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270B1 -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 Google Patents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270B1
KR102242270B1 KR1020210002005A KR20210002005A KR102242270B1 KR 102242270 B1 KR102242270 B1 KR 102242270B1 KR 1020210002005 A KR1020210002005 A KR 1020210002005A KR 20210002005 A KR20210002005 A KR 20210002005A KR 102242270 B1 KR102242270 B1 KR 10224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elevator
information
us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연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원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원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원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1000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270B1/en
Priority to KR1020210024900A priority patent/KR20220099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vator by analyzing passenger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by analyzing passenger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operation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information storing unit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ace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a building, and floor information; a passenger recognizing unit install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position where passengers get on or get off an elevator to recognize a passenger who approaches the position where he/she gets on the elevator or departs from the position where he/she gets off the elevator; a user identifying unit for identifying whether a passenger who approaches the elevator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ing unit when the passenger is determined to approach the elevator by the passenger recognizing unit; a passenger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passenger as a registered passenger or a non-registered passenger, dependent on whether the passenger is matched by the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ing unit; and a moving controlling unit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o that the elevator moves to a floor corresponding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passenger when the passenger is determined to be the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ing unit and then moves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on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

Description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elevator operation by analyzing occupants and its control method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자가 직접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by analyzing the occupant even if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an elevator occupant to directly press an elevator button occur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소정 층에 위치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에 승차하고자 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외부에 설치된 승강 또는 하강 버튼을 누르면, 현재 운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눌러진 승강 또는 하강 버튼의 방향에 따라 해당 층에 정지하여 사용자를 탑승시킨다.In general, elevator operation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lift or lower button installed outside the elevator when a passenger located on a certain floor wants to get on the elevator, and the elevator currently in operation stops at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ushed up or down button. To board the user.

또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위치한 각각의 층 버튼 중 자신이 하차하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층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켜 하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enger who boards the elevator can stop the elevator on the floor and get off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floor to which he/she wants to get off among the buttons of each floor located inside the elevator.

그런데, 탑승자가 양손에 짐을 들고 있거나, 엘리베이터의 탑승자가 많은 경우 등에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외부 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버튼을 직접 누르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변의 타인에게 버튼을 누르도록 요청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when the occupant carries luggage in both hands, or when there are many passengers in the elevator, it may be difficult for the occupant to directly press the button outside the elevator or inside the elevator.In this case, a request to another person in the vicinity to press the button is required. There is a hassle to do.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07410호 (공개일자: 1996.03.22)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07410 (Publication date: 1996.03.2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탑승자가 직접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analyzing the occupant even if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occupant of the elevator to directly press the button of the elevator occurs. It aims to provi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는, 건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단말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층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를 인식하는 탑승자 인식부; 상기 탑승자 인식부에 의해 탑승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근하는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판단부; 상기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를 등록 탑승자 또는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하는 탑승자 분류부; 및 상기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가 상기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operation by analyzing an occupa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of face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of a user corresponding to a building.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nd floor information; A passenger recognition unit installed within a range se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and recognizing a passenger who approaches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or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A user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ing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pproaching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A passenger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occupant as a registered occupant or a non-registered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corresponds to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a movement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vator to move to a flo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s current location and then to move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전술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층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층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floor storage unit for storing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전술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는, 상기 접근하는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 층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하는 방문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방문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방문 층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이동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essing occupant is not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name of the occupant,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he visited floor to be visited. Alterna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visi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isitors. In this case, the movement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vator to move based on the visited floor registered in the visi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단말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층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근하는 탑승자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를 등록 탑승자 또는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가 상기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the user's face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floor information; Recognizing a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or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by using a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within a set range from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pproaching, determining whether the approaching occupant is the stored user; Classifying the occupant as a registered occupant or a non-registered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corresponds to a stored us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the stored user, controlling the elevator to move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fter moving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ccupant; It is done.

