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247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47B1
KR102244247B1 KR1020140188263A KR20140188263A KR102244247B1 KR 102244247 B1 KR102244247 B1 KR 102244247B1 KR 1020140188263 A KR1020140188263 A KR 1020140188263A KR 20140188263 A KR20140188263 A KR 20140188263A KR 102244247 B1 KR102244247 B1 KR 102244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ource
display device
sourc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636A (ko
Inventor
김진원
홍무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2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벤딩 상태 변경 시, 인쇄회로기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안정적인 본딩 및 신호 전달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과, 이들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표시패널, 드라이버 집적회로들 및 타이밍 컨트롤러 등 간의 신호 전달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은, 일 측이 표시패널의 본딩부에 본딩되어 표시패널과 신호 전달을 할 수 있고, 타 측이 인쇄회로기판의 본딩부에 본딩되어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이 인쇄회로기판 또는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타이밍 컨트롤러와 신호 전달을 할 수 있다.
한편, 요즈음, 표시패널의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이 휘게 되면, 표시패널과 연결된 소스 인쇄회로기판 또한 휘게 된다.
이때,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드라이버 집적회로들의 본딩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휘는 것이 아니라,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뒤틀림 현상은,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들 간의 본딩 상태를 불안정하게 하고,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들 간의 신호 전달에도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결국, 라인 결함이 발생하거나 화상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고, 심한 경우, 표시장치에 대한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특히, 플랫 상태와 커브드 상태 간의 벤딩 상태 변경을 많이 하게 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뒤틀림 현상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인쇄회로기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안정적인 본딩 및 신호 전달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제2방향으로 배치되며,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1본딩부가 존재하는 표시패널과,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2본딩부가 존재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일 측은 다수의 제1본딩부에 본딩되고 타 측은 다수의 제2본딩부에 본딩된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서, 소스 인쇄회로기판에는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표시패널과, 가장 자리에 다수의 본딩부가 존재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에 존재하는 다수의 본딩부에 본딩된 다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서, 인쇄회로기판에는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인쇄회로기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안정적인 본딩 및 신호 전달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의 본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벤딩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소스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2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3 뒤틀림 방지 구 조를 갖는 소스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에는, 제1방향으로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배치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며, 다수의 서브픽셀(Sub Pixel)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여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 라인들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호스트 시스템(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게이트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구동 방식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서브픽셀 구조, 패널 설계 구조, 게이트 구동 방식 등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 구동부(130)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C, GDIC #1, ..., GDIC #N, N: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 #1, ..., GDIC #N)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 #1, ..., GDIC #N) 각각은 쉬프트 레지스터, 레벨 쉬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타이밍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C,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Data Driver IC)라고도 함, SDIC #1, ... , SDIC #M, M: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 ... , SDIC #M)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 ... , SDIC #M) 각각은, 쉬프트 레지스터, 래치,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Analog Converter), 출력 버터 등을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 서브픽셀 보상을 위해 아날로그 전압 값을 센싱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 ... , SDIC #M)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 ... , SDIC #M) 각각에서, 일 측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160)에 본딩되고, 타 측은 표시패널(110)에 본딩된다. 이러한 본딩 구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1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연성인쇄회로 또는 연성플랫케이블 등의 연결 수단(180)을 통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70)와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7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70)에는, 표시패널(110),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150시)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150)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MIC: Power Management IC)라고도 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호스트 시스템은 입력 영상의 영상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컨트롤러(140)로 전송한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DE 신호, 클럭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들(GDIC #1, ..., GDIC #N)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들(GDIC #1, ..., GDIC #N)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들(GDIC #1, ..., GDIC #N)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구동부(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부(120)를 구성하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 SDIC #M)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 SDIC #M)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120)의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에 극성 제어 신호(POL)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0)에 입력된 영상데이터가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규격에 따라 전송된다면, 소스 스타트 펄스(SSP)와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 간략하게 도시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일 예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표시패널(110)에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 다수의 서브픽셀 각각은,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서브픽셀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Transistor) 및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Capacitor) 등으로 이루어진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SDIC #3, ...)의 본딩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에는,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SDIC #3, ...)이 있는 방향의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1본딩부(PB1, PB2, PB3, ...)가 존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의 가장 자리에는 M개의 제1본딩부(PB1, PB2, PB3, ...)가 존재한다. 여기서, M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SDIC #3, ...)의 총 개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SDIC #3, ...)이 있는 방향(즉, 표시패널(110)과 인접한 방향)의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2본딩부(CB1, CB2, CB3, ...)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1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가장 자리에는 M개의 제2본딩부(CB1, CB2, CB3, ...)가 존재한다. 여기서, M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SDIC #3, ...)의 총 개수이다.
