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547B1 -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547B1
KR102240547B1 KR1020187037796A KR20187037796A KR102240547B1 KR 102240547 B1 KR102240547 B1 KR 102240547B1 KR 1020187037796 A KR1020187037796 A KR 1020187037796A KR 20187037796 A KR20187037796 A KR 20187037796A KR 102240547 B1 KR102240547 B1 KR 10224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video
target
display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944A (ko
Inventor
이신 마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1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은: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는 단계 ―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해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구현예들을 사용하여, 비디오의 재생 콘텐츠의 노드 관계가 명확하게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사용자는 비디오 진행 제어를 편리하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
본 출원은 2016년 6월 2일자로 출원된 "VIDEO PLAY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PLAYING SYSTEM"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출원 제201610390721.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멀티미디어 정보 데이터 처리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온라인 멀티미디어는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들, 기술 튜토리얼 프로그램들, 및 제품 교육 프로그램들과 같은 비디오 프로그램들은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선호된다.
비디오를 재생할 때, 많은 양의 기록된 비디오 프로그램들은 대개 필요에 따라 비디오를 다수의 짧은 비디오 카피들로 분할하기 위해 절단되고 편집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짧은 비디오 카피는 비디오명을 사용하여 비디오 카피의 주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비디오는 대개 많은 노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온라인 교육 코스는 비디오일 수 있으며, 코스에는 여러 챕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의 챕터 분포에 기초하여 챕터를 직접 선택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대개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챕터를 검색하거나, 또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상의 포인트들을 통해 썸네일 디스플레이 기능을 사용하여 챕터를 찾아 시청한다. 명백히, 이 방법은 하나의 비디오의, 특히, 프로세스 소개 비디오, 제품 교육 비디오 등의 모든 노드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비디오의 노드 분포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종래 기술에서, 비디오 노드의 분배 및 제어를 위해, 복수의 챕터들은 대개 복수의 비디오들에 대응한다. 비디오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비디오에 포함된 모든 노드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으며, 비디오의 노드들을 이해하고 대화식 진행 제어를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은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이벤트 노드에 기초한 비디오 진행 제어 관계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 노드 및 재생 시간을 더욱 편리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는 단계 ―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해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트리거 명령을 수신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노드 설정 모듈 ―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 및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해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재생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비디오 재생 시스템이 제공되고, 시스템은 비디오 재생 유닛 및 노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비디오 재생 유닛은 사용자의 트리거 명령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대응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노드 제어 유닛은: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고 ―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해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비디오 재생 유닛의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에 따르면, 모든 노드들, 프로시저 단계들 등은 하나의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프로그레스 뷰(progress view)가 기록되고 라벨링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비디오, 프로세스 비디오, 상품 기능 소개 비디오,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에서, 대응 이벤트 노드는 비디오 콘텐츠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들 이벤트 노드들은 챕터들, 단계들, 비디오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구성요소들 등에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이벤트 노드들은 비디오의 재생 및 기록을 인에이블시키거나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비디오의 모든 노드 정보는 이벤트 노드들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비디오 진행 제어를 편리하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의 재생 콘텐츠의 노드 관계 정보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현예의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법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의 내용은 구현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략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출원의 몇몇 구현예들을 보여주며,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여전히 이들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진행이 본 출원에 따른 구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단계 패턴에 의해 교체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구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타겟 오브젝트의 각각의 구성성분이 디스플레이 노드로서 사용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당업자가 본 출원의 기술적 해법들을 더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구현예들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현예들의 기술적 해법들을 이하에서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구현예들은 본 출원의 구현예들의 전부이기보다는 단지 일부에 불과하다. 