼, 교통 안전 정보는 해당 구역이 어린이 보호 구역임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감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자동차가 과속으로 접근 중인 것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안전과 직결된 차량 운행 정보를 교통 안전 정보로써 출력(도 6(c)의 좌측 영역, 420)할 수 있다. 도 6(c)의 경우처럼, 제어부는 좌측의 영역(420)을 통해 출력되는 교통 안전 정보의 중요도가 우측의 영역(430)의 교통 안전 정보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면, 광 출력 수단의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보다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조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마찬가지로 출력부(400)를 통해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양상을 도시한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은 특히 보행자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출력 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는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인 객체가 어린이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교통 안전 정보에 인근에 어린이가 있으므로 운전시 주의를 촉구하는 텍스트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출력부(400)의 광 출력 수단(410, 420, 430)을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강조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규정 위반 단계 정보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정도가 심할수록 상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규정을 위반한 정도가 심한 것인지 여부는, 속도에 관해서는 규정 속도보다 얼마나 더 과속했는지, 주정차에 관해서는 얼마나 더 오랫동안 불법 주정차를 하고 있는지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자동차가 규정보다 과속했을 때 지정된 규정 속도와 자동차의 속도 간 차이가 클수록 규정을 위반한 정도가 더 심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된 제한 속도보다 10km/h 이상 30km/h 미만 초과하는 경우 하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된 제한 속도보다 30km/h 이상 50km/h 미만 초과하는 경우 중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된 제한 속도보다 50km/h 이상 초과하는 경우 상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된 정차 제한 시간보다 10초 이상 180초 미만 초과하는 경우 하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된 정차 제한 시간보다 180초 이상 600초 미만 초과하는 경우 중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된 정차 제한 시간보다 600초 이상 초과하는 경우 상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규정 위반 단계 정보는 예시로써,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규정 위반 단계 정보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규정 위반 단계 정보의 단계가 높을수록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적용되는 강조 효과의 가짓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강조 효과는 색상 반전 효과, 출력 텍스트 또는 이미지 크기의 증가,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점멸 빈도 수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강조 효과로써 색상 반전 효과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후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규정에 따른 제한 속도와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사이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교통 안전 정보에 산출된 속도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정에 따른 제한 속도가 30km/h이고 제어부가 식별한 자동차의 속도가 40km/h인 경우, 두 속도의 차이인 초과 속도로써 10km/h를 산출할 수 있고, 교통 안전 정보에 초과한 속도인 10km/h 및 과속을 경고하는 텍스트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7(a) 좌측은 제어부가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양상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따르면, 차량 번호 정보가 123가4567인 자동차가 규정에 따른 제한 속도를 위반하여 차량 번호 정보, 과속 경고 문구 및 초과 속도 가 광 출력 수단(410)을 통해 출력되고 있다. 여기서, 초과 속도가 10km/h인 경우는 하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가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의 강조 효과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a) 우측은 자동차의 초과 속도가 40km/h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제어부는 해당 자동차의 규정 위반에 대하여 중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색상 반전 효과가 적용된 교통 안전 정보를 광 출력 수단(4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7(a)는 색상 반전 효과에 관한 도면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순 색상 반전이 아닌 텍스트 및 배경의 색상이 규정 위반 단계 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변경됨으로써 보다 시인성을 높이는 방식도 채택될 수 있다.
도 7(b)는 강조 효과로써 출력 텍스트 또는 이미지 크기의 증가 효과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후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과 속도가 10km/h인 경우에는 별도의 강조 효과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도 7(b) 좌측). 초과 속도가 40km/h인 경우 제어부는 중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텍스트 크기 강조 효과가 적용된 교통 안전 정보가 광 출력 수단(41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도 7(b) 우측). 이와 유사하게, 자동차가 주정차 금지 구역에서 5분 이상 정차 중인 경우 교통 안전 정보에 불법 정차 중인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정차 시간 및 주정차 위반을 경고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교통 안전 정보가 텍스트 크기 강조 효과가 적용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7(c)는 강조 효과로써 광 출력 수단에서 강조 효과가 적용된 교통 안전 정보가 출력되는 면적이 증가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420 및 430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등의 광 출력 수단의 서로 다른 가상의 두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것처럼, 출력부의 광 출력 수단은 서로 다른 교통 안전 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c)에서는 광 출력 수단의 좌측 영역은 감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양한 교통 안전 정보가 출력되고, 우측 영역은 지역의 교통 법규/규정에 대한 안내와 관련된 교통 안전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된 자동차가 규정을 준수한 경우 해당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및 속도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 및 어린이 보호 구역임을 나타내는 교통 안전 정보를 동일한 크기의 영역(420, 43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도 7(c)우측). 하지만 만약 자동차가 속도 규정을 위반한 경우, 해당 자동차의 운전자에 대한 경고 및 주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과속 경고 메시지 및 초과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를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의 영역(42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는 사용자 또는 운전자마다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는 저장부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의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를 열람 및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개별 사용자를 서로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자로써,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 번호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연락처 정보는 사용자의 연락처와 관련된 정보로써, 전화 번호, 이메일 계정, SNS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번호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자동차의 자동차등록번호일 수 있으며, 한 사용자에게 복수의 자동차등록번호가 등록될 수 있다.