전술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은,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전술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은, 상기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 층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등록된 상기 방문 층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이동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not a stored us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occupant,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the floor to be visited, or a visitor. Registering visi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registered floor to be visited.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탑승자가 직접 엘리베이터의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an elevator occupant to directly press a button of the elevator occur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nalyzing the occupa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승객의 탑승 또는 하차를 예측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엘리베이터 탑승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by analyzing a passe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edicting the boarding or disembarkation of a passenger.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ceiving an elevator boarding request signal from a terminal through a network.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elem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by analyzing a passe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사용자정보 저장부(101), 탑승자 인식부(103), 사용자 판단부(105), 탑승자 분류부(107), 이동 제어부(109), 현재층 저장부(111), 방문정보 등록부(113), 사용자정보 갱신부(115), 비상신호 수신부(117) 및 비상이동 제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a passenger recognition unit 103, a user determination unit 105, a passenger classification unit 107, A movement control unit 109, a current floor storage unit 111, a visi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3, a user information update unit 115, an emergency signal reception unit 117, and an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9 may be included.

사용자정보 저장부(101)는 건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성명, 주소,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단말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정보 저장부(101)는 해당 건물에 입주한 회사의 직원, 해당 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정보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1회 이상 해당 건물을 방문한 방문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정보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stor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not only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ddress, and ID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but also information such as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do. At this time,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employees of the company occupied in the building, residents living in the building, etc. as user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isitors who visit the building at least once. Can also be saved as user information.

탑승자 인식부(103)는 건물의 각각의 층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거나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를 인식한다. 이때, 탑승자 인식부(103)는 안면 인식센서, 지문 인식센서, 홍채 인식센서 등과 같이 인체를 식별하여 인식하는 인체 인식센서와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적외선 감지센서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적외선 감지센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각각의 위치 중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가장 먼 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복도의 입구와 같이, 주변의 인체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인체 또는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한 인체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installed within a set range from the elevator boarding/unloading position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recognizes a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boarding/unloading position or moving away from the elevator boarding/unload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may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a human body recognition sensor that identifies and recognizes a human body, such as a face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etc., and a plurality of infrared detection sensors that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uman body.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re preferably installed at a set interval from each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In addition, among the locations where the infrared sensor is installed, the farthes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location can be assumed that the surrounding human body is the human body boarding the elevator or the human body getting off the elevator, such as the entrance of the corridor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It is preferably a location.

또한, 탑승자 인식부(103)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며,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서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기반하여 탑승자 단말기를 인식하고, 인식되는 탑승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탑승자의 엘리베이터 탑승을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at a set period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is received within a set distance range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detection signal.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he occupant terminal may be recognized, and an elevator boarding of a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ccupant terminal may be determined.

또한, 탑승자 인식부(10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를 통하여 탑승자 단말기(20)로부터 엘리베이터 탑승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탑승자 단말기(20)에 대응하는 탑승자의 엘리베이터 탑승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10)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탑승자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receives an elevator boarding request signal from the occupant terminal 20 through the network 10, and allows the occupant to board the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terminal 20. You can also judge. In this case, the network 10 includes not only the Internet but als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and Long Term Evolution (LT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ccupant terminal 20 installs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탑승자 인식부(103)는 각각의 인체 감지센서의 탑승자 인식순서에 따라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것인지 또는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can distinguish whether the occupant boards the elevator or gets of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occupant recognition sequence of each human body detection sensor.

사용자 판단부(105)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의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 판단부(105)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의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 판단부(105)는 인식되는 안면정보, 홍채정보, 지문정보 등을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비교하거나, 응답신호 또는 탑승 요청신호에 포함된 단말정보를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판단부(105)는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 층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 인식부(103)에 대응하는 위치가 1층이며, 탑승자 인식부(103)에 인식되는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가 5층에 입주한 회사의 직원인 경우, 사용자 판단부(105)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의 목적지 층을 5층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인식부(103)에 대응하는 위치가 5층이며, 탑승자 인식부(103)에 인식되는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가 5층에 입주한 회사의 직원인 경우, 사용자 판단부(105)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의 목적지 층을 1층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해당 탑승자의 방문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층을 목적지 층으로 추정할 수 있다.When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recognizes that the occupant is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the user determination unit 105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approaching the getting on/off position of the elevator, the user determination unit 105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At this time, the user determination unit 105 compares the recognized facial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or compares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or the boarding request signal to the user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In addition, the user determination unit 105 may estimate a destination floor on which the occupant wants to move by boarding the elevato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For example, if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the first floor, and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an employee of a company occupied on the fifth floor, the user determination unit ( 105) may estimate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as the 5th floor.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on the 5th floor, and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identification unit 103 is an employee of a company occupied on the 5th floor, the user determination unit 105 May estimate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as the first floor. At this time, if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not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sitor of the corresponding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and corresponding The floor can be estimated as the destination floor.