창의적인 노력없이 본 출원의 구현예들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구현예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출원은 이하의 구현예들 또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방법의 동작 단계들 또는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지만, 종래 기술 또는 비 창의적인 노력에 기초하여 방법 또는 장치는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동작 단계들 또는 모듈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인과 관계가 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단계들 또는 구조들에서, 장치의 단계들 또는 모듈 구조의 실행 순서는 본 출원의 구현예들에서 제공되는 실행 순서 또는 모듈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방법 또는 모듈 구조가 실제 장치 또는 실제 단말 제품에서 적용될 때, 방법 또는 모듈 구조는 구현예들 또는 첨부 도면들의 방법 순서 또는 모듈 구조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예를 들어, 병렬 프로세서들, 멀티스레드 처리, 또는 심지어 분산 처리 환경 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고, 여기서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처리될 필요가 있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 애플리케이션 프로모션 비디오, 마케팅 비디오, 사용자 등록 비디오, 또는 교육 안내 비디오와 같은 타겟 안내 비디오에는 여러 이벤트 노드들이 포함된다. 본 출원에서, 이벤트 노드는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시간 또는 공간 차원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차원은 대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임라인 노드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스 비디오는 다수의 챕터들을 포함하고, 코스 학습 진행에 기초하여 각각의 챕터는 타임라인 노드일 수 있고, 각각의 챕터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품 게시 방법에서 관리 프로그램 하의 비디오는 5가지 동작 단계들을 포함한다: 1. 활동 템플릿을 생성; 2. 페이지를 명명; 3. 편집 요소의 선택; 4. 편집 완료; 및 5. 게시. 이 경우에, 비디오의 5개 단계들은 타임라인 노드 타입의 이벤트 노드로 사용될 수 있고, 5개 단계들은 개별적으로 타겟 비디오의 5개 디스플레이 노드들로서 사용된다. 도 2는 진행이 본 출원에 따른 구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단계 패턴에 의해 교체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5개의 디스플레이 노드들이 실제 활동 게시(releasing) 동작 순서에 기초한 비디오의 설명에 정의된다. 타임라인 노드의 특정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실제 콘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의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한 타임라인 노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S101: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학습 진행, 콘텐츠 챕터 노드, 및 단계 분할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시간 차원 노드.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상세한 상품 설명, 제품 소개 등에 관련되는 경우, 타겟 비디오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에 실제로 디스플레이되는 타겟 오브젝트(예를 들어, 제품)의 각각의 컴포넌트의 비디오 콘텐츠에 기초한 대응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 노드로서 정의될 수 있다. 타겟 비디오 내의 타겟 오브젝트의 컴포넌트 설명 노드 관계는 비디오 내의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에 기초한 비디오 콘텐츠 노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명확하게 학습될 수 있어,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를 선택 및 이해하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효과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구현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타겟 오브젝트의 각각의 구성성분이 디스플레이 노드로서 사용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에서, 원래의 타겟 비디오의 실제 디스플레이 콘텐츠는 상품 A의 컴포넌트들(A1, A2, A3, A4, A5, 및 A6)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될 각각의 컴포넌트는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로서 사용될 수 있고, 타겟 비디오는 6개의 디스플레이 노드들(A1, A2, A3, A4, A5, 및 A6)로 분할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다른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타겟 오브젝트가 광고에 상의, 바지, 신발, 양말, 및 모자를 개별적으로 보여주는 타겟 비디오에서, 상의, 바지, 신발, 모자, 및 양말은 이벤트 노드들로서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의 특정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실제 콘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의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한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S102: 공간 차원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서 타겟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물론, 다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타임라인 노드와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를 결합하는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가 정의된다. 본 출원의 이벤트 노드는, 대개 타겟 비디오, 특히 상품 디스플레이 비디오, 교육 비디오, 프로세스 안내 비디오 등의 실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원래 타겟 비디오가 안내 비디오가 되어 사용자가 비디오 콘텐츠 및 비디오 진행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타겟 비디오의 재생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노드, 컴포넌트 노드 등일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한다.
