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355B1 -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355B1
KR102243355B1 KR1020190106864A KR20190106864A KR102243355B1 KR 102243355 B1 KR102243355 B1 KR 102243355B1 KR 1020190106864 A KR1020190106864 A KR 1020190106864A KR 20190106864 A KR20190106864 A KR 20190106864A KR 102243355 B1 KR102243355 B1 KR 10224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mage
sns
kios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299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해시스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시스냅 filed Critical (주)해시스냅
Priority to KR102019010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355B1/ko
Priority to PCT/KR2019/015657 priority patent/WO2021040138A1/ko
Publication of KR2021002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및 인화 키오스크(Kiosk)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SNS 서버에 업로드된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통해 인화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NS 서버로부터 해시태그 및 상기 해시태그와 관련된 포스트를 수집하는 포스트 수집부; 상기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포스트에서 상기 해시태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OFFERING PHOTO PRINTING SERVICE BASED ON HASH-TAG}
본 발명은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SNS(Social Network Service)에는 브랜드(brand)에 관련된 다양한 경험과 리뷰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실제 마케팅에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SNS에 산재되어 있는 포스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고객에게 친근하고 강력한 마케팅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4-0028162호 (2014.03.10. 공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7-208006호 (2017.11.24.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NS 서버에서 수집된 포스트에서 키오스크 사용자의 SNS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SNS에 업로드된 이미지를 키오스크 사용자에게 키오스크를 통해 인화 제공할 수 있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및 인화 키오스크(Kiosk)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SNS 서버에 업로드된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통해 인화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NS 서버로부터 해시태그 및 상기 해시태그와 관련된 포스트를 수집하는 포스트 수집부; 상기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포스트에서 상기 해시태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수집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통해 인화된 SNS 이미지가 게시된 포스트와 연관된 SNS 서버 가입자들의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우선적으로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수집부는, 상기 포스트에 포함된 SNS 이미지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포스트에서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없을 경우 SNS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수집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의 SNS 서버에서 발생한 포스트의 삭제 또는 수정에 따른 SNS 이미지의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SNS 이미지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SNS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저장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SNS 이미지에 특정 템플릿이 함께 인화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SNS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용 이미지와,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용 이미지를 임의로 배열한 인증용 이미지 UI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증용 이미지 UI를 이용하여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검증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SNS 이미지를 특정 템플릿과 각각 합성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합성 이미지를 상기 포스트의 SNS 이미지 순서에 따라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토리 영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스토리 영상을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토리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의 인화 시에 상기 스토리 영상에 접속 가능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 정보를 함께 인쇄하도록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SNS에서 수집된 포스트에서 해시태그에 기초하여 키오스크 사용자의 SNS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를 통해 브랜드 마케팅 효과를 제공하는 템플릿이 합성된 키오스크 사용자의 SNS 이미지를 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구성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하에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인화 키오스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인증용 UI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서 인화하려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서 템플릿을 선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합성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정보가 포함된 합성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구성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때,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구성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구성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SNS 서버(10) 및 인화 키오스크(20)와 각각 연결된다. 여기에서,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SNS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모듈을 구비하며, HTML, XML 등 웹 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넷스케이프,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SNS 서버(10)에 연결된 사용자 관리 하의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SNS 서버(10)에 이미지,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올릴 수 있고, 이는 SNS 포스트 등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올린 이미지들은 SNS 포스트를 수집함에 따라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still image) 뿐만 아니라 동영상 이미지(video image)도 포함한다.
이때,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미지가 포함된 포스트와 함께 해시태그(Hash Tag)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SNS 서버(10)에 업로드된 SNS 이미지를 수집하여 인화 키오스크(20)를 통해 인화할 수 있다. 즉,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시태그에 관련된 이미지들을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하여 인화 키오스크(2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인화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포스트 수집부(110), 서비스 저장부(120), 서비스 제어부(130), 서비스 통신부(140) 등을 포함한다.