혜택 포인트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성의 점수로써 후술하는 경품 추첨시 이용될 수 있으며,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교통 법규 위반에 따른 벌점 또는 벌금 발생시 혜택 포인트 차감으로 갈음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는 자동 응모 설정 정보, 응모한 경품에 관한 정보,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응모 설정 정보는 자동 응모에 관한 다양한 설정에 관한 정보로써, 경품에 대한 자동 응모 진행 여부에 관한 정보,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응모한 경품에 관한 정보 응모를 완료한 경품에 관한 정보이다.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 정보는 응모하여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이다.
제어부는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의 차량 번호 정보와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추출된 차량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자동차의 운전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자동차의 규정 준수 또는 위반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운전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 등을 연락처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계정 정보(user_account)의 사용자 식별 정보, 혜택 포인트, 자동 응모 설정 정보, 응모한 경품 정보, 당첨된 경품 정보에 기초하여 경품의 응모, 추첨, 당첨자 통보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경품의 응모 및 추첨과 관련된 세부 사항은 이하의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특히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경품에 응모하고, 당첨자를 추첨하고, 당첨된 경품을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1과 동일한 단계(S110 내지 S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제어부가 차량 번호 정보, 차량 운행 정보 및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80), 제어부가 출력부를 통해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90)는 생략하였다. 도 1과 도 9에서 공통되는 부분인 단계 S110 내지 S170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추첨에 응모하는 단계(200), 제어부가 추첨 일시에 각 응모 대상 경품마다 기 설정된 수만큼의 당첨자를 추첨하는 단계(S210), 제어부가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첨에 응모하는 단계(S200)는 후술하는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추첨 일시에 각 경품에 대한 당첨자 추첨(S210)을 수행할 수 있다. 추첨 일시는 통상의 상품 교환권 추첨과 유사하게 기 설정된 요일의 특정 시간대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추첨을 수행(예를 들어, 매주 토요일 오후 9시에 추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응모의 대상이 되는 경품은 적어도 한 종류 이상, 각 종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응모 대상 경품은 상품 교환권 또는 주차권 또는 특정 지역에서 결제 가능한 화폐 또는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당첨자는 상품 교환권을 통해 기 설정된 매장 또는 기 설정된 상품 교부처에서 기 설정된 특정 상품을 수령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금, 소형 가전/전자 제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추첨 일시에 종일 주차권 10매, 지역 화폐 20만원권 5매, 당첨액이 500만원인 상품 교환권 1개를 추첨할 수 있다.
제어부가 당첨자를 추첨 또는 선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각 경품마다 응모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리스트의 사용자 식별 정보마다 순번을 설정하고, 추첨 수만큼 무작위로 순번을 선별하고, 선별된 순번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의 사용자를 당첨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경품 추첨 응모 단계(S200)에서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개수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입력받을 수 있고, 추첨하는 단계(S210)에서 각 경품마다 무작위로 생성된 기 설정된 개수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추첨 번호로 선정하고, 해당 추첨 번호를 입력한 사용자를 당첨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밖에 다양한 방식으로 추첨자 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는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S220)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의 인터페이스/홈페이지/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의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자신이 경품에 당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당첨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경품의 당첨을 통지하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품 추첨 응모의 세부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혜택 포인트가 기 설정된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별(S20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를 500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혜택 포인트가 500포인트 이상인 사용자만 경품에 응모할 수 있다. 만약 혜택 포인트가 500포인트 미만인 경우, 해당 사용자는 규정 준수 등의 행위를 통해 그 보상으로 혜택 포인트를 더 적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 이상의 혜택 포인트를 보유함으로써 비로소 경품의 응모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는 경품의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인 응모 포인트 중 가장 작은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품인 주차권의 응모 포인트가 200포인트이고 경품들 중 가장 낮은 응모 포인트인 경우, 제어부는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를 주차권의 응모 포인트인 200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혜택 포인트가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응모 대상 경품에 응모할 수 있음을 알리는 응모 가능 안내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S202)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특정 경품에 대하여 응모(S203)할 수 있다.
