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138B1 -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138B1
KR102241138B1 KR1020190071615A KR20190071615A KR102241138B1 KR 102241138 B1 KR102241138 B1 KR 102241138B1 KR 1020190071615 A KR1020190071615 A KR 1020190071615A KR 20190071615 A KR20190071615 A KR 20190071615A KR 102241138 B1 KR102241138 B1 KR 10224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us material
rivet
laminate
ferrous
patch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924A (ko
Inventor
심우정
전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산업
주식회사 명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산업, 주식회사 명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to KR102019007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13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2Pressure but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with interposition of special material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parts, e.g. material for absorbing or produc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92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the heat being generated by contact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은, 철소재에 고강성의 비철소재를 적층시켜 적층체를 만드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체를 성형하기 전에, 상기 적층체를 전기저항용접하여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 상기 적층단계 이전에, 상기 비철소재가 안착되는 상기 철소재의 안착면에 절전재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상기 조립단계 이전에,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가 전기가 통하도록, 상기 적층체에 전도체를 삽입하는 삽입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MULTI MATERIAL PATCH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이종소재들이 조립된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차체부품은 연비규제 및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친환경 전기자동차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자동차 밧데리 무게 증가로 인한 연비개선 및 충돌강성 확보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철강소재를 고강성 알루미늄 소재로 변경하여 무게를 줄이는 방법으로 경량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리고, 차체부품 조립을 위하여 철강소재 저항용접을 대체하여 알루미늄 용접 및 이종접합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용접 등의 조립방법으로 차체부품으로 조립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알루미늄 소재를 차체부품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프레스를 이용한 성형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고강성 알루미늄 소재는 소재 특성으로 인한 연신율 저하로 성형깊이가 깊고 형상이 복잡한 성형에는 종래 성형방법으로 성형이 난이하다.
이러한 고강성 알루미늄 소재는 종래의 철소재 대비 고가의 소재비 적용에 따른 원재료 비용상승, 열간성형 프레스 공법적용, 및 고강성 알루미늄 소재조립 어려움으로 인한 조립비용 증가 등으로 차량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로 차체부품으로의 적용에 저해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56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철소재에 고강성 알루미늄 소재가 견고하게 조립된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는, 철소재; 및
상기 철소재에 적층된 고강성의 비철소재;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 사이에는 절전재가 배치되고,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적층체에 전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적층체가 전기저항용접되어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가 조립되며,
상기 절전재는 구조용 접착제이며,
상기 전도체는 리벳으로서, 상기 리벳의 헤드가 상기 비철소재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벳이 상기 비철소재 측에서 상기 적층체에 삽입되되 상기 비철소재에서 상기 리벳의 삽입부분이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리벳이 삽입되며,
상기 적층체에서 상기 리벳이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가 부분가열되되, 상기 리벳의 삽입 시 상기 리벳의 하단부가 상기 비철소재를 거쳐 상기 철소재에 닿도록 상기 비철소재의 외측에서 상기 비철소재가 부분가열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철소재에 고강성의 비철소재를 적층시켜 적층체를 만드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체를 성형하기 전에, 상기 적층체를 전기저항용접하여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
상기 적층단계 이전에, 상기 비철소재가 안착되는 상기 철소재의 안착면에 절전재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상기 조립단계 이전에,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가 전기가 통하도록, 상기 적층체에 전도체를 삽입하는 삽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절전재로서 구조용 접착제가 사용되어, 상기 구조용 접착제를 상기 철소재의 안착면에 도포하며,
