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811B1 -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811B1
KR102242811B1 KR1020200142239A KR20200142239A KR102242811B1 KR 102242811 B1 KR102242811 B1 KR 102242811B1 KR 1020200142239 A KR1020200142239 A KR 1020200142239A KR 20200142239 A KR20200142239 A KR 20200142239A KR 102242811 B1 KR102242811 B1 KR 10224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weight
parts
ethylene
but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도현
Original Assignee
이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20014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층은 외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94 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12%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4 내지 6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부; 상기 중층은 중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1 내지 29 중량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5 내지 39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및 상기 내층은 내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84 내지 9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4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5 내지 7 중량부인,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FUNCTIONAL MEDICAL FILM WITH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필름 내면끼리 직접 맞닿아 고착되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수액 용기(Bag)는 내용적 대비 약액이 적게 충전(주입)되는 경우 빈공간(head space)이 생기고, 빈공간이 생긴 용기를 고온, 고압 조건에서 멸균할 때 상기 빈공간 부분의 필름 내면끼리 직접 맞닿아 고착되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이 발생한다.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용기(Bag)의 약물의 외관을 확인하기 어려워지고, 용기의 가변성이 떨어지게 되며, 용기를 사용할 때 약액의 혼주 기능 또한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블로킹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즉 안티블로킹(Anti-blocking) 필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소용량 의료용 수액 용기(Bag), 복막투석의 배액 용기(Bag)는 전술한 바와같이 블로킹 현상으로 외관 변형, 수축(Shrinkage), 혼주 기능 저하 및 배액의 지연 등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약물의 외관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 형상 변형이 용이한 유연성, 고온 멸균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밀봉성, 용기(Bag)를 쉽게 가공할 수 있는 성형성(열접착성), 운반.취급시 쉽게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내충격성에 더불어 안티블로킹 기능성을 구비하는 의료용 수액 용기(Bag)에 사용되는 필름을 개발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15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1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멸균시 약액이 충전되지 않는 빈공간, 접힌 부분(필름 내면 직접 맞닿은 부분) 및 빈용기 (Empty Bag)등에 적합한 안티블로킹 의료용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층, 중층, 및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층은 외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94 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12%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4 내지 6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부; 상기 중층은 중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1 내지 29 중량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5 내지 39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및 상기 내층은 내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84 내지 9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4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5 내지 7 중량부인,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층은 조성물의 균질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성 원료를 컴파운딩(compounding)한 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층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와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층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2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성 의료용 다층필름을 포함하는 의료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3층(외층, 중층, 내층)으로 구성된 다층 필름으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EBS),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외층 12~18%, 중층 65~75%, 내층 12~22%의 두께 구성비를 적용하여 내용적 대비 충전량이 적은 의료용 수액 용기(Bag) 또는 복막투석의 배액 용기(Bag)에 요구되는 성능인 안티블로킹 및 내열성이 우수한 의료용 다층필름을 실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료용 다층필름의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서 더욱 충분히 기술될 것이며, 그러나 본 발명의 전부가 아닌 단지 일부의 구체예가 예시된다. 실제로, 이들 발명은 많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원에 제시된 구체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한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은 제시된 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5% 수준으로 인식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약”은 측정 오차가 존재할 수 있음에 기인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그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필름은 의료용 수액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로 이용될 수 있으며, 외층, 중층, 및 내층의 3층(Layer)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층은 열봉합 시 표면 변형이 적고, 고온, 고압의 멸균에 대한 적정한 내열성이 확보되어야 함과 동시에 인쇄 적성의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외층의 융점은 타층보다 높아야 한다. 