이때, 각 경품은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인 응모 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권의 응모 포인트는 100포인트이고, 20만원에 해당하는 지역 상품권/화폐의 응모 포인트는 2000포인트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최소한 100포인트의 혜택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어야 주차권에 응모할 수 있고, 적어도 2000포인트의 혜택 포인트를 보유하고 있어야 20만원 지역 상품권/화폐에 응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응모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경품 응모와 관련된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경품에 대한 응모를 신청하여 이러한 경품의 응모에 관한 신호/정보/데이터가 시스템의 제어부로 수신된 경우일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자동으로 응모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자동 응모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의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응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가 200포인트, 경품인 주차권의 응모 포인트가 200포인트이고, 지역 상품권의 응모 포인트가 2000포인트이고, 상품 교환권의 응모 포인트가 500포인트일 때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이 상품 교환권인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의 혜택 포인트가 500포인트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상품 교환권의 추첨에 응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에 특정 경품에 대하여 복수 회의 응모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거나 복수의 서로 다른 경품에 대하여 응모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특정 경품에 응모하기 위한 기 설정된 개수의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만약 사용자가 이미 응모시 이용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입력하면, 중복에 의해 해당 조합이 입력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사용자의 경품 응모시 자동적으로 해당 응모에 대한 숫자 또는 문자의 무작위 조합을 생성하고 해당 응모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은 도 9의 당첨자를 추첨하는 단계(S210)에서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경품에 응모한 경우 혜택 포인트에서 경품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인 응모 포인트를 차감(S204)할 수 있다. 여기서, 잔여 혜택 포인트는 혜택 포인트에서 응모 포인트를 차감하고 남은 포인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또는 제어부)는 복수의 경품에 대하여 응모할 수 있으며, 동일 경품에 대하여 복수의 응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차권에 대하여 5회의 중복적 응모가 가능하며, 이 경우 1회의 응모 대비 5배의 당첨 확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차권에 대하여 3회의 응모를 수행하고 상품권에 대하여 2회의 응모를 수행할 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잔여 혜택 포인트가 가장 작은 응모 포인트 이상이고, 사용자로부터 복수 응모 진행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 받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의 응모에 복수 회 응모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 회의 응모 여부를 판별(S205)할 수 있다. 만약 복수 회의 응모가 진행되면, 제어부는 도 10의 S203 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경품에 응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잔여 혜택 포인트가 가장 작은 응모 포인트 미만이거나 사용자로부터 복수 응모 진행 관련 제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복수 회의 응모를 지시하는 자동적 응모에 관한 설정이 없는 경우, 복수 회의 응모를 수행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혜택 포인트가 250포인트이고 가장 작은 응모 포인트가 200포인트(예를 들어, 주차권) 제어부는 사용자의 단말로 경품의 응모와 관련된 인터넷 사이트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응모한 경품에 관한 정보, 추첨 일시에 관한 정보, 차감된 혜택 포인트의 내역에 관한 정보, 응모 포인트의 차감에 따른 잔여 혜택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S206)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경품 응모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규정 준수 여부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변화 및 그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 생성의 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특히 규정 준수 여부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변동과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에 관한 단계를 포함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는 도 1과 동일한 단계(S110 내지 S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S110~S150, S180~S190의 단계가 생략되었다. 도 11 및 이하의 도면에서 규정 준수 여부 판별 결과 - NO는 규정을 위반하였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판별(S160)할 수 있으며,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S170A)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S170B)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안내 메시지에 규정을 준수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규정 준수에 따라 증가된 혜택 포인트, 총 혜택 포인트, 규정을 준수한 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S230)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규정 위반에 따라 감소된 혜택 포인트, 총 혜택 포인트, 규정을 위반한 회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생성(S230)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전송(S240)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규정 준수 여부 및 그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변화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혜택 포인트의 획득을 위한 규정 준수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안내 메시지는 출력부를 통해 교통 안전 정보로써 출력될 수도 있으며, 자동차의 규정 준수 및 위반 사실이 운전자 및 주변의 보행자들에게 신속하게 전파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경각심을 가질 수 있고 주변의 보행자들은 규정 위반을 알리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더 조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방향, 운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의 속도 규정을 위반하였거나, 자동차인 객체가 제한 속도에 기 설정된 초과 한계 속도를 더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한 경우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서, 제어부가 감지 영상 정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가 교통사고 12대 중대 과실에 대응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자동차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과 한계 속도가 50km/h이고 규정에 따른 제한 속도가 60km/h인 경우, 제어부는 자동차가 112km/h로 주행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해당 자동차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초기화 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이 경우 해당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혜택 