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400B1 - 코어라드 장착구 - Google Patents

코어라드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400B1
KR102243400B1 KR1020190146592A KR20190146592A KR102243400B1 KR 102243400 B1 KR102243400 B1 KR 102243400B1 KR 1020190146592 A KR1020190146592 A KR 1020190146592A KR 20190146592 A KR20190146592 A KR 20190146592A KR 102243400 B1 KR102243400 B1 KR 10224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ore rod
deposition
joi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일
이현주
이가형
서진영
유재명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9014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06Deposition reacto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4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made entirely or partially by chemical means, e.g. vapour phase deposition of bulk porous glass either by outside vapour deposition [OVD], or by outside vapour phase oxidation [OVPO] or by vapour axial deposition [VAD]
    • C03B37/0148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translating the preforms being formed, e.g. lat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착챔버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 모재가 증착되는 코어라드의 일단부가 장착되는 착탈식 코어라드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증착챔버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코어라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모재의 증착 완료공정과 다음 증착 시작공정 사이에 발생되는 증착 준비공정시간을 현저하게 단축됨에 따라 광섬유 모재의 생산수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코어라드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중 고정구조로 인해 증착 과정에서 코어라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코어라드 장착구{Core rod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코어라드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 모재의 증착 완료공정과 다음 증착 시작공정 사이에 발생되는 증착 준비공정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코어라드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는 중간재인 원기둥 형상의 코어와, 상기 코어의 주변을 둘러싸는 클래드를 포함하며, 광신호의 전송 매체로서, 외부의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선이 없고 도청이 어려우며, 광섬유 하나로 복수의 통신 회선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광섬유는 중간재인 광섬유 모재를 고온에서 가열한 후 인출함으로써 제작되며, 상술한 광섬유 모재의 제작 방법으로는 내부 화학 기상 증착법(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MCVD), 기상 축 증착법(vapor axial deposition:VAD)방법, 외부 기상 증착법(Outside vapor deposition:OVD) 및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PCVD) 등이 있다.
이중 외부 기상 증착법은 실리콘 함유 원료물질(Source material) 및 캐리어 가스(N2, O2, HE)를 버너(bunner)로 공급하여 화염 가수분해(Flame hydrolysis) 반응을 통해 수트(SiO2)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트(SiO2)를 코어라드(Starting member) 상에 증착하여 광섬유 모재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증착율이 높고 모재를 크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외부 기상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외부 기상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증착챔버(C) 내부에 설치되고 척들(111a, 11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코어라드(101)가 장치된 선반(110)과, 원료가스 및 화염을 코어라드(101)의 둘레에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버너들(122)을 포함하는 버너 어셈블리(120)와, 버너 어셈블리(120)를 코어라드(101)의 장축을 따라서 왕복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위와 같은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코어라드(101)의 외면에 광섬유 모재의 증착이 완료되면, 증착이 완료된 코어라드(101)를 척들(111a, 111b)로부터 분리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코어라드(101)의 양단이 선반에 고정설치되는 척들(111a, 111b)에 지지되는 구조로 인해 증착이 완료된 코어라드(101)를 척들(111a, 111b)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증착챔버(C) 내에 들어가 척들(111a, 111b)에 결합된 코어라드(101)의 양단을 척들(111a, 111b)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그런데, 증착공정 과정에서 내부 온도가 1100℃~1300℃로 승온된 증착챔버(C) 내로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기 위해서는 증착챔버(C)의 내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할 때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증착공정에 할당되는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감소됨에 따라 광섬유 모재의 생산수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100)는 다음 증착공정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협소한 증착챔버(C) 내부로 들어가 코어라드(101)의 양단을 일일이 척들(111a, 111b)에 장착해야 함에 따라 증착공정을 준비하는 작업에도 다소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301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모재의 증착 완료공정과 다음 증착 시작공정 사이에 발생되는 증착 준비공정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코어라드 장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코어라드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중 고정구조를 가지는 코어라드 장착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착챔버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 모재가 증착되는 코어라드의 일단부가 장착되는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증착챔버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및 일측이 상기 