만약,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2개인 경우, 2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각각의 가장 자리에는 M/2 개의 제2본딩부(CB1, CB2, ...)가 존재한다. 따라서, 2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전체로 보면, M개의 제2본딩부(CB1, CB2, CB3, ...)가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M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SDIC #3, ...)의 총 개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 SDIC #2, SDIC #3, ...)는, 일 측이 다수의 제1본딩부(PB1, PB2, PB3, ...)에 본딩되고 타 측이 다수의 제2본딩부(CB1, CB2, CB3, ...)에 본딩된다.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 SDIC #2, SDIC #3, ...) 각각의 본딩 구조를 도 3에 도시된 SDIC #1의 본딩 구조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알아본다.
도 3을 참조하면, SDIC #1에서, 일 측의 본딩 지점 Po이 표시패널(110)의 PB1에 본딩되고, 타 측의 본딩 지점 Pi가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CB1에 본딩 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벤딩 곡률이 0(Zero)인 플랫(Flat) 상태로 될 수 있고, 0 이 아닌 벤딩 곡률을 갖는 커브드(Curved) 상태로 될 수도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벤딩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플랫 상태에서 커브드 상태로 되거나, 커브드 상태에서 플랫 상태로 되도록 하는 벤딩 제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벤딩 제어 구성으로서, 벤딩 액추에이터(410), 벤딩 컨트롤러(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액추에이터(410)는, 표시패널(110)의 후방에 구비된 백 커버(430)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액추에이터(410)는, 표시장치(100) 또는 표시패널(110)이 전방을 향해 휘어지거나 플랫하게 되도록 힘을 가해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 컨트롤러(420)는, 벤딩 컨트롤러(4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벤딩 액추에이터(410)를 제어한다.
벤딩 액추에이터(410)는,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미도시,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의 바로 뒤에 배치될 수 있는 커버 버텀(Cover Bottom))과 결합되고,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예: 커버 버텀)이 휘어지도록 또는 플랫해지도록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예: 커버 버텀)에 힘을 가해줄 수 있다.
도 4에서는, 벤딩 액추에이터(410)는 휘지 않고, 표시패널(110)만 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벤딩 액추에이터(410)도 표시패널(110)과 함께 휠 수도 있다.
또한, 백 커버(430)도, 표시패널(110)과 함께 휠 수도 있고 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모터를 이용하는 벤딩을 제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벤딩 액추에이터(410)는,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예: 커버 버텀)의 후방에 위치하는 벤딩 플레이트(미도시)와,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예: 커버 버텀)의 중앙지점과 벤딩 플레이트(미도시)의 중앙지점을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 스페이서(미도시)와, 벤딩 플레이트의 양측 각각에 결합되는 모터와,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예: 커버 버텀)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모터의 스크류 축과 나사 결합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스크류 너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이 전방으로 휘도록 해주기 위하여, 백 커버(430) 또는 다른 구조물(예: 커버 버텀)의 강성은, 벤딩 플레이트의 강성보다 작을 수 있다.
벤딩 컨트롤러(420)는, 희망 벤딩 곡률에 따라 결정된 전류 방향 또는 전류 크기에 해당하는 전류를 모터로 공급함으로써, 모터의 스크류 축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플랫 상태 또는 원하는 커브드 상태로 만들어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바이메탈 원리를 이용하는 벤딩을 제어할 수 있다.