포인트를 0포인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기 설정된 페널티 기간 동안(예를 들어, 1개월)에는 해당 자동차가 규정을 준수해도 혜택 포인트가 증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우선, 어린이 보호 구역에 교통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등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도로의 교통 신호를 관제하는 기관으로부터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 등에 기반하여 도로의 차선 및 정지선을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 영상 정보 및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가 정지 신호일 때 자동차인 객체가 정지 신호를 위반하거나 정지선을 위반하는 경우를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의 위반 사례가 식별된 경우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제어부는 감지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정차 또는 주차 중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기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분) 이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였는지 여부는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의 기재 사항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쇄 포인트만큼 주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사용자의 혜택 포인트를 100의 감쇄 포인트로써 1개월마다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자동차가 더 이상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운전을 하지 않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경품 응모 참여를 위해 지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가 유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이하의 도면에서 * 표시는 곱셈 연산을 의미한다. 그리고, P는 혜택 포인트, Q는 기존의 혜택 포인트, a는 가산 포인트, b는 감산 포인트, k1은 제1 가중치, k2는 제2 가중치, k3은 제3 가중치, k4는 제4 가중치, k5는 제5 가중치, k6은 제6 가중치를 의미한다. 또한, t1 내지 t8은 사용자의 자동차가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가 감지된 시간을 의미하고, 준수여부는 각 시점에 규정을 준수 또는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되 O는 규정을 준수하였음을 의미하고 X는 규정을 위반하였음을 의미한다. 도 12 및 이하의 도면에서 가산 포인트(a)와 감산 포인트(b)가 10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산 포인트와 감산 포인트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1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1 가중치 한계 값일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제어부는 2번 연속 규정을 준수한 경우 제1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3번 연속 규정을 준수한 경우 제1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번 규정을 준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1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자동차는 t1, t2, t4, t5, t6 시점에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에 따라 t2, t5 시점에 2번 연속 규정 준수, t6 시점에 3번 연속 규정 준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2, t5 시점에 제1 가중치를 0.1로 설정하고 t6 시점에 제1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준수에 따른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수식이 P = Q + a * (1 + k1)인 경우, 제어부는 t2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60 + 10 * (1 + 0.1) = 71로 계산할 수 있고, t5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81 + 10 * (1 + 0.1) = 92로 계산할 수 있고, t6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92 + 10 * (1 + 0.2) = 104로 계산할 수 있다.
자동차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함에 따라 제1 가중치가 0.1씩 증가하되, 제1 가중치 한계 값인 0.5까지 증가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에 따른 제1 가중치, 제1 가중치 한계 값은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2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2 가중치 한계 값일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제어부는 규정을 준수한 서로 다른 지역이 2곳인 경우 제2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규정을 준수한 서로 다른 지역이 3곳인 경우 제2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곳에서만 규정을 준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2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자동차는 t1, t2, t4, t5, t6 시점에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t4, t5 시점에 두번째 지역(B)에서 규정을 준수하고 t6 시점에 세번째 지역(C)에서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4, t5 시점에 제2 가중치를 0.1로 설정하고 t6 시점에 제2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준수에 따른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수식이 P = Q + a * (1 + k2)인 경우, 제어부는 t4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70 + 10 * (1 + 0.1) = 81로 계산할 수 있고, t5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81 + 10 * (1 + 0.1) = 92로 계산할 수 있고, t6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92 + 10 * (1 + 0.2) = 104로 계산할 수 있다.
자동차가 새로운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함에 따라 제2 가중치가 0.1씩 증가되되, 제2 가중치 한계 값인 0.5까지 증가될 수 있다.
도 13의 예시에 따른 제2 가중치, 제2 가중치 한계 값은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상기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보행자의 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에 한달 동안 보행자의 수의 평균 값이 300명으로 인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 값인 200명을 초과하므로 해당 시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에 자동차가 규정을 준수한 경우, 해당 자동차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킬 때 제3 가중치인 0.5를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에 규정을 준수한 경우 제3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가 아닌 때에 규정을 준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3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3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자동차는 t1, t2, t4, t5, t6 시점에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혼잡 시간대는 t3 내지 t5 및 t8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4, t5 시점에 제3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준수에 따른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수식이 P = Q + a * (1 + k3)인 경우, 제어부는 t4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50 + 10 * (1 + 0.5) = 65로 계산할 수 있고, t5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65 + 10 * (1 + 0.5) = 80로 계산할 수 있다.