탑승자 분류부(107)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를 등록 탑승자와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한다. The occupant classification unit 107 determines whether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identification unit 103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or not,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identification unit 103 to the registered occupant. Classified as an unregistered passenger.

이동 제어부(109)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가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으로 이동한 후에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즉, 이동 제어부(109)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기 저장된 등록 탑승자이면, 1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탑승자 인식부(103)가 해당 탑승자를 인식한 층으로 이동시키며, 2차적으로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정보 중 해당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e movement control unit 109 responds to the occupant after the elevator moves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s current location. It controls to move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is, if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a registered occupant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e movement control unit 109 primarily uses the elevator and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recognizes the occupant. It moves to one floor, and secondly moves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mo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현재층 저장부(111)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 층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5층에 대응하는 탑승자 인식부(103)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층 저장부(111)는 탑승자가 현재 5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 층정보를 5층으로 저장한다. 이때, 현재층 저장부(111)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탑승자에 대응하는 안면정보, 홍채정보, 지문정보, 단말정보, 성명, 방문자 등의 방문정보를 현재 층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현재층 저장부(111)는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승차한 층의 층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The current floor storage unit 111 stores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ccupant moves away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distant from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corresponding to the 5th floor, the current floor storage unit 111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has left the elevator on the 5th floor, and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Stores the floor information to the fifth floor. At this time, when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not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e current floor storage unit 111 includes facial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t is desirable to store visit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name, and visitor together with current floor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urrent floor storage unit 111 may also store floor information of a floor on which a passenger distant from the elevator boarding position has boarded the elevator.

방문정보 등록부(113)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 층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한다. 즉,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비등록 탑승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방문정보 등록부(113)는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탑승자가 건물에 들어올 때에 해당 탑승자의 성명, 단말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나 방문 층 등을 입력 받아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제어부(109)는 등록된 방문자 또는 방문 층에 기반하여, 해당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후에 방문자 또는 방문 층에 대응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not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e visi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3, the name of the occupant,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and iris information. Visi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 visited floor to be visited, or a visitor is registered.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a non-registered occupant, the visi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113 provides the passenger's name,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visitor to visit. Alternatively,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isitors is registered. At this time, if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not the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e name of the occupant, terminal information, the visitor or floor to be visited, etc. when the occupant enters the building. You can enter and register. In this case, the movement control unit 109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visitor or the floor to be visited after the corresponding occupant boards the elevator based on the registered visitor or the floor to be visited.

사용자정보 갱신부(115)는 현재층 저장부(111)에 저장된 층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의 층 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사용자정보 갱신부(115)는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된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에 해당 탑승자의 승차시의 층 정보 및 하차시의 층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층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탑승자가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사용자정보 갱신부(115)는 탑승자에 대응하는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 층이 포함된 방문정보와, 탑승자의 승차 층 및 하차 층의 층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를 통해, 이동 제어부(109)는 해당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하차한 후에 다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할 때에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information update unit 115 updates the user's floo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stored in the current floor storage unit 111. At this time, the user information update unit 115 is the flo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boarding of the corresponding occupant when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as accessing the elevator boarding/unloading position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And update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flo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getting off. In addition, when the occupant accessing the elevator boarding/unloading position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not the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the user information update unit 115 may provide a name, terminal information, and fac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visitor information including the visitor or floor to be visited, and user information including floor information of the boarding floor and the boarding floor of the occupant are additionally generated and stored. Through this, the movement control unit 109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ased on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when a corresponding occupant wants to board the elevator again after getting off the elevator.

