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10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510B1
KR102246510B1 KR1020200089379A KR20200089379A KR102246510B1 KR 102246510 B1 KR102246510 B1 KR 102246510B1 KR 1020200089379 A KR1020200089379 A KR 1020200089379A KR 20200089379 A KR20200089379 A KR 20200089379A KR 102246510 B1 KR102246510 B1 KR 10224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ctuator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metal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KR1020200089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510B1/ko
Priority to TW110201718U priority patent/TWM613600U/zh
Priority to CN202120370391.1U priority patent/CN214411574U/zh
Priority to JP2021000618U priority patent/JP3231916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장착부와 케이블 안착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안착면으로 노출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터미널; 상기 접속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안착면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메탈쉘;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힌지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메탈쉘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3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케이블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는 다수의 전자소자들이 구비되며, 상호 이격 배치된 전자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연질의 연성 평탄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연성 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연성 평탄 케이블 및 연성 인쇄회로(이하, '케이블'이라 통칭함)는 케이블 단부에 다수의 단자가 폭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케이블은 회로기판에 실장된 커넥터에 탈거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커넥터를 매개로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의 일 예로서, 터미널(12)에서의 신호 반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에서의 임피던스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는 회로기판(2)에 실장되며, 삽입된 케이블(1)과 접속되어 케이블(1)과 회로기판(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10)는 하우징(1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터미널(12),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1)을 터미널(12)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액추에이터(13), 그리고 하우징(11)을 회로기판(2) 상에 고정시키는 피팅 네일(14)을 포함한다.
터미널(12)은 후단에 회로기판(2)에 실장되는 솔더링부(12a)를 구비하고, 솔더링부(12a)의 전방에 케이블(1)의 단자와 접촉되는 하부암(12b)과 액추에이터(13)의 회전축(13a) 일부를 감싸는 상부암(12c)으로 분기된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액추에이터(13)의 지지 및 회전 가이드를 위하여, 일부 터미널의 상부암은 회전축(13a)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다른 터미널의 상부암은 회전축(13a)의 다른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터미널(12)에서는 상술한 분기된 구조로 인하여 신호의 반사 현상(내지는 신호의 와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2)에서 터미널(12)을 통하여 케이블(1)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솔더링부(12a)를 통하여 터미널(12)로 유입된 신호의 일부는, 하부암(12b)을 통하여 곧바로 케이블(1)로 전송되지 못하고, 상부암(12c)을 거치면서 신호 반사를 일으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신호의 반사 현상으로 인하여 전기 커넥터(10)에서의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된 구조에 의한 신호의 반사 현상은 신호의 고속 전송을 방해하여, 분기된 형태의 터미널(12)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는 고속 전송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미널(12)이 상부암(12c)을 구비하지 않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3)의 지지 및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신호 반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액추에이터(13)의 지지 및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커넥터(10)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케이블(1)과 터미널(12)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서는, 액추에이터(13)가 케이블(1)을 최대한 균일하게 가압해야 한다. 기존에는 일부 터미널(12)의 상부암(12c)이 액추에이터(13)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액추에이터(13)가 군데군데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술한 신호의 반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암(12c)이 없는 터미널(12)을 적용하게 되면, 액추에이터(13)가 케이블(1)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없어서, 케이블(1)과 터미널(12)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조립자는 통상적으로 전기 커넥터(10)를 아래로 내려다보며 케이블(1) 삽입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액추에이터(13)가 열린 상태에서 케이블(1)의 삽입 위치를 가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전기 커넥터(10)의 상측에서는 액추에이터(13)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조립자가 전기 커넥터(10)를 비스듬히 바라보거나 측방향에서 바라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조립자의 조립 실수 등으로 인하여 케이블(1)이 전기 커넥터(10)에 덜 삽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블(1)의 단자부와 터미널(12)의 접속부가 정위치에서 접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1)의 불완전한 삽입이 액추에이터(13)의 동작에 의해 보정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75395호(2013.09.0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전기 커넥터를 통하여 케이블과 회로기판 사이에 신호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분기된 형상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신호의 반사가 방지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술한 첫 번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커넥터가 액추에이터의 지지 및 회전을 위한 새로운 구조를 구비하더라도, 케이블이 접속부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조립자가 특정 위치에서, 케이블이 수용부의 정위치에 삽입되는지와, 액추에이터가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케이블이 수용부에 덜 삽입되더라도, 케이블과 터미널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미널 장착부와 케이블 안착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안착면으로 노출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터미널; 상기 