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64B1 -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64B1
KR102245364B1 KR1020140090339A KR20140090339A KR102245364B1 KR 102245364 B1 KR102245364 B1 KR 102245364B1 KR 1020140090339 A KR1020140090339 A KR 1020140090339A KR 20140090339 A KR20140090339 A KR 20140090339A KR 102245364 B1 KR102245364 B1 KR 10224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ode
external device
sharing
controllabl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878A (ko
Inventor
김지환
김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364B1/ko
Priority to US14/490,811 priority patent/US9241257B1/en
Priority to PCT/KR2014/009616 priority patent/WO2016010195A1/en
Publication of KR20160009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인 인증 입력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개인 모드 또는 공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더 많은 기능들을 포함함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통화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호(call) 수신/발신 및 메세지 수신/발신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기능이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특히,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연구와 함께,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들이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구현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인터넷 뿐만 아니라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Di, 적외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용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화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유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주소록 및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를 필요로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는 한명의 개인에게 속한 사적인 소유물에 해당된다.
반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는 한명의 개인에게 속한 사적인 소유물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정의 텔레비젼의 경우, 가정의 가족들은 모두 텔레비젼에 대한 접근권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 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텔레비젼을 제어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의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 이러한 사생활 보호에 대한 요구와 공유에 대한 요구가 상충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가 촉진되기 어렵다.
본 명세서는,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특정 조건 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들과 커뮤니케이션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기설정된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인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개인 모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모드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선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모드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이용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충전 중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는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모드에서 호(call)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셀룰러 폰, 무선 통신 전화기,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와치 및 임의의 다른 개인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는 냉장고, 텔레비젼, 조명, 센서, 폐쇄회로 텔레비전, 에어 컨디셔너, 데스크톱 피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는 임의의 다른 통신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및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익스텐더블(extendible) 디스플레이 또는 스트렛처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폼 팩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슬라이딩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호버링(hovering)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센서는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또한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결과를 프로세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통신,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or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2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의 통신 규격,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 가능성,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외부 디바이스의 동작 가능성, 외부 디바이스의 명칭,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 외부 디바이스의 인터넷 접속가능성 및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미도시된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메모리, 전력원, 하우징(housing), 하나 이상의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GPS 센서, 압력 센서, 고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음성 수신 유닛, 음성 출력 유닛 또는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도들은 하드웨어적인 구성 유닛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 유닛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리적 버튼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음성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음절, 단어 또는 문장 단위의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인식된 음절, 단어 또는 문장을 조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싱 유닛을 포함하며, 터치 센싱 유닛에 입력된 터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아울러,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입력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입력들 및 그 조합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이 후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프로세서(110)의 동작은 동일시되어 설명될 수도 있다.
도 3은 충전 중인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일정한 위치에서 충전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집에서 충전한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게 친밀한 장소에서 충전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와 친밀한 장소에 위치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와 친분이 있는 사람들(예를 들어, 가족, 직장 동료 등)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쉽게 액세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경우, 다른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없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입력이 오랜 시간 없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익숙하지 않은 장소에 방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가 공원 벤치에서 화장실을 가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벤치에 방치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와 아무런 친분이 없는 다른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액세스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다른 사용자들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의 사생활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조건을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의 사생활의 노출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의 완전한 액세스를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된다. 공유 대기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대기 모드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면적 액세스를 허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면 개인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서, 개인 모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포함한다. 즉, 개인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의한 전면적 액세스를 허용한다.
