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273B1 -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3273B1 KR102243273B1 KR1020200043695A KR20200043695A KR102243273B1 KR 102243273 B1 KR102243273 B1 KR 102243273B1 KR 1020200043695 A KR1020200043695 A KR 1020200043695A KR 20200043695 A KR20200043695 A KR 20200043695A KR 102243273 B1 KR102243273 B1 KR 102243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cooker
- lid
- rice
- opening
- limit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밥솥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을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취사 동작시 밥솥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밥솥 내부에 물과 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밥솥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을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취사 동작시 밥솥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밥솥 내부에 물과 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은 보리, 밀과 함께 세계적으로 중요한 농산물이다. 세계 총생산량의 약 92%는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생산되며, 그 대부분을 아시아 사람들이 먹고 있다.
한국도 쌀의 주요 생산국의 하나이고, 또 쌀은 한국인의 주식이다.
벼의 재배 기원에 대해서는 고고학자들이 많이 연구하고 있는데, 세계적으로 보면 인도에서는 BC 7,000 ~ 5,000년대에, 중국에서는 BC 5,000년경에 벼를 재배하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선사시대 유적지에서 발굴된 탄화된 쌀이나 벼의 탄소 동위원소 연대추정 및 기타 고고학적 증거로부터 짐작할 수 있다.
한국에 쌀이 보급되기 이전에는 잡곡(피, 기장, 조, 보리, 밀 등)을 주식으로 하였으나, 1천여 년 전, 남북국시대부터 벼의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쌀이 우리 식생활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그 후 쌀이 들어오면서 분식(粉食) 중심에서 쌀밥 중심의 식생활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 후부터 한국에서 쌀이 차지한 정치적, 경제적, 농업기술적 위치는 너무나 뚜렷하다.
쌀은 5 ~ 6세기경까지만 해도 귀족식품으로 인식되었다. 통일신라의 주식 유형을 보면 북부는 조, 남부는 보리,귀족층은 쌀이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오면서 쌀은 물가의 기준이자 봉급의 대상으로 할 정도로 귀중한 존재가 되었다.
쌀의 생산량이 좁쌀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차차 좁쌀보다 많아져 곡류의 대표격이 된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온 후부터라고 알려진다. 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옛날부터 낟알로 밥을 지어 일상식품으로 하였고, 분식으로서는 가루를 내어 떡을 만들어 명절이나 제사 때 별식으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다 지은 밥의 보존시간이 길지 않고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서 밥맛이 변하거나 상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마다 밥을 새로 지어서 먹어야 한다. 그래서 가정에서는 쌀 또는 잡곡 등을 보관하는 쌀통에서 꺼내어 사람이 직접 손으로 세척한 후 밥솥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밥을 지었다.
