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833B1 -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833B1
KR102245833B1 KR1020190158324A KR20190158324A KR102245833B1 KR 102245833 B1 KR102245833 B1 KR 102245833B1 KR 1020190158324 A KR1020190158324 A KR 1020190158324A KR 20190158324 A KR20190158324 A KR 20190158324A KR 102245833 B1 KR102245833 B1 KR 10224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driver
diffuser
seat airba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현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9015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833B1/ko
Priority to US17/756,312 priority patent/US20230011886A1/en
Priority to PCT/KR2020/015847 priority patent/WO2021101166A1/ko
Priority to EP20889634.0A priority patent/EP4063200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운전석 에어백의 전방 패널과 전면측 테더 및 히트 실드를 재봉하는 단계, (b) 후방 패널과 승객측 테더를 재봉하는 단계, (c) 상기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 디퓨저를 동시에 재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의 가장자리를 재봉해서 운전석 에어백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운전석 에어백 내부에 설치되는 디퓨저와 테더부재를 통합 설치해서 가스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전방 및 대각선 방향을 향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HTOD OF DRIVER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운전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은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이나 데쉬보드, 시트, 측벽 등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전면이나 측면을 향해 팽창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즉, 자동차에는 정면 충돌시 앞좌석 승객을 보호하는 운전석 에어백(Driver Air-Bag, DAB) 및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 PAB)과, 측면 충돌시 승객의 옆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Side Air-Bag, SAB),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CAB),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에어백(Near Air-Bag) 등이 마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운전석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동심으로 장착되어 자동차의 급 감속에 대응하여 에어백이 신속하게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다수에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
종래의 초기 운전석 에어백은 에어백 팽창 시 대략 공 모양으로 팽창되어 에어백의 하부가 스티어링 휠의 하부를 충분히 커버하지 못하여 운전자의 흉부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에어백의 내부에 테더 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에어백의 중심부 팽창 두께를 커버하여 스티어링 휠의 하부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 조건, 예를 들면 다양한 신체 사이즈, 몸무게, 착석 위치, 또는 자동차의 충돌 시나리오에 따라 팽창된 에어백과 운전자 사이의 거리 또는 운전자 거동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에어백은 원하는 보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다양한 운전자 조건 및 충돌 모드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에어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에어백 쿠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을 압축해서 폴딩하는 가압 폴딩 방식(compressed folding type)이 적용된다.
상기 가압 폴딩 방식은 에어백 쿠션이 일정한 방향을 가지도록 압축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폴딩 방식이 적용된 에어백 쿠션에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전개 속도와 전개 형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가스의 공급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는 디퓨저가 설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70657호(2019년 6월 21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1380호(2017년 9월 25일 공고)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디퓨저는 후면 패널에 재봉 방식으로 부착되고, 디퓨저의 모양에 따라 'X' 형상, 'Y' 형상, 'I' 형상으로 구별되나, 기본적으로 운전석 에어백의 가스 흐름을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디퓨저를 후면 패널에 재봉해서 부착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후면 패널을 뒤집어서 디퓨저의 부착하고, 다시 후면 패널을 뒤집은 작업 등의 추가 공정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압축 폴딩 방식으로 에어백 쿠션을 폴딩하는 경우, 에어백 쿠션과 테더, 디퓨저가 압축되어 불규칙하게 폴딩됨에 따라, 가스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운전자의 전면을 향해 팽창 전개시켜 운전자의 가슴 부위를 중심으로 머리와 복부, 즉 상체를 전체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 패널과 후면 패널의 전개 형상으로 한정하는 테더와 가스의 흐름을 한정하는 디퓨저를 통합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 폴딩 방식으로 폴딩되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시 초기 전개 형상 및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은 (a) 운전석 에어백의 전방 패널과 전면측 테더 및 히트 실드를 재봉하는 단계, (b) 후방 패널과 승객측 테더를 재봉하는 단계, (c) 상기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 디퓨저를 동시에 재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의 가장자리를 재봉해서 운전석 에어백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운전석 에어백 내부에 설치되는 디퓨저와 테더부재를 통합 설치해서 가스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전방 및 대각선 방향을 향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저를 테더부재 사이에 재봉하고, 디퓨저와 전방 패널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가 재봉된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본래의 위치로 뒤집는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디퓨저와 전방 패널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쉽게 뒤집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장자리가 재봉된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본래의 위치로 뒤집는 공정의 난이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퓨저와 테더부재를 통합해서 설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제조시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며,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전석 에어백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운전석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자동차에서 운전자를 중심으로 스티어링 휠(11)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운전석 시트를 향하는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운전석 에어백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에어백을 구성하는 전방 패널(2)과 후방 패널(3) 사이에 운전석 에어백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는 테더(4)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테더부재(4)는 복수,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마련되고, 전방 패널(2)의 후면에는 인플레이터(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디퓨저(5)가 설치된다.