상기 삽입단계는,
상기 전도체가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를 부분가열하는 부분가열공정; 및
상기 전도체로서 리벳이 사용되어, 상기 리벳의 헤드가 상기 비철소재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벳을 상기 비철소재 측에서 상기 적층체에 삽입하는 리벳삽입공정;
을 구비하며,
상기 리벳삽입공정은, 상기 비철소재에서 상기 리벳의 삽입부분이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리벳을 삽입하고,
상기 부분가열공정은, 상기 리벳삽입공정에서 상기 리벳의 하단부가 상기 비철소재를 거쳐 상기 철소재에 닿도록, 상기 비철소재의 외측에서 상기 비철소재를 부분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조립단계에서 조립된 상기 적층체를 프레스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적층체를 전체가열하는 전체가열공정; 및 전체가열된 상기 적층체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동시성형하는 성형공정;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은, 두 개의 이종소재를 조립하기 전에 알루미늄소재(비철소재)가 안착된 철소재의 안착면에 절전재인 구조용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이종소재 간의, 즉 철소재와 알루미늄소재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하면서 이종소재들을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종소재 간인 철소재와 알루미늄소재가 첫 번째로 부분가열에 의한 리벳의 삽입으로 접합되고, 두 번째로 구조용 접착제에 의해 두 이종소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고, 마지막으로 리벳을 사용한 전기저항용접을 통해 용접결합함에 따라, 이종소재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종소재 패치워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종소재 패치워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은 적층단계(S120), 조립단계(S140), 도포단계(S110) 및 삽입단계(S1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특허 명세서에서는 비철소재로서 알루미늄소재(2)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특허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삽입부(12), 리벳(90)에서 명도가 진해지게 변화된 것은 가열된 상태를 나타내고, 명도가 다시 진해지지 않게 변화된 것은 자연냉각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적층단계(S120)는 철소재(1)에 비철소재인 고강성의 알루미늄소재(2)를 적층시켜 적층체(10)를 만드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B)는 철소재(1)에 고강성의 비철소재(2)가 적층된 적층체(10)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립단계(S140)는 적층체(10)를 성형하기 전에, 적층체(10)를 전기저항용접하여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도포단계(S110)는 적층단계(S120) 이전에, 알루미늄소재(2)가 안착되는 철소재(1)의 안착면에 절전재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단계(S130)는 조립단계(S140) 이전에,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가 전기가 통하도록, 적층체(10)에 전도체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에 따르면, 도포단계(S110), 적층단계(S120), 삽입단계(S130), 및 조립단계(S140)가 순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서로 재질이 다른 두 개의 소재가 조립체결되어 이종소재 패치워크(B)가 제조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B)는 철소재(1)와 비철소재(2) 사이에 절전재가 배치되고, 철소재(1)와 비철소재(2)를 연결하도록 적층체(10)에 전도체가 삽입되며, 적층체(10)가 전기저항용접되어 철소재(1)와 비철소재(2)가 조립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패치워크가 두 개의 철소재로 이루어졌는데, 이와는 다르게 철소재와 비철소재로 된 이종소재 패치워크에서는, 철소재와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 간의 전위차로 인하여 철소재와 접합된 알루미늄소재의 접합부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패치워크의 결합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은, 이종소재 간의, 즉 철소재(1)와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2)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절전재를 도포하는 도포단계(S110)를 포함하는 방법적인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단계(S110)는 적층단계(S120)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철소재(1)에서 알루미늄소재(2)가 안착되는 안착면에 절전재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단계(S110)는 절전재로서 구조용 접착제(20)가 사용되어, 구조용 접착제(20)를 철소재(1)의 안착면에 도포하는 것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철소재와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가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전위차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하는데, 철소재에 접촉되는 알루미늄소재의 표면에 도장, 코팅 등의 표면처리후 조립(체결)을 실시하여 전위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성형단계에서 성형 작업 시 수행되는 프레싱으로 인하여 타격이 발생하면, 소재 표면의 도막이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성형단계에서 전체가열로 인하여 도장액이 녹아서 흐르게 되어 도장오염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미도장되거나 도막 두께가 다르게 되는 도장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도장의 품질저하와 함께, 철소재와 알루미늄소재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구조용 접착제(20)를 알루미늄소재(2)가 안착되는 철소재(1)의 안착면에 분사한다.