회전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코어라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라드 장착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유닛 및 일측이 상기 착탈유닛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코어라드가 장착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유닛은 일측이 상기 착탈유닛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장착하우징 및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 각각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조인트 및 상기 샤프트 조인트의 타단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체 형상으로서 일단부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 조인트의 타단부 외주면에 삽입되고, 타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홈이 형성된 제 1 조인트 홀더 및 연성 재질로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장착링 및 관체 형상으로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링을 가압하는 제 2 조인트 홀더 및 상기 장착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조인트 홀더를 상기 장착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의 직경보다 큰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너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방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증착챔버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대향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축 및 상기 고정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롤러의 설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 모재의 증착 완료공정과 다음 증착 시작공정 사이에 발생되는 증착 준비공정시간을 현저하게 단축됨에 따라 광섬유 모재의 생산수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코어라드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중 고정구조로 인해 증착 과정에서 코어라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외부 기상증착법을 이용한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가 증착챔버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의 분해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의 샤프트 조인트가 코어라드의 외면에 체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의 장착링이 조인트 홀더에 의해 코어라드의 외면에 체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이 회전부로부터 탈거되는 동작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가 증착챔버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라드 장착구(1)는 증착챔버의 내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 모재가 증착되는 코어라드(CL)의 일단부가 장착되며, 증착챔버의 일측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부(10) 및 장착부(20)를 포함한다.
회전부(10)는 외부의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장착부(20)에 장착되는 코어라드(CL)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11), 회전플레이트(12), 고정축(13), 롤러(14)를 포함한다.
회전축(11)은 증착챔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증착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플레이트(12)가 결합된다.
회전플레이트(12)는 원판 형상으로서 일면이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면을 통해 고정축의 설치영역과 후술하는 착탈유닛(21)의 지지영역을 제공한다.
고정축(13)은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이 회전플레이트(12)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롤러(14)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롤러(14)는 고정축(13)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착탈유닛(21)의 슬라이딩홈(21a)에 삽입 및 지지되어, 착탈유닛(21)이 회전부(10)와 동반 회전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러한 롤러(14)는 착탈유닛(21)을 회전부(1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부(20)는 일측이 회전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코어라드(CL)의 일단부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착탈유닛(21) 및 장착유닛(23)을 포함한다.
착탈유닛(21)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부(10)의 롤러(14)와 대응되는 일면에 롤러(14)의 설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21a)이 형성되고, 타면에 암나사결합부(21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착탈유닛(21)에 의해 코어라드(CR)가 장착되는 장착부(20)가 회전부(1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됨에 따라 증착공정이 완료된 후 증착챔버 내부의 온도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대기할 필요없이 별도의 로봇암 등을 통해 코어라드(CR)가 장착된 장착부를 증착챔버 외부로 바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음으로 증착할 코어라드를 미리 장착부에 조립해 놓으면, 다음으로 증착할 코어라드를 증착챔버 내부에 바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코어라드의 조립작업에 의해 증착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증착 완료공정과 다음 증착 시작공정 사이에 발생하는 증착준비공정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에 따라 광섬유 모재의 생산수율이 크게 향상된다.
장착유닛(23)은 일측이 착탈유닛(21)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코어라드(CL)의 일단부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코어라드(CR)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착하우징(23a), 스토퍼(23b), 샤프트조인트(23c), 제 1 조인트 홀더(23d), 장착링(23e), 제 2 조인트 홀더(23f), 너트(23g) 및 방염커버(23h)를 포함한다.
장착하우징(23a)은 스토퍼(23b), 샤프트조인트(23c), 제 1 조인트홀더(23d), 장착링(23e), 제 2 조인트홀더(23f), 너트(23g) 및 방염커버(23h)의 설치영역 및 코어라드(CR)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장착축(23aa) 및 하우징몸체(23ab)를 포함한다.
장착축(23aa)은 착탈유닛(21)의 일단부가 암나사결합부(21b)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결합되고, 타단에 하우징몸체(23ab)의 일단이 결합된다.