한편, 일반적인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예를 들어, 잘못된 패스워드의 입력, 임의의 지점에 대한 터치 입력,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물리 버튼에 의한 입력 등)을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다. 반면, 본 명세서의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공유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서, 공유 모드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만을 포함한다. 다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공유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개인 정보에 액세스할 수 없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모드들(개인 모드, 공유 모드 및 공유 대기 모드) 사이에서 그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모드 또는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대기 모드 전환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면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개인 모드 또는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모드들 사이의 전환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개인 인증 입력은 다양한 유형의 입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인 인증 입력은 패스워드, 패턴, 지문 인식 및 홍채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공유 모드로 전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는 텔레비젼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이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220)는 볼륨 조정 및 채널 조정을 위한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의 제어 인터페이스(220)는 일 예시로서, 제어 인터페이스(220)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제조사의 선택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에 기초하여 제어 인터페이스(220)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220)는 외부 디바이스로의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의 미러링(mirroring)을 위한 트리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가 인터넷 접속가능한 디바이스인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220)는 데이터의 테더링(tethering)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가 "볼륨 업(volume up)"이라고 말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텔레비전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를 각 외부 디바이스와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음성 입력이 수신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중 식별된 사용자와 매칭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220)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매칭된 외부 디바이스를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각 외부 디바이스는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게 개인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소유자에게 개인화되고, 오디오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소유자의 아들에게 개인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소유자가 "볼륨 업"이라고 말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텔레비전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반면, 소유자의 아들이 "볼륨 업"이라고 말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오디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공유 모드로 전환되고,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만이 디텍트되는 경우, 해당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220)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복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가 디텍트되는 경우, 복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중 제어될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후술하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으로부터의 선택에 기초하여 도 4의 제어 인터페이스(22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제어 인터페이스 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 가운데 하나의 제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선택을 수신하고 선택된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디바이스 제어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으로부터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선택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복수의 디바이스 제어 인터페이스 각각은, 서로 상이한 유형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각 유형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유형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하여는 디스플레이의 미러링이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로서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외부 디바이스의 명칭, 아이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어 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외부 디바이스의 아이콘, 명칭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제어 인터페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으로부터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다 구체적인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조명은 전원을 키고/끄는것 외의 제어가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에서 조명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조명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 상의 텔레비전 아이콘을 위/아래로 드래그함으로써 텔레비전의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서 다양한 제어 방법이 지원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디바이스의 명칭에 따라 정렬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외부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도 있다. 외부 디바이스의 상태는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동작가능성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전원이 켜진 상태의 외부 디바이스가 목록의 위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5의 (b)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정렬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의 거리가 더 가까운 외부 디바이스가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의 더 위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현재 동작가능한 외부 디바이스가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의 위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외부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에 반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텔레비전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11시 방향에 위치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텔레비전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명칭을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11시 방향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2시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오디오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명칭을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의 2시 방향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 각 외부 디바이스의 이용 이력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 빈도가 높은 외부 디바이스가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에서 위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의 정렬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 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위성 및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연관된 외부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연관된 외부 디바이스들의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제어 인터페이스 내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명칭, 아이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에 텔레비전, 냉장고 및 조명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거실에 위치되고 공유모드로 전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 6의 (a)와 같이 텔레비전, 냉장고 및 조명을 포함하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침실에는 오디오와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침실에 위치되고 공유모드로 전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 6의 (b)와 같이 오디오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연관된 외부 디바이스들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외부 디바이스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연관시킬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연관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은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따라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에 포함된 외부 디바이스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정렬된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지향하는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오리엔테이션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리엔테이션 센싱 유닛은 GPS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 센서 및 중력 가속도계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11시 방향에 텔레비젼이, 2시 방향에는 오디오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오리엔테이션(12시 방향)에 더 일치하는 텔레비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선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11시 방향에 위치되고, 오디오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2시 방향의 위치된다. 텔레비전을 제어하던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오디오를 제어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2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오디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음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목록(210)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수신된 음성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식별된 사용자와 매칭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매칭된 외부 디바이스를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각 외부 디바이스는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게 개인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소유자에게 개인화되고, 오디오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소유자의 아들에게 개인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소유자가 "볼륨 업"이라고 말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텔레비전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반면, 소유자의 아들이 "볼륨 업"이라고 말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오디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도시한다.