이러한 구조용 접착제(20)는 제품성형을 위해 가열되더라도, 녹아서 흐르지 않고 용해되어 반고체 상태화됨으로써,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 사이에서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음에 따라,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 간의 전위차 부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구조용 접착제(20)는 가열 시 도장액과 같이 액상화되어 흐르지 않고 젤과 같이 반고체화되어 흐르지 않으면서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된 상태가 유지되고, 나아가 도포두께도 도장두께보다 두껍게 도포되어 두꺼운 막이 형성되며, 자연냉각에 의해 응고 시에는 소재 표면에 경화되면서 접착되는 성질로 인하여,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를 강하게 접착시킴에 따라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 간의 강한 체결성을 유지하면서 전위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두 개의 철소재로 이루어진 패치워크를 제조하기 위해, 전기저항용접을 통해 두 개의 철소재를 조립(체결)하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종소재들인 철소재와 알루미늄소재(비철소재)를 조립하게 되면, 철소재와 알루미늄소재의 용융점(녹는 온도)이 서로 다름에 따라, 철소재 용융점 기준으로 용접온도를 높이면 알루미늄소재 측의 용접부가 액상화 상태로 되어 비정상 용접상태로 응고됨으로써 용접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비철소재 용융점 기준으로 용접온도를 낮추면 철소재 측의 용접부가 거의 용융되지 않아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철소재의 조립방법인 전기저항용접은 전류가 전달되는 철소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소재와 소재가 접촉된 부분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고온의 열이 발산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방식인데, 본 발명과 같이 이종소재들인 철소재와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의 전위차 부식방지를 위해 절전재인 구조용 접착제가 철소재와 알루미늄소재 사이에서 배치된다면, 전류가 통하지 않아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전기저항용접을 통하여 조립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은, 철소재(1)와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2)를 전도체가 연결하도록 철소재(1)를 거쳐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2)까지 전도체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130)를 활용하는 방법적인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단계(S130)는 조립단계(S140) 이전에,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비철소재)(2)가 전기가 통하도록 적층체(10)에 전도체를 삽입하는 단계인데, 부분가열공정(S131)과 리벳삽입공정(S13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분가열공정(S131)은 전도체가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12)를 부분가열하는 공정으로서, 알루미늄소재(2)로부터 철소재(1)까지 전도체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전도체가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12)만을 부분가열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리벳삽입공정(S132)은 전도체로서 금속소재끼리 접합 시 사용되는 리벳(90)이 활용되며, 리벳(90)의 헤드가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2)의 상면에 배치되고 리벳(90)의 하단부가 철소재(1)에 이르도록 리벳(90)을 알루미늄소재(2) 측에서 적층체(10)에 삽입하는 공정이다. 물론, 이러한 리벳(90)의 삽입은 리벳펀칭기(130)에 의해 펀칭되어 가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리벳펀칭기(130)는 하부지지부재(131)가 삽입부(12)의 하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펀칭부재(132)가 리벳(90)을 하측으로 펀칭한다.
이와 같이 부분가열공정(S131)과 리벳삽입공정(S132)을 통해, 리벳(90)이 적층체(10)에 삽입되는데, 이때 리벳(90)의 헤드는 비철소재인 알루미늄소재(2)의 상면에 배치되고, 리벳(90)의 하단부는 철소재(1)에 닿음으로써, 조립단계(S140)에서 전기저항용접 시 상부용접전극(141)이 리벳(90)의 헤드를 가압하면 전류가 리벳(90)을 통해 철소재(1)까지 흐르고, 아울러 철소재(1)를 통해 하부용접전극(142)까지 흐르게 됨에 따라, 알루미늄소재(2)와 철소재(1)를 전기저항용접으로 조립하게 된다.