도 14의 예시에 따른 제3 가중치는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는 제1, 제2 및 제3 가중치를 적용하여 혜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혜택 포인트 P, 기존 혜택 포인트 Q, 가산 포인트 a, 제1 가중치 k1, 제2 가중치 k2, 제3 가중치 k3에 대하여, k1, k2, k3은 0 이상 1 이하이고, 수학식 P = Q + a * (1 + k1) * (1 + k2) * (1 + k3)를 만족할 수 있다.
즉, 도 15의 사례는 도 12 내지 도 14의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제3 가중치를 동시에 적용한 실시 예이며, 각 가중치를 적용하는 조건을 개별적으로 판별하고, 각 시점에 판별된 가중치를 수학식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자동차의 규정 준수의 양상에 대응하는 혜택 포인트 제공이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로써, 제어부는 2번 연속 규정을 준수한 경우 제1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3번 연속 규정을 준수한 경우 제1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번 규정을 준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1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1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규정을 준수한 서로 다른 지역이 2곳인 경우 제2 가중치를 0.1로 설정할 수 있고, 규정을 준수한 서로 다른 지역이 3곳인 경우 제2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곳에서만 규정을 준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2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2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에 규정을 준수한 경우 제3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가 아닌 때에 규정을 준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3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3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자동차는 t1, t2, t4, t5, t6 시점에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t2, t5 시점에 2번 연속 규정 준수, t6 시점에 3번 연속 규정 준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2, t5 시점에 제1 가중치를 0.1로 설정하고 t6 시점에 제1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t4, t5 시점에 두번째 지역(B)에서 규정을 준수하고 t6 시점에 세번째 지역(C)에서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4, t5 시점에 제2 가중치를 0.1로 설정하고 t6 시점에 제2 가중치를 0.2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따르면, 혼잡 시간대는 t3 내지 t5 및 t8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4, t5 시점에 제3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준수에 따라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수식이 P = Q + a * (1 + k1) * (1 + k2) * (1 + k3)이고, 최초의 혜택 포인트가 50포인트인 경우, t1 내지 t8에서의 혜택 포인트는 각각 60, 71, 71, 87.5, 105.65, 120.05, 120.05, 120.05인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4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4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4 가중치 한계 값일 수 있다.
도 17에 따르면, 제어부는 2번 연속 규정을 위반한 경우 제4 가중치를 0.3로 설정할 수 있고 3번 연속 규정을 위반한 경우 제4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번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4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4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7에 따르면, 자동차는 t2, t3, t4, t7, t8 시점에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에 따라 t3, t8 시점에 2번 연속 규정 위반, t4 시점에 3번 연속 규정 위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3, t8 시점에 제4 가중치를 0.3로 설정하고 t4 시점에 제4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위반에 따른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수식이 P = Q - b * (1 + k4)인 경우, 제어부는 t3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90 - 10 * (1 + 0.3) = 77로 계산할 수 있고, t4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77 - 10 * (1 + 0.5) = 62로 계산할 수 있고, t8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52 - 10 * (1 + 0.3) = 39로 계산할 수 있다.
자동차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함에 따라 제4 가중치가 0.2씩 증가하되, 제4 가중치 한계 값인 1.5까지 증가할 수 있다.
도 17의 예시에 따른 제4 가중치, 제4 가중치 한계 값은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5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5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5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5 가중치 한계 값일 수 있다.
도 18에 따르면, 제어부는 규정을 위반한 서로 다른 지역이 2곳인 경우 제5 가중치를 0.3로 설정할 수 있고, 규정을 위반한 서로 다른 지역이 3곳인 경우 제5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고, 규정을 위반한 서로 다른 지역이 4곳인 경우 제5 가중치를 0.7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곳에서만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5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5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8에 따르면, 자동차는 t2, t3, t4, t7, t8 시점에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t3, t4 시점에 두번째 지역(B)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t7 시점에 세번째 지역(C)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t8 시점에 네번째 지역(D)에서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3, t4 시점에 제5 가중치를 0.3로 설정하고 t7 시점에 제5 가중치를 0.5로 설정하고 t8 시점에 제5 가중치를 0.7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위반에 따른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수식이 P = Q - b * (1 + k5)인 경우, 제어부는 t3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90 - 10 * (1 + 0.3) = 77로 계산할 수 있고, t4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77 - 10 * (1 + 0.3) = 64로 계산할 수 있고, t7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64 - 10 * (1 + 0.5) = 49로 계산할 수 있고, t8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49 - 10 * (1 + 0.7) = 32로 계산할 수 있다.
