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292B1 -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292B1
KR102245292B1 KR1020190140712A KR20190140712A KR102245292B1 KR 102245292 B1 KR102245292 B1 KR 102245292B1 KR 1020190140712 A KR1020190140712 A KR 1020190140712A KR 20190140712 A KR20190140712 A KR 20190140712A KR 102245292 B1 KR102245292 B1 KR 10224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ink
textile printing
digital textile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운
안인용
구민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9014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77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after dy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배전한 생두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피슬러지를 당류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배당체를 분해하고 색소추출물을 수득하는 색소추출단계(S10)와, 색소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는 제1차입도여과단계(S20)와, 여과된 추출물 10 ~ 50중량부와, 물 10 ~ 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0 ~ 30중량부와, 산도조절제 5 ~ 10중량부와, 잔량 첨가제를 혼합하여 잉크조성물을 수득하는 잉크조제단계(S30)와, 잉크조성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커피잉크를 수득하는 제2차입도여과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따라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잉크에 적합한 고순도의 친환경 커피잉크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A NATURAL DYE INK FOR DIGITAL TEXTILE PRITING USING THE COFFEE SLUDGE}
본 발명은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원액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커피슬러지에 함유된 커피 색소 성분을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적합한 고순도의 커피잉크로 제조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견뢰도 및 염착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잉크를 제조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생두를 수확하여 배전 과정을 거친 후 분말화하고 이를 액상으로 추출하여 음용하는 기호 음료이다.
배전(Roasting)은 커피 생두를 볶는 과정으로 배전두에는 전다당류, 소당류, 당류와 글리코스드 결합을 이루는 각종 배당체, 지질, 유리아미노산, 단백질, 전클로로겐산, 카페인, 트리고넬린, 지방족류, 무기성분, 부식류 등의 성분과, 그 외에 사과산, 구연산 등의 산류 및 카페인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커피의 특유의 향과 맛을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커피 생두는 배전과정을 거치면서 짙은 갈색으로 변하게 되며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허니콤 형상의 공동이 생성되는데 뜨거운 물을 통과시키면 공동이 팽창하면서 공동 벽과 섬유질 사이의 커피 성분이 추출되어 커피 원액이 만들어지게 된다.
커피를 추출한 후에는 커피슬러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커피 원두의 약 0.2%만이 커피로 음용되고 나머지 99.8%는 사실상 활용 방안이 미미하여 대부분 폐기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Digital textile print)은 컴퓨터 및 DTP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원단을 날염기에 넣고 잉크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디자인 및 색감의 날염원단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종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잉크는 화학염료를 주성분으로 하는바,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78668 호에 공지된 날염 잉크의 구성을 살펴보면, 모노클로로(1,3,5)트리아진 그룹, 디글로로(1,3,5)트리아진 그룹, 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그룹, 비닐설폰그룹, 설파토에틸 설폰 그룹, 아크릴 아마이드 그룹, 에틸렌이민 그룹, 아자이드그룹, 설폰에틸렌이민 그룹, 트리클로로피리미딘 그룹, 모노클로로디플루오로피리미딘 그룹, 클로로벤조티아졸 그룹, 디클로로피리다존 그룹, 디클로로피리다진 그룹, 디클로로퀴노잘린 그룹, 에폭시 그룹 또는 3-카르복시피리디니오트리아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반응기를 가진 분자량 800이하의 반응성 분산염료와, 그 염료를 용해하는 용제로서 하기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섬유날염용 잉크젯 날염 잉크를 구성한다.