S2.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타겟 비디오의 각각의 정의된 디스플레이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진행 세그먼트일 수 있으며, 대개 디스플레이 노드의 시작 시간 노드 및 종료 시간 노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가 결정되고 관련 이벤트의 노드 정보가 정의된 후, 디스플레이 노드가 배열되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는 타겟 비디오의 재생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는 도 2에서와 같이 비디오 재생 영역 아래에 동작 실행 단계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비디오 재생 영역 위에 제품 기능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건에 기초하여 대응 위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는 타겟 비디오의 모든 정의된 디스플레이 노드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노드는 타겟 비디오 내의 디스플레이 노드의 대응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 예를 들어 시작 시간 노드 및 종료 시간 노드에 대응할 수 있다. 실제 제품이 설계될 때, 디스플레이 노드들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 정보는 디스플레이 노드 제어 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물론,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 정보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타겟 비디오 내의 디스플레이 노드들의 실행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디스플레이 노드가 재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지 여부 및 디스플레이 노드가 완료되는지 여부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가 설정될 수 있으며,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의 패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상품 A의 컴포넌트들의 디스플레이 노드들의 재생 상태는 재생되지 않은 상태, 미완성 상태, 및 재생된 상태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타겟 비디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노드의 초기 재생 상태는 재생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상태의 대응 패턴은 설계 요건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노드는 흰색 배경 상에 검정색 문자로 설정될 수 있고, 재생된 디스플레이 노드는 "√"로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A2 소개"와 같은 미완성 디스플레이 노드의 대응 배경 색상은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노드 공간에서 변경될 수 있다.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노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의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노드의 실행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대응 재생 상태는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S3: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하여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한다.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노드가 정의 및 설정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가 생성된 후, 대응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를 트리거하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의 컴포넌트 또는 단계를 클릭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재생 명령이 획득될 수 있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에 대응하는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가 재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라벨링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가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타겟 비디오가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한 후,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는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가 완료될 때까지 재생을 시작한다. 따라서,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는 재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생된 상태로 업데이트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재생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에 따르면, 모든 노드들, 프로시저 단계들 등은 하나의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프로그레스 뷰가 기록되고 라벨링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비디오, 프로세스 비디오, 상품 기능 비디오,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에서, 대응 이벤트 노드는 비디오 콘텐츠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들 이벤트 노드들은 챕터들, 단계들, 비디오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구성요소들 등에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이벤트 노드들은 비디오의 재생 및 기록을 인에이블시키거나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비디오의 모든 노드 정보는 이벤트 노드들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비디오 진행 제어를 편리하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의 재생 콘텐츠의 노드 관계 정보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현재 비디오 재생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프로그레스 세그먼트 비디오가 미완성이고 사용자가 재생을 위해 다른 디스플레이 노드를 클릭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다른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는 미완성 재생 상태로 설정되어, 사용자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비디오의 재생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 및 제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의 다른 구현예에서,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 타겟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가 재생될 때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을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서 사용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미완성 재생 상태로 설정하고, 대응하여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미완성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구현예 효과의 도면을 위해, 도 3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의 다른 구현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된 디스플레이 노드가 미완성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이전에 기록된 비디오 재생 시간으로부터 계속해서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노드의 세그먼트 재생 제어는 하나의 비디오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코스 학습 비디오, 상품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에 자동화되고, 정확하고, 명료한 진행 제어를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5: 타겟 비디오의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가 미완성 재생 상태인 경우,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기록된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한다.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 및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는 주로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점프될 디스플레이 노드와 현재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노드 간에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총괄적 이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에서,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는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일 수 있다.
이전의 구현예들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에 따르면, 모든 노드들, 프로시저 단계들 등은 하나의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프로그레스 뷰가 기록되고 라벨링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비디오, 프로세스 비디오, 상품 기능 소개 비디오,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에서, 대응 이벤트 노드는 비디오 콘텐츠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들 이벤트 노드들은 챕터들, 단계들, 비디오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구성요소들 등에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이벤트 노드들은 비디오의 재생 및 기록을 인에이블시키거나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비디오의 모든 노드 정보는 이벤트 노드들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비디오 진행 제어를 편리하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의 재생 콘텐츠의 노드 관계 정보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봅ㄴ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노드 설정 모듈(101) ―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102); 및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해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재생 처리 모듈(103)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노드 설정 모듈(101)은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추가로 결정하기 위하여 시간 차원 또는 공간 차원으로부터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다른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한 타임라인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학습 진행, 콘텐츠 챕터 노드, 및 단계 분할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시간 차원 노드를 포함한다.