비상신호 수신부(117)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층으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비상신호 수신부(117)는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화재신호와 비화재신호로 분류할 수 있다.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the emergency signal receiver 117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floor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t this time, the emergency signal receiver 117 may classify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into a fire signal and a non-fire signal.

비상이동 제어부(119)는 비상신호 수신부(117)에 의해 수신되는 비상신호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비상이동을 제어한다. 이때, 비상이동 제어부(117)는 건물에 설치된 적어도 한 층의 비상 대피층 및 비상 탈출구의 위치를 저장하며, 비상신호가 수신된 층과 현재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비교하고, 비상신호의 종류와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비상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신호 수신부(117)에 의해 화재신호에 대한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비상이동 제어부(117)는 화재가 발생한 층이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위치보다 저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한 층이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위치보다 저층인 경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고층에 있는 비상 대피층 중 가장 고층에 있는 비상 대피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이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층이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위치보다 고층인 경우, 비상이동 제어부(119)는 현재의 위치보다 저층에 있는 비상 탈출구 중 현재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비상 탈출구의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이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상신호 수신부(117)에 의해 수신되는 비상신호가 비화재신호인 경우, 비상이동 제어부(119)는 현재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비상 탈출구의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이동 제어한다. 이와 같은 비상이동 제어의 경우, 비상이동 제어부(117)는 기 설정된 엘리베이터의 이동 목적 층에 우선하여 엘리베이터의 비상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9 controls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gnal received by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unit 117. At this time, the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7 stores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floor and the emergency exit on at least one floor installed in the building, compares the location of the floor where the emergency signal was received and the current elevator, and compares it with the type of the emergency signal. Depending on the result,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an emergency signal for a fire signal is received by the emergency signal reception unit 117, the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7 determines whether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is lower tha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and If the floor where is generated is lower tha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the elevator can be controlled for emergency movement to the highest emergency evacuation floor among the emergency evacuation floors higher than the current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is higher tha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the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9 controls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to the floor of the emergency exit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among emergency exits lower than the current position. can do. 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signal received by the emergency signal receiving unit 117 is a non-fire signal, the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9 controls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to the floor of the emergency exit located closest to the current position. In the case of such emergency movement control, it is preferable that the emergency movement control unit 117 controls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in preference to a predetermined elevator movement target floo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showing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건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성명, 주소, 아이디 등을 포함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단말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한다(S101).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해당 건물에 입주한 회사의 직원, 해당 건물에 거주하는 거주자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정보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1회 이상 해당 건물을 방문한 방문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사용자정보로 저장할 수도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stor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face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ddress, and ID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Do (S101).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employees of the company occupied in the building, residents living in the building, etc. as user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isitors who visit the building at least once. Can also be saved as user information.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거나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를 인식한다(S103).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안면 인식센서, 지문 인식센서, 홍채 인식센서 등과 같이 인체를 식별하여 인식하는 인체 인식센서,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적외선 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적외선 감지센서는 각각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외선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각각의 위치 중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가장 먼 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복도의 입구와 같이, 주변의 인체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인체 또는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한 인체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recognizes a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or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by us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within a set range from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S103).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human body recognition sensor that identifies and recognizes a human body, such as a face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ke, and a plurality of infrared detection sensors that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infrared sensors are installed at a set interval from each of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s. In addition, among the locations where the infrared sensor is installed, the farthes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location can be assumed that the surrounding human body is the human body boarding the elevator or the human body getting off the elevator, such as the entrance of the corridor where the elevator is installed. It is preferably a location.

또한, 탑승자 인식부(103)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설정된 주기로 감지신호를 송출하며,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에서 수신되는 응답신호에 기반하여 탑승자 단말기를 인식하고, 인식되는 탑승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탑승자의 엘리베이터 탑승을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at a set period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is received within a set distance range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detection signal.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he occupant terminal may be recognized, and an elevator boarding of a passenger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ccupant terminal may be determined.