포스트 수집부(110)는 SNS 서버(10)로부터 해시태그 및 상기 해시태그와 관련된 포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포스트 수집부(110)는 인화 키오스크(20)를 통해 인화된 SNS 이미지가 게시된 포스트와 연관된 SNS 서버(10) 가입자들의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우선적으로 SNS 서버(1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인화 키오스크(20)가 설치된 이벤트 박람회, 전시회 등 현장에 맞는 SNS 이미지를 수집하여 인화 키오스크(20)에 보여줄 수 있도록, 포스트 수집부(110)는 포스트에 포함된 SNS 이미지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포스트에서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없을 경우 SNS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용품을 전시하는 박람회일 경우, 성인의 성생활에 관련된 텍스트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에, 아기 등에 관련된 텍스트는 성인용품 박람회에 맞지 않으므로, 관련 텍스트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포스트 수집부(110)에서 아기 등이 있는 이미지는 제외하고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이미지에서 아기 등이 있는 이미지는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에서 관심 영역(ROI)을 설정하고, 검출하고자 하는 객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에 나타난 객체의 초기 위치에서 초기 탐색 윈도우 영역을 지정한 후, 색상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탐색 윈도우 영역 내부, 외부에서 객체의 중심 픽셀을 찾고, 그 뒤 둘을 비교하여 수렴하는 경우에 픽셀 위치를 반환하고, 탐색 윈도우 사이즈를 줄인다. 위와 같은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움직이는 객체의 픽셀을 추정하고, 이를 보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실제 스케일로 변환한 뒤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객체의 크기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이에, 사람인 경우, 객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성인인지 아기, 소아인지 등을 추정할 수 있고, 객체에서 머리카락이 차지하는 크기 등을 탐색하여 남성 또는 여성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수집부(110)는 이미지로부터 검출하고자 하는 객체의 시각적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과 추출된 특징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의 검출 시에 아다부스트(AdaBoost) 또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과 같은 학습기(Learning Machine)를 이용하는 방법과 추출된 특징의 벡터 유사도 등을 이용하는 비학습 방법이 있어 검출하고자 하는 객체 및 배경의 복잡도에 따라 학습 방법과 비학습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국소적인 특징(local feature)으로 인접한 두 개 이상의 블록 간의 화소(픽셀, pixel) 값의 합의 차, 또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중치 곱의 합을 이용하는 하알-유사 특징(Haar-like feature)을 응용할 수 있다. 하알-유사 특징 추출 시 인접 블록 간의 화소 값의 합의 차를 구하기 위해, 간단한 사각형 특징을 고려한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수집부(110)는 블랙리스트 및/또는 화이트리스트를 기초로 하여 SNS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즉, 포스트 수집부(110)는 블랙리스트에 있는 IP 주소에서 수집되는 포스트의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고, 화이트리스트에 있는 IP 주소에서 수집되는 포스트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SNS 서버(10)에서 발생한 포스트의 변경에 따른 SNS 이미지의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는 사용자의 SNS 서버(10)에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사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SNS 서버(10)에 접속하고,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SNS 서버(10)의 포스트를 삭제 또는 수정하는 경우, 포스트 수집부(110)는 상기 변경 사항을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게 인화 키오스크(20)에서 SNS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가 SNS 서버(10)의 포스트를 변경하여 SNS 이미지가 삭제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서비스 제어부(130)는 상기 SNS 이미지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SNS 서버(10)의 포스트와 실시간으로 연동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120)는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포스트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해시태그 및 포스트는 서비스 저장부(120)에 소정 시간 동안 저장되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서비스 저장부(120)에서 삭제될 수 있다. SNS 서버(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소정 시간만 저장함으로써, privacy 정보의 보호를 꾀할 수 있고, 외부의 해킹 위협에 따른 정보 누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저장부(120)는 인화 키오스크(20)에 설치 가능하며, SNS 이미지에 특정 템플릿이 함께 인화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은 인화 키오스크(20)에 설치되어 인화 키오스크(20)의 관리자가 인화 키오스크(20)의 디스플레이 및 사진 인화 등을 위한 기능을 관리할 수 있게 하며,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템플릿을 인화 키오스크(20)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템플릿은 