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199B1 -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199B1
KR102246199B1 KR1020200029498A KR20200029498A KR102246199B1 KR 102246199 B1 KR102246199 B1 KR 102246199B1 KR 1020200029498 A KR1020200029498 A KR 1020200029498A KR 20200029498 A KR20200029498 A KR 20200029498A KR 102246199 B1 KR102246199 B1 KR 10224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liquid substance
pressure
liquid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136A (ko
Inventor
박성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11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3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 B05B15/522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for removal of clogging particles using cleaning elements penetrating th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길이방향의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에 설치되며, 분사 대상 액상물질을 공급하는 액상공급부; 상기 디스펜서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상물질을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가 구비된 노즐; 상기 디스펜서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디스펜서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을 막고 있는 상기 액상물질의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의 에어(air)를 공급하는 에어주입관; 및 상기 압력게이지 및 상기 에어주입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FLUID-MATERIAL EJECTING APPARATUS WITH CLOGG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점도 또는 고점도를 갖는 액상물질을 소정량씩 토출하는 토출장치의 노즐에 대한 막힘 현상 감지하고 신속하게 막힘 현상을 제거하여 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물질 토출장치는 중점도 또는 고점도를 갖는 액상물질을 정량으로 토출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써, 반도체, 광학제품,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몰딩, 접착, 실링 작업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물질 토출장치는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와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노즐을 순간적으로 개방시켜 액상물질을 토출시키는 방식과, 모터와 로터를 이용하여 액상물질이 충전된 통로에서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액상물질을 이송시켜 이송된 액상물질을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광학제품, 가전제품 등의 정밀함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다소 정밀도가 필요한 경우, 상기한 토출 방식 중에서 액상물질의 연속적인 정량 토출을 위해 모터와 로터를 이용하여 액상물질을 토출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액상물질 토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중점도 또는 고점도 액상물질이 충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중점도 또는 고점도 액상물질은 도포 작업 시 상기 액상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입자들이 분해되어 상기 액상물질이 고형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고형화된 액상물질이 노즐의 분사구를 막아 균일한 도포가 불가능하여 불량률이 증대될 뿐 아니라, 디스펜서 니들의 교체 주기가 짧아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공지의 토출장치들은 액상물질의 고형화에 따른 상기 노즐의 막힘 현상을 용이하게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노즐이 막힌 상태에서 도포 작업이 수행되어 균일하지 않은 도포에 따른 불량률이 증대되고 이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 발생하기도 한다.
특허문헌 1은 액상 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액상 혼합 토출장치는 2 이상의 액상인 원료를 개별적인 공급로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장치; 일단은 상기 원료 공급장치와 결합하는 교반기 결합부재; 입구가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교반기 노즐;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토출구와 결합하는 노즐간 결합부재; 및 입구가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토출구와 결합하며, 끝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도포 노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공정 중에 폐기되는 원료를 감소시키고, 교체되는 부속품을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토출되는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액 즉, 액상물질의 고형화에 따라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별도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액상물질의 도포작업시 노즐의 막힘을 감지할 수 있고, 노즐의 막힘 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분사구를 막고 있는 고형화된 액상물질 입자들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상기 충전액의 고형화에 따른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도포 작업의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42444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출장치의 디스펜서 일측에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디스펜서의 타측에 상기 디스펜서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 압력이 정상압 이상으로 감지되면 고형물이 노즐의 분사구를 막고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에어주입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노즐을 막고 있는 고형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디스펜서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디스펜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디스펜서의 외주면 타측에 상기 디스펜서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관, 상기 디스펜서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펜서 내부에 충전된 액상물질에 진동을 공급하도록 하는 액추에어터 및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번째, 노즐의 막힘 상태를 미리 파악하여 고압의 에어를 주입함으로 액상물질의 고형화에 따른 막힘 현상을 미리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압력이 정상압 이상으로 감지되어 상기 노즐의 막힘 상태가 인지되는 경우 에어주입관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로 고압의 에어가 주입되도록 하여 노즐을 막고 있는 액상물질의 고형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세번째, 상기 에어주입관을 통해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도포 또는 코팅 작업의 불량률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노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네번째, 상기 액상물질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기를 구비하여 상기 액상물질의 지속적인 유동을 