이러한 밥을 짓는 행위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의 쌀 또는 잡곡을 미리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투입하여 가열하거나 또는 전기밥솥에 투입하고 밥이 완성되기를 기다려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기밥솥은 밥을 짓기 위해 사용자가 쌀을 씻은 후 쌀을 밥솥에 담은 후 또한 적당량의 물을 밥솥에 붓고, 그 밥솥을 전기밥솥 내부에 투입한 후 전기밥솥에 구비된 취사버튼을 눌러주어야만 밥이 완성되기 때문에 혼자 생활하는 현대인들이 일일이 전기밥솥으로 밥을 짓기 위해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준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전기밥솥의 뚜껑은 대부분이 힌지타입으로 설계되어 젖혀지는 동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뚜껑의 개폐시 작동반경이 커지게되어 인공지능 밥솥에는 적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4-0078134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바닥부에 안착되는 밥솥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을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취사 동작시 밥솥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밥솥 내부에 물과 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밥솥(10)이 안착되기 위한 바닥부(5)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3)와;
밥솥(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과;
취사제어정보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0); 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있어서,
뚜껑(2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41)과;
본체(3)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하우징(42)과;
개폐하우징(42) 내부에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43)과;
지지구(4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중심축(41)이 끼워지도록 이동브라켓(43)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중심축(41)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9)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기어부(48)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구동부(47)와;
상하모터(51)의 모터축(52)에 축지된 상태로 상하구동부(47)의 기어부(48)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연결기어(50); 로 구성하여
상하구동부(47)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심축(41)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뚜껑(20)을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사 동작시 밥솥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을 자동으로 개폐시켜 밥솥 내부에 물과 쌀을 공급할 수 있도록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인공지능 밥솥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밥솥을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의 개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이 전진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서 밥솥의 투입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 개폐수단을 보인 정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물공급수단과 쌀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온도감지수단을 보인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온도감지수단을 보인 평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수단을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밥솥을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의 개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이 전진 이동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서 밥솥의 투입상태를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뚜껑 개폐수단을 보인 정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물공급수단과 쌀공급수단을 보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온도감지수단을 보인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온도감지수단을 보인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는
밥솥(10)이 안착되기 위한 바닥부(5)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3)와;
밥솥(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과;
취사제어정보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0); 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있어서,
뚜껑(2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41)과;
본체(3)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하우징(42)과;
개폐하우징(42) 내부에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43)과;
지지구(4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중심축(41)이 끼워지도록 이동브라켓(43)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중심축(41)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9)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기어부(48)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구동부(47)와;
상하모터(51)의 모터축(52)에 축지된 상태로 상하구동부(47)의 기어부(48)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연결기어(50); 로 구성하여
상하구동부(47)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심축(41)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뚜껑(20)을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하우징(42)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45)과;
상기 가이드봉(45)에 안내되어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이동브라켓(43)의 측단에 설치되는 이동체(44)와;
개폐하우징(42)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바(53)와;
전후모터(55)의 모터축(56)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 되고, 랙바(53)의 일측에 기어산이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전후구동기어(54); 로 구성하여
전후구동기어(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브라켓(43)이 랙바(5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뚜껑(2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하우징(42)의 상부에는 이격된 위치에 제 1 리미트스위치(57)와 제 2 리미트스위치(58)가 설치되고, 이동브라켓(43)에는 전후 이동시 제 1 리미트스위치(57) 와 제 2 리미트스위치(58)에 접촉되는 접촉봉(59)을 설치하여 접촉봉(59)이 제 1 리미트스위치(57) 또는 제 2 리미트스위치(58)에 접촉될때까지 뚜껑(20)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뚜껑 이동장치는 인공지능 밥솥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인공지능 밥솥의 전반적인 구성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공지능 밥솥(1)은 가열부(6)가 구비된 본체(3), 제어수단(30), 두껑개폐수단(40), 물공급수단(60), 쌀공급수단(70), 온도감지수단(100), 김빠짐수단(120)으로 대별 구성된다.
본체(3)는 인공지능 밥솥(1)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본체(3)의 전방에는 밥솥(10)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투입구(4) 안쪽에는 밥솥(10)이 놓여지기 위한 바닥부(5)가 형성되며, 바닥부(5)의 아래쪽에는 밥솥(1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6)가 설치된다.
가열부(6)는 인덕션렌즈와 같은 가열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체(3)의 하부 내측에는 각종 전기부품이 장착되기 위한 PCB(7)가 설치되며, 이 PCB(7)에 제어수단(30)을 이루는 각종 전기-전자부품이 장착된다.
밥솥(1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용기부(11)가 구비되고, 이 용기부(11)의 외측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외피(12)가 형성되며, 후설하는 온도감지수단(100)의 써미스터(101)가 직접 용기부(11)에 접촉되어 밥솥(10)의 가열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외피(12)에 홀(16)을 타공한다.