SNS 이미지와 함께 인화되는 구성으로 배경, 각종 정보(날짜, 장소, 이벤트 당첨 여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화 키오스크(20)의 관리자가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을 관리할 수 있고, 화면 전환 시간, 사용자별 인화 제한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130)는 포스트 수집부(110), 서비스 저장부(120), 서비스 통신부(140) 등을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포스트에서 해시태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어부(130)는 서비스 통신부(140)를 통해 인화 키오스크(20)와 통신하며, 서비스 제어부(130)에서 포스트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한 포스트에서 해시태그를 기초로 상기 포스트에 포함된 SNS 이미지를 인화 키오스크(20)에 적절한 크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SNS 서버(10)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가 "***그램" SNS의 사용자인 경우, 인화 키오스크(20)에서 "***그램" SNS의 사용자 계정(ID) 및 비밀번호(PW)를 입력하고, 이를 서비스 제어부(130)가 "***그램" SNS으로부터 확인하여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를 SNS 이미지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검증 확인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NS 이미지를 특정 템플릿과 합성한 적어도 하나의 합성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인화 키오스크(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SNS 이미지를 특정 템플릿과 각각 합성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합성 이미지를 포스트의 SNS 이미지 순서에 따라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토리 영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스토리 영상을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SNS 서버(10)에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포스트의 업로드된 이미지 순서에 따라,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보여주게 되면,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스토리를 가진 이미지 집합이 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제어부(130)가 SNS 서버(10) 포스트의 업로드된 이미지 순서에 맞추어 복수의 합성 이미지를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토리 영상으로 만들어 인화 키오스크(20)에 제공하고, 사용자는 인화 키오스크(20)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스토리 영상이 선택된 경우, 합성 이미지의 인화 시에 상기 스토리 영상에 접속 가능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 정보를 함께 인쇄하도록 인화 키오스크(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토리 영상 등을 보기 위해 웹페이지 등에 접속할 수 있어 사용자를 원하는 플랫폼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웹페이지 등에서 광고 등을 볼 경우, 스토리 영상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브랜드 마케팅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인화 키오스크(20), SNS 서버(10) 등과 통신하여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이때, 네트워크(40)는 유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네트워크(40)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하에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인화 키오스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화 키오스크(20)는 키오스크 통신부(22), 키오스크 제어부(24), 키오스크 표시부(26), 키오스크 인화부(28) 등을 포함한다.
키오스크 통신부(22)는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비스 통신부(140)와 통신하여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키오스크 제어부(24)는 키오스크 통신부(22), 키오스크 표시부(26), 키오스크 인화부(28) 등을 제어한다. 특히, 키오스크 제어부(24)는 서비스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을 통해 키오스크 통신부(22), 키오스크 표시부(26), 키오스크 인화부(28)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제어부(24)는 서비스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을 통해 키오스크 표시부(26)에 수집된 SNS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NS 이미지를 특정 템플릿과 합성한 적어도 하나의 합성 이미지를 키오스크 표시부(2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제어부(24)는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합성 이미지를 키오스크 인화부(28)를 통해 인화할 수 있다.
키오스크 표시부(26)는 서비스 제어부(130)에 의한 SNS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키오스크 표시부(26)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 및 터치 모듈(미도시)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키오스크 인화부(28)는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NS 이미지를 특정 템플릿과 합성한 합성 이미지를 인화한다. 이러한 키오스크 인화부(28)는 서비스 제어부(130) 또는 키오스크 제어부(24)에 의해 제한된 사용자별 인화 매수만큼 인화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키오스크 인화부(28)는 인화 키오스크(20)에 일체로 될 수도 있으나,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SNS 서버(10)로부터 해시태그, 포스트 등을 수집한다(S101).