물론, 장치의 다른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한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 내의 타겟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간 차원 노드를 포함한다.
타겟 비디오의 실제 재생 콘텐츠에 기초하여 시간 또는 공간 차원에서 이벤트 노드가 설정되는 특정 방법에 대해,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들에서의 관련 설명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세부사항들은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생략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타겟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가 재생될 때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을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서 사용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미완성 재생 상태로 설정하고, 대응하여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미완성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제1 점프 처리 모듈(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의 장치의 구현예에서, 타겟 비디오의 현재 비디오 재생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프로그레스 세그먼트 비디오가 미완성이고 사용자가 재생을 위해 다른 디스플레이 노드를 클릭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는 재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다른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할 수 있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는 미완성 재생 상태로 설정되어, 사용자는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의 타겟 비디오의 재생에 대한 전체적인 통제 및 제어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의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타겟 비디오에서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가 미완성 재생 상태인 경우,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기록된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점프 처리 모듈(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의 장치의 구현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된 디스플레이 노드가 미완성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이전에 기록된 비디오 재생 시간으로부터 계속해서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노드의 세그먼트 재생 제어는 하나의 비디오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코스 학습 비디오, 상품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에 자동화되고, 정확하고, 명료한 진행 제어를 수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구현예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에 따르면, 모든 노드들, 프로시저 단계들 등은 하나의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프로그레스 뷰가 기록되고 라벨링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비디오, 프로세스 비디오, 상품 기능 소개 비디오,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비디오 등에서, 대응 이벤트 노드는 비디오 콘텐츠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들 이벤트 노드들은 챕터들, 단계들, 비디오에 의해 재생되는 콘텐츠의 구성요소들 등에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이벤트 노드들은 비디오의 재생 및 기록을 인에이블시키거나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비디오의 모든 노드 정보는 이벤트 노드들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비디오 진행 제어를 편리하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돕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디오의 재생 콘텐츠의 노드 관계 정보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APP, 페이지 상의 비디오 재생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의 비디오 재생 시스템에 이전의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또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비디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노드 재생 제어 상호작용은 단계들, 챕터들, 또는 컴포넌트들과 같은 노드들의 비디오 콘텐츠의 이벤트 노드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전체 비디오의 제어 관계는 명확해 진다. 이벤트 노드 및 프로시저는 비디오 재생 안내를 완료하고 비디오 재생 시간을 자동으로 라벨링하는데 사용되어, 사용자는 전체 비디오 인식 프로세스에서 더욱 독립적인 제어를 갖고, 사용자의 비디오 재생 상호작용 경험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비디오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시스템은 비디오 재생 유닛 및 노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비디오 재생 유닛은 사용자의 트리거 명령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대응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드 제어 유닛은: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정의하고 ― 이벤트 노드는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 및 타임라인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결정하고,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해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트리거 명령이 수신될 때,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비디오 재생 유닛의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재생 유닛은 단말 애플리케이션 또는 페이지에서 설정될 수 있어, 플레이어는 타겟 비디오를 재생한다. 따라서, 물론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재생 시스템에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한 타임라인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학습 진행, 콘텐츠 챕터 노드, 및 단계 분할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시간 차원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한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는: 동일한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 내의 타겟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간 차원 노드를 포함한다. 재생 시스템에서, 타겟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가 재생될 때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은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서 사용되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는 미완성 재생 상태로 설정되고,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미완성 재생 상태가 대응하여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가 재생된다. 또한, 시스템은 다음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타겟 비디오의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가 미완성 재생 상태인 경우,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기록된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부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한다. 특정 구현예로서, 이전의 방법 또는 장치와 관련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부사항들은 명료성을 위해 여기서는 생략된다.