또한, 밥솥(1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3)가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13)의 전방에는 누름용 누름버튼(14)이 구비되고, 밥솥(10)의 상부에는 누름버튼(14)에 의해 눌려져 하강하면서 본체(3)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걸림쇠(15)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밥솥(10)의 상부에는 뚜껑(20)이 결합될 수 있고, 뚜껑(20)의 외주연에는 밥솥(10)과 뚜껑(20)에 밀착되었을 때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패킹이 설치될 수 있으며, 뚜껑(20)에는 취사 동작시 밥솥(10)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이 높아질때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볼밸브(22)가 설치되고, 또한, 취사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제어수단(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방되어 밥솥(1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는 메인밸브(21)가 설치되며, 메인밸브(21)와 볼밸브(22)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별도의 증기배출튜브(23)를 통해 증기배출관(140)으로 배출되도록 연결 구성된다.
증기배출튜브(23)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어수단(30)은 인공지능밥솥(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신하는 통신부(31)와, 취사 동작 제어를 위한 각종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33)와, 본체(3)에 설치되는 다수의 조작버튼(34)과, 사용자의 조작버튼(34) 조작 또는 통신부(31)를 통해 원격지에서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인공지능 밥솥(1)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2)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취사 명령을 위해 조작버튼(34)을 조작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또는 원격지에서 무선단말기(2)를 이용하여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부(31)로 접속하여 취사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무선단말기(2)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부(31)로 접속하여 제어부(32)로 취사제어명령(취사완료시간, 인분)을 입력할 수 있고, 그 취사제어명령을 입력받은 제어부(32)는 메모리(33)에 저장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무선단말기(2)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P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뚜껑개폐수단(40)은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뚜껑(20)을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뚜껑개폐수단(40)은 외주면상에 전체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41)을 뚜껑(20)의 중앙 상부에 결합하고, 이 중심축(41)을 이용하여 뚜껑(20)을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위하여 본체(3)의 내부 상단에 개폐하우징(42)을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한 개폐하우징(4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가이드봉(45)을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봉(45)과는 이격되도록 별도의 랙바(53)를 설치하며, 개폐하우징(42)의 내부에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게 이동브라켓(43)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45)에 안내되어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이동브라켓(43)의 측단에 이동체(44)를 설치한다.
중심축(41)에 끼워지는 상하구동부(47)를 지지구(46)에 지지시켜 이동브라켓(43)의 중앙부에 설치하는데, 상기 상하구동부(47)는 그 내주면에는 중심축(41)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9)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구동부(47)의 외주면에는 기어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48)에 맞물리도록 상하구동부(47)의 일측에 연결기어(50)를 설치하며, 이 연결기어(50)를 상하모터(51)의 모터축(52)에 결합함에 따라 상하모터(51)의 정역회전력이 연결기어(50)를 통해 상하구동부(47)로 전달되어 상하구동부(47)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하구동부(47)의 중심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중심축(41)이 상하로 움직이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랙바(53)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전후구동기어(54)를 이동브라켓(43)에 설치하는데, 이동브라켓(43)을 전후모터(55)의 모터축(56)에 결합하여 전후모터(55)의 정역회전에 따라 전후구동기어(54)가 랙바(53)에 맞물려 움직이면서 이동브라켓(4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중심축(41)에 연결되어 있는 뚜껑(20)이 이동브라켓(43)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개폐하우징(42)의 상부에는 이격된 위치에 제 1 리미트스위치(57)와 제 2 리미트스위치(58)가 설치되고, 이동브라켓(43)에는 전후 이동시 제 1 리미트스위치(57) 와 제 2 리미트스위치(58)에 접촉되는 접촉봉(59)을 설치하여 접촉봉(59)이 제 1 리미트스위치(57) 또는 제 2 리미트스위치(58)에 접촉될때까지 뚜껑(20)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물공급수단(60)은 취사동작시 밥솥(10)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개구부(62)가 구비된 물병(61)을 준비하여 물병(61)에 물을 담아 사용하며, 물병(61)은 흔히 사용되는 생수병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물병(61)의 개구부(62)에는 개구부(62)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체(95)가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밸브캡(9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밸브캡(9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에는 결합부(92)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출부(93)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91)로 이루어지고, 몸체(91)의 중간부 내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밸브시트(94)가 형성되며, 밸브시트(94)에 측면부가 밀착되는 밸브체(95)를 몸체(91) 내부에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밸브체(95)의 하측으로 밸브축(96)을 결합하고, 밸브축(96)의 하단에는 수평상으로 지지부(97)를 연장 형성하고, 배출부(93)의 내부에는 밸브시트(94)의 하단에 지지되어 지지부(97)를 탄력적을 지지하는 스프링(98)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밸브캡(90)의 결합부(92)를 물병(61)의 개구부(62)에 나사결합하면 밸브체(95)가 밸브시트(9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실링이 유지되게되어 물병(61)을 꺼꾸로 위치시키더라도 물이 유출되지 않게된다.