외부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양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가 미러링을 지원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로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컨텐츠를 미러링하게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외부 디바이스의 컨텐츠를 미러링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가 인터넷 접속 가능하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테더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개인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을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개인 인증 입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트리거링하는 아이콘(230)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아이콘(230)을 조작(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 또는 슬라이드)함으로써 개인 인증 입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개인 인증 입력 수신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인 인증 입력 수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도 9의 (b)는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도시한다.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는, 도 9의 (a)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입력에 기초하여 트리거링될 수도 있다. 또한, 공유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입력 없이도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항상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의 (b)의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는 패스워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는 패턴, 지문 인식, 음성 인식 또는 홍채 인식을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25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250)는 개인 모드 또는 공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공유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개인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25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250)는 모드 선택을 위한 가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250)는 개인 모드 또는 공유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시들 뿐만 아니라, 개인 모드와 공유 모드 사이의 선택을 제공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실시예로서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개인 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된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개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공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모드에서 호(call)를 수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공유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호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호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발신자 또는 메시지 내용)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신 호 또는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는 불필요한 사생활 노출의 염려가 있다.
도 1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는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210)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모드이다.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호가 수신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호 수신에 대응하여 인디케이터(260)를 제공한다. 이러한 공유 모드에서의 인디케이터는, 사생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 수신 외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발신자의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도 11의 인디케이터(26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다양한 인디케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메시지의 내용과 발신자를 포함하지 않는 인디케이터(260)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인디케이터(260)는 발신자 정보 또는 메시지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또는 제조사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260)는 호 수신에 대한 응답 또는 메시지 확인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인디케이터(260)를 터치하여 호 수신에 대하여 응답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하여는 이러한 호 수신에 대한 응답 또는 메시지 확인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공유 모드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터(260)에 대한 입력을 제한 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공유 모드인 동안, 사용자는 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응답할 수 없다.
대신에,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호 수신 또는 메시지 수신이 발생하면,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기설정된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공유 모드로부터 개인 모드로 전환된다. 개인 모드로 전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전면적 액세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된 호에 응답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은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은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조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2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1201)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1202)할 수 있다. 이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1003)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판단(1204)한다. 다양한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될 수 있음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모드로 전환(1205)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모드로 전환(1206)한다. 개인 모드 및 공유 모드의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며, 도 12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동작과 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디스플레이 유닛
130: 커뮤니케이션 유닛
210: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목록 220: 제어 인터페이스
230: 아이콘 240: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
250: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 260: 인디케이터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유닛;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디바이스들과 커뮤니케이션하고,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기설정된 개인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인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개인 모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만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을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내에 제공하고,
    상기 목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명칭, 아이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목록을 정렬하고,
    상기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동작가능성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각각의 이용 이력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이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목록을 정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모리; 및
    위성 및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와 연관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와 연관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들의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목록을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 내에 제공하고,
    상기 목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명칭, 아이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성 및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유닛;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지향하는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오리엔테이션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모드이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및 오리엔테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목록 가운데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의 유형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디바이스 제어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기설정된 복수의 디바이스 제어 인터페이스 각각은, 서로 상이한 유형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각 유형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상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상기 각 유형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미러링(mirroring)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인터넷 접속가능한 디바이스인 경우, 데이터의 테더링(tethering)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음성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수신 유닛을 통하여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며,
