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35B1 -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535B1
KR102246535B1 KR1020140136673A KR20140136673A KR102246535B1 KR 102246535 B1 KR102246535 B1 KR 102246535B1 KR 1020140136673 A KR1020140136673 A KR 1020140136673A KR 20140136673 A KR20140136673 A KR 20140136673A KR 102246535 B1 KR102246535 B1 KR 102246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put
butt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185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5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기능이 할당된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정보를 입력받는 기어단입력부,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응급신호 송출부 및 상기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기어단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신호 송출부를 통해 상기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V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호출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은 차량 내의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을 통합하여 구성된 시스템으로서, 라디오, CD(Compact Disk) 등의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과 같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AVN 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AV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AVN 시스템에 구비된 버튼은 그 기능이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버튼 배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버튼의 기능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버튼을 활용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50469호(2014.04.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능변경이 가능한 버튼을 통해 비상호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은 각각의 기능이 할당된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정보를 입력받는 기어단입력부;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응급신호 송출부; 및 상기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기어단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신호 송출부를 통해 상기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읽어 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은 상기 버튼부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변경모드 및 기능변경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버튼부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 와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 판단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속도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기어단입력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주차(P) 및 중립(N)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저장부로부터 상기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읽어 온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버튼부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변경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 와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속도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응급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차량의 사고 상황에서 빠른 구조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기능변경모드를 통해 각 버튼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에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버튼부의 기능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에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은 제어부(100), 버튼부(110), 차속센서(120), 기어단입력부(130), 응급신호 송출부(140), 저장부(150), 입력부(160) 및 표시부(170)를 포함한다.
버튼부(110)는 사용자로부터 AV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선택을 입력받는다. 버튼부(110)에는 복수개의 버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버튼에는 AV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차속센서(120)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속센서(120)는 트랜스미션 출력축의 회전을 검출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어단입력부(130)는 차량의 변속장치로부터 기어단수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차량의 변속장치는 변속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트랜스미션제어유닛(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등을 포함하여, 차량의 기어단수를 기어단입력부(130)로 보낼 수 있다.
응급신호 송출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센터로는 119 안전신고센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급신호 송출부(140)는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장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응급신호를 안전센터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응급신호를 송출할 안전센터의 전화번호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설정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안전센터로 응급신호가 송출 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AVN 시스템의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플래시(Flash)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모드 및 기능변경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변경모드는 버튼부(150)의 기능 즉,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이다. 또한 기능변경 설정은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을 의미한다. 입력부(160)는 버튼부(11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표시부(170)와 일체로 구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버튼부(110)의 기능 즉,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버튼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차속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예 : 1초) 이내에 일정속도(예: 1kph)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차속센서(120)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기어단입력부(130)를 통해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차량이 정상적으로 감속하였다고 볼 수 있는 시간의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일정속도는 차량이 정지하였다고 볼 수 있는 속도의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이 급속도로 감속한 경우, 차량이 정상적으로 감속될 수 없는 시간 안에 차량의 기어단이 주차나 중립으로 변경된 경우, 차속신호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사고 상태 즉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차량의 기어단이 주차(P) 및 중립(N)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예 : 10kph) 이상이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속도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차속의 기준으로,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응급신호 송출부(140)를 통해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사고 시,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모두는 원래 할당된 기능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응급신호 송출을 위한 기능으로 변경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차량의 사고 시, 운전자, 탑승객 등 사용자는 버튼부(110)에 포함된 어떠한 버튼을 조작하더라도 그 즉시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00)는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저장부(150)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읽어 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100)는 응급신호 송출을 위한 기능이 아니라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예 : 블루투스 모드 작동, FM 라디오 동작 등)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면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저장부(150)로부터 읽어 와서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능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복수개의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표시하여 각 버튼에 어떠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변경하는 설정을 입력하면 입력된 설정에 따라 해당 버튼의 기능을 저장부(150)에 저장하여 변경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버튼부(110)에 포함된 버튼들의 기능을 선호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버튼부의 기능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버튼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을 감지한다(S200). 버튼부(110)에는 복수개의 버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버튼에는 AV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각각 할당되어 있다.
상기 단계(S200)의 감지결과,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었으면, 제어부(100)는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21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예 : 1초) 이내에 일정속도(예: 1kph)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차속센서(120)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기어단입력부(130)를 통해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차량의 기어단이 주차(P) 및 중립(N)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예 : 10kph) 이상이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속도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볼 수 있는 차속의 기준으로,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10)의 판단결과,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한다(S220). 여기서 안전센터로는 119 안전신고센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즉 차량의 사고 시,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모두는 원래 할당된 기능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응급신호 송출을 위한 기능으로 변경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차량 사고 시, 사용자는 버튼부(110)에 포함된 어떠한 버튼이든 눌러서 119 안전신고센터 등으로 차량의 사고를 알릴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S210)의 판단결과,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저장부(150)로부터 읽어온다(S230). 즉 저장부(150)에는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AVN 시스템의 기능이 저장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에서 읽어 온 기능을 수행한다(S240). 즉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100)는 응급신호 송출을 위한 기능이 아니라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예 : 블루투스 모드 작동, FM 라디오 동작 등)을 수행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의 기능 변경을 위해, 제어부(100)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300). 여기서 기능변경모드는 버튼부(150)의 기능 즉,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단계(S300)의 감지결과,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었다면, 제어부(100)는 저장부(150)로부터 버튼부(110)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 와서 표시한다(S310).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면 복수개의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표시하여 각 버튼에 어떠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는지 감지한다(S320). 여기서 기능변경 설정은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S320)의 감지결과,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었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320)에서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능을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330). 즉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변경하는 설정을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설정에 따라 해당 버튼의 기능을 저장부(150)에 저장하여 변경한다.
반면 상기 단계(S320)의 감지결과,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310)로 회귀하여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 표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기능변경 설정 입력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응급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차량의 사고 상황에서 빠른 구조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기능변경모드를 통해 각 버튼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 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버튼부
120: 차속센서
130: 기어단입력부
140: 응급신호 송출부
150: 저장부
160: 입력부
170: 표시부