수집된 해시태그, 포스트 등은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저장되며(S103), 소정 시간 동안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집되어 저장된 정보들은 인화 키오스크(2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인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
박람회장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설치된 인화 키오스크(20)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 인화 키오스크(20)는 사용자 정보 입력을 요청한다(S105). 이때, 인화 키오스크(20)에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SNS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인화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화 키오스크(20)의 관리자 등에 의해 미리 설치된다.
인화 키오스크(20)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S107).
이때, 사용자의 확인은 사용자의 SNS 서버(10)의 계정 정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는 SNS 서버(10)의 아이디(ID), 비밀번호일 수 있다.
인화 키오스크(20)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확인한다(S110). 사용자 확인은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SNS 서버(10)에 요청하여 확인할 수도 있고,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집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SNS 서버(10) 및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수집된 각종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이중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확인된 경우(S110, YES), 사용자 관련 이미지를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인화 키오스크(20)로 전송하며(S112),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정보 입력 요청을 다시 요청한다(S105).
인화 키오스크(20)로 전송된 이미지는 인화 키오스크(20)에서 디스플레이되며(S114), 사용자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S116).
인화 키오스크(20)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는 템플릿 등이 결합되도록 이미지의 편집이 이루어진다(S118).
인화 키오스크(20) 사용자는 편집된 이미지 중에서 인화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S120), 인화 키오스크(20)에서 이미지의 인화가 이루어진다(S122).
이미지의 인화가 이루어지면, 인화 키오스크(20)에서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사진 인화 사실이 통지된다(S124). 이러한 사진 인화 사실 등은 SNS 서버 가입자들의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우선적으로 SNS 서버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인화 사실에 따른 사진 인화 횟수의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화 키오스크(20)의 키오스크 표시부(26)는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500)을 가진다.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가 표시되는 이미지 표시 영역(502),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502)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상부 표시 영역(501) 및 하부 표시 영역(503) 등이 있을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부분의 표시 영역 외에 다른 형태로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미지 표시 영역(502)에는 사용자가 SNS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미지의 크기가 조절되어 적절한 개수의 마이크로 이미지(51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미지 표시 영역(502)에는 디스플레이되는 마이크로 이미지(512)의 개수는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의 해상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표시 영역(502)에는 마이크로 이미지(512) 등과 관련된 정보 및 각종 정보 등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버튼(514),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의 최상단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버튼(516)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인증용 UI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화 키오스크(20)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SNS 계정 정보를 기초로 확인할 수 있으나, 사용자 계정 정보가 탈취된 정보이거나, 노출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SNS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검증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용 이미지(5121)와,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용 이미지(5122)를 임의로 배열한 인증용 이미지 UI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SNS 서버(10)의 정당한 사용자는 SNS 서버(10)에 업로드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SNS 서버(10)에 업로드한 고양이 사진이 제1 인증용 이미지(5121)가 되고, 나머지 사진들은 제2 인증용 이미지(5122)가 되며, 이러한 이미지들을 임의로 배열하여 인증용 이미지 UI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서비스 제어부(130)는 인증용 이미지 UI를 이용하여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검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는 화면(500)에서 첫번째 열의 첫번째 사진 및 두번째 열의 두번째 사진을 선택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인지 입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가 사진을 클릭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사용자를 확인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 6과 달리, 다른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 열의 첫번째 사진으로부터 두번째 열의 두번째 사진까지 계속하여 터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UI 동작에 따라 정당한 사용자인지 입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당한 사용자를 입증하기 위한 사용자의 UI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상부 표시 영역(501)에 "고객님의 SNS에 있는 이미지를 모두 선택해 주세요!"