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962B1 - 액상 혼합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혼합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962B1
KR101113962B1 KR1020090099114A KR20090099114A KR101113962B1 KR 101113962 B1 KR101113962 B1 KR 101113962B1 KR 1020090099114 A KR1020090099114 A KR 1020090099114A KR 20090099114 A KR20090099114 A KR 20090099114A KR 101113962 B1 KR101113962 B1 KR 10111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tirrer
coupling member
inle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444A (ko
Inventor
이승학
Original Assignee
반석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석정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반석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9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액상 혼합 토출 장치가 개시된다. 액상 혼합 토출장치는, 2 이상의 액상인 원료를 개별적인 공급로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장치; 일단은 상기 원료 공급장치와 결합하는 교반기 결합부재; 입구가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교반기 노즐;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토출구와 결합하는 노즐간 결합부재; 및 입구가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토출구와 결합하며, 끝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도포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는, 상기 원료 공급장치의 각각의 상기 공급로를 상기 교반기 노즐의 별도로 형성된 입구에 각각 연결하도록 유로가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기 노즐은, 분리되어 있는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에 합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입구 및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는 연통된다. 따라서, 교반기 노즐과 도포 노즐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도포 노즐이 버퍼 역할을 함으로써, 교반기 노즐에서는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정간에 교반기 노즐에서 혼합된 액상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혼합된 액상을 별도의 용기에 받아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값비싼 원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액상 혼합