물론, 상기 리벳삽입공정(S132)에서 리벳(90)이 구조용 접착제(20)를 뚫고 지나가지만 구조용 접착제(20)가 도포되지 않은 리벳(90)의 접촉부분이 미미함에 따라, 이종소재 간의 전위차 부식도 거의 미미하게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마지막 성형단계(S150) 시 프레스 성형에 의해 용접된 부위가 파손될 수 있음에 따라, 프레스 성형과정에서 거의 인장되지 않는 상단 평면구간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머지 양측 수직구간은 프레스 성형 후에 전기저항용접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B)는, 적층체(10)에서 리벳(90)이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12)가 부분가열되어 리벳(90)이 삽입되며, 이때 리벳(90)의 헤드가 비철소재(2) 측에 배치되도록 리벳(90)이 비철소재(2) 측에서 적층체(10)에 삽입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종소재 간인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는 첫 번째로 부분가열에 의한 리벳(90)의 삽입에 따른 접합되고, 두 번째로 구조용 접착제(20)에 의해 두 이종소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고, 마지막으로 리벳(90)을 사용한 전기저항용접을 통해 용접결합함에 따라, 이종소재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단계(S130)에서 리벳(90)이 삽입된 적층체(10)는, 전기저항용접과정인 조립단계(S140)를 거쳐 마지막 단계인 성형단계(S150)에서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자동차의 부품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단계(S150)는 전체가열공정(S151)과 성형공정(S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체가열공정(S151)은 적층체(10)를 전체가열하는 공정이고, 상기 성형공정(S152)은 전체가열된 적층체(10)를 프레스 성형하여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를 동시성형하는 공정이다.
고강도의 알루미늄소재(2)는 프레스 성형 시 연신율 저하로 인하여 프레스 타격에 의한 파단이 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소재(1)와 함께 전체적인 부분을 재가열하는 열간성형으로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를 동시에 성형함에 따라, 차체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B)는 전기저항용접된 적층체(10)가 전체가열되어 프레스 성형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종소재 패치워크(B) 및 이의 제조방법은, 두 개의 이종소재를 조립하기 전에 알루미늄소재(비철소재)(2)가 안착된 철소재(1)의 안착면에 절전재인 구조용 접착제(20)가 도포됨으로써, 이종소재 간의, 즉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하면서 이종소재들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종소재 간인 철소재(1)와 알루미늄소재(2)가 첫 번째로 부분가열에 의한 리벳(90)의 삽입으로 접합되고, 두 번째로 구조용 접착제(20)에 의해 두 이종소재 간의 접착력이 증대되고, 마지막으로 리벳(90)을 사용한 전기저항용접을 통해 용접결합함에 따라, 이종소재 간의 전위차 부식을 방지하면서도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철소재 2 : 알루미늄소재
B : 이종소재 패치워크
10 : 적층체 12 : 삽입부
20 : 구조용 접착제 90 : 리벳
130 : 리벳펀칭기 131 : 하부지지부재
132 : 상부펀칭부재
141 : 상부용접전극 142 : 하부용접전극
S110 : 도포단계 S120 : 적층단계
S130 : 삽입단계 S131 : 부분가열공정
S132 : 리벳삽입공정 S140 : 조립단계
S150 : 성형단계 S151 : 전체가열공정
S152 : 성형공정

Claims (9)

  1. 철소재; 및
    상기 철소재에 적층된 고강성의 비철소재;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 사이에는 절전재가 배치되고,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적층체에 전도체가 삽입되며, 상기 적층체가 전기저항용접되어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가 조립되며,
    상기 절전재는 구조용 접착제이며,
    상기 전도체는 리벳으로서, 상기 리벳의 헤드가 상기 비철소재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벳이 상기 비철소재 측에서 상기 적층체에 삽입되되 상기 비철소재에서 상기 리벳의 삽입부분이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리벳이 삽입되며,
    상기 적층체에서 상기 리벳이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가 부분가열되되, 상기 리벳의 삽입 시 상기 리벳의 하단부가 상기 비철소재를 거쳐 상기 철소재에 닿도록 상기 비철소재의 외측에서 상기 비철소재가 부분가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패치워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저항용접된 상기 적층체가 전체가열되어 프레스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패치워크.