(도 6 참조), "고객님의 SNS에 있는 이미지를 한 번에 터치해 주세요!"(도 7 참조)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에 사용자의 UI 동작을 예시하기 위한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서 인화하려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SNS 이미지가 특정 템플릿과 결합된 합성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합성 이미지를 인화하려는 사용자는 인쇄 버튼(526)을 누르면 SNS 이미지가 포함된 합성 이미지를 인화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에는 합성 이미지들을 넘겨볼 수 있는 전환 버튼(524), 인화 단계의 전 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는 백 버튼(528)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서 템플릿을 선택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가 인화 키오스크(20)에 설정되어 있는 여러 템플릿(T11, T12, T13, T14) 중에 하나의 템플릿(T13)을 선택하면, 인화 키오스크(20)에는 SNS 이미지가 상기 선택된 템플릿(T13)과 합성된 합성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가 인쇄를 선택하면, 인화 키오스크(20)에서 사진 인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화 키오스크(20)에 하나의 합성 이미지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SNS 이미지와 여러 템플릿이 합성된 복수의 합성 이미지가 인화 키오스크(2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합성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정보가 포함된 합성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500)의 일부분인 이미지 표시 영역(501)에 사용자가 SNS 서버(10)에 업로드한 이미지가 화면 해상도 등에 마이크로 이미지(512)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들은 사용자가 SNS 서버(10)에 업로드한 시간 순으로 이미지 표시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미지 표시 영역(501)에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NS 이미지와 복수의 템플릿을 각각 합성한 복수의 합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히 템플릿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템플릿에 사용자가 선택한 SNS 이미지를 합성한 여러 합성 이미지를 이미지 표시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도울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합성 이미지의 인화 시에 스토리 영상에 접속 가능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 정보(550)를 함께 인쇄할 수 있다. 상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표시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들은 SNS 서버(10)에 업로드한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러한 SNS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템플릿들과 합성한 복수의 합성 이미지를 포스트의 SNS 이미지 순서에 따라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토리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 영상은 인화 키오스크(20)에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여기에서,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에 의해 스토리 영상이 선택된 경우, 합성 이미지의 인화 시에 상기 스토리 영상에 접속 가능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 정보(550)를 함께 인쇄하여 제공함으로써, 향후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를 브랜드 마케팅 등을 하려는 플랫폼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구성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2명의 사용자(사용자1, 사용자2)가 각각 카메라(70)로 촬영한 사진을 와이파이(45)를 통해 노트북(80)에 전송한다.
이때, 노트북(80)과 카메라(70)를 와이파이(45)로 연결하기 위해, 캠파이(미도시)가 카메라(7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70)의 촬영 범위는 20mX30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70)에 각각 장착되는 캠파이(CamFi)는 전송 범위가 60m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파이(45)를 통해 카메라(70)에서 노트북(80)으로 전송된 사진은 각각 와이파이(45)를 통해 노트북(80)에 연결된 인화 키오스크(20)로 다시 전송된다. 각 인화 키오스크(20)로 전송된 각각의 사진은 인화 키오스크(20)에서 인화될 수 있다.
이때, 인화 키오스크(20)에서 사진의 인화 중에 사진이 이메일(e-mail) 또는 문자 메시지(SMS)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의 인화 중에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에 이메일(e-mail) 또는 문자 메시지(SMS)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기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는 이메일(e-mail) 또는 문자 메시지(SMS)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이메일(e-mail) 주소 또는 문자 메시지(SMS) 전송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인화 중인 사진을 외부의 서버나 단말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이메일(e-mail) 또는 문자 메시지(SMS) 중에 하나도 선택하지 않으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이 미리 저장된 메인 화면으로 변경된다.