접속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안착면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메탈쉘;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힌지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메탈쉘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3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메탈쉘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의 양측에는 상기 유동힌지부가 삽입되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부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동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상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힌지부의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힌지부는, 상기 슬롯부에 삽입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다른 하나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하나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탈쉘은, 상기 케이블 안착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바디의 후단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벤딩된 형태로 연장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접속부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메탈쉘은 상기 삽입부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메탈쉘의 전단부를 덮지 않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터미널 장착부와 케이블 안착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안착면으로 노출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터미널; 상기 접속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안착면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메탈쉘;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힌지부;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동힌지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 시에 상기 수용부에 삽입 또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슬롯부는, 상기 유동힌지부가 삽입되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유동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상면과 하면에서 전방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간을 한정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힌지부는, 상기 유동공간 내에 배치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동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록킹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걸림돌기의 후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블 삽입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 가이드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슬라이드 이동 시에 상기 홈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홈에 걸림되어 상기 케이블을 푸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삽입 가이드는 상기 삽입부의 저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 안착면에는 상기 케이블 삽입 가이드가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서 액추에이터는 수용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슬롯부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기존의 터미널에서 액추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던 부분이 삭제되어, 터미널이 신호의 전달을 위한 부분만 구비하는 단일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커넥터에서 신호가 반사되는 현상과, 이에 따른 임피던스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고속 전송용으로도 무리없이 이용될 수 있다.
둘째, 액추에이터가 제3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메탈쉘이 수용부에 삽입된 삽입부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삽입부가 케이블을 접속부를 향해 가압하여, 케이블이 접속부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셋째, 제1위치의 액추에이터는 상측에서 메탈쉘의 전방측이 보이도록 뒤로 젖혀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조립자는 전기 커넥터의 상측에서 케이블이 수용부의 정위치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통하여 유동 힌지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조립자는 전기 커넥터의 상측에서 액추에이터가 제2위치에서 제3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케이블이 수용부에 덜 삽입되더라도,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케이블 양측의 홈에 삽입된 케이블 삽입 가이드가 케이블을 수용부로 끌고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수용부의 정위치로 이동되어 터미널과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일 예로서, 터미널에서의 신호 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서의 임피던스를 보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구성들을 분해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액추에이터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을 위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액추에이터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b)에 도시된 B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라인 C-C'를 따라 절단하여,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3은 도 8의 (b)에 도시된 D 부분의 저부에서,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라인 E-E'를 따라 절단하여, 액추에이터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00)는 회로기판(2)과 케이블(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기 커넥터(100)는 회로기판(2)에 실장되며, 액추에이터(140)가 열린 상태에서 케이블(1)의 단부가 전기 커넥터(100)에 삽입된 후, 액추에이터(140)가 닫히면 케이블(1)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1a)와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전기 커넥터(10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2)은 리지드한 재질의 회로기판(2)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재질의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커넥터(100)가 리지드한 회로기판(2)에 실장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커넥터(100)는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케이블(1)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0)의 구성들을 분해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40)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을 위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앞선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터미널(120), 메탈쉘(130) 및 액추에이터(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미널(120)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하우징(110)은 전기 커넥터(100)의 몸체를 이룬다. 하우징(110)은 일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하우징(110)은 복수의 터미널(120) 각각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비 전도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에는 터미널 장착부(111)와 케이블 안착면(112)이 형성된다.