벤딩 액추에이터(410)는, 표시패널(110)의 후면에 위치하고 벤딩 컨트롤러(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열팽창 계수가 다른 2개의 금속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 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2개의 금속판은, 표시패널(110)의 뒷면에 위치하는 커버 버텀(Cover Bottom) 역할을 할 수 있다.
벤딩 컨트롤러(420)는, 희망 벤딩 곡률에 따라 결정된 전류 크기에 해당하는 전류를 2개의 금속판으로 공급한다.
2개의 금속판은, 동일한 전류 크기의 전류를 공급받아 동일한 열(Joule's heat)이 발생하더라도, 열 팽창 계수가 서로 달라 휘는 정도가 서로 다를 것이다.
2개의 금속판 중에서, 표시패널(110)과 덜 인접한 금속판의 열팽창 계수가 나머지 금속판의 열팽창 계수보다 크면, 표시패널(110)과 덜 인접한 금속판이 더 많이 휘어져서, 표시패널(110)이 전방을 향해 휘어지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플렉서블 표시장치인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구조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 6개의 제2본딩부(CB1~CB6)가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든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5에 예시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L이고, 너비 방향으로 너비가 W이다.
도 5에 예시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상에 존재하는 6개의 제2본딩부(CB1~CB6)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5에 예시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표시패널(110)이 플랫 상태인 경우에 해당한다.
전술한 벤딩 제어에 의하여, 표시패널(110)이 커브드 상태가 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커브드 상태가 된다.
단순한 직사각형 형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휘게 되면,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의 본딩으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TA)에서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160)가 뒤틀리게 되면,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의 본딩 상태가 불안정해지고, 신호 전달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라인 결함이 발생하거나 화상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고, 심한 경우, 표시장치(100)에 대한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특히, 플랫 상태와 커브드 상태 간의 벤딩 상태 변경을 많이 하게 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뒤틀림 현상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나머지 부분의 너비(W)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Bridge) 부분"이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이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 좁은 너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거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 홀(Hole)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홀(Hole)이 존재함으로써,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체 또는 본딩 부분들이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둘 이상의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렉서빌리티(Flexiblity)가 더욱 좋아질 수 있다.
한편,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상에서,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둘 이상의 슬릿 각각은 제2본딩부(CB1, CB2, ...) 사이마다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상에서,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둘 이상의 슬릿 각각이 제2본딩부(CB1, CB2, ...) 사이마다 존재함으로써,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SDIC #2, ...)이 본딩되는 부분들이 뒤틀리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상에서,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둘 이상의 슬릿 각각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상의 각 지점에서의 벤딩 상태가 균일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체 또는 본딩 부분들이 뒤틀리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 대한 몇 가지 예를 설명한다. 단, 아래에서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 상에 5개의 브릿지 부분 또는 5개의 슬릿이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든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제1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제1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제1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커브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이 존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 각각은, 2개의 본딩부 사이마다 존재한다.
즉, P12는 CB1과 CB2 사이에 존재하고, P23는 CB2와 CB3 사이에 존재하고, P34는 CB3과 CB4 사이에 존재하고, P45는 CB4와 CB5 사이에 존재하고, P56는 CB5와 CB6 사이에 존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 각각은,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한쪽 가장자리가 너비 방향으로 일정 값(a)만큼 패어져, 나머지 부분의 너비(W)보다 좁은 너비(Wn)를 갖는다. 이 경우,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너비 중앙(CL)을 기준으로 비대칭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 좁은 너비(Wn)를 갖는 브릿지 부분들(P12, P23, P34, P45, P56)이 존재함으로써,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렉서빌리티가 더욱 향상되고,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면적에 걸쳐 벤딩 특성이 균일해져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체 또는 본딩 부분들이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도 8의 커브드 상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휘어져 커브드 상태가 되었을 때, 어느 한 부분에서도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가 커브드 상태일 때도,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SDIC #6)의 본딩 부분의 위치가 선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의 본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 간의 신호 전달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제2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제2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제2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커브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이 존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 각각은, 2개의 본딩부 사이마다 존재한다.