형성하여 상기 액상물질이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번째, 상기 진동기를 탈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토출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도 상기 진동기의 적용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번째, 액상물질 도포 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에 진동기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 액상공급부(200), 노즐(300), 압력게이지(400), 에어주입관(500), 진동기(600), 지지대(700) 및 컨트롤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통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펜서(100)는 액상물질이 충전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통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된 원기둥 형상뿐만 아니라 사각기둥을 포함한 다양한 다각기둥의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00)는 길이 방향의 상단에 액상물질이 주입되는 액상공급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액상공급부(200)와 대응되는 상기 디스펜서(100) 하단에 상기 노즐(300)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상물질은 상기 액상공급부(200)에 주입되어 상기 디스펜서(100)에 보관된 상태로 상기 노즐(300)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액상공급부(20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상단에 설치되며, 분사 대상 액상물질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액상공급부(20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상측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미도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상공급부(200)는 상기 디스펜서(100)에 충전되는 액상물질이 주입되는 관일 수 있으며, 상기 액상물질이 주입되는 튜브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상공급부(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펜서(100)와 접촉되는 접촉면에 상기 액상물질의 주입 및 차단을 제어하는 개폐수단(미도시)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공급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관 또는 튜브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개의 관 또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300)는 상기 디스펜서(100)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상기 액상물질을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분사구(31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300)는 상기 액상공급부(200)와 대응되는 상기 디스펜서(100)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100)에 충전된 액상물질을 토출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300)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꼬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액상물질이 최종 투입되는 대상물의 종류 및 투입장소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30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100)와 동일하게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펜서(100)와 상기 노즐(30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의 액상물질의 점성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압력게이지(400)는 상기 디스펜서(100) 외주면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게이지(400)는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 센서 및 측정 기기로써,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이 정상압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노즐(300)의 막힘 상태를 도출해 내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상물질 토출장치는 중점도 또는 고점도 액상물질이 충전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중점도 또는 고점도 액상물질들은 도포 작업 시 상기 액상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입자들이 분해되어 상기 액상물질이 고형화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이러한 고형화된 액상물질들은 노즐의 분사구를 막아 도포 작업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도포가 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액상물질들의 불균형한 토출을 발생시켜 도포물질의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낳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1)는 상기 압력게이지(400)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값이 정상압보다 높게 측정될 경우 상기 노즐(300)가 막혀 있음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게이지(400)는 용기나 관로내의 기체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다이아프램이나 브르동(Bourdon)튜브 또는 스파이어럴(spiral)튜브 등과 같은 탄성의 튜브가 기체나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하는 것을 지시침과 같은 표시장치에 의하여 압력을 읽어서 압력을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게이지(4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압력전달부의 하측으로는 용기나 관로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압력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기체나 유체가 인입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에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탄성튜브가 압력전달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튜브의 변화에 따른 압력 변동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장치인 표시판과 지시침이 설치되고, 탄성튜브의 변화에 의하여 지시침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의 지시침이 보호되도록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게이지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관로내의 기체나 유체의 유압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압력게이지라면 제한 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에어주입관(500)은 상기 디스펜서(100)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300)를 막고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압의 에어(air)를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로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주입관(500)은 상기 디스펜서(100)의 액상공급부(200) 측으로 치우친 일측에 구비되는 관 형상으로,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에 충전된 액상물질의 고형화에 따른 노즐(300)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주입관(500)은 상기 노즐(300)가 액상물질의 고형물에 의해 막혀 상기 압력게이지(400)에서 측정된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이 정상압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8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여 