또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은 크게 전처리, 인쇄, 후처리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종래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여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02730 호에는 전처리용 코팅제를 출력용 원단의 표면에 도포하여 코팅하는 전처리 공정과, 전처리된 원단을 디지털 날염기에 주입하고 염료를 분사하여 이미지를 프린트하는 출력 공정과, 이미지가 출력된 원단을 처리하여 염료를 고착하고 미고착된 염료 및 잔여 이물질을 수세한 후 건조하는 후가공 공정을 포함하는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방법을 구성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의 후가공 공정은 일반적으로 이미지가 출력된 원단을 증열기에 주입하고 원단 상에 스팀열을 방출하여 염료를 고착시키는 단계와, 원단에 잔류하는 미고착된 염료 및 잔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단계와, 수세한 원단을 건조기에 주입하고 건조용 파우더를 열풍과 함께 원단표면에 고압 분사하여 원단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009251 호에서는 디지털 날염 프린팅날염 작업 시 염료를 직물에 고착시키기 위해 밀폐 증기실 내부에 감은 직물을 투입한 후, 스팀공정의 초기부터 소요되는 압력 및 온도의 스팀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직물표면에 남아있는 미고착 염료를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직물에 고착시키도록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0578668 호 (2006.05.12) 한국등록특허 제 10 - 1502730 호 (2015.03.13)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0 - 0009251 호 (2010.01.27) 한국공개특허 제 10 - 2012 - 0039919 호 (2012.04.26)
커피 소비량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커피슬러지의 배출량 역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그 활용 방안이 미비하여 대부분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고 있다. 특히, 커피슬러지는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 및 산패하므로 재활용이 쉽지 않고 폐기 시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피는 생두를 직접 추출하지 않고 배전 과정을 거치며 배전두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카페인 및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탄닌산(Tannic acid)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 중 클로로겐산 및 탄닌산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이며 특히 클로로겐산은 커피 특유의 색소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한편, 종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잉크는 화학염료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지는바,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진 잉크에 비해 염착성이나 견뢰도가 우수한 이점은 있으나 중금속,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비롯한 각종 유해물질의 함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천연 재료인 커피슬러지를 이용하여 색소 원인 물질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잉크로 제조하여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배전한 생두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피슬러지를 당류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배당체를 분해하고 색소추출물을 수득하는 색소추출단계(S10)와,
상기 색소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는 제1차입도여과단계(S20)와,
상기 여과된 추출물 10 ~ 50중량부와, 물 10 ~ 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0 ~ 30중량부와, 산도조절제 5 ~ 10중량부와, 잔량 첨가제를 혼합하여 잉크조성물을 수득하는 잉크조제단계(S30)와,
상기 잉크조성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여 디지털 날염용 커피잉크를 수득하는 제2차입도여과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잉크에 적합한 고순도의 친환경 커피잉크를 제조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커피 원액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커피슬러지에 함유된 커피 색소 성분을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디지털 날염에 적합한 고순도의 커피잉크로 제조하고 커피잉크를 이용하여 날염된 원단을 효과적으로 후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로 음용되고 폐기되는 커피슬러지를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염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 해 폐기량이 수십만 톤에 육박하는 커피슬러지를 획기적으로 재활용하여 자원순환에 따른 친환경적 이점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화학염료의 유해성 및 그에 따른 작업환경의 오염, 사용상의 위험성 문제를 해소하는 점에서도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학염료에 비해 천연색소 잉크의 취약점이라 할 수 있는 원단에 대한 낮은 염착성 및 견뢰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후처리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천연 커피잉크로 날염된 고품질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원단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의해 제조된 커피잉크를 이용해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한 원단과,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 방법을 거친 원단의 촬영 이미지.
이하, 본 발명의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의해 제조된 커피잉크를 이용해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한 원단과, 본 발명에 따른 후처리 방법을 거친 원단의 촬영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은 커피슬러지에 함유된 커피 색소 성분을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적합한 고순도의 커피잉크로 제조하고 커피잉크를 이용해 원단을 날염시 보다 높은 견뢰도 및 염착성을 도출하기 위한 후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은 배전한 생두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소추출단계(S10)와, 제1차입도여과단계(S20)와, 잉크조제단계(S30)와, 제2차입도여과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색소추출단계(S10)는 커피슬러지를 당류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배당체를 분해하고 색소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색소추출단계(S10)에 사용하는 커피슬러지는 수분 함량이 60~80% 정도의 것을 이용한다. 커피슬러지는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 및 산패하므로 오랜 기간이 경과한 것은 발효시 색소 추출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색소추출단계(S10)에서는 커피의 색소 성분인 클로로겐산을 감싸고 있는 당류 및 배당체를 효소 처리에 의해 분해하여 제거하도록 효소를 이용해 커피슬러지를 처리한다.