자동차가 새로운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함에 따라 제5 가중치가 0.2씩 증가되되, 제2 가중치 한계 값인 1.5까지 증가될 수 있다.
도 18의 예시에 따른 제2 가중치, 제2 가중치 한계 값은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6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상기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보행자의 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9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에 규정을 위반한 경우 제6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가 아닌 때에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6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6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9에 따르면, 자동차는 t2, t3, t4, t7, t8 시점에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혼잡 시간대는 t3 내지 t5 및 t8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3, t4 시점에 제6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위반에 따른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수식이 P = Q - b * (1 + k6)인 경우, 제어부는 t3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90 - 10 * (1 + 0.5) = 75로 계산할 수 있고, t4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75 - 10 * (1 + 0.5) = 60로 계산할 수 있고, t8 시점의 혜택 포인트를 50 - 10 * (1 + 0.5) = 35로 계산할 수 있다.
도 19의 예시에 따른 제6 가중치는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은 제4, 제5 및 제6 가중치를 적용하여 혜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혜택 포인트 P, 기존 혜택 포인트 Q, 감산 포인트 b, 제4 가중치 k4, 제5 가중치 k5, 제6 가중치 k6에 대하여, K4, k5, k6은 0 이상 1 이하이고, 수학식 P = Q - b * (1 + k4) * (1 + k5) * (1 + k6)를 만족할 수 있다.
즉, 도 20의 사례는 도 16 내지 도 19의 제4 가중치, 제5 가중치, 제6 가중치를 동시에 적용한 실시 예이며, 각 가중치를 적용하는 조건을 개별적으로 판별하고, 각 시점에 판별된 가중치를 수학식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자동차의 규정 위반의 양상에 대응하는 혜택 포인트 차감이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4, 제5 및 제6 가중치가 적용되는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로써, 제어부는 2번 연속 규정을 위반한 경우 제4 가중치를 0.3로 설정할 수 있고 3번 연속 규정을 위반한 경우 제4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번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4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4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규정을 위반한 서로 다른 지역이 2곳인 경우 제5 가중치를 0.3로 설정할 수 있고, 규정을 위반한 서로 다른 지역이 3곳인 경우 제5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고, 규정을 위반한 서로 다른 지역이 4곳인 경우 제5 가중치를 0.7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한곳에서만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5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5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에 규정을 위반한 경우 제6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동차가 혼잡 시간대가 아닌 때에 규정을 위반한 경우에는 별도로 제6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거나 제6 가중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1에 따르면, 자동차는 t2, t3, t4, t7, t8 시점에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t3, t8 시점에 2번 연속 규정 위반, t4 시점에 3번 연속 규정 위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3, t8 시점에 제4 가중치를 0.3로 설정하고 t4 시점에 제4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t3, t3 시점에 두번째 지역(B)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t7 시점에 세번째 지역(C)에서 규정을 위반하고, t8 시점에 네번째 지역(D)에서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3, t4 시점에 제5 가중치를 0.3로 설정하고 t7 시점에 제5 가중치를 0.5로 설정하고 t8 시점에 제5 가중치를 0.7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 따르면, 혼잡 시간대는 t3 내지 t5 및 t8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t3, t4, t8 시점에 제6 가중치를 0.5로 설정할 수 있다. 규정 준수에 따라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수식이 P = Q - b * (1 + k4) * (1 + k5) * (1 + k6)이고, 최초의 혜택 포인트가 50포인트인 경우, t1 내지 t8에서의 혜택 포인트는 각각 200, 190, 164.65, 135.4, 135.4, 135.4, 120.4, 87.25인 것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22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가중치를 적용하여 혜택 포인트를 계산하는 처리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차의 규정 준수 또는 위반의 양상에 따른 세부적인 혜택 포인트의 조절이 가능하다.