하우징몸체(23ab)는 타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며, 공간부(S)를 통해 스토퍼(23b), 샤프트조인트(23c), 제 1 조인트홀더(23d), 장착링(23e), 제 2 조인트홀더(23f), 너트(23g) 및 방염커버(23h)의 설치영역 및 코어라드(CR)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스토퍼(23b)는 원형의 시트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몸체(23ab)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하우징몸체(23ab)와 코어라드의 단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어라드(CR)의 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샤프트조인트(23c)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개의 절개홈(23ca)이 형성되며, 공간부(S)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샤프트조인트(23c)는 일단이 하우징몸체(23ab)의 내면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부에 제 1 조인트홀더(23d)가 삽입되어 제 1 조인트홀더(23d)에 의해 타단부의 직경이 감소되면서 내측에 배치되는 코어라드(CR) 외면에 밀착되어 코어라드(CR)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조인트홀더(23d)는 샤프트조인트(23c)의 타단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체 형상으로서 일단부 내주면이 샤프트조인트(23c)의 타단부 외주면에 삽입되고, 타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홈(23da)이 형성된다.
장착링(23e)은 연성 재질로서 상기 설치홈(23da)에 삽입되고, 제 2 조인트홀더(23f)는 관체 형상으로서 설치홈(23da)에 삽입되어 장착링(23e)을 가압하여 코어라드(CR)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너트(23g)는 중공을 가지는 판상부재로서, 하우징몸체(23ab)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 2 조인트홀더(23f)를 하우징몸체(23ab)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방염커버(23h)는 너트의 직경보다 큰 중공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너트(23g)의 외측에 결합되며, 버너로부터 발생되는 열 또는 화염이 방염커버(23h)의 내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장착링(23e)이 열 또는 화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의 샤프트 조인트가 코어라드의 외면에 체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의 장착링이 조인트 홀더에 의해 코어라드의 외면에 체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23)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조인트(23c)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조인트홀더(23d)가 샤프트 조인트(23c)에 타단에 삽입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형성된 샤프트조인트(23c)의 타단부가 내경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샤프트조인트(23c)의 타단부가 코어라드(CR)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코어라드(CR)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23)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인트홀더(23d)의 설치홈(23da)에 삽입된 장착링(23e)이 제 2 조인트홀더(23f)에 의해 가압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링(23e)의 내주면이 내경의 중심방향으로 압착되어 코어라드(CR)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코어라드(CR)를 고정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유닛(23)은 샤프트조인트(23c)와 장착링(23e)을 통해 코어라드(CR)를 이중으로 고정하는 이중 고정구조로 인해 장착링이 버너의 열 또는 화염에 의해 손상되더라도 샤프트조인트(23c)에 의해 고정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증착과정에서 코어라드(CR)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이 회전부로부터 탈거되는 동작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는 회전플레이트(12)에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14)가 착탈유닛(21)의 슬라이딩홈(21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착탈유닛(21)의 슬라이딩홈(21a)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탈거작업에 의해 착탈유닛(21)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롤러(14)가 슬라이딩홈(21a)이 형성된 착탈유닛(2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회전함에 따라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유닛(21)이 탈거되는 과정에서 회전플레이트(12)가 수직하게 배치되어 착탈유닛(21)을 회전부(1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코어라드 장착구 10 : 회전부
11 : 회전축 12 : 회전플레이트
13 : 고정축 14 : 롤러
20 : 장착부 21 : 착탈유닛
21a : 슬라이딩홈 21b : 암나사결합부
23 : 장착유닛
23a : 장착하우징 23aa : 장착축
23ab : 하우징몸체 23b : 스토퍼
23c : 샤프트 조인트 23ca : 절개홈
23d : 제 1 조인트홀더 23da : 설치홈
23e : 장착링 23f : 제 2 조인트홀더
23g : 너트 23h : 방염커버

Claims (4)

  1. 증착챔버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섬유 모재가 증착되는 코어라드의 일단부가 장착되는 장착구에 있어서,
    상기 증착챔버의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일측이 상기 회전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코어라드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증착챔버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대향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롤러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롤러의 설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라드 장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부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유닛과;
    일측이 상기 착탈유닛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코어라드가 장착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라드 장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유닛은
    일측이 상기 착탈유닛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장착하우징과;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에 외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조인트와;
    상기 샤프트 조인트의 타단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관체 형상으로서 일단부 내주면이 상기 샤프트 조인트의 타단부 외주면에 삽입되고, 타단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홈이 형성된 제 1 조인트 홀더와;
    연성 재질로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장착링과;
    관체 형상으로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링을 가압하는 제 2 조인트 홀더와;
    상기 장착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조인트 홀더를 상기 장착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직경보다 큰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너트의 외측에 결합되는 방염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라드 장착구.