즉, P12는 CB1과 CB2 사이에 존재하고, P23는 CB2와 CB3 사이에 존재하고, P34는 CB3과 CB4 사이에 존재하고, P45는 CB4와 CB5 사이에 존재하고, P56는 CB5와 CB6 사이에 존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 각각은,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양쪽 가장자리가 너비 방향으로 동시에 일정 값(a1, a2)만큼 패어져, 나머지 부분의 너비(W)보다 좁은 너비(Wn)를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5개의 브릿지 부분(P12, P23, P34, P45, P56)이 존재하기 위하여,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양쪽 가장자리가 너비 방향으로 패어진 깊이(a1, a2)는 동일할 수 있다(a1=a2).
이에 따라,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은, 너비 중앙(CL)을 기준으로 대칭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양쪽 가장 자리가 모두 패어져, 좁은 너비(Wn)를 갖는 브릿지 부분들(P12, P23, P34, P45, P56)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중앙에 존재함으로써,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렉서빌리티가 더욱 향상되고,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 면적에 걸쳐 벤딩 특성이 균일해져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체 또는 본딩 부분들이 뒤틀리는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도 10의 커브드 상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휘어져 커브드 상태가 되었을 때, 어느 한 부분에서도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가 커브드 상태일 때도,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SDIC #6)의 본딩 부분의 위치가 선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의 본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 간의 신호 전달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제3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 및 커브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제3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랫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제3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커브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는 구멍(Hole)이 팬 5개의 슬릿(S12, S23, S34, S45, S56)이 존재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5개의 슬릿(S12, S23, S34, S45, S56) 각각은, 2개의 본딩부 사이마다 존재한다.
즉, S12는 CB1과 CB2 사이에 존재하고, S23는 CB2와 CB3 사이에 존재하고, PS34는 CB3과 CB4 사이에 존재하고, S45는 CB4와 CB5 사이에 존재하고, S56는 CB5와 CB6 사이에 존재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5개의 슬릿(S12, S23, S34, S45, S56) 각각은,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서 너비 중앙(CL)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 슬릿들(S12, S23, S34, S45, S56)이 존재함으로써,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렉서빌리티가 더욱 향상되고,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 면적에 걸쳐 벤딩 특성이 균일해져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전체 또는 본딩 부분들이 뒤틀리는 현상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도 12의 커브드 상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이 휘어져 커브드 상태가 되었을 때, 어느 한 부분에서도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소스 인쇄회로기판(160)가 커브드 상태일 때도,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SDIC #6)의 본딩 부분의 위치가 선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의 본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6개의 제2본딩부(CB1~CB6)와 6개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1~SDIC #6) 간의 신호 전달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의 뒤틀림 구조는, 표시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양한 종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음)와 본딩되는 그 어떠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들을은,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1본딩부가 존재하는 표시패널과,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2본딩부가 존재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일 측은 다수의 제1본딩부에 본딩되고 타 측은 다수의 제2본딩부에 본딩된 다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에는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은, 기본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 SDIC #M)이 본딩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일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각종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가 본딩되는 그 어떠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상태 변경(플랫 상태↔커브드 상태) 시, 인쇄회로기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과 인쇄회로기판 간의 안정적인 본딩 및 신호 전달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은, 기본적으로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들(SDIC #1, ... , SDIC #M)이 본딩되는 소스 인쇄회로기판(160)일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각종 드라이버 집적회로(들)가 본딩되는 그 어떠한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데이터 구동부
130: 게이트 구동부
140: 타이밍 컨트롤러

Claims (13)

  1.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제2방향으로 배치되며,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1본딩부가 존재하고, 곡률에 따라 플랫 상태 또는 커브드 상태로 설정되는 표시패널;
    가장 자리에 다수의 제2본딩부가 존재하고, 상기 표시패널이 플랫 상태일 때 플랫 상태이고 상기 표시패널이 커브드 상태일 때 커브드 상태인 소스 인쇄회로기판;
    일 측은 상기 다수의 제1본딩부에 본딩되고 타 측은 상기 다수의 제2본딩부에 본딩된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에는 홈이 구비되어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다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거나, 너비 중앙에 홀이 구비되어 다수의 슬릿이 존재하고,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브드 상태일 때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은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커브드 상태일 때 상기 다수의 슬릿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존재하되,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하고,