가산 포인트 및 감산 포인트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식은 전술한 사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가중치의 적용 수학식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0 이상 실수 k1, k2, k3, k4, k5, k6에 대하여,
P = Q + a * k1
P = Q + a * k2
P = Q + a * k3
P = Q - b * k4
P = Q - b * k5
P = Q - b * k6
P = Q + a * k1 * k2 * k3
P = Q - b * k4 * k5 * k6
를 만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2를 통해 도시된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은 어린이 보호 구역뿐만 아니라 보행자와 자동차가 공존하는 도로 인근, 횡단보도 등의 일반적인 장소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혜택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교통 안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혜택 포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경품의 추첨에 응모할 수 있고, 추첨을 통해 당첨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할 수 있어, 운전자인 당첨자에게 교통 법규 준수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도록 격려/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경품 추첨에 응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자동적 보상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에게 교통 법규 준수 여부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혜택 포인트의 증가 및 감소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조건에 따른 혜택 포인트의 가산 및 감산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교통 법규 준수의 양상에 따른 보상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어린이인 보행자를 인식하고, 어린이의 존재 여부를 다양한 강조 효과를 통해 주변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로에서의 어린이의 교통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 예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어부
200 : 영상 촬영부
300 : 저장부
400 : 출력부
500 : 통신부

Claims (33)

  1.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영부;
    외부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추첨에 응모하고,
    추첨 일시에 각 응모 대상 경품마다 기 설정된 수만큼의 당첨자를 추첨하고,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혜택 포인트가 기 설정된 추첨 지원 가능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응모 대상 경품에 응모할 수 있음을 알리는 응모 가능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경품에 응모한 경우,
    혜택 포인트에서 경품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인 응모 포인트를 차감하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응모한 경품에 관한 정보, 추첨 일시에 관한 정보, 차감된 혜택 포인트의 내역에 관한 정보, 응모 포인트의 차감에 따른 잔여 혜택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자동으로 응모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의 응모에 필요한 포인트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응모 대상 경품에 응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모 대상 경품은 상품 교환권 또는 주차권 또는 특정 지역에서 결제 가능한 화폐 또는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각 응모 대상 경품 마다 응모에 필요한 응모 포인트가 개별적으로 설정되고,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복수의 응모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쇄 포인트만큼 주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 및 혜택 포인트의 변화에 기초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안내 메시지에 규정을 준수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규정 준수에 따라 증가된 혜택 포인트, 총 혜택 포인트, 규정을 준수한 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하였음을 나타내는 텍스트, 규정 위반에 따라 감소된 혜택 포인트, 총 혜택 포인트, 규정을 위반한 회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방향, 운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초기화 시키고, 기 설정된 페널티 기간 동안 혜택 포인트가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의 속도 규정을 위반하였거나,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제한 속도에 기 설정된 초과 한계 속도를 더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주행한 경우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어린이 보호 구역에 교통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등이 존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도로의 교통 신호를 관제하는 기관으로부터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도로의 차선 및 정지선을 식별하고,
    상기 어린이 보호 구역의 교통 신호가 정지 신호일 때 자동차인 객체가 정지 신호를 위반하거나 정지선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어린이 보호 구역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정차하는 경우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1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1 가중치 한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2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2 가중치 한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상기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보행자의 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하는 경우 상기 가산 포인트에 제3 가중치를 적용하되,
    혜택 포인트 P, 기존 혜택 포인트 Q, 가산 포인트 a, 제1 가중치 k1, 제2 가중치 k2, 제3 가중치 k3에 대하여,
    k1, k2, k3은 0 이상 1 이하이고,
    수학식 P = Q + a * (1 + k1) * (1 + k2) * (1 + k3)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4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4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4 가중치 한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되,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서로 다른 지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5 가중치도 증가하고, 상기 제5 가중치의 최대 값이 기 설정된 제5 가중치 한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람인 객체의 수 및 상기 사람인 객체가 인식된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보행자의 수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자의 수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혼잡 시간대로 설정하고,
    상기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4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5 가중치를 적용하고,
    혼잡 시간대에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상기 감산 포인트에 제6 가중치를 적용하되,
    혜택 포인트 P, 기존 혜택 포인트 Q, 감산 포인트 b, 제4 가중치 k4, 제5 가중치 k5, 제6 가중치 k6에 대하여,
    K4, k5, k6은 0 이상 1 이하이고,
    수학식 P = Q - b * (1 + k4) * (1 + k5) * (1 + k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인 객체가 어린이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교통 안전 정보에 인근에 어린이가 있으므로 운전시 주의를 촉구하는 텍스트를 포함시키며,
    상기 출력부의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강조 효과를 적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규정 위반 단계 정보를 판별하되,
    상기 규정 위반 단계 정보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고,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정도가 심할수록 상위 단계의 규정 위반 단계 정보가 할당되며,