터미널 장착부(111)는 하우징(110)의 후면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터미널(120)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터미널 장착부(111)는 복수의 터미널(120) 각각이 장착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며, 이러한 복수의 터미널 장착부(111)는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케이블 안착면(112)은 케이블(1)의 단부가 안착되는 면을 이룬다. 케이블 안착면(112)은 하우징(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케이블 안착면(112) 내에는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연장된 터미널 장착부(111)의 일부가 위치한다. 상기 터미널 장착부(111)의 일부는 케이블 안착면(112)에서 리세스된 형태를 가진다.
터미널 장착부(111)에 장착된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는 케이블 안착면(112)으로 노출된다. 상기 접속부(122a)는 케이블(1)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1a)와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케이블 안착면(112)보다 돌출되게 배치된다.
터미널(120)은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터미널 장착부(111)에 장착된다. 터미널(120)은 솔더링부(121) 및 연장부(122)를 구비한다.
솔더링부(121)는 하우징(110)의 후면부 뒤에 위치하며, 회로기판(2)에 솔더링된다.
연장부(122)는 솔더링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터미널 장착부(111)에 삽입된다. 연장부(122)는 분기됨이 없이 싱글 암 형태로 연장된다. 연장부(122)는 터미널 장착부(111)에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연장부(122)는 케이블 안착면(112) 상에서 돌출되는 접속부(122a)를 구비한다. 접속부(122a)는 케이블(1)의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1a)와의 접속을 위하여 벤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탈쉘(130)은 접속부(122a)를 덮도록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케이블 안착면(112)과의 사이에서 수용부(113)를 형성한다. 메탈쉘(130)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재질(STS, SUS)로 형성될 수 있다.
메탈쉘(130)은 바디(131) 및 고정부분(132, 133)을 포함한다.
바디(131)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케이블 안착면(112)을 덮도록 배치된다. 바디(131)와 케이블 안착면(112) 사이의 공간은 후술하는 액추에이터(140)의 삽입부(143)와 케이블(1)이 삽입되는 수용부(113)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분(132, 133)은 바디(131)에서 연장 내지는 돌출되며,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메탈쉘(130)을 하우징(110)에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분(132, 133)은 제1고정부(132)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132)는 바디(13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제1고정부(132)는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제1부분(132a)과 회로기판(2)에 실장되는 제2부분(132b)을 구비한다.
제1부분(132a)은 바디(131)의 양측에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되며, 수용부(113)의 외측에 위치하는 홀(114)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114)은 수용부(113)와 후술하는 개구부(117) 사이에 위치한다.
제1부분(132a)에는 홀(114)에 형성된 걸림턱(114a)에 끼워지는 걸림부(132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턱(114a)은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걸림부(132a')는 걸림턱(114a)에 대응하여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리세스된 형태를 가진다.
걸림부(132a')를 형성하는 제1부분(132a)의 일변에는 고정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는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132a')가 걸림턱(114a)에 끼워지면 걸림턱(114a)에 꽃혀서 걸림부(132a')가 걸림턱(114a)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2부분(132b)은 제1부분(132a)에서 벤딩되어 하우징(110)의 저면으로 노출되며, 회로기판(2)에 실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부분(132b)은 수용부(113)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부분(132b)은 수용부(113)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제2부분(132b)의 일부는 홀(114)에 인접한 개구부(117)와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분(132, 133)은 제2고정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133)는 바디(13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된 제1고정부(132) 사이에 위치하며, 바디(131)의 후단측에서 돌출되어 하우징(110)에 삽입된다. 제2고정부(133)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부(13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하우징(110)에는 제2고정부(133)가 끼워질 수 있는 홀(1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후벽에 복수의 홀(115)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홀(115)은 터미널 장착부(111)의 상측에 위치한다.