상기 색소추출단계(S10)에서는 발효기에 커피슬러지를 투입한 후 당류 분해 효소를 첨가하고 약 50 ~ 60℃에서 1 ~ 2일간 처리한다.
상기 색소추출단계(S10)에 사용되는 효소는 헤미셀룰라아제, 수미자임, 타나아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등 당류와, 그 밖의 단백질, 지질, 섬유질 분해능을 가지는 효소를 사용한다.
상기 제1차입도여과단계(S20)는 상기 색소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차입도여과단계(S20)에서는 메탈 또는 그라스 필터를 이용해 색소추출물에 함유된 입도가 큰 불순물 및 염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프린터의 노즐을 잉크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일반 염색용 염료와 달리 약 300 ~ 500nm 수준의 입도를 형성해야 하므로 상기 제1차입도여과단계(S20)를 통해 색소추출물의 입자를 미세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잉크조제단계(S30)는 상기 여과된 색소추출물 10 ~ 50중량부와, 물 10 ~ 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0 ~ 30중량부와, 산도조절제 5 ~ 10중량부와, 잔량 첨가제를 혼합하여 잉크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색소추출물의 pH를 4 내지 8의 중성에 가깝게 조절하도록 수산화나트륨, 구연산 등의 산, 알칼리제를 조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첨가제로는 침강방지제 5 ~ 10중량부와, 소포제 2 ~ 5중량부와, 유화제 3 ~ 6중량부와, 보습제 20 ~ 30중량부와, 안정제 3 ~ 6중량부,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강방지제는 커피잉크를 장기간 보관시 안료의 침전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며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첨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소포제는 인쇄 및 건조 중에 도막에 기포나 핀홀이 잔류하지 않도록 작용하며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유기용매를 첨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부제는 천연 재료로 이루어진 커피잉크를 제조한 후 저장 과정에서 각종 미생물이나 곰팜이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작용하며 안식향상나트륨, 이초산나트륨,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에스터, 황금 추출물, 모란뿌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선택하여 첨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잉크조제단계(S30)에서는 구아검, 알긴산, 키토산, 캐라지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첨가하여 잉크조성물의 점도를 4 ~ 6cps로 조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잉크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천연 재료로 이루어진 수용성 커피잉크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시 번짐 및 이염 현상이 심화되어 정상적인 날염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점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 프린터의 노즐이 쉽게 폐색되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상기와 같은 증점제를 첨가하여 커피잉크의 흡착성 및 고착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차입도여과단계(S40)는 상기 잉크조성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커피잉크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차입도여과단계(S40)는 상기 잉크조제단계(S30)를 거치면서 첨가된 각종 성분들로 인해 잉크조성물의 입도 및 점성이 증대됨에 따라 재차 메탈 또는 그라스 필터를 이용해 잉크조성물을 여과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잉크의 입도에 적합한 약 300 ~ 500nm 수준의 입도로 여과하여 고순도 커피잉크를 제조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고순도 커피잉크를 사용해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된 원단의 후처리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커피잉크가 날염된 원단의 염색면에 Al, Fe 중에서 선택된 매염제를 3 ~ 10%owf 농도로 매염 처리하고, 매염 처리된 원단을 증열기에 투입하여 증열 처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후처리 방법에서는 철 또는 알루미늄 매염제를 이용해 커피잉크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된 원단을 후매염하고 증열 처리함으로써 견뢰도 및 염착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상기 철 매염제는 커피잉크 특유의 갈색톤에 청색조를 가미하여 보다 깊은 카키색 톤의 색조를 도출하며, 알루미늄 매염제는 섬유과 커피잉크의 결합성을 증대하여 색조를 더욱 선명하게 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후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매염제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커피잉크 본연의 색조를 상실하거나 염료의 고착이 약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순도 커피잉크를 이용하여 DTP장치를 이용해 원단을 무늬를 출력한 후 후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실시 예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실시 예 1>
본 발명의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