주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노즐(300)를 막고 있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에어주입관(500)은 상기 디스펜서(100)의 중공부(미도시)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공부(미도시)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에어주입관(500)을 개폐하는 개폐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에어주입관(5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압의 에어가 상기 디스펜서(100)로 주입 시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주입관(500)으로 주입되는 에어공급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주입관(500)에 연결되며, 고압의 에어를 연결튜브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콤프레셔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압의 산소와 같은 기체가 충진된 충전탱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주입관(500)은 후술할 컨트롤러(800)의 막힘감지모듈(810) 및 에어주입모듈(82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진동기(600)는 상기 디스펜서(100) 외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에 충전된 액상물질에 진동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기(60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주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100)에 진동 및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에 충전된 상기 액상물질이 정체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유동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기(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0)에 진동 및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동력원이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펜서(100)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동기(600)는 상기 디스펜서(100)에 장착되는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적용실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진동기(600)는 상기 디스펜서(100)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 일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주면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디스펜서(100)에 진동 및 초음파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진동기(600)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100)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물질의 고형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동기(600)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상기 디스펜서(100)에 진동 및 초음파를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700)는 상기 디스펜서(100)와 힌지(710)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100)가 힌지(710)의 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700)의 힌지(710)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800)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100)를 일정 각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700)는 상기 디스펜서(1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서(100)의 둘레에 힌지(710)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800)는 상기 에어주입관(500) 및 상기 액추에어터(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800)는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압력게이지(400)에서 측정된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값과 정상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노즐(300)의 막힘 현상을 인지하고, 상기 노즐(300)가 막혀 있는 상태일 경우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1)의 도포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에어주입관(500)을 개방하여 상기 디스펜서(100)로 에어를 주입하여 상기 노즐(300)를 막고 있던 고형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800)는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1)가 상기 액상물질의 도포 작업시 상기 액상물질이 정체되지 않도록 상기 진동기(600)를 작동시켜 상기 액상물질에 진동 또는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컨트롤러(800)는 막힘감지모듈(810), 에어주입모듈(820) 및 진동기제어모듈(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힘감지모듈(810)는 상기 압력게이지(400)에서 측정된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과 미리 설정된 정상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노즐(300)의 막힘 여부를 하기 에어주입모듈(820)에 토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에어주입모듈(820)은 상기 막힘감지모듈(810)의 신호를 근거하여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1)의 작동을 중지와 더불어, 상기 에어주입관(500)을 개방하여,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로 고압의 에어 주입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동기제어모듈(830)은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1)가 토출 작업시 상기 액상물질의 유동성을 지속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기(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막힘감지모듈(810)은 상기 압력게이지(400)에서 측정된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을 기설정된 정상압과 비교하여 상기 노즐(300)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에어주입모듈(820)에 토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막힘감지모듈(810)은 상기 노즐(300)의 막힘 상태 여부를 도출하고 도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압력게이지(400)에서 측정한 압력값이 기설정된 정상압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노즐(300)가 고형물에 의해 막혀 있음을 판단하고 이에 근거한 정보를 에어주입모듈(820)로 전송하여 상기 에어주입모듈(820)이 상기 디스펜서(100)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여 막힌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주입모듈(820)은 상기 디스펜서(100)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주입모듈(810)은 상기 막힘감지모듈(810)에서 전송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에어주입관(500)을 개방하여,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로 고압의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진동기제어모듈(830)은 상기 액상물질의 도포시, 상기 액상물질의 지속적인 유동을 형성하는 진동기(6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진동기제어모듈(830)은 상기 토출장치(1)가 토출 작업시 상기 액상물질의 지속적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토출 