비디오 재생 콘텐츠의 챕터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등을 사용하여 시간 또는 공간 차원의 이벤트 노드를 정의하는 것, 상이한 재생 상태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비디오 재생 또는 점프 명령을 트리거하는 것 등과 같은 노드 설정, 인터페이스 설정, 및 정보 교환 방법에 대한 설명이 본 출원의 내용에서 언급되나, 본 출원은 반드시 정보 정의 방법, 산업 처리 표준, 명세서, 또는 구현예들에 의해 설명 상황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된 구현예들에 기초하여 또는 몇몇 산업 표준들을 사용하여 약간 수정된 구현예의 해법들은 또한 설명된 구현예와 동일한, 등가의, 또는 유사한 구현 효과, 또는 변형 이후 획득된 기대 구현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되거나 변경된 노드 설정들, 인터페이스 설정들, 정보 교환 방법 등을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본 출원의 선택적 구현 해법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은 구현예들 또는 흐름도들에 설명된 방법 동작 단계들을 제공하지만, 종래의 또는 비-창조적인 수단에 기초하여 더 많거나 더 적은 동작 단계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구현예들에서 열거된 단계들의 순서는 단지 수많은 단계 실행 순서들 중 하나일 뿐이며, 고유한 실행 순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실제 장치 또는 클라이언트 제품에 대해, 단계들은 구현예들 또는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 방법 순서에 기초하여 실행되거나 또는 동시에(예를 들어, 병렬 프로세서들 또는 멀티-스레드 처리의 환경) 실행될 수 있다.
앞선 구현예들에서 예시된 유닛들, 장치, 또는 모듈들은 컴퓨터 칩 또는 엔티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특정 기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장치는 기능들을 다양한 모듈들로 분할하여 설명된다. 물론, 본 출원이 구현될 때, 모듈들의 기능은 동일한 또는 복수의 조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은 복수의 서브모듈들 또는 서브유닛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예를 들어, 재생 처리 모듈(103), 제1 점프 처리 모듈(104), 및 제2 점프 처리 모듈(105)은 하나의 기능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사용하여 제어기를 구현하는 것 이외에, 제어기가 로직 게이트, 스위치 , 주문형 집적 회로, 프로그램가능 로직 제어기, 및 빌트인 마이크로제어기의 형태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게 허용하는 방법 단계들에 대해 로직 프로그래밍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제어기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로서 간주될 수 있고, 제어기에 포함되고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는 또한 하드웨어 컴포넌트 내의 구조로서 간주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는 심지어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구조물 모두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컴퓨터,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문맥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실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타입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도 또한 실행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태스크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행된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 대한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은 본 출원이 소프트웨어 및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필수적이거나 종래 기술에 부분적으로 기여하는 본 출원의 기술적 해법들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ROM/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본 출원의 구현예들에서 또는 구현예들의 일부 부분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이동 단말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구현예들은 점진적 방법으로 설명된다. 구현예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서로 참조될 수 있다. 각각의 구현예들은 다른 구현예들과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춘다. 본 출원은 많은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 시스템 환경 또는 구성,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 태블릿 디바이스,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셋톱 박스, 프로그램가능 비디오 재생 시스템, 네트워크 PC, 소형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및 상기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구현예들을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출원에 대한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청구 범위는 본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함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1)

  1. 비디오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겟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를 상기 타겟 비디오의 이벤트 노드에 기초하여 정의하는 단계(S1) - 상기 타겟 비디오는 복수의 진행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각 진행 세그먼트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노드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노드에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노드는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는 상기 타겟 비디오의 진행 세그먼트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진행 세그먼트에 대응하고, 상기 이벤트 노드는, 상기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고 상기 타겟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되는 타겟 오브젝트의 컴포넌트에 대응하는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target-object spatial location node)를 사용함으로써 정의되고 설정되는 이벤트 노드를 포함함 - ;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video runtime node)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비디오의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 상기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겟 비디오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노드를 디스플레이함 - 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playing status)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