  4. 삭제
KR1020190146592A 2019-11-15 2019-11-15 코어라드 장착구 KR10224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92A KR102243400B1 (ko) 2019-11-15 2019-11-15 코어라드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92A KR102243400B1 (ko) 2019-11-15 2019-11-15 코어라드 장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400B1 true KR102243400B1 (ko) 2021-04-22

Family

ID=7573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92A KR102243400B1 (ko) 2019-11-15 2019-11-15 코어라드 장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40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2433A (ja) * 1988-03-22 1989-09-2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装置
JP2001089173A (ja) * 1999-09-17 2001-04-03 Shin Etsu Chem Co Ltd ガラス棒加工用の回転把持具
KR20030011030A (ko) * 2002-11-26 2003-02-06 최익수 유리관 클램핑용 척
KR20060057729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섬유 모재 제조 장치
KR100630117B1 (ko) 2005-02-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상 외부 증착 방법에 의한 광섬유 모재 제작 장치
JP2014111513A (ja) * 2012-12-05 2014-06-19 Hitachi Metals Ltd 把持装置
KR20160049470A (ko) * 2014-10-27 2016-05-09 이노 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퍼레이션 범용 광섬유 커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2433A (ja) * 1988-03-22 1989-09-2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装置
JP2001089173A (ja) * 1999-09-17 2001-04-03 Shin Etsu Chem Co Ltd ガラス棒加工用の回転把持具
KR20030011030A (ko) * 2002-11-26 2003-02-06 최익수 유리관 클램핑용 척
KR20060057729A (ko) * 2004-11-24 2006-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섬유 모재 제조 장치
KR100630117B1 (ko) 2005-02-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상 외부 증착 방법에 의한 광섬유 모재 제작 장치
JP2014111513A (ja) * 2012-12-05 2014-06-19 Hitachi Metals Ltd 把持装置
KR20160049470A (ko) * 2014-10-27 2016-05-09 이노 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퍼레이션 범용 광섬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771B2 (en) Assembling device for the optical fiber connector
KR102243400B1 (ko) 코어라드 장착구
US10811234B2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upper electrode assembly
DE3071565D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conducting fibres
WO2012039744A2 (en) Plasma confinement ring assembly for plasma processing chambers
JP2018507508A (ja) スロット付き螺旋状導波管を有する回転式マイクロプラズマアンテナを有するワークピース処理チャンバ
US20130263422A1 (en) Fiber machining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optical fiber connector
JP2008280238A (ja) プラズマ化学蒸着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光学的予備成形品を製造する方法
EP1242323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core rod to be used in a process for producing a final preform
JP2009053339A (ja) 干渉対物レンズ
US20030041806A1 (en) PCVD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a preform rod and a jacket tube as well as the optical fiber manufactured therewith
AU2008259437B2 (en) Male contact for optical fibre
EP2725603B1 (en) Plasma microwave cavity
US5113035A (en)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n optical waveguide preform
US9540272B2 (en) Burner shield to reduce soot buildup
EP127964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preform by modifi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NL194795C (nl)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lichtgolfgeleidervoorvorm ten behoeve van een lichtgolfgeleider met een ovale doorsnede.
JPH0633246A (ja) 堆積膜形成方法および堆積膜形成装置
DK2947056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optical preform by means of an internal evaporation process as well as associated substrate tube assembly
RU2005125464A (ru) Свч плазменный реактор
KR101136733B1 (ko) 기판 처리 장치
US20100101730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KR102660799B1 (ko) 광섬유 모재 제조장치
KR101125507B1 (ko) 기판 처리 장치
KR20200122808A (ko) 박막증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