이처럼 메탈쉘(130)이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수용부(113)를 형성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40)가 수용부(113)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0)의 상부를 균일하게 가압하는 구조가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만일, 하우징(110)을 연장하여 메탈쉘(130) 부분을 형성한다면, 메탈쉘(130)과 같은 정도로 액추에이터(140)의 상부를 균일하게 가압하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메탈쉘(130) 부분의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져야 한다. 따라서, 메탈쉘(130)을 이용한 본 구조에 의하면, 높이 제약 하에서 접점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는 슬림한 전기 커넥터(100)가 구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40)는 하우징(110)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 시에 수용부(113)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액추에이터(140)는 비 전도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는, 삽입부(143)가 메탈쉘(130)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Ⅰ)와, 삽입부(143)가 수용부(11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Ⅱ)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액추에이터(140)는, 상기 제2위치(Ⅱ)와, 삽입부(143)가 수용부(113)에 삽입되는 제3위치(Ⅲ)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액추에이터(140)가 제1위치(Ⅰ)에 위치할 때 액추에이터(140)는 열린 상태에 해당하고,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위치할 때 액추에이터(140)는 닫힌 상태에 해당한다.
액추에이터(140)는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 시에는 회전 후 슬라이드 이동되며,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 시에는 슬라이드 이동 후 회전된다.
상기 열린 상태에서는 케이블(1)이 수용부(113)에 삽입되어 케이블 안착면(112)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닫힌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140)의 일부(삽입부(143))가 수용부(113)에 삽입되어 케이블(1)이 케이블 안착면(112) 상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는 케이블(1)의 단자부(1a)와 접속된다.
액추에이터(140)는 베이스부(141), 유동힌지부(142) 및 삽입부(143)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41)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유동힌지부(142)는 베이스부(141)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위하여,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슬롯부(116)가 하우징(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삽입부(143)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유동힌지부(142) 사이의 베이스부(141)에서 돌출되며, 슬라이드 이동 시에 수용부(113)에 삽입 또는 상기 수용부(113)로부터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단면을 취하여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다.
위의 각 도면의 (a)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가 제1위치(Ⅰ)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용부(113)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상태에 놓인다. 즉, 케이블(1)이 수용부(113) 내로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가 제1위치(Ⅰ)에 위치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0)는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으로 메탈쉘(130), 구체적으로 바디(131)의 전단부를 덮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제1위치(Ⅰ)의 액추에이터(140)는 상측에서 메탈쉘(130)의 전방측이 보이도록 뒤로 젖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액추에이터(140),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41)는 메탈쉘(130)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메탈쉘(130)은 액추에이터(140),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41)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도 7의 (a)와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의 유동힌지부(142)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후술하는 제1 및 제2연장부(116a, 116b)가 힌지축부(142a)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베이스부(141)에 연결된다.
상기 배치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100)를 아래로 내려다보며 케이블(1)을 전기 커넥터(100)에 연결하는 조립자의 시야가 액추에이터(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자는 전기 커넥터(100)의 상측에서 케이블(1)이 수용부(113)의 정위치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케이블(1)이 수용부(113) 내의 정위치로 삽입되면, 케이블(1)은 케이블 안착면(112) 상에 위치하며, 케이블(1)의 단자부(1a)는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와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그러나 단자부(1a)가 접속부(122a) 상에 안착된 것에 불과하여 통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메탈쉘(130), 구체적으로 바디(131)는 하우징(110)의 두께 방향으로 접속부(122a)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9의 (c)를 참조하면, 메탈쉘(130)의 바디(131), 액추에이터(140)의 삽입부(143), 케이블(1)의 단자부(1a) 및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는 전기 커넥터(100)의 두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이는 바디(131)가 삽입부(143)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여 단자부(1a)가 접속부(122a)에 견고하게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제1위치(Ⅰ)에 위치하는 액추에이터(140)는 회전에 의해 제2위치(Ⅱ)로 이동된다.
위의 각 도면의 (b)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가 제2위치(Ⅱ)에 위치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0)는 수용부(113)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액추에이터(140)의 삽입부(143)는 케이블(1)을 덮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삽입부(143)는 전기 커넥터(100)의 두께 방향으로 케이블(1)의 단자부(1a) 및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와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3)와 메탈쉘(13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생긴 틈으로 케이블(1)의 일부가 노출된다.
아울러, 도 7의 (b)와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의 유동힌지부(142)는 슬롯부(116)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후술하는 제1 및 제2연장부(116a, 116b)가 힌지축부(142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141)에 연결된다.