    상기 타겟 비디오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노드 중에서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 -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는 상기 타겟 비디오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타겟 오브젝트의 다른 컴포넌트에 대응함 - 로 점프하기 위해 상기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클릭된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S3);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를 획득하는 단계(S3);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에서부터 상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S3); 및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노드는 또한, 상기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타임라인 노드를 사용함으로써 정의되고 설정되는 것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상기 타임라인 노드는:
    동일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학습 진행(learning progress), 콘텐츠 챕터 노드, 및 단계 분할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시간 차원 노드(temporal dimension node)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는 상기 타겟-오브젝트 공간 위치 노드는:
    동일 타겟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콘텐츠 내의 타겟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공간 차원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비디오의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가 재생될 때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로 점프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재생 시간을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로서 사용하고,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재생 상태를 완료되지 않은 재생 상태(unfinished playing state)로 설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노드 제어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현재 디스플레이 노드의 완료되지 않은 재생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에서부터 상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비디오 내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가 완료되지 않은 재생 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2 타겟 디스플레이 노드의 기록된 비디오 실행시간 노드에서부터 상기 타겟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노드는, 활동 템플릿(activity template)을 생성하는 것, 페이지를 명명하는 것, 편집(editing)을 위한 요소(element)를 선택하는 것, 편집을 완료하는 것, 또는 비디오를 게시하는 것(release)을 포함하는 동작 단계에 대응하는 것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는, 재생되지 않은 상태(unplayed state), 완료되지 않은 상태, 및 재생된 상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에 대응하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10. 비디오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재생 제어 장치.
  11. 삭제
KR1020187037796A 2016-06-02 2017-05-22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 KR10224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390721.7A CN106911953A (zh) 2016-06-02 2016-06-02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视频播放系统
CN201610390721.7 2016-06-02
PCT/CN2017/085284 WO2017206748A1 (zh) 2016-06-02 2017-05-22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视频播放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944A KR20190013944A (ko) 2019-02-11
KR102240547B1 true KR102240547B1 (ko) 2021-04-19

Family

ID=5920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796A KR102240547B1 (ko) 2016-06-02 2017-05-22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924806B2 (ko)
EP (1) EP3468211B1 (ko)
JP (1) JP2019523935A (ko)
KR (1) KR102240547B1 (ko)
CN (1) CN106911953A (ko)
TW (1) TW201743620A (ko)
WO (1) WO2017206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1953A (zh) 2016-06-02 2017-06-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视频播放系统
CN108024083A (zh) * 2017-11-28 2018-05-11 北京川上科技有限公司 处理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07944A (zh) * 2018-09-29 2019-03-01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多媒体资源播放调节方法及装置
CN109246476A (zh) * 2018-11-16 2019-01-18 肖刚 一种视频播放方法和系统
CN110087117B (zh) * 2019-04-26 2021-10-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终端
CN111787243B (zh) * 2019-07-31 2021-09-03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导播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93954A (zh) * 2020-03-05 2020-05-22 成都金麦客科技有限公司 一种Android MV视频后台播放系统
CN114125527A (zh) * 2020-08-28 2022-03-01 荣耀终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和设备
JP7158666B2 (ja) * 2020-12-10 2022-10-24 インフォームシステム株式会社 動画視聴提供装置、動画視聴提供方法、および動画視聴提供プログラム
US20240007710A1 (en) 2020-12-10 2024-01-04 Inform System Inc. Video viewing providing device, video viewing providing method, and video viewing providing program
