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423B1 -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423B1
KR102240423B1 KR1020180156933A KR20180156933A KR102240423B1 KR 102240423 B1 KR102240423 B1 KR 102240423B1 KR 1020180156933 A KR1020180156933 A KR 1020180156933A KR 20180156933 A KR20180156933 A KR 20180156933A KR 102240423 B1 KR102240423 B1 KR 10224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oor
insects
main body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153A (ko
Inventor
김순원
남준석
남년석
Original Assignee
중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경기술(주) filed Critical 중경기술(주)
Priority to KR102018015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4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01M29/2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08K5/3725Sulfides, e.g. R-(S)x-R'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Toxi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의 접근을 차단하는 도료를 도어 및 환기구, 램프에 도포하여 곤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릴 타입의 호스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 도어와, 본체 및 도어에는 서로 연통되는 환기구가 형성되는 비상소화장치에 있어서, 환기구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그물망 구조의 필터의 한쪽면 또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램프에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도료층이 2 ∼ 50 ㎛ 두께로 도막으로 형성되고, 도어의 내측 테두리 부분 또는 양쪽 도어 사이에 형성된 틈에는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이 배면에 형성되는 차단테이프가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차단테이프의 일측에는 한쪽에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선단이 얇아지면서 도어의 끝단보다 돌출된 날개부가 형성되고, 날개부의 전면에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항충 페인트 조성물에 의해 도포 또는 스프레이방식으로 살충제도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램프에 자외선차단도료층이 형성되어 있고, 필터 및 도어에 살충제도포층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체가 용이한 접착식 차단테이프를 도어에 결합함으로써 곤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Emergency fire extinguisher that can prevent insects from entering}
본 발명은 비상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하는 도료를 도어 및 환기구, 램프에 도포하여 곤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소화장치는 화재발생 초기에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지역주민이 활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시설이다. 또한, 전통시장·상가밀집지역 등 소방차 진입이 곤란할 경우 소방관서에서 화재진압 작전에 활용하고 있다.
비상소화장치의 구성은 비상소화장치함, 소화전, 소방호스, 관창, 개폐장치 등으로 구성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수동식 소화기 등 필요한 소화용구를 추가로 비치할 수 있다.
비상소화장치함은「소화전함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되 밸브의 조작, 호스의 수납 등에 충분한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함의 내부는 호스의 연장 및 수납조작이 원활한 구조이어야 하며, 함의 전면에는 주정차금지 문구를 표시하고, 내·외부에는 누구나 쉽게 비상소화장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픽토그램으로 표현한 사용방법을 표시하여야 한다.
비상소화장치에는 개폐용 핸들이 부착된 지상식 소화전을 비상소화장치함 내에 설치하여야 하며, 주변 소방용수시설 여건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지상식 소화전 또는 지하식 소화전 인근에 비상소화장치함을 설치할 수 있다. 비상소화장치함과 소화전을 분리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화전의 개폐에 필요한 도구를 비상소화장치함에 비치하여야 한다. 비상소화장치를 설치하는 지역의 소방용수시설 여건상 필요한 때에는 가압펌프를 설치하여 적정 방수압력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전원 공급 장치와 이를 수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소방호스는 장착 링에 결합한 소방용릴호스로 설치하여야 한다. 소방용릴호스로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호칭 40mm의 소방용고무내장호스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소방용릴호스와 소방용고무내장호스 모두를 설치할 수 있다. 소방호스는「소방호스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그 길이는 최소 45m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원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042038호에서 규격화된 회전 플레이트를 내장 및 회전 플레이트가 내장된 상태에서 두께가 벽체의 두께보다 얇도록 하여 벽체로부터 노출 또는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 호스 릴 소방함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소방함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소방함 몸체로부터 호스 릴을 회동시키는 회동 브라켓의 일부를 소방함 몸체의 도어가 차지하는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소방함 몸체의 두께를 많이 감소시키고, 소방함 몸체의 외부로 회동된 호스 릴이 소방함 몸체 내로 역 회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소화장치함은 도어와 몸체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나 환기를 위한 통풍구를 통해 작은 곤충이 유입됨으로써 내부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곤충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차단도료층과 살충제도포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여 본체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는 내측에 릴 타입의 호스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 도어와, 본체 및 도어에는 서로 연통되는 환기구가 형성되는 비상소화장치에 있어서, 환기구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그물망 구조의 필터의 한쪽면 또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램프에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도료층이 2 ∼ 50 ㎛ 두께로 도막으로 형성되고, 도어의 내측 테두리 부분 또는 양쪽 도어 사이에 형성된 틈에는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이 배면에 형성되는 차단테이프가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차단테이프의 일측에는 한쪽에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선단이 얇아지면서 도어의 끝단보다 돌출된 날개부가 형성되고, 날개부의 전면에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항충 페인트 조성물에 의해 도포 또는 스프레이방식으로 살충제도포층이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에 의하면, 램프와 필터 및 도어에는 자외선차단도료층과 살충제도포층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체가 용이한 접착식 차단테이프를 도어에 결합함으로써 곤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화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램프 및 자외선차단도료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단테이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을 판금 및 절곡하여 구성한 본체(10)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내측에 설치되는 릴 타입의 호스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할 수 있는 한쌍의 도어(50)가 힌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비상벨 및 램프(20)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의 내측과 도어(50)에는 서로 연통되는 환기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구(30)에는 교체할 수 있는 필터(40)가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필터(40)는 촘촘한 그물망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은 곤충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의 공기는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환기를 행하게 된다.