    상기 다수의 슬릿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존재하되,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에는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둘 이상의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상기 둘 이상의 슬릿 각각은 제2본딩부 사이마다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브릿지 부분 또는 상기 둘 이상의 슬릿 각각은,
    동일한 크기를 갖고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한쪽 가장자리가 너비 방향으로 패어져,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가장자리가 너비 방향으로 동시에 패어져,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기 위하여,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양쪽 가장자리가 너비 방향으로 패어진 깊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 또는 다수의 슬릿은,
    상기 소스 인쇄회로기판에서 너비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구비된 백 커버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표시장치 또는 상기 표시패널이 전방을 향해 휘어지거나 플랫하게 되도록 힘을 가해주는 벤딩 액추에이터; 및
    상기 벤딩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벤딩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게이트 라인이 제2방향으로 배치되며, 곡률에 따라 플랫 상태 또는 커브드 상태로 설정되는 표시패널;
    가장 자리에 다수의 본딩부가 존재하고, 상기 표시패널이 플랫 상태일 때 플랫 상태이고 상기 표시패널이 커브드 상태일 때 커브드 상태인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존재하는 다수의 본딩부에 본딩된 다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홈이 구비되어 나머지 부분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다수의 브릿지 부분이 존재하거나, 너비 중앙에 홀이 구비되어 다수의 슬릿이 존재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브드 상태일 때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은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커브드 상태일 때 상기 다수의 슬릿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존재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하고,
    상기 다수의 슬릿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존재하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길이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하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 부분 또는 다수의 슬릿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너비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존재하는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으로 정의되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 각각은,
    광원; 및
    상기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게이트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의 발광 타이밍에 맞춰 전압을 공급하는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회로가 위치하는 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부분 또는 슬릿은 다수의 제2 본딩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브릿지 부분 또는 슬릿의 개수는 상기 제2 본딩부의 수보다 적은 표시장치.
KR1020140188263A 2014-12-24 2014-12-24 표시장치 KR10224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263A KR102244247B1 (ko) 2014-12-24 2014-12-24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263A KR102244247B1 (ko) 2014-12-24 2014-12-24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636A KR20160078636A (ko) 2016-07-05
KR102244247B1 true KR102244247B1 (ko) 2021-04-26

Family

ID=5650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263A KR102244247B1 (ko) 2014-12-24 2014-12-2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7179A1 (en) * 2021-12-30 2023-07-0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994B2 (en) * 2014-08-30 2017-01-1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ide crack prot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10050B1 (ko) * 2016-08-11 2017-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56U (ko) * 1999-06-29 2001-01-15 김영환 액정 표시 모듈의 인쇄회로기판
KR100640087B1 (ko) * 2000-07-29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인쇄회로기판
KR101036618B1 (ko) * 2009-02-16 2011-05-24 한국과학기술원 유연 디스플레이의 햅틱 피드백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7179A1 (en) * 2021-12-30 2023-07-0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636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99B1 (ko) 타이밍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6543522B2 (ja) 表示装置
KR102354076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게이트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의 구동 방법
KR20180072922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US946623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81299B1 (ko) 표시장치 및 파워 모니터링 회로
KR102477744B1 (ko)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2244247B1 (ko) 표시장치
US1056592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262863B1 (ko)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게이트 구동 방법,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JP6483926B2 (ja) 表示装置
JP2008191535A (ja) 表示装置
KR20180079550A (ko) 표시패널
US9070315B2 (en) Display device
US9711538B2 (en) Display device
KR102576534B1 (ko)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495057B1 (ko) 표시 장치
US2018006131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er
KR102339652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56357B1 (ko) 표시장치
KR102456790B1 (ko)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2330505B1 (ko) 게이트 구동 방법, 게이트 구동 회로 및 표시장치
KR102291348B1 (ko)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KR2018000297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소스 인쇄회로기판
KR102419655B1 (ko) 전원 공급부와 그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