한편, 본체(3)의 상단 내부에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에 배출홀(64)이 형성되어 있는 물병지지부(63)를 형성하는데, 이 물병지지부(63)의 중간부에는 밸브캡(90)의 배출부(93)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지지부(97)를 밀어올려 밸브체(95)를 개방시키는 물병끼움부(65)를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고, 물병지지부(63)의 배출홀(64) 후단에는 통과하는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센서(66)를 설치하며, 수량센서(66)의 후단에는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개폐동작하여 물을 밥솥(10)으로 공급하는 물개폐밸브(67)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도 8 과 같이 밸브캡(90)이 개구부(62)에 결합된 물병(61)을 거꾸로 세운 후 밸브캡(90)의 배출부(93)를 물병끼움부(65)에 끼워 결합하면, 물병끼움부(65)에 의해 지지부(97)가 상측으로 밀리면서 밸브체(95)가 개방되며, 취사동작시 물의 공급을 위해 제어부(32)가 물개폐밸브(67)를 개방시키면 물병(61)의 물이 개방된 물개폐밸브(67)를 통해 밥솥(10)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물이 배출될때 수량센서(66)는 지속적으로 물 공급량을 감지하여 제어부(32)로 공급하고, 제어부(32)는 수량센서(66)에서 감지되는 물 공급양으로 현재 공급되는 물의 양을 판단한 후 취사에 필요한 물의 양이 공급되었을 때 물개폐밸브(67)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쌀공급수단(70)은 취사동작시 밥솥(10)으로 쌀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구부(72)가 구비되어 있는 쌀병(71)을 사용하여 쌀을 저장한다.
쌀병(71)에 담겨지는 쌀은 세척된 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쌀병(71)은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수병을 사용할 수 있고, 쌀병(71)의 개구부(72)에는 앞서 물공급수단(60)에서 사용하였던 밸브캡(90)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본체(3)의 상단 내부에 쌀병지지부(73)를 설치하여 거꾸로 세워져 삽입되는 쌀병(71)의 개구부(7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쌀병지지부(73)의 중앙에는 쌀병끼움부(74)를 상향 돌출되게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쌀병(71)이 쌀병지지부(73)에 꺼꾸로 세워져 삽입될 때 쌀병끼움부(74)가 배출부(93)의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지지부(97)를 밀어올려 밸브체(95)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쌀병지지부(73)의 출구측에는 원형의 챔버(75)가 설치되는데, 이 챔버(75)의 하측에는 쌀배출부(76)가 형성되어 있고, 별도의 쌀공급모터(8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체(77)가 챔버(75)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회전체(77)의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격벽(78)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격벽(78)과 격벽(78)의 사이에 일정크기의 쌀수용부(79)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쌀공급모터(80)의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체(77)가 회전함에 따라 쌀수용부(79)에 담겨져있는 쌀이 쌀배출부(76)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어 밥솥(10)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며, 쌀공급모터(80)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쌀배출부(76)의 통과하는 쌀수용부(79)의 칸수가 조절될 수 있게되어 밥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예를들어, 쌀수용부(79) 1칸에 담겨지는 쌀의 양이 1인분이라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3인분의 밥을 요청하였다면 제어부(32)는 3칸의 쌀수용부(79)에 담겨진 쌀이 밥솥(10)으로 공급되도록 쌀공급모터(80)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쌀공급모터(80)의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엔코더를 설치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벽(78)의 끝단에 자성체(81)를 설치하고, 챔버(75)의 외측에 자성체(81)를 감지하는 홀센서(82)를 설치하여 홀센서(82)에서 감지되는 자성체(81)의 갯수에 따라 쌀공급모터(8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공급수단(60)과 