상기 중층은 상기 용기의 내충격성 및 유연성을 결정한다. 내층은 상기 용기에 밀봉성을 결정하는 부분으로, 의료용 수액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멸균된 수액이 오염되거나 산화되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고, 접착되어 밀봉성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융점이 외층보다 낮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름은 3층(Layer)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외층, 중층, 및 내층에 추가하여 타 필름층과 접하지 않은 외층의 일면, 외층과 중층의 사이, 중층과 내층의 사이, 또는 타 필름층과 접하지 않은 내층의 일면에, 필요에 따라, 산소나 이산화탄소를 차단하기 위한 층, 및/또는 자외선을 흡수하기 위한 층과 같이 기능성 부여를 위한 하나 이상의 층이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층, 중층 및 내층을 제조하기 위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및/또는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강도, 유동성, 충격, 및 열에 강하면서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또한, 투명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수액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약 0.90g/cm2의 밀도를 가지며, 용융 흐름 속도 (MFR; melt flow rate)는 약 2.0g/10min 내지 약 4.0g/10min, 약 2.5g/10min 내지 약 3.5g/10min, 또는 약 3.0g/10min이고, 용융점은 약 165℃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코모노머가 1 종 이상 특정 비율로 함유된 공중합체를 말한다. 상기 코모노머로서 에틸렌, 부텐 또는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융점을 낮출 수 있고, (에틸렌, 부텐의 경우)투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약 0.90g/cm2의 밀도를 가지며, 용융 흐름 속도 (MFR; melt flow rate)는 약 6.0g/10min 내지 약 8.0g/10min, 약 6.5g/10min 내지 약 7.5g/10min, 또는 약 7.0g/10min이고, 용융점은 약 130℃이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비교적 부드러우면서 영구적인 일그러짐이 적은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의료 또는 식품 등의 분야에서 유연성이 풍부한 사출성형품이나 압출성형품으로써 약전, 의료용 튜브, 의료용 필름, 커피자동판매기튜브, 온수기부품, 각종 패킹이나 밸브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SEPS)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SEEPS)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SEBS) 공중합체를 이용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SEBS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고, 1종 또는 2종의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종의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약 0.89g/cm2의 밀도를 가지고, 용융 흐름 속도 (MFR; melt flow rate)는 약 3.5g/10min 내지 약 5.5g/10min, 약 4.0g/10min 내지 약 5.0g/10min, 또는 약 4.5g/10min이고, 스티렌 함량은 약 12%인 SEBS이며; 제2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약 0.89g/cm2의 밀도를 가지고, 용융 흐름 속도 (MFR; melt flow rate)는 약 3.5g/10min 내지 약 5.5g/10min, 약 4.0g/10min 내지 약 5.0g/10min, 또는 약 4.5g/10min이고, 스티렌 함량은 약 18%인 SEBS이다.
본 발명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강성이 낮아지고, 유연성은 증가하며,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제 각 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수액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의료용 필름의 외층은 열봉합 시 표면 변형이 적고, 고온, 고압의 멸균에 대한 적정한 내열성이 확보되어야 함과 동시에 인쇄 적성의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층 수지 조성물의 융점은 타층보다 높아야하므로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높아야 한다.
외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94 중량부; 약 0.89g/cm2의 밀도를 가지고, 용융 흐름 속도 (MFR; melt flow rate)는 약 4.5g/10min이고, 스티렌 함량은 약 12%인 제1 SEBS 4 내지 6 중량부; 및 약 0.89g/cm2의 밀도를 가지고, 용융 흐름 속도 (MFR; melt flow rate)는 약 4.5g/10min이고, 스티렌 함량은 약 18%인 제2 SEBS 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층은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8% 내지 18%를 차지한다.
외층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함량이 많을수록 투명성은 우수하나, 인쇄적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중층은 필름의 유연성, 내충격성 성능을 결정하는 층이며, 유연성과 투명성을 좌우하는 수지는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며, 조성물의 함량 선택이 중요하다.
중층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1 중량부 내지 29 중량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상기 제1 SEBS 35 내지 39 중량부, 및 상기 제2 SEBS 17 내지 2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층은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65% 내지 75%를 차지한다.
외층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함량이 9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성이 낮아지고, 중층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 및 내충격성이 낮아진다.
또한, 외층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함량이 90중량부 미만이고/거나 중층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원단 진행방향과 필름 원단 횡방향 간의 인장강도 및 신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특정 방향의 외력에 의한 필름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필름은 TD 대비 MD의 인장강도(kgf/cm2) 및 신율(%)이 95% 이상을 나타낸다.