제2위치(Ⅱ)에 위치하는 액추에이터(140)는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제3위치(Ⅲ)로 이동된다.
위의 각 도면의 (c)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위치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0)의 삽입부(143)는 수용부(113)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143)가 케이블(1)을 접속부(122a)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메탈쉘(130)은 삽입부(143)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삽입부(143)가 수용부(113)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삽입부(143)는 케이블(1)을 케이블 안착면(112)에 밀착시키고, 이 과정에서 케이블(1)의 단자부(1a)는 케이블 안착면(112)에서 노출되는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와 접촉된다. 이때, 메탈쉘(130)이 삽입부(143)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므로, 단자부(1a)와 접속부(122a)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메탈쉘(13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키는 구조, 즉 상술한 고정부분(132)이 메탈쉘(130)의 양측에만 구비될 경우(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132)에 대응), 메탈쉘(130)의 중간 부분에서 삽입부(143)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는 힘이 약하여 단자부(1a)와 접속부(122a) 간의 접속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 커넥터(100)가 길게 연장 형성될수록 더욱 잘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고정부분(133)이 추가적으로 메탈쉘(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된다면(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부(133)에 대응), 메탈쉘(130)의 중간 부분에서도 삽입부(143)의 상측을 강하게 지지하여 단자부(1a)와 접속부(122a) 간의 접속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의 (c)와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의 유동힌지부(142)는 슬롯부(116)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즉, 후술하는 힌지축부(142a)는 슬롯부(116) 내에서 후단부를 향하여 이동된다.
상술한 액추에이터(140)의 동작에서, 삽입부(143)는 케이블(1)의 단자부(1a)와 터미널(120)의 접속부(122a)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한 중요한 구성이다. 삽입부(143)의 동작만을 분리하여 살펴보면, 삽입부(143)는, 액추에이터(140)의 회전에 의해 메탈쉘(130)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Ⅰ)와 수용부(11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Ⅱ) 사이에서 이동되며, 액추에이터(14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위치(Ⅱ)와 수용부(113)에 삽입되는 제3위치(Ⅲ) 사이에서 이동된다.
한편, 삽입부(143)가 수용부(113)에 완전히 삽입되면, 액추에이터(140)가 하우징(110)에 록킹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140)가 반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추에이터(14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는 구조와, 액추에이터(140)의 록킹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도 7의 (b)에 도시된 B 부분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라인 C-C'를 따라 절단하여, 액추에이터(140)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수용부(113)의 양측에는 유동힌지부(142)가 삽입되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부(116)가 구비된다. 슬롯부(116)는 하우징(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슬롯부(116)는 제1연장부(116a), 제2연장부(116b) 및 걸림돌기(116c)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는 하우징(110)의 후방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호 마주하도록 연장되어, 유동힌지부(142)가 삽입되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유동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는 하우징(110)의 후방측 상면과 하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즉,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는 하우징(110)의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는 슬롯부(116)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 변형 예로서,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는 하우징(110)의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는 슬롯부(116)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형성한다.
걸림돌기(116c)는 제1 및 제2연장부(116a, 116b)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측에서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 사이의 유동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간을 한정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공간을 한정한다는 의미는 후술하는 유동힌지부(142)의 힌지축부(142a)의 이동이 걸림돌기(116c)에 의해 제한된다는 의미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연결부(142b, 142c) 각각에서 걸림돌기(116c)가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 변형 예로서, 걸림돌기(116c)는 제1 및 제2연결부(142b, 142c) 중 어느 하나에서만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동힌지부(142)는 힌지축부(142a), 제1연결부(142b) 및 제2연결부(142c)를 포함한다.