디퓨저(5)는 4개의 테더(4)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대략 'X'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패널(2)의 후면에 재봉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1)에 적용되는 디퓨저(5)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해서 제조되고, 테더(4)와의 간섭을 회피해서 제봉해야 한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2)과 전면측 테더(4) 및 히트 실드(6)와 디퓨저(5)를 재봉하고, 후방 패널(3)과 승객측 테더(4)를 재봉하며, 전면측 테더(4)와 승객측 테더(4)를 재봉한 후, 전방 패널(2)과 후방 패널(3)을 전방 및 후방 패널(2,3)이 뒤집힌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재봉하고, 다시 본래의 위치로 뒤집어서 운전석 에어백(1)을 제조한다.
그러나 전면측 테더(4)와 승객측 테더(4)를 재봉한 상태에서 전방 패널(2)과 후방 패널(3)을 뒤집어 전방 및 패널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후 다시 본래의 위치로뒤집는 공정은 가스가 통과하는 디퓨저(4)가 설치된 상태에서 디퓨저와 전방 패널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통해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제조 공정 및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공정의 난이도가 높아 미숙련 작업자가 수행하기 어려우며, 작업 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어 인적, 물적, 시간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적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은 에어백의 전개 형상을 한정하는 테더부재와 가스의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디퓨저를 통합해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운전석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스티어링 휠(11)의 하우징(13)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20)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 폴딩 방식으로 폴딩된 에어백 구성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접거나 말아서 설치되는 에어백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1) 내에 장착된다.
즉, 운전석 에어백 장치(10)는 스티어링 휠(11) 내의 하우징(13)에 폴딩 상태로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이하'에어백'이라 함)(10)과, 에어백(20)에 연결되어 에어백(20)이 스티어링 휠(11)과 운전자 사이에서 팽창하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2)를 포함한다.
에어백(20)은 팽창 시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 패널(21)과, 전방 패널(21)과 마주하며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 패널(22)의 재봉(sewign) 또는 원피스 우븐(one piece woven) 방식에 의해 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패널(21)에는 인플레이터(12)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공(23)이 형성되고, 공급공(23) 주변에는 인플레이터(12)로부터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에 견딜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히트 실링 시트(도면 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패널(21)에는 에어백(20)이 전개된 후 에어백(20)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트홀(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패널(21)과 후방 패널(22) 사이에는 에어백(20)의 중심에 대략 이웃하게 배치되어 에어백(20)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는 테더부재(25)가 설치될 수 있다.
테더부재(25)는 전방 패널(21)과 후방 패널(22)에 인플레이터(12)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에어백(20)의 중심부분이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티어링 휠(11)의 림부(14)를 완전하게 커버하도록 에어백(20)의 전개 형상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테더부재(25)의 상단부 길이는 에어백(20) 상부가 하부에 비해 두껍게 팽창되도록, 테더부재(25)의 하단부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더부재(25)는 복수, 예컨대 2개 내지 4개로 마련되고, 각 테더부재(25)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전면 패널(21)과 후면 패널(22)에 재봉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테더부재(25)는 2개로 분할된 상태로 제조되고, 2개로 분할된 테더부재(25)는 에어백(20) 내부에서 재봉 방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방 패널(21)과 후방 패널(22) 사이에는 공급공(23)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디퓨저(30)가 설치된다.