Description

액상 혼합 토출장치{Liquid mixing & dispensing device}
본 발명은 액상 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성질의 액체를 혼합하여, 미소량 토출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상 혼합 토출장치는 2 종류 이상의 액상수지를 정량(定量)으로 혼합하여 배출하는 장치로 이용분야는 반도체 제품, 광학제품, 전자/기계부품, 일 반가전제품, 정밀기기, 사무용품, 자동차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몰딩, 접착, 실링 작업에 주로 응용되고 있다.
통상 사용되는 2 액형 액상 혼합토출 장치는 토출되기 바로 직전에 액상의 물질이 혼합되면서 토출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2액형 액상 혼합토출장치에서 토출되는 액상의 수지는 혼합된 후에는 대체적으로 속경화성과 속건성을 유지하게 되므로, 토출장치 내부에서 혼합된 후 경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외부로 토출되지 못한 액상의 물질이 경화된다. 따라서, 공정 중에 휴지기가 있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혼합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경화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값비싼 원재료를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되지 않은 경우, 혼합된 액이 존재하는 노즐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2액형 액상 혼합토출 장치는 미소량을 정밀하게 토출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공정 중에 폐기되는 원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되는 부속품을 최소화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토출되는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2 이상의 액상인 원료를 개별적인 공급로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장치; 일단은 상기 원료 공급장치와 결합하는 교반기 결합부재; 입구가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교반기 노즐;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토출구와 결합하는 노즐간 결합부재; 및 입구가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토출구와 결합하며, 끝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도포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는, 상기 원료 공급장치의 각각의 상기 공급로를 상기 교반기 노즐의 별도로 형성된 입구에 각각 연결하도록 유로가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기 노즐은, 분리되어 있는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에 합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입구 및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는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도포 노즐의 상기 토출구에는 정밀 토출을 위해서, 니들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에 연결된 정량 에어 토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에는 상기 정량 에어 토출장치와 연결되는 에어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입구는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포 노즐을 향해 돌출되며, 외경이 상기 도포 노즐의 상기 입구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외경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링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입구는, 내경에 밀폐링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링이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의 외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포 노즐의 상기 입구의 외경 일부가 돌출된 걸림리브; 및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의 인접한 위치에 상기 걸림리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를 상기 노즐 결합부재를 향해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교반기 노즐과 도포 노즐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도포 노즐이 버퍼 역할을 함으로써, 교반기 노즐에서는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정간에 교반기 노즐에서 혼합된 액상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해, 혼합된 액상을 별도의 용기에 받아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값비싼 원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 중지를 하여도, 교반기 노즐 보다 원가가 싼 도포노즐에서 혼합된 액상이 응고되므로, 원가절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니들과, 정량 에어 토출장치가 결합될 수 있어, 토출되는 액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액상 혼합 토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액상 혼합 토출장치는, 장치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며 2 이상의 액상인 원료를 개별적인 공급로(110, 120)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장치(100)와, 일단은 상기 원료 공급장치(100)와 결합하는 교반기 결합부재(200)와, 입구가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교반기 노즐(300)과,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토출구와 결합하는 노즐간 결합부재(400)와, 입구(510)가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400)의 토출구(420)와 결합하며, 끝단에 토출구(520)가 형성된 도포 노즐(500)을 포함한다.
원료 공급장치(100)는 2 이상의 액상인 원료를 2 이상의 공급로(110, 120)로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액상을 공급하는 것 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 공급장치(100)는 원료탱크(미도시) 및 원료탱크에 저장된 원료를 공급로(110, 120)를 통해서 교반기 결합부재(200)로 공급하는 펌프(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교반기 결합부재의 정면도이다.
교반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원료 공급장치(100)의 각각의 상기 공급로(110, 120)를 상기 교반기 노즐의 별도로 형성된 입구에 각각 연결하도록 유로(210, 220)가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급로(110, 1120)가 유로(210, 220)의 입구측(210a, 220a)에 각각 결합되며, 교반기 노즐(300)의 입구(310)는 유로(210, 220)의 출구측(210b, 220b)에 결합된다. 이외에도 프레임(10)에 고정되기 위한 결합공(230)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교반기 노즐(300)의 상단을 유로(210, 220)의 출구측(210b, 220b)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노브(240)가 구비된다. 고정 노브(240)는 교반기 노즐(300)의 입구측 돌출 리브(330)를 걸림턱(241)을 이용에 교반기 결합부재(200)레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고정 노브(2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유로(210, 220)의 출구측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된다.
도 3은 도 1의 교반기 노즐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이다.
상기 교반기 노즐은, 분리되어 있는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입구(310)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320)에 합쳐지도록 형성된다. 즉, 입구(310)는 교반기 결합부재(200)의 유로의 출구측(210b, 220b)에 서로 연통되도록 2개(311, 312)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토출구(320)는 2개의 입구(310)가 합쳐지도록 형성된다. 입구와 토출구 사이의 유로는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2개의 액체가 서로 잘 혼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노즐간 결합부재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이다.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400)의 상기 입구(410)와, 상기 토출구(420)는 유로(430)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교반기 노즐(300)과 도포 노즐(500)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도포 노즐(500)이 버퍼 역할을 함으로써, 교반기 노즐(300)에서는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공정간에 교반기 노즐(300)에서 혼합된 액상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혼합된 액상을 별도의 용기에 받아서, 폐기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값비싼 원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공정 간에 교반기 노즐(300)에서 혼합된 액체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에 계속하여 액체를 토출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도포 노즐(500)에 지속적으로 액체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폐기하는 원재료 액체를 줄여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 중지를 하여도, 교반기 노즐 보다 원가가 싼 도포노즐에서 혼합된 액상이 응고되므로, 원가절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교반기 노즐은 일반적으로 도포노즐이 교반기 노즐보다 원가가 10배 정도 저렴하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가 크다.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400)에는 상기 정량 에어 토출장치(600)와 연결되는 에어 유입구(440)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입구(440)는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420)와 연통된다. 즉, 노즐간 결합부재(400)의 입구(410)와 토출구(420)를 연결한 유로(430)에 에어 토출장치(600)와 연결되는 에어 유입구(440)가 연결된다. 정량 에어 토출장치(600)는 평시에는 음의 압력을 에어 유입구(400)에 부과하다, 필요시 정량의 에어를 토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정량의 에어를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하므로, 도포 노즐(500)에서 토출되는 액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420)는, 상기 도포 노즐을 향해 돌출되며, 외경이 상기 도포 노즐(500)의 상기 입구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외경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링(421)이 결합된다.
따라서, 도포 노즐(500)을 토출구(420)의 외경에 끼움으로서 결합이 완료되므로,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밀폐성을 높여, 정밀 토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입구(410)는, 내경에 밀폐링(411)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링이 상기 교반기 노즐(300)의 상기 토출구의 외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간 결합부재와 상기 교반기 노즐간의 밀폐성을 높여, 정밀 토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400)의 상기 토출구의 인접한 위치에 도포 노 즐(500)의 걸림리브(5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홈(460)을 더 포함한다. 즉, 걸림홈(460)은 걸림턱(450)을 일부만 형성하여, 걸림리브(540)을 돌려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도포 노즐을 토출구(420)을 향해 끼운 후, 돌려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1의 도포 노즐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포 노즐 및 노즐간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포 노즐(500)은 입구(510)의 외경 일부가 돌출된 걸림리브(540)를 포함하며, 토출구(520)에는 정밀 토출을 위해서, 니들(530)이 결합된다. 따라서, 도포 노즐과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로 인해서 토출되는 액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200)를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400)를 향해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한다. 즉, 교반기 결합부재(2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210)을 관통하여 프레임(10)에 결합된 고정나사(20)에 의해, 교반기 결합부재(200)를 노즐간 결합부재(400)를 향해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홈(210)이 노즐간 결합부재(400)를 향해 직선으로 형성되며, 고정나사(20)를 풀어교반기 결합부재(2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나사(20)를 고정함으로써, 교반기 결합부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교반기 노즐의 토출구(320)를 노즐간 결합부재(400)의 입구(4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액상 혼합 토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교반기 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교반기 노즐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노즐간 결합부재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저면도
도 8은 도 1의 도포 노즐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도포 노즐 및 노즐간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공급로 100: 원료 공급장치
200: 교반기 결합부재; 310: (교반기 노즐) 입구
300: 교반기 노즐 410: (노즐간 결합부재) 입구
320: (교반기 노즐) 토출구 400: 노즐간 결합부재
510: (도포 노즐) 입구 420: (노즐간 결합부재) 토출구
520: (도포 노즐) 토출구 500: 도포 노즐
210, 220: (교반기 결합부재) 유로 530: 니들
600: 정량 에어 토출장치 440: 에어 유입구
411, 421: 밀폐링 540: 걸림리브
460: 걸림홈