힌지축부(142a)는 상기 유동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동공간 내에서 회전 및 상기 유동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연결부(142b)와 제2연결부(142c)는 힌지축부(142a)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베이스부(141)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42b)와 제2연결부(142c)는 하우징(110)의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액추에이터(140)가 제1위치(Ⅰ)와 제2위치(Ⅱ)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에는 슬롯부(116)와 연통되는 개구부(117) 내지는 절개부(118)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113)와 슬롯부(116) 사이에 개구부(117)가 구비되어 제1연결부(142b)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슬롯부(116)의 외측에 절개부(118)가 구비되어 제2연결부(142c)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액추에이터(140)가 제1위치(Ⅰ)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연결부(142c)를 지지하도록, 절개부(118)에는 경사면(118a)이 형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40)가 제1위치(Ⅰ)에 위치한 상태에서, 삽입부(143)는 메탈쉘(130)에 지지되고, 유동힌지부(142)는 경사면(118a)에 지지된다.
한편, 개구부(117)는 제1연결부(142b)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서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제1연결부(142b)의 회전을 위해서 상방으로도 개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142b)는 개구부(117)를 통해서 상측으로 노출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가 제2위치(Ⅱ)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연결부(142b)는 개구부(117)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개구부(117)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1연결부(142b)가 개구부(117)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개구부(117) 내에 빈 공간이 보이게 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연결부(142b)는 개구부(117)의 후단까지 완전히 삽입된다. 따라서, 개구부(117)를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1연결부(142b)가 개구부(117)에 완전히 삽입되어, 개구부(117) 내에 빈 공간이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조립자는 전기 커넥터(100)의 상측에서, 개구부(117)를 통해 보이는 제1연결부(142b)의 위치를 바탕으로, 유동힌지부(142)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설계 변형 예로서, 슬롯부(116)의 외측에는 절개부(118)가 아닌 개구부(11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립자는 상기 개구부(117)를 통해 보이는 제2연결부(142c)의 위치를 바탕으로도, 유동힌지부(142)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계 변형 예로서, 제1연장부(116a)와 제2연장부(116b)가 하우징(110)의 측방향을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 제1연결부(142b)와 제2연결부(142c)는 힌지축부(142a)의 상부와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연결부(142b, 142c)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록킹돌기(142d)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돌기(142d)는 제1연결부(142b)와 제2연결부(142c)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유동힌지부(142)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걸림돌기(116c)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142b)에 록킹돌기(142d)가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 변형 예로서, 록킹돌기(142d)는 제2연결부(142c)에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연결부(142b, 142c) 각각에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140)가 제2위치(Ⅱ)에 위치한 상태에서, 록킹돌기(142d)는 걸림돌기(116c)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40)가 외력을 받아 제3위치(Ⅲ)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 시에, 록킹돌기(142d)는 상기 외력에 의해 걸림돌기(116c)를 넘어가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연장부(116a, 116b) 또는 제1 및 제2연결부(142b, 142c)가 탄성 변형된다.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위치한 상태에서, 록킹돌기(142d)는 걸림돌기(116c)의 후방, 즉 슬롯부(116) 내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케이블(1)이 수용부(113)에 덜 삽입되더라도, 케이블(1)과 터미널(120) 간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8의 (b)에 도시된 D 부분의 저부에서, 액추에이터(140)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라인 E-E'를 따라 절단하여, 액추에이터(140)의 슬라이드 이동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삽입부(143)의 양측에는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가 구비된다.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는 삽입부(143)의 저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액추에이터(140)가 케이블(1)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제2위치(Ⅱ)와 제3위치(Ⅲ)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블(1)의 양측에 형성된 홈(1b)에 삽입된다.
이때, 케이블(1)의 홈(1b)은 케이블(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는 케이블(1)에 형성된 홈(1b)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케이블(1)이 수용부(113)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액추에이터(14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는 케이블(1)의 홈(1b)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1)의 위치는 이동되지 않고,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만 케이블(1)의 홈(1b) 내에서 이동된다.
케이블(1)이 수용부(113)에 덜 삽입된 경우, 액추에이터(140)가 제2위치(Ⅱ)에서 제3위치(Ⅲ)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 시에,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는 케이블(1)의 홈(1b)에 걸림되어 케이블(1)을 수용부(113)를 향하여 푸시하도록 형성된다. 즉, 액추에이터(140)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가 케이블(1)을 수용부(113) 내로 끌고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1)이 수용부(113)의 정위치로 이동되어 터미널(120)과의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블(1)은 수용부(113)에 완전히 삽입되고,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는 홈(1b)의 단부에 접촉된다. 이때,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는 더 이상 케이블(1)을 푸시하지 않는다.