내층의 두께 및 조성물은 안티블로킹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 인자이다. 내층 조성물의 기능 발현을 위해 내열성과 열접착성(용융점)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내층 조성물중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 연화점이 120℃이상, 용융점이 135 ~ 140℃인 수지(Resin)를 선택하여 함량비로 조성물 용융점을 조절하였다. 또한, 내층 구성 원료를 컴파운딩(Compounding)하여 조성물의 균질성을 실현하였다.
내층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84 내지 94 중량부,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 내지 8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 3 내지 9 중량부의 컴파운딩(compounding)으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제조된다.
상기 내층은 필름 전체 두께에 대하여 12% 내지 22%를 차지한다.
상기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제1 SEBS와 제2 SEBS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의료용 필름 및 이를 성형한 용기(Bag)는 고온 멸균 시 용출되는 물질 및 이의 양은 규정치 이하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필름은 수액 약물 용기(Bag) 뿐만 아니라, 복막투석의 배설물 용기(Bag) 등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MFR (Melt flow rate; 용융 흐름 속도)이란 특정한 조건 하에서 정해진 오리피스(orifice)를 통하여 주어진 시간 안에 압출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의 질량이며, 흐름 속도(flow rate)라고도 한다. MFR은 하기의 방법으로 계산한다:
Figure 112020115392186-pat00001
T: 시험 온도
mnom: 공칭 하중을 가하는 질량(kg)
m: 절단 부분의 평균 질량(g)
t: 절단 시간 간격 (sec)
필름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계량된 각층의 원료를 압출기에서 용융하고, 원형 다이에서 정청 공기를 주입하며 원통 튜브 형상을 성형하고, 필름 표면에 냉각수를 직접 접촉하여 냉각하고, 원통형 튜브형상의 필름을 롤러 압착하여 성형함으로써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이 이들의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표시된 비율에 따라, 공압출 하향식 원형 인플레이션 형태(Tubular Type)의 3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계량된 각층의 원료를 압출기에서 용융하고, 원형 다이에서 정청 공기를 주입하며 원통 튜브 형상을 성형한 후, 필름 표면에 냉각수를 직접 접촉하여 냉각하고, 원통형 튜브형상의 필름을 롤러 압착하여 성형함으로써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 분 외층(26㎛) 중층(140㎛) 내층(34㎛)
PP 11) SEBS 13) SEBS 24) PP 1 PP 22) SEBS 1 SEBS 2 PP2 SEBS1 SEBS2 HDPE5)
실시예 1 92 5 3 25 19 37 19 89 - 5 6
실시예 2 92 5 3 25 19 37 19 85 - 9 6
실시예 3 92 5 3 25 19 37 19 89 1 4 6
실시예 4 92 5 3 25 19 37 19 89 2 3 6
비교예 1 92 5 3 25 19 37 19 93 - 1 6
비교예 2 92 5 3 25 19 37 19 83 - 11 6
비교예 3 92 5 3 25 19 37 19 84 6 4 6
비교예 4 92 5 3 25 19 37 19 89 5 - 6
1) PP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밀도 0.90g/㎤, MFR 3.0g/10min, 녹는점 165℃]
2) PP2: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밀도 0.90g/㎤, MFR 7.0g/10min, 녹는점 130℃]
3) SEBS1: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밀도 0.89g/㎤, MFR 4.5g/10min, 스티렌 함량 12%]
4) SEBS2: 수소화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밀도 0.89g/㎤, MFR 4.5g/10min, 스티렌 함량 18%]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은 ASTM D882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흐림도는 ISO 14782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열접착강도는 ASTM F8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열봉합성은 하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 "매우 우수 ”: 열접착강도 MD, TD 평균값이 5.5 kgf을 초과하는 경우
● " 우수 " : 열접착강도 MD,TD 평균값이 5.0 초과 5.5 kgf 이하인 경우
○ " 양호 " : 열접착강도 MD,TD 평균값이 4.5 초과 5.0 kgf 이하인 경우
▲ " 보통 " : 열접착강도 MD,TD 평균값이 4.0 초과 4.5 kgf 이하인 경우
△ " 미흡 " : 열접착강도 MD,TD 평균값이 4.0 kgf 이하인 경우