Claims (10)

  1. 각각의 기능이 할당된 복수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차속센서;
    상기 차량의 변속장치로부터 차량의 기어단정보를 입력받는 기어단입력부;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응급신호 송출부; 및
    상기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기어단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응급신호 송출부를 통해 상기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읽어 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변경모드 및 기능변경 설정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버튼부의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능변경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 와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 판단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속도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속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기어단입력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주차(P) 및 중립(N)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
  6. 제어부가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저장부로부터 상기 입력이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읽어 온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변경모드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버튼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버튼 각각에 할당된 기능을 읽어 와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기능변경 설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설정에 따라 변경된 기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속도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주차(P) 및 중립(N) 중 어느 하나에도 해당하지 않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이면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어부가 버튼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차량의 속도 및 기어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미리 정해진 안전센터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긴급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일정시간 이내에 일정속도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기어단이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주차(P)나 중립(N)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가 측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차량의 기어단정보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이 긴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AVN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136673A 2014-10-10 2014-10-10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46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73A KR10224653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673A KR10224653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85A KR20160043185A (ko) 2016-04-21
KR102246535B1 true KR102246535B1 (ko) 2021-05-03

Family

ID=5591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673A KR10224653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5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94B1 (ko) 2009-04-17 2011-10-26 (주)이노시뮬레이션 차량 위험운전 판단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10B1 (ko) * 2000-08-24 2002-08-07 계관호 비상시 차량위치 자동통보장치 및 그 방법
KR100394091B1 (ko) * 2000-09-09 2003-08-09 심갑종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20120022284A (ko) * 2010-09-01 2012-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moled디스플레이 버튼을 갖는 오디오 및 avn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94B1 (ko) 2009-04-17 2011-10-26 (주)이노시뮬레이션 차량 위험운전 판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185A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3620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プログラム
JP6074150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プログラム
EP2945052B1 (en) Voice recognition device, voice recognition progra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KR102340356B1 (ko) 자동주차제어장치 및 자동주차제어방법
US2015034833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questing emergency call for vehicle accident by using travell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JP6058654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US20120221188A1 (en) Vehicle hmi replacement
US10023051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370193B2 (ja) 電子装置、システムおよび動作モード選択プログラム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6413380B2 (ja) 車両用表示装置
GB2502586B (en) Method for an in-vehicle apparatus, an in-vehicle apparatus and a vehicle
US20140368475A1 (en) In-vehicle multimedia unit with interface for portable device
JP2012121520A (ja) 車載装置及びキー識別方法
KR102246535B1 (ko) 차량의 av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237843B2 (en) Vehicle-mounted apparatus
KR20140014718A (ko)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JP5838359B2 (ja) 無線通信制御装置および車載音響装置
JP504054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70064152A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TW202022570A (zh) 使用者介面整合方法和車載裝置
JP2012027538A (ja) 電子機器
KR1024852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260928B1 (ko) 진단 및 사양 변경기능이 구비된 클러스터 장치
KR20140098383A (ko) 외부기기와 차량 avn 간의 연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