상술한 바와 같은 색소추출단계 내지 제2차입도여과단계(S10~S40)에 따라서 고순도 커피잉크를 수득한다. 상기 잉크조제단계(S30)에서 각 성분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구성 성분 함량(중량%)
증류수 10 ~ 30
염료 색소추출물 10 ~ 50
계면활성제 에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 10 ~ 30
산도조절제 수산화나트륨 5 ~ 10




첨가제
침강방지제 Wet 260 5 ~ 10
소포제 S-104 2 ~ 5
유화제 폴리에틸렌글리콜 3 ~ 6
보습제 글리세린 20 ~ 30
안정제 1,4-부탄디올 3 ~ 6
방부제 안식향산나트륨 미량

증점제
구아검 4 ~ 6cps
(Brookfield 점도)
<실시 예 2>
상기 실시 예 1에 의해 제조된 커피잉크를 이용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프린터를 이용해 원단에 무늬를 출력하여 시료 1의 날염원단을 제조한다. 또한, 날염된 원단 시료의 염색면에 알루미늄 매염제와 철 매염제 각각을 이용해 10%owf 농도로 매염 처리한 후 증열 처리를 실시하여 시료 1 및 시료 3의 날염원단을 제조한다.
하기 도 2 내지 도 4는 실시 예 2에 의해 날염된 시료 1 내지 시료 3 원단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후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시료 1에 비해 상기와 같이 후처리를 실시한 시료 2 및 시료 3의 무늬가 더욱 선명하고 진한 색조를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은 커피슬러지에 함유된 커피 색소 성분을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적합한 고순도의 커피잉크로 제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를 추출한 후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커피슬러지를 획기적으로 재활용하여 자원순환에 따른 친환경적인 효과를 도모하고 기존의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에 사용되는 화학염료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커피잉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커피잉크를 이용해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된 원단을 효과적으로 후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천연색소 잉크의 취약점이라 할 수 있는 낮은 염착성 및 견뢰도 문제를 해소하여 고품질의 커피잉크 날염원단을 제조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S10: 색소추출단계
S20: 제1차입도여과단계
S30: 잉크조제단계
S40: 제2차입도여과단계

Claims (3)

  1. 배전한 생두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피슬러지를 당류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배당체를 분해하고 색소추출물을 수득하는 색소추출단계(S10)와,
    상기 색소추출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는 제1차입도여과단계(S20)와,
    상기 여과된 추출물 10 ~ 50중량부와, 물 10 ~ 30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0 ~ 30중량부와, 산도조절제 5 ~ 10중량부와, 잔량 첨가제를 혼합하여 잉크조성물을 수득하는 잉크조제단계(S30)와,
    상기 잉크조성물을 필터를 이용해 500nm 이하의 입도로 여과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커피잉크를 수득하는 제2차입도여과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조제단계(S30)에서는,
    구아검, 알긴산, 키토산, 캐라지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혼합물을 첨가하여 잉크조성물의 점도를 4 ~ 6cps로 조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입도여과단계(S40)에서 수득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커피잉크는 원단 상에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 방식으로 날염되도록 형성하되, Al, Fe 중에서 선택된 매염제로 3 ~ 10%owf 농도로 매염 처리 및 증열 처리를 거쳐 원단 상에 카키색 톤의 색조로 고착 및 발현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0712A 2019-11-06 2019-11-06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KR10224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12A KR102245292B1 (ko) 2019-11-06 2019-11-06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12A KR102245292B1 (ko) 2019-11-06 2019-11-06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292B1 true KR102245292B1 (ko) 2021-04-26

Family

ID=7573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712A KR102245292B1 (ko) 2019-11-06 2019-11-06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8263A (zh) * 2021-06-22 2021-09-14 浙江超凡制衣有限公司 一种热敏服装材料用绿色无害植物染料及其染色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68B1 (ko) 2003-03-07 2006-05-12 주식회사 잉크테크 다양한 소재에 날염가능한 잉크젯 날염 잉크, 그 제조방법및 그 잉크를 이용한 날염방법
KR20100009251A (ko) 2008-07-18 2010-01-27 이문수 디지털 날염용 직물의 후처리 가공 시스템
KR20120039919A (ko)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화수목 천연염료를 이용한 dtp(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용 나노급 천연잉크의 제조방법과 디지털날염 방법.