안티블로킹성은 필름을 50mL(100㎜*145㎜), 100mL(100㎜*160㎜)용 파우치로
각각 성형 가공한 후 0.9% 생리식염수 50mL를 충전한 후 고온 증기 멸균
(121℃, 20분) 후 상태 확인을 하였다. 이때 평가는 하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 "매우 우수 ”: 블로킹이 거의 없는 경우
● " 우수 " : 블로킹이 미세하고 약액 누름으로 쉽게 벌어지는 경우
○ " 양호 " : 블로킹이 존재하지만 약액 누름으로 쉽게 벌어지는 경우
▲ " 보통 " : 블로킹이 존재하지만 약액을 강하게 누름으로 벌어지는 경우
△ " 미흡 " : 블로킹이 심하여 제품 사용이 불가한 경우
파우치 가공성은 작업자 20명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파우치 가공성은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으로 수액을 담기 위한 1000ml 파우치를 제작할 때의 작업성 및 외관에 관하여 평가하였으며,
1) 성형 몰드에 필름 원단 공급 시 휘어짐,평활성;
2) 성형 몰드에 필름 원단 공급 시 내면의 벌어짐 정도;
3) 수축이나 밀봉 상태와 같은 파우치의 성형 상태;
상기 3가지 항목에 대하여 매우우수(5점), 우수(4점), 양호(3점), 보통(2점), 미흡(1점)으로 나누어 점수를 부여한 후 3항목 점수를 평균하여 평가하였다.
구 분 인장강도(kgf/㎠)1) 신율(%)2) 흐림도(%) 열접착강도(kgf) 열 봉합성3) 안 티
블로킹
Pouch
성형 작업성
MD TD MD TD 멸균전 멸균후 MD TD
실시예 1 437 416 1,279 1,235 6.9 14.8 5.5 5.4
실시예 2 431 389 1,338 1,283 7.3 15.5 5.7 5.5
실시예 3 441 423 1,258 1,233 7.1 14.9 5.3 5.2
실시예 4 439 418 1,267 1,245 7.2 14.9 5.4 5.3
비교예 1 448 429 1,225 1,983 6.1 11.9 4.2 3.9
비교예 2 401 362 1,357 1,298 7.5 15.8 5.9 5.6
비교예 3 393 347 1,401 1,347 8.2 16.98 6.1 5.8
비교예 4 431 407 1,281 1,265 7.1 14.9 5.6 5.4
1) 인장강도, 신율 시험방법 “ASTM D 882”흐림도 시험방법 “ISO 14782”열접착강도 시험방법 "ASTM F88"
2) MD(Machine Direction) : 필름 원단 진행방향, TD(Transverse Direction) : 필름 원단 횡방향
3) (범례) ◎"매우 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다층필름은 열봉합성, 안티블로킹, 파우치 성형 작업성 모두 "매우우수" 또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내지 3의 다층필름은 열봉합성, 안티블로킹, 파우치 성형 작업성 중 적어도 한가지가 "보통"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을 줄일 경우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라스토머를 1 중량부로 낮추자 열봉합성이 보통, 파우치 성형 작업성이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즉,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적어지면 파우치 성형 작업성이 매우 나빠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을 늘릴 경우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라스토머를 11 중량부로 늘리자 안티블로킹성이 보통으로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즉,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적어지면 열봉합성은 높아지지만 안티블로킹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양을 늘리되 스티렌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엘라스토머를 섞을 경우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라스토머의 함량 총 11중량부 중 SEBS1 6중량부 SEBS2 5중량부로 혼합하였을 경우 열봉합성과 파우치 성형 작업성은 비교예2와 같은 결과를 보이지만 안티블로킹성이 더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엘라스토머의 총 함량이 동일한 경우 SEBS1과 SEBS2를 혼합하지 않고 SEBS2만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SEBS2에서 SEBS1으로 변경하였을 경우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SEBS2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열봉합성, 안티블로킹, 파우치 성형 작업성의 결과는 동일하지만 인장강도가 대략 2%정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기재되는 청구항은 어떤 식으로든 이의 문자 그대로의 언어보다 좁게 해석되어선 안 되고, 따라서 명세서로부터의 예시적 구현예가 청구항으로 읽혀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로서 기재되었고, 청구항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출원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발행된 특허, 특허 출원, 서적 및 저널 논문은 이들의 전체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각각 포함된다.