작업 중 기 설정된 일정 시간 경과 시 상기 진동기(6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기제어모듈(83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상물질의 점도 및 특성에 맞춰 상기 진동기(600)의 강도 및 작동 시간을 적절하게 도출하여 상기 진동기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디스펜서 일측에 압력게이지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펜서 노즐의 막힌 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압력이 정상압 이상으로 감지되어 상기 노즐의 막힘 상태가 인지되는 경우 에어주입관을 통해 상기 디스펜서로 고압의 에어가 주입되도록 하여 노즐을 막고 있는 액상물질의 고형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에어주입관을 통해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도포 또는 코팅 작업의 불량률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노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상물질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기를 구비하여 상기 액상물질의 지속적인 유동을 형성하여 상기 액상물질이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진동기를 탈착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토출장치의 구조를 변형하지 않고도 상기 진동기의 적용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질 토출장치는 액상물질 도포 산업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액상물질 토출장치
100: 디스펜서
200: 액상공급부
300: 노즐
310: 분사구
400: 압력게이지
500: 에어주입관
600: 진동기
700: 지지대
710: 힌지
800: 컨트롤러
810: 막힘감지모듈
820: 에어주입모듈
830: 진동기제어모듈

Claims (4)

  1. 한쪽 끝에 연결된 액상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물질을 반대쪽 끝에 연결된 노즐(300)을 통해 토출되는 디스펜서(100)와;
    상기 디스펜서(100)의 둘레 일측에 연결되어 액상물질이 수용된 상기 디스펜서(100)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400)와;
    상기 디스펜서(100)의 둘레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100)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관(500)과;
    상기 압력게이지(400)의 감지에 따라 상기 에어주입관(500)을 통해 고압의 에어 주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0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10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100)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물질의 고형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진동기(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800)는,
    상기 압력게이지(400)에서 측정된 디스펜서(100) 내부의 압력과 미리 설정된 정상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노즐(300)의 막힘 여부를 하기 에어주입모듈(820)에 토출 신호를 전송하는 막힘감지모듈(810)과;
    상기 막힘감지모듈(810)의 신호를 근거하여 액상물질 토출장치(1)의 작동을 중지와 더불어, 상기 에어주입관(500)을 개방하여, 상기 디스펜서(100) 내부로 고압의 에어 주입을 제어하는 에어주입모듈(820)과;
    상기 액상물질 토출장치(1)가 토출 작업시 상기 액상물질의 유동성을 지속할 수 있도록 상기 진동기(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진동기제어모듈(8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펜서(100)의 둘레에 힌지(710) 결합되는 지지대(7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KR1020200029498A 2019-03-29 2020-03-10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KR102246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7017 2019-03-29
KR1020190037017 2019-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136A KR20200115136A (ko) 2020-10-07
KR102246199B1 true KR102246199B1 (ko) 2021-04-29

Family

ID=7288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98A KR102246199B1 (ko) 2019-03-29 2020-03-10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1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162A (ja) * 2000-09-05 2002-03-19 Toppan Printing Co Ltd 超音波塗布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塗布装置
JP2005131495A (ja) * 2003-10-29 2005-05-26 Occ Corp 噴射装置及び噴射体の保持治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962B1 (ko) 2009-10-19 2012-03-05 반석정밀공업주식회사 액상 혼합 토출장치
KR101353043B1 (ko) * 2012-06-21 2014-01-17 오종우 분사노즐 막힘 방지장치
KR102341946B1 (ko) * 2017-05-23 2021-12-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점성 액체 토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9162A (ja) * 2000-09-05 2002-03-19 Toppan Printing Co Ltd 超音波塗布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塗布装置
JP2005131495A (ja) * 2003-10-29 2005-05-26 Occ Corp 噴射装置及び噴射体の保持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136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discrete drums with a liquid
US8475741B2 (en) Droplet discharging device
KR102118070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세정 장치 및 세정 방법
JPH08168606A (ja) 投与するべき粘性液体から気泡を除去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246199B1 (ko)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CN103892400A (zh) 一种全自动果汁脱气机
US202101085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suring the quality of a multi-component mixture for rock reinforcement
KR100915047B1 (ko) 이액형 접착제 공급장치
US20100047382A1 (en) Defoaming Device and Forming Device With The Same
KR102293040B1 (ko) 액상물질 토출장치
JP2009228603A (ja) 高粘性体取り出し装置および高粘性体取り出し方法
TWI402105B (zh)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KR100726151B1 (ko) 고점도 물질 정량 주입 장치
US6341719B2 (en) Dispensing/metering device for two-component or one-component adhesive
JP3638394B2 (ja) 流体充填装置
US11994882B2 (en) Liquid ejection device for a vehicle washing facilit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7419448B2 (ja) 最小液体量を計量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795729B1 (ja) 供給チューブ
RU26935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контактной жидкости
JP3550048B2 (ja) マイクロボアフィルム又は繊維の製造装置
CN219965798U (zh) 一种硅片清洗自动加药设备
JP2004025121A (ja) 液材吐出用マルチノズルおよび液材の吐出方法
CN216045612U (zh) 一种注浆用流体定量输送单元
KR20120035754A (ko) 용기의 저장물 레벨 측정 장치 및 방법
US308364A (en) Bottle-fil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