쌀공급수단(70)에 의해 물과 쌀을 밥솥(10)에 공급하는 동작은 앞서 설명한 뚜껑개폐수단(40)의 동작에 의해 도 5 와 같이 뚜껑(20)이 상승한 후 소정거리 전진하여 밥솥(10)의 상부가 일부분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밥솥(10)으로 쌀과 물이 공급된 후에는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뚜껑(20)이 원위치로 복귀한 후 밥솥(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밥솥(10)에 물과 쌀이 공급된 후에는 취사를 위해 가열부(6)가 동작하여 밥솥(10)을 가열하게되며, 밥솥(10)이 가열될 때 온도감지수단(100)이 밥솥(10)의 가열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2)로 공급하고, 제어부(32)는 온도감지수단(100)에서 감지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가열부(6)의 가열온도를 제어하여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감지수단(100)은 밥솥(10)을 이루는 용기부(11)에 직접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바닥부(5)에 안착되는 밥솥(10)에 대향 하도록 본체(3) 내부에 써미스터하우징(106)을 설치하는데, 써미스터하우징(106)의 중앙부에 수용부(107)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타측은 마감부(108)를 결합하여 구성하며, 써미스터(101)를 감싸는 써미스터캡(104)을 상기 수용부(107)의 내측에 삽입하여 써미스터캡(104)이 수용부(107)에 안내되어 전후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써미스터캡(104)의 중간부에는 수용부(107)의 출구측에 걸려지기 위한 단차부(10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써미스터캡(104)의 내부에는 써미스터(101)가 삽입되는데, 써미스터(101)의 후단에 날개부(10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제 1 스프링(103)이 날개부(102)를 탄지하여 써미스터(101)가 도면상의 좌측(전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바닥부(5)에 안착되어 있는 밥솥(10)의 용기부(11)에 접촉된 상태로 밥솥(10)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밥솥(10)을 이루는 외피(12)에 홀(16)이 타공되어 있으므로 써미스터(101)가 홀(16)을 관통하여 용기부(11)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가열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써미스터캡(104)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게 후단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후단부(113)가 접촉되었을 때 밥솥(10)이 바닥부(5)에 정상적으로 안착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전기신호를 제어수단(30)으로 출력하는 센서부(114)를 수용부(107)의 내측에 설치하여 밥솥(10)이 바닥부(5)에 정상적으로 위치할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같이 써미스터(101)와 써미스터캡(104)이 밥솥(10)에 밀려 후퇴하면서 후단부(113)가 센서부(114)에 접촉하게되고, 이때 센서부(114)가 소정의 전기신호를 제어부(32)로 출력하게되므로 인해 제어부(32)는 밥솥(10)이 정상적으로 바닥부(5)에 안착되어 있음을 인지한 후 취사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만약 센서부(114)에서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바닥부(5)에 밥솥(10)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제어부(32)는 취사동작을 수행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써미스터하우징(100)의 전방에 전후진 가능하게 탄력지지캡(110)을 설치하고, 탄력지지캡(110)의 내부에는 탄력지지캡(110)을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제 2 스프링(111)을 설치하여 탄력지지캡(110)이 바닥부(5)에 안착되는 밥솥(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되, 탄력지지캡(110)의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걸림쇠(112)를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하고, 써미스터하우징(106)의 수용부(107) 외측에는 걸림쇠(112)가 삽입되는 안내홀(109)을 형성하여 걸림쇠(112)의 돌출부분이 안내홀(109)의 끝부분에 걸리면서 탄력지지캡(110)이 써미스터하우징(106)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상기한 탄력지지캡(110)은 평상시 도 6 및 9a 와 같이 최대한 전진한 상태로 존재하다가 사용자가 밥솥(10)을 바닥부(5)에 투입하게되면, 도 5 및 도 9b와 같이 탄력지지캡(110)과 써미스터캡(104)이 밥솥(10)에 밀려 후퇴하게되고, 취사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밥솥(10)을 꺼내기 위해 누름버튼(14)을 눌러 걸림쇠(15)가 본체(3)로 부터 이탈되는 순간 제 2 스프링(111)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탄력지지캡(110)이 밥솥(10)을 전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밥솥(10)을 꺼낼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김빠짐수단(120)이 구성되어 있는데, 김빠짐수단(120)은