Claims (5)

  1. 외층, 중층, 및 내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층은 외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90 내지 94 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12%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4 내지 6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6 중량부;
    상기 중층은 중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21 내지 29 중량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35 내지 39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7 내지 21 중량부; 및
    상기 내층은 내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84 내지 9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4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 5 내지 7 중량부이며,
    상기 내층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와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은 조성물의 균질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성 원료를 컴파운딩(compounding)한 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12%인 제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2 중량부, 및 스티렌 함량이 18%인 제2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8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5. 제1항의 기능성 의료용 다층필름을 포함하는, 의료용 용기.
KR1020200142239A 2020-10-29 2020-10-29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KR10224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39A KR102242811B1 (ko) 2020-10-29 2020-10-29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239A KR102242811B1 (ko) 2020-10-29 2020-10-29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811B1 true KR102242811B1 (ko) 2021-04-20

Family

ID=7574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239A KR102242811B1 (ko) 2020-10-29 2020-10-29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8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761B1 (ko) * 2001-12-05 2004-03-16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다층 필름 및 다층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100619324B1 (ko) * 2000-08-11 2006-09-06 에스케이 주식회사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의료용 다층 공압출 필름
KR20100111057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외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808122B1 (ko) 2016-08-08 2017-12-14 휴먼켐 주식회사 안티블락킹 입자를 포함한 이형필름 제조 방법 및 그 이형필름
KR20190119415A (ko) * 2018-04-12 2019-10-22 에스알테크노팩 주식회사 의료 멀티-챔버 용기용 다층 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24B1 (ko) * 2000-08-11 2006-09-06 에스케이 주식회사 유연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의료용 다층 공압출 필름
KR100422761B1 (ko) * 2001-12-05 2004-03-16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다층 필름 및 다층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20100111057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중외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091527B1 (ko) 2009-04-06 2011-12-13 제이더블유생명과학 주식회사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808122B1 (ko) 2016-08-08 2017-12-14 휴먼켐 주식회사 안티블락킹 입자를 포함한 이형필름 제조 방법 및 그 이형필름
KR20190119415A (ko) * 2018-04-12 2019-10-22 에스알테크노팩 주식회사 의료 멀티-챔버 용기용 다층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528B1 (ko)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KR101091527B1 (ko) 의료용 다층 필름, 및 이의 용도
US9302454B2 (en) Multilayer film for medical solution pouches having reduced proficiency for forming bubbles
EP2174636B1 (en) Medicine container and multilayer film
AU2007363011B2 (en) Multilayered body for medical containers and medical container
EP1840164A1 (en) Retortable composition
KR20190119415A (ko) 의료 멀티-챔버 용기용 다층 필름
EP2732972A1 (en) Plastic film and infusion solution bag
KR20130069701A (ko) 복실 용기
EP1423277A1 (en) A steam-sterilizable multilayer film and containers made thereof
KR102242811B1 (ko) 기능성 의료용 다층 필름
CN103158313A (zh) 一种五层医用液体药剂包装薄膜及其制造方法
EP3127529B1 (en) Injection fluid bag and injection preparation
KR102239192B1 (ko) 공압출, 다층 구조를 갖는 의료용 필름
KR102239194B1 (ko) 이지필 기능을 갖는 의료용 다층 필름
KR100422761B1 (ko) 다층 필름 및 다층 필름용 수지 조성물
KR100741323B1 (ko) 기능성 수액용 고차단성 다층필름의 수지조성물
JP2003182744A (ja) 透明性の改良された多層ブローバ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46313B1 (ko) 수액 용기용 다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수액 용기
KR100344924B1 (ko) 수액용기용 다층 필름 및 수지조성물
WO2022177025A1 (ja) 容器用多層体、容器、医療容器及び薬剤入り医療容器
CN113677605B (zh) 容器用多层膜及包含该容器用多层膜的容器
JPH06171040A (ja) ポリオレフィン系医療容器用基材
KR20230101159A (ko) 다층 구조 튜브 및 다층 구조 튜브 제조 방법
KR101273049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