    규정 위반 단계 정보의 단계가 높을수록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적용되는 강조 효과의 가짓수가 증가하고,
    상기 강조 효과는,
    색상 반전 효과, 출력 텍스트 또는 이미지 크기의 증가,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점멸 빈도 수 증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26.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저장부가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 사용자에게 부여된 가상의 점수인 혜택 포인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영상 촬영부가 영상을 촬영하여 감지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인식된 객체 중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번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속도 또는 방향 또는 주행 여부에 관한 정보인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준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량 번호 정보, 상기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규정 준수 여부에 기초하여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출력부를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혜택 포인트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가산 포인트만큼 증가시키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 규정을 준수한 지역, 규정을 준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대상 경품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추첨에 응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추첨 일시에 각 응모 대상 경품마다 기 설정된 수만큼의 당첨자를 추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당첨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에 당첨된 경품에 관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차인 객체의 규정 준수 여부 및 혜택 포인트의 변화에 기초하여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규정을 위반한 자동차의 차량 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 정보의 혜택 포인트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자동차인 객체가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혜택 포인트를 기 설정된 감산 포인트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산 포인트에 상기 자동차인 객체가 연속적으로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 규정을 위반한 지역, 규정을 위반한 시간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이미지 및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 영상 정보로부터 배경과 분리된 사람인 객체를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객체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안전 정보에 인근에 어린이가 있으므로 운전시 주의를 촉구하는 텍스트를 포함시키고,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의 광 출력 수단을 통해 상기 교통 안전 정보를 출력할 때 상기 자동차인 객체의 차량 운행 정보에 기초하여 강조 효과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32. 삭제
  33. 삭제
KR1020200138450A 2020-10-23 2020-10-23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50A KR102247053B1 (ko) 2020-10-23 2020-10-23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50A KR102247053B1 (ko) 2020-10-23 2020-10-23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053B1 true KR102247053B1 (ko) 2021-05-03

Family

ID=7591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450A KR102247053B1 (ko) 2020-10-23 2020-10-23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76B1 (ko) * 2022-10-05 2023-01-13 (주)지앤티솔루션 어린이 보호 구역의 차량 관리를 위한 교통 안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49A (ko) * 2009-01-12 2010-07-21 윤석환 핸드폰번호와 객체번호를 이용한 씨알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31995B1 (ko) * 2010-08-16 2011-05-02 (유)티에스산업개발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KR20130009125A (ko) * 2011-07-14 2013-01-23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안전 운전 유도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30015193A (ko) * 2011-08-02 2013-02-13 정택현 안전 운전 제공 방법 및 안전 운전 제공 서버
KR101600662B1 (ko) * 2013-06-26 2016-03-08 박흥수 도로표지판을 활용한 안전운전 유도시스템 및 안전운전 유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49A (ko) * 2009-01-12 2010-07-21 윤석환 핸드폰번호와 객체번호를 이용한 씨알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31995B1 (ko) * 2010-08-16 2011-05-02 (유)티에스산업개발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KR20130009125A (ko) * 2011-07-14 2013-01-23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안전 운전 유도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30015193A (ko) * 2011-08-02 2013-02-13 정택현 안전 운전 제공 방법 및 안전 운전 제공 서버
KR101600662B1 (ko) * 2013-06-26 2016-03-08 박흥수 도로표지판을 활용한 안전운전 유도시스템 및 안전운전 유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76B1 (ko) * 2022-10-05 2023-01-13 (주)지앤티솔루션 어린이 보호 구역의 차량 관리를 위한 교통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913B1 (ko) 딥러닝 기반의 객체인식을 이용한 객체별 맞춤 정보제공 안내전광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2683A (ko) 스마트 운전 제어 방법 및 장치, 차량, 전자 기기, 매체, 제품
IL247502A (en) Traffic information system
CN108357496A (zh) 自动驾驶控制方法及装置
US9652981B2 (en) Method for systematically penalizing drivers who fail to stop at a crosswalk
CN101612925B (zh) 确定驾驶注意值的方法
KR102247053B1 (ko) 어린이 보호 구역을 위한 교통 안전 정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4863718B (zh) 控制装置、方法以及记录有程序的非临时性计算机可读介质
KR102107791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KR102549508B1 (ko) 골목길 교차로 신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34825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되는 안전 운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582239A (zh) 一种违章监控方法和装置
KR101600662B1 (ko) 도로표지판을 활용한 안전운전 유도시스템 및 안전운전 유도방법
JP6977234B6 (ja) 運転ポイント運用システム
US20210114586A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parking detection
JP3686943B2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590551B1 (ko) 순찰 차량 주행 경로 생성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
WO2016206788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parking locations and a vehicle equipped with such system
KR102435442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제한속도 가변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07743B1 (ko) 스쿨존 내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 방지 통합 시스템
Agarwal et al. Components, Technologies, and Market of Road Traffic Management System in Global Scenarios: A Complete Study
CN108230687B (zh) 一种交通冲突区域的精细化车辆行为管理方法及系统
KR20200017279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안전운행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87140B1 (ko) 안전운전 인센티브 시스템 및 안전운전 검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