케이블 안착면(112)에는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가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홈(119)이 형성된다. 케이블 삽입홈(119)은 터미널 장착부(111)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위치한 상태에서, 록킹돌기(142d)는 슬롯부(116) 내에 위치하며, 록킹돌기(142d)의 전방에는 걸림돌기(116c)가 위치한다. 따라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록킹돌기(142d)가 걸림돌기(116c)에 걸림되어, 액추에이터(14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는다.
이처럼 액추에이터(140)가 제3위치(Ⅲ)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자의 실수 등으로 의도치 않게 케이블(1)이 당겨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의 홈(1b)이 케이블 삽입 가이드(143a)에 걸림되어, 케이블(1)이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에 의하면 케이블(1)과 전기 커넥터(100) 간의 접속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Claims (10)

  1. 터미널 장착부와 케이블 안착면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터미널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안착면으로 노출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싱글 암 형태의 터미널;
    상기 접속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안착면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메탈쉘;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힌지부와, 상기 수용부에 삽입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메탈쉘은,
    상기 케이블 안착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바디의 후단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벽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메탈쉘 상에 위치하는 제1위치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제3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 중,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바디의 하면과 마주하는 상태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메탈쉘은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메탈쉘의 전단부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이 상기 케이블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제3위치에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접속부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메탈쉘은 상기 삽입부의 상측을 덮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수용부의 양측에는 상기 유동힌지부가 삽입되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롯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동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상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힌지부의 일부가 상측으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힌지부는,
    상기 슬롯부에 삽입되는 힌지축부; 및
    상기 힌지축부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슬롯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중 다른 하나가 회전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하나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벤딩된 형태로 연장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00089379A 2020-07-20 2020-07-20 전기 커넥터 KR10224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79A KR102246510B1 (ko) 2020-07-20 2020-07-20 전기 커넥터
TW110201718U TWM613600U (zh) 2020-07-20 2021-02-09 電連接器
CN202120370391.1U CN214411574U (zh) 2020-07-20 2021-02-10 电连接器
JP2021000618U JP3231916U (ja) 2020-07-20 2021-02-25 電気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79A KR102246510B1 (ko) 2020-07-20 2020-07-20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510B1 true KR102246510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79A KR102246510B1 (ko) 2020-07-20 2020-07-2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20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205A (ko) * 2005-11-25 2007-05-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09206097A (ja) * 2008-02-27 2009-09-10 Mea Technologies Pte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11216422A (ja) * 2010-04-01 2011-10-27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3175395A (ja) * 2012-02-27 2013-09-05 Hosiden Corp コネクタ
KR101658003B1 (ko) * 2016-05-27 2016-09-21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5205A (ko) * 2005-11-25 2007-05-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09206097A (ja) * 2008-02-27 2009-09-10 Mea Technologies Pte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11216422A (ja) * 2010-04-01 2011-10-27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13175395A (ja) * 2012-02-27 2013-09-05 Hosiden Corp コネクタ
KR101658003B1 (ko) * 2016-05-27 2016-09-21 (주)연호엠에스 전기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20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597B1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JP451480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US7179118B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EP0938162B1 (en) Two-part electrical connector
US8128425B2 (en) Cable connector having multiple, mutually independent contact arms
TW504870B (en)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NL2015465B1 (en) Plug connector.
US778969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and slider
US707407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26159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and shield member used therefor
JP373215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20060105621A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KR102246510B1 (ko) 전기 커넥터
US6102727A (en) Connector equipped with a locking member
JP2021064445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2246512B1 (ko) 전기 커넥터
US7390213B2 (en)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JP3396193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3231916U (ja) 電気コネクタ
JP7461857B2 (ja) 電気コネクタ
JP3256782B2 (ja)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
JP4883592B2 (ja) 電気コネクタ
JP479387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21064461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