또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탑승자 단말기(20)로부터 엘리베이터 탑승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탑승자 단말기(20)에 대응하는 탑승자의 엘리베이터 탑승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10)는 인터넷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탑승자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receive an elevator boarding request signal from the occupant terminal 20 through the network 10 and determine the occupant boarding of the elevat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terminal 20. In this case, the network 10 includes not only the Internet but also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and Long Term Evolution (LT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ccupant terminal 20 installs an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각각의 인체 감지센서의 탑승자 인식순서에 따라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것인지 또는 엘리베이터로부터 하차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can distinguish whether the occupant boards the elevator or gets of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occupant recognition sequence of each human body detection sensor.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의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S105).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의 안면정보, 홍채정보, 지문정보 등을 사용자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비교하거나, 응답신호 또는 탑승 요청신호에 포함된 단말정보를 저장된 사용자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저장된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 층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에 대응하는 위치가 1층이며, 인식되는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가 5층에 입주한 회사의 직원인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의 목적지 층을 5층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 대응하는 위치가 5층이며,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가 5층에 입주한 회사의 직원인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의 목적지 층을 1층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해당 탑승자의 방문자가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층을 목적지 층으로 추정할 수 있다.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ccupant is approaching the getting on/off position of the elevato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occupant is a stored user (S105).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compares the recognized face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etc. of the occupant wit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101, or the termi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sponse signal or the boarding request signal. By comparing the stored us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occupant is the stored user. In addi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estimate a destination floor to which the occupant wants to move by boarding the elevator, based on the store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s the first floor, and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ccupant is an employee of a company occupied on the 5th floo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recognized occupant. It can be estimated by floor.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s on the 5th floor, and the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s an employee of a company occupied on the 5th floo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may estimate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recognized occupant as the 1st floor. I can. In this case, if the recognized occupant is not the stored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sitor of the corresponding occupant is the stored user, and a floor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estimated as the destination floor.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인식되는 탑승자를 등록 탑승자와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한다(S107).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classifies the recognized occupant as a registered occupant and a non-registered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recognized occupant is a stored user (S107).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가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으로 이동한 후에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109). 즉,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기 저장된 등록 탑승자이면, 1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해당 탑승자를 인식한 층으로 이동시키며, 2차적으로 저장된 사용자정보 중 해당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이동시킨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occupant is a stored use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elevator to move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s current position and then to move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S109). ). That is, if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is a recognized registered occupant, it primarily moves the elevator to the floor where the occupant is recognized, and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mong the secondary stored user information Move the elevator accordingly.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 층정보를 저장한다(S111). 예를 들어, 탑승자가 5층에 대응하는 탑승자 감지센서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탑승자가 현재 5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 층정보를 5층으로 저장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탑승자에 대응하는 안면정보, 홍채정보, 지문정보, 단말정보, 성명, 방문자 등의 방문정보를 현재 층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승차한 층의 층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stores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occupant moves away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S111).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distant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corresponding to the 5th floo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occupant has left the elevator on the 5th floor, and displays the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Save it to the 5th floor.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stores visit information such as facial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name, and visit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long with the current floor information, if the recognized occupant is not a stored user. It is desirable to do it. In this cas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also store floor information of a floor on which a passenger distant from the elevator boarding/unloading position boarded the elevator.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탑승자를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한다(S113).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해당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 층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한다(S115). 즉, 탑승자 인식부(103)에 의해 인식되는 탑승자가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되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인식되는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탑승자가 건물에 들어올 때에 해당 탑승자의 성명, 단말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나 방문 층 등을 입력 받아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등록된 방문자 또는 방문 층에 기반하여, 해당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후에 방문자 또는 방문 층에 대응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occupant is not a stored use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classifies the occupant as a non-registered occupant (S113).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registers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name,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 visited floor to be visited, or a visitor for a corresponding occupant (S115). That is, if the occupant recognized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103 is classified as a non-registered occupan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uses the passenger's name,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visitor to visit. Alternatively,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isitors is registered. In this case, if the recognized occupant is not a stored user, when the occupant enters the building, the occupant's name, terminal information, and visitor or floor to be visited may be input and registered. In this cas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visitor or the visited floor after the corresponding occupant boards the elevator based on the registered visitor or the visited floor.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탑승자의 승차시의 층 및 하차시의 층을 포함하는 층 정보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사용자의 층 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된 탑승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인 경우에 해당 탑승자의 승차시의 층 정보 및 하차시의 층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층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탑승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탑승자에 대응하는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 층이 포함된 방문정보와, 탑승자의 승차 층 및 하차 층의 층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탑승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승차 시의 층 정보는 탑승자의 층 정보이며, 하차 시의 층 정보는 탑승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 또는 방문 층에 대응하는 층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 접근하는 탑승자가 기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해당 탑승자의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승차 시의 층정보 및 하차시의 층정보를 사용자정보로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100 updates the previously stored user's floor information based on floor information including the floor when boarding and the floor when getting off.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updates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flo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boarding and the flo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exit when the occupant recognized as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is a pre-stored user. . In addition, if the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is not a pre-stored use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includes the name,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and visitor or floor to be visited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generate and store user information including visit information and floor information of the boarding floor and the boarding floor of the occupant. At this time, if the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is not a pre-stored user, the flo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boarding is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occupant, and the floor information at the time of getting off is the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sitor or floor visited by the occupant. I can. In additio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if the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is not a pre-stored user, the name of the occupant,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floor information when boarding and when alighting. The floor information of can be added and saved as user information.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해당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하차한 후에 다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할 때에 기 저장된 사용자정보에 기반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is a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ased on pre-stored user information when a corresponding occupant wants to board the elevator again after getting off the elevator.