이러한 디퓨저(30)는 에어백(20)과 동일한 재질 또는 유사한 재질의 직물을 이용해서 대략 원 형상의 막(membrain) 형태로 제조되고, 테더부재(2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공(23) 주변에 상측과 하측, 양측에 4개의 테더부재(25)가 설치되는 경우, 디퓨저(30)의 상단과 하단, 양측단은 각각 각각 4개의 테더부재(25)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디퓨저(30)는 재봉 방식으로 각 테더부재(25)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퓨저(30)는 2개로 분할 제조된 각 테더부재(25)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재봉 작업시, 각 테더부재(25)와 함께 재봉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운전석 에어백 제조시 2개로 분할된 각 테더부재의 연결을 위한 재봉 작업시 디퓨저를 함께 재봉해서 테더부재의 대략 중간부에 디퓨저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퓨저는 운전석 에어백의 전방 패널에 고정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인플레이터(12)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디퓨저(30)에 의해 후방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각 테더부재(25) 사이의 공간을 통해 디퓨저(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략 'X'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각선 방향을 따라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디퓨저(30)는 가스의 이동방향을 디퓨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각각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전환하고, 디퓨저(30)의 형상이나 설치각도를 조절해서 전방 패널(21)과 후방 패널(22) 사이에 공급되는 가스의 속도 및 양을 조절함으로써, 에어백(20)의 전개 속도 및 전개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퓨저(30)는 각 테더부재(30) 사이 공간의 단면적보다 약간 크거나 상기 공간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디퓨저(30)가 각 테더부재(25) 사이 공간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테더부재(25)가 대략 중간부에 고정된 디퓨저(30)로 인해 완전하게 팽창되지 못함에 따라, 에어백(20)의 전개 형상이 불규칙해지거나 불완전하게 전개될 수 있다.
반면, 디퓨저(30)가 각 테더부재(25) 사이 공간의 단면적보다 약간 큰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에어백(20)의 팽창시 각 테더부재(25)와 재봉된 상하단 및 양측단보다 중앙부가 가스의 압력에 의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방을 향해 볼록한 호 형상으로 팽창된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12)로부터 공급공(23)을 통해 공급된 가스는 디퓨저(30)에 의해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디퓨저(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굴절되면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공급된다.
그리고 디퓨저가 각 테더부재(25) 사이 공간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에어백(20)의 팽창시 테더부재(25)와 재봉된 상하단 및 양측단이 재봉된 상태이므로, 대략 평면 형태로 팽창된다.
이에 따라, 인플레이터(12)로부터 공급공(23)을 통해 공급된 가스는 디퓨저(30)에 의해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디퓨저(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굴절되면서 대각선 방향을 따라 공급된다.
이와 함께, 디퓨저(30)는 에어백(20) 팽창시, 도 4에서 보았을 때 에어백(20)이 수용되는 하우징(13)의 후단부보다 후측에서 전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디퓨저(30)와 하우징(13)의 전단 사이의 거리(L1)는 하우징(13)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L2)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디퓨저(30)는 가스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테더부재(25)의 중간부보다 전측에서 전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디퓨저(30)와 에어백(20) 전단 사이의 거리(L3)는 테더 길이(L4)의 1/2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 테더부재와 통합된 디퓨저를 이용해서 가스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전방 및 대각선 방향을 향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퓨저와 테더부재를 통합해서 설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제조시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며,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2개로 분할된 테더부재(25) 중에서 전방 패널(21)과 재봉되는 테더를 '전면측 테더(251)'라 하고, 후방 패널(22)과 재봉되는 테더를 '승객측 테더(252)'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전면측 테더(251)와 승객측 테더(252)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21)과 후방 패널(22)에 재봉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부는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에 2개 내지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테더부재가 각각 4개의 연장부를 갖는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를 갖는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또는 3개의 연장부가 마련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운전석 에어백의 전방 패널과 전면측 테더, 히트 실드를 재봉하는 단계, (b) 후방 패널과 승객측 테더를 재봉하는 단계, (c)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 디퓨저를 동시에 재봉하는 단계 및 (d)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의 가장자리를 재봉해서 운전석 에어백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의 S10단계에서 작업자는 전방 패널(21)의 후면 중앙부에 복수의 히트 실드(40)와 전면측 테더(251)를 순차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대략 원 형상의 재봉선을 따라 재봉한다.
히트 실드(40)는 인플레이터(12)의 폭발시 발생한 고열이 주변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직물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히트 실드(40)는 열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 예컨대 3개 이상 마련되고, 각 히트 실드(40)와 전면측 테더(251)의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12)로부터 전방 패널(21)을 통해 공급된 가스를 디퓨저(30) 측으로 전달하는 전달공이 형성된다.