CN113438532B (zh) * 2021-05-31 2022-12-27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827746B (zh) * 2022-03-30 2024-05-10 神力视界(深圳)文化科技有限公司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4997940A (zh) * 2022-04-25 2022-09-02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信息提供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34B1 (ko) * 2013-08-09 2014-05-27 넥스트리밍(주) 터치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CN104202658A (zh) * 2014-08-29 2014-12-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视频分组播放的方法及系统
CN105430508A (zh) * 2015-11-27 2016-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18948C1 (en) * 2001-08-02 2009-08-13 Opentv, Inc. Post production visual alterations
CN1620695A (zh) * 2001-12-25 2005-05-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回放内容的装置、方法与计算机可读程序
US7496845B2 (en) * 2002-03-15 2009-02-24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presentation viewing system employing multi-media components
JP4550725B2 (ja) * 2005-11-28 2010-09-22 株式会社東芝 映像視聴支援システム
KR101265626B1 (ko) * 2006-10-10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분할 탐색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8105188A1 (ja) * 2007-02-28 2008-09-04 Panasonic Corporation 再生装置、再生方法、システムlsi
JP2015512069A (ja) * 2012-01-06 2015-04-2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ファーストスクリーン上のコンテンツと同期が取られたソーシャルメッセージの表示をセカンドスクリーン上で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989960B2 (en) * 2013-03-14 2015-03-24 Volkswagen Ag Interactive engine
US20140272912A1 (en) * 2013-03-15 2014-09-18 Edison Learning Inc. Method of online learning for middle school curriculum
US10638198B2 (en) * 2013-03-15 2020-04-28 Ebay Inc. Shoppable video
WO2015107775A1 (ja) * 2014-01-17 2015-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60148524A1 (en) * 2014-11-21 2016-05-26 eLearning Innovation LLC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etency based learning
CN106911953A (zh) 2016-06-02 2017-06-30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视频播放系统
US10096169B1 (en) * 2017-05-17 2018-10-09 Samuel Chenillo System for the augmented assessment of virtual insertion opportuni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34B1 (ko) * 2013-08-09 2014-05-27 넥스트리밍(주) 터치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편집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모바일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CN104202658A (zh) * 2014-08-29 2014-12-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视频分组播放的方法及系统
CN105430508A (zh) * 2015-11-27 2016-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24806B2 (en) 2021-02-16
WO2017206748A1 (zh) 2017-12-07
EP3468211B1 (en) 2021-10-27
US20210168459A1 (en) 2021-06-03
US20190110107A1 (en) 2019-04-11
CN106911953A (zh) 2017-06-30
KR20190013944A (ko) 2019-02-11
US11259091B2 (en) 2022-02-22
TW201743620A (zh) 2017-12-16
JP2019523935A (ja) 2019-08-29
EP3468211A1 (en) 2019-04-10
EP3468211A4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547B1 (ko) 비디오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와 비디오 재생 시스템
Pongnumkul et al. Pause-and-play: automatically linking screencast video tutorials with applications
CN101213606B (zh) 用于交互式多媒体演示管理的同步系统和方法
US9665234B2 (en) Community enhanced tutorials: improving tutorials with multiple demonstrations
US10691303B2 (e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IVE) tools and architecture
JP6066101B2 (ja) 構造化文書に基づいて動画を動的に作成する方法、並びに、その電子装置、電子システム、及び電子装置用プログラム
US20140245205A1 (en) Keyboard navigation of user interface
Slany Catroid: a mobile visual programming system for children
US20190087081A1 (en) Interactive media reproduction, simulation, and playback
TWI575457B (zh) 線上互動式三維多媒體編輯交流架構、編輯交流方法及其電腦可讀取媒體
US201700606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user workflows
JP668657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MacAskill et al. Building Experiments in PsychoPy
Ebrahimi et al. Programming for children:“Alice and Scratch analysis”
US20200110520A1 (en) Displaying Pop-Up Overlays at Selected Time Points on an Electronic Page
Ketterl et al. Vector graphics for web lectures: experiences with Adobe Flash 9 and SVG
de Brandão Damasceno et al. Integrating participatory and interaction design of an authoring tool for learning objects involving a multidisciplinary team
Bruyndonckx Mastering Adobe Captivate 8
Kawatani et al. IoTeach: Learning Support System for IoT Programming by Integrating Real Devices and Sequential Contents
Brusca Making It Professional
WO2017150173A1 (ja) 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Musliu Using Web Technologies to adapt Data Visualizations for Mobile Devices: A use case in Eco Visualizations
CN115713578A (zh) 一种动画互动课件制作方法、平台及电子设备
Stephens C# 24-hour Trainer
Vlasopoulos Natural human-computer interaction applied on desktop applications using multimodal inpu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