하측에 나사결합부(122)가 구비되고 상측이 개구된 형태의 김빠짐하우징(121)을 본체(3)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나사결합부(122)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끼움결합부(126)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부에는 마개부(129)가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다수의 유동홀(131)이 형성되어 있는 김안내브라켓(125)을 나사결합부(122)에 결합하며, 밥솥(10)에서 배출된 김이 유동되는 증기배출튜브(23)와 연결되는 증기배출관(140)을 별도의 홀더(141)에 결합시켜 끼움결합부(126)에 끼워 증기배출관(140)의 출구가 김안내브라켓(125)의 내부에서 마개부(129)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증기배출관(140)으로 배출된 김이 마개부(129)에 부딪힌 후 유동홀(131)을 통해 배출된 후 김빠짐하우징(121)과 김안내브라켓(125)의 사이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김빠짐하우징(121)의 하측 내주연에 물 배출홀(123)을 형성하고, 김빠짐하우징(12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물통(124)을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증기가 김안내브라켓(125)에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김안내브라켓(125)의 내벽면에 김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물이 물배출홀(123)을 통해 하강 배출되어 물통(124)에 담겨지도록 하였다.
1: 인공지능밥솥, 2: 무선단말기,
3: 본체, 10: 밥솥,
20: 뚜껑, 30: 제어수단,
40: 뚜껑개폐수단, 60: 물공급수단,
70: 쌀공급수단, 90: 밸브캡,
100: 온도감지수단, 120: 김빠짐수단,
3: 본체, 10: 밥솥,
20: 뚜껑, 30: 제어수단,
40: 뚜껑개폐수단, 60: 물공급수단,
70: 쌀공급수단, 90: 밸브캡,
100: 온도감지수단, 120: 김빠짐수단,
Claims (3)
- 밥솥(10)이 안착되기 위한 바닥부(5)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3)와;
밥솥(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20)과;
취사제어정보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30); 을 포함하는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에 있어서,
뚜껑(20)의 중앙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41)과;
본체(3)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하우징(42)과;
개폐하우징(42) 내부에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43)과;
지지구(4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중심축(41)이 끼워지도록 이동브라켓(43)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중심축(41)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49)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기어부(48)가 형성되어 있는 상하구동부(47)와;
상하모터(51)의 모터축(52)에 축지된 상태로 상하구동부(47)의 기어부(48)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연결기어(50); 로 구성하여
상하구동부(47)의 회전방향에 따라 중심축(41)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뚜껑(20)을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하우징(42)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45)과;
상기 가이드봉(45)에 안내되어 전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이동브라켓(43)의 측단에 설치되는 이동체(44)와;
개폐하우징(42)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바(53)와;
전후모터(55)의 모터축(56)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 되고, 랙바(53)의 일측에 기어산이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전후구동기어(54); 로 구성하여