S12단계에서 작업자는 후방 패널(22)의 전면 중앙부에 승객측 테더(252)를 배치한 상태에서 대략 원 형상의 재봉선을 따라 재봉한다.
S14단계에서 전면측 테더(251)에 마련된 각 연장부와 승객측 테더(252)에 마련된 각 연장부 사이에 디퓨저(30)를 배치한 상태에서 동시에 재봉한다.
예를 들어, 전면측 테더(251)의 각 연장부는 후측 및 중앙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배치되고, 디퓨저(30)와 승객측 테더(252)의 연장부는 절곡 배치된 전면측 테더(251)의 연장부에 겹쳐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서로 겹쳐진 부분을 재봉하는 작업에 의해, 전면측 테더(251)와 디퓨저(30) 및 승객측 테더(25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개로 분할된 테더부재의 재봉시 디퓨저를 동시에 재봉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디퓨저를 전방 패널에 재봉하는 공정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공정 수를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에어백(20) 전개시 인플레이터(12)에서 에어백(20)으로 공급되는 가스는 고온 고압 상태이다.
이와 같이, 고온 고압 상태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디퓨저(30)를 향해 공급됨에 따라, 디퓨저(30)와 테더부재(25)가 재봉되는 부위가 찢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서로 재봉되는 부위, 즉 전면측 테더(251) 및 승객측 테더(252)의 각 연장부와 디퓨저(30)의 연결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1회 이상 접은 상태로 재봉함으로써, 재봉되는 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는, 서로 재봉되는 부위에 직물 재질 등으로 마련된 별도의 보강부재를 덧댄 상태에서 각 테더(251,252)와 디퓨저(30) 및 상기 보강부재를 동시에 재봉해서 재봉되는 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테더(251,252)와 디퓨저(30), 상기 보강부재는 서로 본딩 방식으로 접착되거나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1회 이상 폴딩된 상태로 재봉될 수도 있다.
S16단계에서 전방 패널(21)과 후방 패널(22)을 뒤집은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재봉하고, 다시 본래의 위치로 뒤집어서 운전석 에어백(20)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퓨저를 테더부재 사이에 재봉하고, 디퓨저와 전방 패널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가 재봉된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본래의 위치로 뒤집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디퓨저와 전방 패널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쉽게 뒤집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가장자리가 재봉된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본래의 위치로 뒤집는 공정의 난이도를 낮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에어백(20)은 압축 폴딩 방식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12)와 함께 스티어링 휠(11)의 하우징(13)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13)의 개구면에는 에어백 커버(도면 미도시)가 결합된다.
그래서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인플레이터(12)는 자동차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도면 미도시)의 감지신호에 따라 내부에 작약된 가스발생용 화학약품을 발화시켜 가스를 발생하고, 발생된 가스는 전방 패널(21)의 공급공(23)을 통해 에어백(20)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디퓨저(30)가 각 테더부재(25)의 대략 중간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가스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고, 디퓨저(30)에 의해 전방으로 굴절된 가스의 공급방향은 디퓨저(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변경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10)의 전개 성능 테스트 결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형상의 디퓨저(5)가 적용된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1)와 거의 유사한 전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테더부재(25)가 에어백(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2개 내지 4개의 테더부재(25)를 적용하고, 각 테더부재(25) 사이의 공간을 I 또는 - 형상, Y 또는 역 Y 형상, X 또는 + 형상 등으로 형성해서 디퓨저(30)에 의해 후방 이동이 제한된 가스가 이동하는 방향 및 각 테더부재(2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체 테더부재(25)의 개수, 각 테더부재(25)의 설치위치 및 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테더부재(25)가 적용되는 경우, 3개의 테더부재(25)는 각각 에어백(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약 120°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이때 각 테더부재(20) 사이의 공간은 대략 Y 형상 또는 역 Y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테더부재(25)는 4개의 테더부재(25)가 적용되는 에어백에서 각 테더부재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제조되고, 4개의 테더부재 사이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각 테더부재의 폭과 사이 간격은 에어백 전개시 가스의 이동 방향을 측정한 실험 결과에 따라 넓거나 좁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퓨저가 설치되는 테더부재의 개수, 설치위치 및 폭을 조절해서 디퓨저에 의해 후방 이동이 제한된 가스의 이동 방향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 내부에 설치되는 디퓨저와 테더부재를 통합 설치해서 가스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테더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운전자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 테더부재와 통합된 디퓨저를 이용해서 가스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전방 및 대각선 방향을 향해 가스를 공급하여 운전자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11: 스티어링 휠 12: 인플레이터
13: 하우징
20: 운전석 에어백
21: 전방 패널 22: 후방 패널
23: 공급공 25: 테더부재
251: 전면측 테더 252: 승객측 테더
30: 디퓨저
40: 히트 실드

Claims (9)

  1. (a) 운전석 에어백의 전방 패널과 전면측 테더 및 히트 실드를 재봉하는 단계,
    (b) 후방 패널과 승객측 테더를 재봉하는 단계,
    (c) 상기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 디퓨저를 동시에 재봉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의 가장자리를 재봉해서 운전석 에어백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는 각각 원 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디퓨저와 각 테더의 연장부가 동시에 재봉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전면측 테더 및 승객측 테더와 디퓨저는 각 테더의 연장부와 디퓨저의 연결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1회 이상 접은 상태에서 재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전면측 데더 및 승객측 테더와 디퓨저 재봉시, 재봉부위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가 함께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전방 패널과 후방 패널을 뒤집은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재봉하고, 다시 본래의 상태로 뒤집어서 운전석 에어백을 제조하며,