    상기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각 외부 디바이스와 매칭시키며,
    상기 공유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 중 상기 식별된 사용자와 매칭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제공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매칭된 외부 디바이스를 상기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의 수신하는 개인 인증 입력 수신 인터페이스를 트리거링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개인 모드 또는 상기 공유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개인 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공유 모드의 선택이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은 패스워드, 패턴, 지문 인식, 음성 인식 및 홍채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인터페이스는, 모드 선택을 위한 가이드 및 각 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기 모드 또는 상기 공유 모드일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공유 대기 모드 또는 상기 공유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에 대한 입력을 제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모드일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는 경우,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인 인증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공유 모드로부터 상기 개인 모드로 전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0.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중인 경우 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개인 인증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대기 모드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개인 인증 입력을 제외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유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모드는 상기 디바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외부 디바이스로의 액세스 만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0090339A 2014-07-17 2014-07-17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39A KR102245364B1 (ko) 2014-07-17 2014-07-17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490,811 US9241257B1 (en) 2014-07-17 2014-09-19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4/009616 WO2016010195A1 (en) 2014-07-17 2014-10-14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339A KR102245364B1 (ko) 2014-07-17 2014-07-17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78A KR20160009878A (ko) 2016-01-27
KR102245364B1 true KR102245364B1 (ko) 2021-04-28

Family

ID=55071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339A KR102245364B1 (ko) 2014-07-17 2014-07-17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41257B1 (ko)
KR (1) KR102245364B1 (ko)
WO (1) WO2016010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2900B2 (ja) * 2012-02-06 2016-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07806B2 (en) * 2014-12-24 2017-10-31 Mediatek Inc. Method for accessing a network in electronic system and associated portable device
US9984686B1 (en) * 2015-03-17 2018-05-29 Amazon Technologies, Inc. Mapping device capabilities to a predefined set
US10655951B1 (en) 2015-06-25 2020-05-19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of user devices
US10365620B1 (en) 2015-06-30 2019-07-30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operability of secondary-device hubs
KR102534579B1 (ko) * 2016-06-1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29519A1 (en) * 2016-11-08 2018-05-10 Srinivas Bharadwaj Method and system for emulating application running in secondary device on primary device
US9854445B1 (en) 2017-01-24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main-aware device protection via cross-validation among spatially-adjacent devices
US10412206B1 (en) * 2018-06-08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s for multi-mode device
KR102582332B1 (ko) * 2018-06-27 202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이의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99948B1 (ko) 2018-11-16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KR20200116654A (ko) * 2019-04-02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428617A (zh) * 2019-07-23 2019-11-08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5g便携式智能终端及mec的交通对象识别方法
US11026051B2 (en) 2019-07-29 2021-06-01 Apple Inc. Wireless communication modes based on mobile device orientation
EP3979109A1 (fr) * 2020-10-02 2022-04-06 Evidian Procédé et système d'authentification d'un utilisateur sur un appareil utilisateur
CN114063797A (zh) * 2021-11-08 2022-02-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3029B1 (en) 1996-03-14 2001-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bined mobile telephone and remote control terminal
US8750850B2 (en) * 2010-01-18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aware mobile incorporating presence of other mobiles into context
AU2011202836B2 (en) * 2010-12-21 2014-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US10078755B2 (en) 2011-05-27 2018-09-18 Apple Inc. Private and public applications
TWI486773B (zh) 2012-05-21 2015-06-01 Wistron Corp 控制系統
KR101911253B1 (ko) 2012-11-21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태그와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6368B1 (ko) * 2012-11-29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83141A1 (en) * 2013-03-15 2014-09-18 Apple Inc. Switching a Mobile Device from Operating in a Primary Access Mode to a Secondary Access Mode
KR102210995B1 (ko) * 2013-04-24 2021-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보안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1531A1 (en) 2016-01-21
US9241257B1 (en) 2016-01-19
KR20160009878A (ko) 2016-01-27
WO2016010195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6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2119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069771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3223113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6393282B2 (ja) 携帯端末装置
US9874994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con and/or folder management
EP3872599A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85448B1 (ko)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U20132669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30135236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26590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4311A (ko)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20134765A (ko)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US9497565B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ystem
KR20150031010A (ko) 잠금 화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34400B1 (ko)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30235088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ES2910058T3 (es) Método de visualización de imágenes y terminal móvil
US20150019522A1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8529241A (ja) 入力装置の遠隔制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AU20152026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JP6093581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628598B2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756251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