한편,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상황이 발생한 층으로부터 비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수신되는 비상신호를 화재신호와 비화재신호로 분류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occurs,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may receive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floor where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may classify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into a fire signal and a non-fire signal.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수신되는 비상신호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비상이동을 제어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건물에 설치된 적어도 한 층의 비상 대피층 및 비상 탈출구의 위치를 저장하며, 비상신호가 수신된 층과 현재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비교하고, 비상신호의 종류와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비상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화재신호에 대한 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층이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위치보다 저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화재가 발생한 층이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위치보다 저층인 경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고층에 있는 비상 대피층 중 가장 고층에 있는 비상 대피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이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층이 엘리베이터의 현재의 위치보다 고층인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현재의 위치보다 저층에 있는 비상 탈출구 중 현재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비상 탈출구의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이동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되는 비상신호가 비화재신호인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현재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비상 탈출구의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비상이동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상이동 제어의 경우,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100)는 기 설정된 엘리베이터의 이동 목적 층에 우선하여 엘리베이터의 비상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controls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At this time,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stores the location of the emergency evacuation floor and the emergency exit on at least one floor installed in the building, compares the floor where the emergency signal was received and the current elevator position, and compares the type of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when an emergency signal for a fire signal is received,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is a lower floor tha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and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If the floor is lower than the current location, the elevator can be controlled for emergency movement to the highest emergency evacuation floor among the emergency evacuation floors higher than the current location. In addition, when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is higher tha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emergencyly moves the elevator to the floor of the nearest emergency exit from the current position among emergency exits lower than the current position.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is a non-fire signal,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may control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to the floor of the emergency exit at the nearest posi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In the case of such emergency movement control,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100 controls the emergency movement of the elevator in preference to a predetermined floor for movement of the elevato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equivalents thereto.