또한, 인화 키오스크(20)의 사용자가 이메일(e-mail) 주소 또는 문자 메시지(SMS) 전송 번호를 잘못 입력할 경우를 대비하여 인화 키오스크(20)의 화면에는 전송 버튼(미도시)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중요 고객에게 고화질 사진을 바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적 매체, CD, DVD 등의 광학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크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포스트 수집부 120: 서비스 저장부
130: 서비스 제어부 140: 서비스 통신부

Claims (11)

  1.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 및 인화 키오스크(Kiosk)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SNS 서버에 업로드된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통해 인화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NS 서버로부터 해시태그 및 상기 해시태그와 관련된 포스트를 수집하고, 상기 포스트에 포함된 SNS 이미지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상기 포스트에서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없을 경우 SNS 이미지를 제거하는 포스트 수집부;
    상기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 및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용 이미지와,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는 SNS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용 이미지를 임의로 배열한 인증용 이미지 UI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인증용 이미지 UI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인증용 이미지를 선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검증하며, 상기 검증된 사용자의 포스트에서 상기 해시태그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의 SNS 이미지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수집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통해 인화된 SNS 이미지가 게시된 포스트와 연관된 SNS 서버 가입자들의 해시태그 및 포스트를 우선적으로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수집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의 SNS 서버에서 발생한 포스트의 삭제 또는 수정에 따른 SNS 이미지의 이벤트를 수집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SNS 이미지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SNS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거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저장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SNS 이미지에 특정 템플릿이 함께 인화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SNS 서버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를 확인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SNS 이미지를 특정 템플릿과 각각 합성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합성 이미지를 상기 포스트의 SNS 이미지 순서에 따라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스토리 영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스토리 영상을 상기 인화 키오스크에 제공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인화 키오스크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스토리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합성 이미지의 인화 시에 상기 스토리 영상에 접속 가능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코드 정보를 함께 인쇄하도록 상기 인화 키오스크를 제어하는,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106864A 2019-08-29 2019-08-29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4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864A KR102243355B1 (ko) 2019-08-29 2019-08-29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CT/KR2019/015657 WO2021040138A1 (ko) 2019-08-29 2019-11-15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864A KR102243355B1 (ko) 2019-08-29 2019-08-29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99A KR20210026299A (ko) 2021-03-10
KR102243355B1 true KR102243355B1 (ko) 2021-04-22

Family

ID=7468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864A KR102243355B1 (ko) 2019-08-29 2019-08-29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3355B1 (ko)
WO (1) WO2021040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38B1 (ko) * 2021-07-22 2022-04-28 주식회사 엘케이벤쳐스 촬영룸 키오스크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사진 프레임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69165B1 (ko) * 2022-01-10 2023-08-23 김중연 사용자 트렌드에 기초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4589A1 (en) * 2010-05-13 2012-03-01 Kelly Berger System and method for an online memories and greeting service
JP2017045181A (ja) * 2015-08-25 2017-03-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162A (ko) 2011-10-25 2014-03-10 (주) 비포유인터랙티브 키오스크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27308B1 (ko) * 2012-10-11 2014-08-06 남창우 온라인 앨범 셀프 출판시스템
JP6740707B2 (ja) 2016-05-20 2020-08-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79747B1 (ko) * 2016-12-14 2018-07-18 임현철 포토 sns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4589A1 (en) * 2010-05-13 2012-03-01 Kelly Berger System and method for an online memories and greeting service
JP2017045181A (ja) * 2015-08-25 2017-03-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299A (ko) 2021-03-10
WO2021040138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0386A (zh) 突出显示文档内文本的关键部分
CA3111097C (en) Bounding box doubling as redaction boundary
CN103189864A (zh) 用于确定个人的共享好友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CN109074496A (zh) 隐藏敏感数据
KR102243355B1 (ko) 해시태그 기반의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675483B2 (en) Cli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moothly exchanging the display of images on a device
CN107636587B (zh) 用于预览数字内容的系统和方法
US20150189384A1 (en) Presenting information based on a video
US20160283708A1 (en) Image-based user authentication
EP3114601A1 (en) Access control for a resource
CN106339612A (zh)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20140068454A1 (en) Printing system including a server that generates user interfaces for a control panel of the printing system
WO2019069606A1 (ja) 画像候補決定装置,画像候補決定方法,ならびに画像候補決定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9672647B2 (en) Image effect extraction
JP201512795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2698775B (zh) 图像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318989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signage device
JP2020197849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211316U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11176617B1 (en) Mobile submission of pharmacy insurance information
JP6248598B2 (ja) 出力制御サーバおよび出力システム
CN113783770A (zh) 图像分享方法、图像分享装置和电子设备
JP5905865B2 (ja) コンピュータの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515326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8712788B1 (en) Method of publicly displaying a person's relationship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