JP2014028871A (ja) * 2012-07-31 2014-02-13 Ayumu Sugiyama 染料液、媒染液、及び染色方法、並びに草木染め染色物の製造方法
KR101502730B1 (ko) 2014-07-14 2015-03-13 (주) 삼희기획 날염기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 방법
KR20170085640A (ko) * 2016-01-14 2017-07-25 주식회사 화수목 커피 슬러지를 이용한 커피 염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68B1 (ko) 2003-03-07 2006-05-12 주식회사 잉크테크 다양한 소재에 날염가능한 잉크젯 날염 잉크, 그 제조방법및 그 잉크를 이용한 날염방법
KR20100009251A (ko) 2008-07-18 2010-01-27 이문수 디지털 날염용 직물의 후처리 가공 시스템
KR20120039919A (ko)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화수목 천연염료를 이용한 dtp(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용 나노급 천연잉크의 제조방법과 디지털날염 방법.
JP2014028871A (ja) * 2012-07-31 2014-02-13 Ayumu Sugiyama 染料液、媒染液、及び染色方法、並びに草木染め染色物の製造方法
KR101502730B1 (ko) 2014-07-14 2015-03-13 (주) 삼희기획 날염기를 이용한 디지털 날염 방법
KR20170085640A (ko) * 2016-01-14 2017-07-25 주식회사 화수목 커피 슬러지를 이용한 커피 염료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8263A (zh) * 2021-06-22 2021-09-14 浙江超凡制衣有限公司 一种热敏服装材料用绿色无害植物染料及其染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656B1 (ko) 수성 염료계 인쇄 잉크, 및 이 수성 염료계 인쇄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 방법 및 날염법
JP6136577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DE2041023A1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polymeren Materialien
Soleimani Gorgani et al. Single‐phase ink‐jet printing onto cotton fabric
KR102245292B1 (ko) 커피슬러지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CN108193524A (zh) 一种纺织品前处理液及其处理工艺和应用
CN106381730B (zh) 一种基于葡萄色素染色的竹原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CN112252055A (zh) 一种用于提高黄栌色素天然染料耐光色牢度的印花方法
JPS6099081A (ja) インクジエツト染色法
CN104233783A (zh) 一种伞用面料的防紫外线整理方法
CN104278548B (zh) 一种以鸡冠花茎叶提取物为基础的数码喷墨印花墨水
CN107761411A (zh) 一种高支棉面料数码印花的前处理工艺
CN106758403A (zh) 涤纶织物环保型拔染印花拔染浆及其拔染印花工艺
CN108948781A (zh) 金丝皇菊天然染料的制备方法以及由该方法制备的天然染料和染色方法
KR102116078B1 (ko) 천연색소를 활용한 디지털 날염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CN110306358B (zh) 一种真丝织物天然染料染色的加工方法
CN107740289A (zh) 一种无水活性染料印花墨水及其制备方法
KR102469877B1 (ko) 천연인디고 색소를 이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용 친환경잉크 제조방법
Yeo et al. Inkjet Printing of Textiles Using Biodegradable Natural Dyes
JPH02112489A (ja) インクジェット用布帛の製造法
KR102268891B1 (ko) 금잔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dtp용 천연잉크 조성물
KR20210041878A (ko) Dtp용 천연잉크를 제조하기 위한 천연색소 가공방법
AT508000B1 (de) Naturfarbstoffe
KR102656863B1 (ko) 합성섬유용 식물성 천연염료의 제조방법,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염료
CN107881807A (zh) 一种环保无水印花墨水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