전후구동기어(54)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브라켓(43)이 랙바(5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뚜껑(2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하우징(42)의 상부에는 이격된 위치에 제 1 리미트스위치(57)와 제 2 리미트스위치(58)가 설치되고, 이동브라켓(43)에는 전후 이동시 제 1 리미트스위치(57) 와 제 2 리미트스위치(58)에 접촉되는 접촉봉(59)을 설치하여 접촉봉(59)이 제 1 리미트스위치(57) 또는 제 2 리미트스위치(58)에 접촉될때까지 뚜껑(20)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695A KR102243273B1 (ko) | 2020-04-10 | 2020-04-10 |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695A KR102243273B1 (ko) | 2020-04-10 | 2020-04-10 |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3273B1 true KR102243273B1 (ko) | 2021-04-22 |
Family
ID=7573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3695A KR102243273B1 (ko) | 2020-04-10 | 2020-04-10 |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327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3022A (ja) * | 1995-03-09 | 1996-09-24 | Iseki & Co Ltd | 洗米炊飯機の蓋開閉装置 |
JP2010194272A (ja) * | 2009-02-27 | 2010-09-09 | Seiko Kikai Kk | 走行台車とそれを備えた炊飯装置 |
KR20190037809A (ko) *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
KR20200007456A (ko) * | 2018-07-13 | 2020-01-22 |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 스토어형 취반장치 |
-
2020
- 2020-04-10 KR KR1020200043695A patent/KR102243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3022A (ja) * | 1995-03-09 | 1996-09-24 | Iseki & Co Ltd | 洗米炊飯機の蓋開閉装置 |
JP2010194272A (ja) * | 2009-02-27 | 2010-09-09 | Seiko Kikai Kk | 走行台車とそれを備えた炊飯装置 |
KR20190037809A (ko) * | 2017-09-29 | 2019-04-08 | 최정환 |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
KR20200007456A (ko) * | 2018-07-13 | 2020-01-22 |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 스토어형 취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95028B2 (en) | Household food preparation appliance comprising a working container with a device to heat the contents of the working container | |
EP3479741A1 (en) | Electric cooking appliance having temperature sensor and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 |
CN110831469B (zh) | 烹饪食物用的自动设备 | |
TWI437971B (zh) | 結合飲水機功能之自動煮食裝置 | |
CN102762135A (zh) | 加热的液体用的容器和电器装置 | |
KR102301250B1 (ko) | 인공지능 밥솥 | |
WO2019085219A1 (zh) | 一种智能炒菜机 | |
US20030080106A1 (en) | Quick-cooking pot | |
CN101112289A (zh) | 带水冷装置的压力锅 | |
KR101900792B1 (ko) | 전자동 스마트 밥솥 시스템 | |
KR102243273B1 (ko) | 인공지능 밥솥의 뚜껑 이동장치 | |
KR102243277B1 (ko) | 인공지능 밥솥의 증기배출장치 | |
KR102281409B1 (ko) | 인공지능 밥솥의 쌀 공급장치 | |
CN202775913U (zh) | 电饭煲盖结构和电饭煲 | |
CN212117842U (zh) | 配料设备 | |
KR102301252B1 (ko) | 인공지능 밥솥의 가열장치 | |
CN107174134A (zh) | 一种组合厨房电器 | |
KR102028301B1 (ko) | 밥 제조장치 | |
KR100292039B1 (ko) | 전자동 시스템 밥솥 | |
CN108185802B (zh) | 蒸汽烹饪器具 | |
US6962105B2 (en) | Kitchen appliance for cooking foods | |
JP3954634B1 (ja) | 全自動式炊飯器 | |
CN105532788A (zh) | 一种新型家用馒头机 | |
KR20040095140A (ko) | 유도 가열 조리기 | |
CN206507749U (zh) | 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