    상기 본래의 상태로 뒤집는 공정은 상기 전방 패널과 이격된 디퓨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측 테더와 승객측 테더의 연장부를 연결한 복수의 테더부재는 각 테더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의 이동 방향 및 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수와 설치 위치 및 각 테더부재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더부재 사이의 공간은 I 또는 - 형상, Y 또는 역 Y 형상, X 또는 +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복수의 테더부재 사이 공간의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상기 공간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제조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상기 디퓨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복수의 테더부재 사이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운전석 에어백이 수용되는 하우징의 후단보다 후측에서 전개되고,
    상기 테더부재의 중간부보다 전측에서 전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158324A 2019-11-22 2019-12-02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KR102245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24A KR102245833B1 (ko) 2019-12-02 2019-12-02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US17/756,312 US20230011886A1 (en) 2019-11-22 2020-11-12 Driver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0/015847 WO2021101166A1 (ko) 2019-11-22 2020-11-12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EP20889634.0A EP4063200A4 (en) 2019-11-22 2020-11-12 DRIVER'S SEAT INFLATABLE SAFETY BAG TYPE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24A KR102245833B1 (ko) 2019-12-02 2019-12-02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833B1 true KR102245833B1 (ko) 2021-04-28

Family

ID=7572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24A KR102245833B1 (ko) 2019-11-22 2019-12-02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8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473B2 (ja) * 1994-06-15 1999-07-12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ヴィークル・セーフティ・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乗物搭乗者用の膨張可能な拘束装置
JP4020413B2 (ja) * 2002-03-29 2007-12-12 セーレ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袋体、その膨出方法、及びそ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781380B1 (ko) 2016-06-16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KR20180039488A (ko) * 2016-10-10 2018-04-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190070657A (ko) 2017-12-13 2019-06-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KR102043022B1 (ko) * 2018-03-20 2019-11-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디퓨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백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473B2 (ja) * 1994-06-15 1999-07-12 ティーアールダブリュー・ヴィークル・セーフティ・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乗物搭乗者用の膨張可能な拘束装置
JP4020413B2 (ja) * 2002-03-29 2007-12-12 セーレ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袋体、その膨出方法、及びそ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781380B1 (ko) 2016-06-16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KR20180039488A (ko) * 2016-10-10 2018-04-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190070657A (ko) 2017-12-13 2019-06-2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KR102043022B1 (ko) * 2018-03-20 2019-11-1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디퓨저 및 그를 구비한 에어백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9737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7848483B (zh) 驾乘人员保护装置
JP442006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707353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US11752965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US11267432B2 (en) Airbag
JP6940627B2 (ja) 乗員保護装置
CN107021054B (zh) 具有偏心伸缩支撑室的可展开的塑料膝垫
JPWO2019026538A1 (ja) 乗員保護装置
JP2019059381A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9146382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CN112660060A (zh) 远侧安全气囊装置
US10829080B2 (en) Air bag device
JP722177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85435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416668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245833B1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제조방법
US20230011886A1 (en) Driver seat airba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245830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JP4847258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352151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352146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JP686572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01247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