Claims (5)

건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단말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층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를 인식하는 탑승자 인식부;
상기 탑승자 인식부에 의해 탑승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근하는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판단부;
상기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를 등록 탑승자 또는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하는 탑승자 분류부;
상기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가 상기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 및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층 정보를 저장하는 현재층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floor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user's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A passenger recognition unit installed within a range se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and recognizing a passenger who approaches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or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A user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accessing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pproaching by the occupant recognition unit;
A passenger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occupant as a registered occupant or a non-registered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corresponds to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a movemen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levator to move to a floo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s current location and then to move based on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nd
A current floor storage unit for storing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moves away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analyzing the occup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가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탑승자에 대한 성명, 단말정보,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 층 또는 방문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정보를 등록하는 방문정보 등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방문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방문 층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not a user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visi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ame of the occupant, terminal information,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the visited floor or visitors to visit A visit information register to register;
It further includes,
The movement control unit is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analyzing the occupant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based on the visited floor registered in the visit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면정보, 지문정보, 홍채정보, 단말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와 층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에 접근하거나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탑승자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접근하는 탑승자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저장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를 등록 탑승자 또는 비등록 탑승자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탑승자가 상기 저장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엘리베이터가 상기 탑승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층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층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탑승자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하차 위치로부터 멀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에 대응하는 현재층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를 분석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
In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Stor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floor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 user's facia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iris information, an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Recognizing a occupant approaching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or distant from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by using a recognition sensor installed within a set range from the elevator getting on/off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pproaching, determining whether the approaching occupant is the stored user;
Classifying the occupant as a registered occupant or a non-registered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corresponds to a stored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the stored user, controlling the elevator to move to the floo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ccupant and then to move based on the floor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nd
Storing current flo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ccupant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moves away from the elevator getting on and off position;
An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analyzing the occup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KR1020210002005A 2021-01-07 2021-01-07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102242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005A KR102242270B1 (en) 2021-01-07 2021-01-07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1020210024900A KR20220099873A (en) 2021-01-07 2021-02-24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005A KR102242270B1 (en) 2021-01-07 2021-01-07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900A Division KR20220099873A (en) 2021-01-07 2021-02-24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270B1 true KR102242270B1 (en) 2021-04-21

Family

ID=757441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05A KR102242270B1 (en) 2021-01-07 2021-01-07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1020210024900A KR20220099873A (en) 2021-01-07 2021-02-24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900A KR20220099873A (en) 2021-01-07 2021-02-24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422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10A (en) 1994-08-31 1996-03-22 이희종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of Building Management System
JP2005306584A (en) * 2004-04-26 2005-11-04 Nec Corp Automatic elevator operation system and program
JP2010089953A (en) * 2008-10-10 2010-04-22 Toshiba Elevator Co Ltd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system
KR20190002019A (en) * 2017-06-29 2019-01-08 송혜선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of Elevator by Using Facial Perception Data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10A (en) 1994-08-31 1996-03-22 이희종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of Building Management System
JP2005306584A (en) * 2004-04-26 2005-11-04 Nec Corp Automatic elevator operation system and program
JP2010089953A (en) * 2008-10-10 2010-04-22 Toshiba Elevator Co Ltd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system
KR20190002019A (en) * 2017-06-29 2019-01-08 송혜선 Destination Floor Registration of Elevator by Using Facial Perception Data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873A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4132B2 (en) Lift system with predictive call production
JP6007984B2 (en) Elevator landing equipment
EP2605990B1 (en) Passenger flow management system
US88139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access rights within a building
US20170217727A1 (en) Elevator passenger entry detection
EP1988046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CA2755460C (en) Method for location-dependent management of persons in a building
JP5854887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EP3889090B1 (en) Inferred elevator car assignments based on proximity of potential passengers
KR20180044078A (en) Smart Elevator System
JP2015101434A (en) Elevator device
JP2011051780A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2242270B1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elevator operation
KR100554918B1 (en) calling and reservstion apparatus for elevator and method thereof
JP2003226474A (en) Elevator system
JP2005096981A (en) Elevator security system
JP2005022821A (en)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for apartment house
JP7280846B2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KR102277134B1 (en) Non-touch getting in/ou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vator
KR20180053128A (en) Entrance control system and entran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277107B1 (en) Elevator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12314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of elevator based on handicapped person identific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15397758A (en) Pointing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ointing
CN112638809B (en) Method for controlling maintenance mode of elevator equipment and elevator control structure
JP2024037089A (e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door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