  6. 철소재에 고강성의 비철소재를 적층시켜 적층체를 만드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체를 성형하기 전에, 상기 적층체를 전기저항용접하여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조립하는 조립단계;
    상기 적층단계 이전에, 상기 비철소재가 안착되는 상기 철소재의 안착면에 절전재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상기 조립단계 이전에,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가 전기가 통하도록, 상기 적층체에 전도체를 삽입하는 삽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단계는,
    상기 절전재로서 구조용 접착제가 사용되어, 상기 구조용 접착제를 상기 철소재의 안착면에 도포하며,
    상기 삽입단계는,
    상기 전도체가 삽입될 부분인 삽입부를 부분가열하는 부분가열공정; 및
    상기 전도체로서 리벳이 사용되어, 상기 리벳의 헤드가 상기 비철소재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벳을 상기 비철소재 측에서 상기 적층체에 삽입하는 리벳삽입공정;
    을 구비하며,
    상기 리벳삽입공정은, 상기 비철소재에서 상기 리벳의 삽입부분이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리벳을 삽입하고,
    상기 부분가열공정은, 상기 리벳삽입공정에서 상기 리벳의 하단부가 상기 비철소재를 거쳐 상기 철소재에 닿도록, 상기 비철소재의 외측에서 상기 비철소재를 부분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단계에서 조립된 상기 적층체를 프레스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단계는,
    상기 적층체를 전체가열하는 전체가열공정; 및
    전체가열된 상기 적층체를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철소재와 비철소재를 동시성형하는 성형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소재 패치워크 제조방법.
KR1020190071615A 2019-06-17 2019-06-17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15A KR102241138B1 (ko) 2019-06-17 2019-06-17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15A KR102241138B1 (ko) 2019-06-17 2019-06-17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24A KR20200143924A (ko) 2020-12-28
KR102241138B1 true KR102241138B1 (ko) 2021-04-19

Family

ID=7408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615A KR102241138B1 (ko) 2019-06-17 2019-06-17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1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0636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熱間プレス成形方法
JP2019000891A (ja) *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異材接合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60B1 (ko) 2016-09-02 2018-02-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 교반 홀 클린칭을 통한 이종소재 접합방법
KR20180077492A (ko) *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 국부 연화 열처리를 통한 초고장력강과 비강철소재의 접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0636A (ja) * 2016-02-12 2017-08-1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熱間プレス成形方法
JP2019000891A (ja) *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異材接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24A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92155B (zh) 用于连接至少两个板件的方法
JP5908052B2 (ja) 異材パネル構造体
JP5704798B2 (ja) 異材接合方法
US8541110B2 (en) Resistance spot welding manufactur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10220885B2 (en) Different material joining structure and different material joining method
SE0950966A1 (sv) Kompositledare samt metod för tillverkning av kompositledare
CN107107248B (zh) 用于制造夹层板的方法
JP6077136B2 (ja) 自動車のルーフ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US20090208772A1 (en) Method of welding three metal sheets and apparatus with three stacked metal sheets
WO2016103375A1 (ja) 異材接合構造及び異材接合方法
JP6094079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KR102241138B1 (ko)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537287A (ja) 溶接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部材の使用
JP5766918B2 (ja) 薄鋼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
JP6060579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6127669B2 (ja) ホットスタンプ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
JP5906618B2 (ja) 抵抗スポット溶接方法
JP7410398B2 (ja) リベット接合継手構造の製造方法、リベット接合継手構造及び自動車部品
JP7364902B2 (ja) リベット接合継手構造の製造方法、リベット接合継手構造および自動車部品
KR102072860B1 (ko) 플래시버트 용접을 이용한 강판의 접합 방법
KR102225490B1 (ko) 이종소재 패치워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3687B1 (ko) 용접성이 우수한 제진강판의 제조방법
CN107249771A (zh) 用于制造由夹层材料构成的构件的方法和由夹层材料构成的构件
JP7389353B2 (ja) リベット接合継手構造の製造方法、リベット接合継手構造、及び自動車部品
KR101461742B1 (ko) 다른 두께를 갖는 접합강판을 위한 핫 프레스 포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