Claims (7)

  1. 2 이상의 액상인 원료를 개별적인 공급로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장치;
    일단은 상기 원료 공급장치와 결합하는 교반기 결합부재;
    입구가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교반기 노즐;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토출구와 결합하는 노즐간 결합부재; 및
    입구가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토출구와 결합하며, 끝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도포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는,
    상기 원료 공급장치의 각각의 상기 공급로를 상기 교반기 노즐의 별도로 형성된 입구에 각각 연결하도록 유로가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기 노즐은, 분리되어 있는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입구가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에 합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입구 및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는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노즐의 상기 토출구에는 정밀 토출을 위해서, 니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에 연결된 정량 에어 토출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에는 상기 정량 에어 토출장치와 연결되는 에어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 유입구는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는,
    상기 도포 노즐을 향해 돌출되며, 외경이 상기 도포 노즐의 상기 입구의 내경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의 외경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입구는,
    내경에 밀폐링이 결합되며, 상기 밀폐링이 상기 교반기 노즐의 상기 토출구의 외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노즐의 상기 입구의 외경 일부가 돌출된 걸림리브; 및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의 상기 토출구의 인접한 위치에 상기 걸림리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 결합부재를 상기 노즐간 결합부재를 향해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혼합 토출장치.
KR1020090099114A 2009-10-19 2009-10-19 액상 혼합 토출장치 KR10111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114A KR101113962B1 (ko) 2009-10-19 2009-10-19 액상 혼합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114A KR101113962B1 (ko) 2009-10-19 2009-10-19 액상 혼합 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444A KR20110042444A (ko) 2011-04-27
KR101113962B1 true KR101113962B1 (ko) 2012-03-05

Family

ID=4404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114A KR101113962B1 (ko) 2009-10-19 2009-10-19 액상 혼합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25B1 (ko) * 2012-07-10 2015-04-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페이스트 도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040B1 (ko) 2019-03-29 2021-08-2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상물질 토출장치
KR102246199B1 (ko) 2019-03-29 2021-04-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액상물질 토출장치
KR102300089B1 (ko) 2019-04-23 2021-09-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상 물질 토출 장치
KR102354255B1 (ko) 2019-04-23 2022-01-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림방지용 코팅액 균일 도포장치
KR102300088B1 (ko) 2020-04-20 2021-09-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비대칭형 액상물질 주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472Y1 (ko) 2001-05-08 2002-05-24 신덕용 이액형 도장장치
KR200368976Y1 (ko) 2004-08-31 2004-12-03 반석정밀공업주식회사 이액상 혼합 토출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어댑터.
KR100578274B1 (ko) 2005-01-28 2006-05-11 미래피앤씨(주) 주제와 경화제 혼합장치를 갖춘 이액형 스프레이 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472Y1 (ko) 2001-05-08 2002-05-24 신덕용 이액형 도장장치
KR200368976Y1 (ko) 2004-08-31 2004-12-03 반석정밀공업주식회사 이액상 혼합 토출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어댑터.
KR100578274B1 (ko) 2005-01-28 2006-05-11 미래피앤씨(주) 주제와 경화제 혼합장치를 갖춘 이액형 스프레이 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125B1 (ko) * 2012-07-10 2015-04-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페이스트 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444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962B1 (ko) 액상 혼합 토출장치
US6161730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mixing dispensing of a plurality of flowable components
US7997450B2 (en) Multicomponent cartridge
JP2529702B2 (ja) 2成分系材料のための二重排出カルツ―シエ
EP2018132B1 (en) Dispensing device with a spray assembly
US9550159B2 (en) Mixer and dispensing device
US9149824B2 (en) Multi-component pressure tank assembly for spray coating systems
WO2010093575A3 (en) Syringes for dispensing multi-component material
TWI580476B (zh) 靜態噴灑混合器
US7766191B2 (en) Epoxy syringe storage clip
US9718089B2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dispensing element to a storage container
KR101435634B1 (ko) 화장품 에어 브러쉬
US9504792B2 (en) Dispensing apparatus
JP3398035B2 (ja) ニードルレス二液同心ノズルスプレーガン
JP3883861B2 (ja) 反応硬化型材料に用いる着色液体の供給方法
KR20100004454A (ko) 이액형 글루 혼합토출장치
JP4578838B2 (ja) マイクロ流体装置
US20240157380A1 (en) Coating device, cartridge, coating gun body, and method of ejecting mixture
US11458490B2 (en) Cup liner and a fitting for a spray gun
JP3172561U (ja) 2液混合型注入機
JP2000237568A (ja) 二液混合装置
JP4990257B2 (ja) 液状材料の射出成形における材料置換方法
KR20190030868A (ko) 채널 레진 디스펜서
ITMI20140141U1 (it) Dispositivo per erogare una miscela di fluidi contenuti in rispettivi contenitori tipo aerosol
JPH0716507A (ja) スプレーガン、スプレーガン用流量確認調節ユニット、 および塗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