이때, 내부에 설치되는 릴 타입의 호스 및 브라켓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내용에 불가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 및 기술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램프(20)의 표면에 자외선차단도료층(21)이 형성하고, 상기 도어(50)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는 살충제도포층(60)이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곤충의 주광성(Phototaxis) 특성을 이용하여 특정한 자외선 파장대를 차단하여 곤충이 비상소화장치에 근접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공지의 자외선 차단도료(제품명 : 세라믹계 하이세라탑 400 또는 유기계 스피타이트700 플러스)를 사용하여 램프(20)의 표면에 2 ∼ 50 ㎛ 두께로 도막을 형성하고 측정하니 약 80% 정도의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었으며, 곤충의 유입이 방지됨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자외선차단도료층(21)은 시트로넬라와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Otyl Methoxycinnamate) 및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이 혼합한 도료를 사용하여 방충효과와 자외선차단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제조되었다.
상기 시트로넬라(citronella)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해충방지, 방부제, 살균제 등으로 사용되며, 부분 건조 또는 완전 건조시킨 시트로넬라 풀은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해 에센셜 오일로 만들어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글리콜류 용제에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를 9: 1로 혼합한 유성원료를 유화시킨 후, 시트로넬라를 포함하는 수성원료를 첨가하고 알콜류를 첨가 혼합 교반시켜 여과 숙성시켜 도료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부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이다.
[실시예 1]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0.009 중량%,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 0.001 중량%, 시트로넬라 0.1 중량%, 1,3-부틸렌글리콜 5.0 중량%, 에탄올 10.0 중량%, 사이클로 메치콘 3.0 중량%, 향 0.2 중량%, 방부제 소량, 물 밸런스
이와 같은 조성비로서 상기한 제조공정을 통하여 자외선차단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비에서 시트로넬라를 0.5 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자외선차단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비에서 시트로넬라를 1.0 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자외선차단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비에서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0.045 중량%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 0.005 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자외선차단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비에서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0.09중량%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 0.01 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자외선차단도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자외선차단도료를 소방함의 램프(20) 상측에 도포하고, 곤충의 퇴치효능을 실험한 바 주광성 특성을 갖는 콘충이 접근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살충제도포층(60)은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본체(10)와 도어(50)가 밀착되었을 때 발생하는 틈에 위치함으로써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살충제도포층(60)은 항충 페인트 조성물에 의해 도포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항충 페인트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VA계 공중합 폴리머, 견운모(sericite), 은나노-제올라이트,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 증점제, 폴리 멜라민 술포네이트, 소포제, 지연제, 피레스로이드(Pyrethroides)계 방충분말 및 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EVA계 공중합 폴리머는 투명성과, 접착력,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머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EVA계 공중합폴리머는 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견운모(sericite)는 50 내지 70중량%가 사용되며, 철분(Fe), 마그네슘(Mg), 아연(Zn), 망간(Mn), 구리(Cu), 몰리브덴(Mo), 셀레늄(Se), 게르마늄(Ge), 규소(Si), 바나듐(V) 및 스트론튬(Sr) 등이 포함된 점토성 광물로, 분말화하여 도료에 혼합사용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습도 조절이 가능하고, 탈취 효과나 곰팡이의 발생 방지 및 음이온과 원적외선 효과가 있다.
상기 은나노-제올라이트는 1 내지 3중량%가 사용되며, 나노 은이 제올라이트의 기공에 흡착된 것으로, 나노 은이 제올라이트의 기공에 흡착됨에 따라 은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은에 의한 항균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의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 증점제는 메틸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단점인 Open Time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 증점제는 타피오카, 감자, 옥수수 중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전분으로, 증점성과 보수성이 우수하고 초기 작업시 일정 점도 및 보수력을 유지하여 페인트 도장시 도막에서의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 증점제는 0.1 내지 0.3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 멜라민 술포네이트(Poly Melamine Sulfonate)는 유동화제로 기능하고, 상기 유동화제인 폴리 멜라민술포네이트는 페인트 조성물의 입자를 강하게 분산시켜 수평면을 이루게 함으로써 원활한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 멜라민 술포네이트는 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0.3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는 페인트 조성물의 혼합 교반 공정 중에 혼합액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소포제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옥틸알코올, 글리콜 유도체, 시클로헥산, 실리콘, 풀로닉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및 알킬 페닐 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는 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6 내지 0.9중량%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연제는 페인트의 응결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연제는 당분, 알코올류, 표면 활성제 및 무기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0.3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레스로이드(Pyrethroides)계 방충분말은 비펜스린(bifenthrin), 델타메트린(Deltamethrin), 퍼메트린(Permethrin),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 알파메스린(alphamethrin), 카데스린(kadethrin), 에스비올(esbiol), 페머스린(permethrin), 바이오알레스린(bioallethrin), 싸이할로스린(cyhalothrin), 에스비오스린(esbiothrin) 및 프랄레트린(phrallethrin)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0.02 내지 0.04중량%로 이루어지는 비펜스린(bifenthrin)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펜스린(bifenthrin)은 공기, 햇빛 및 열에 의하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또한 일정기간동안 약효가 지속되어 잔류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펜스린(bifenthrin)은 냉혈동물 및 곤충류에게는 접촉에 의하여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키나 사람, 가축 및 애완 동물들에게는 치명적이지 않는 안전한 약제이다.
상기 물은 용매로 사용되는 것으로, 페인트 조성물 전체 중량에서 45 내지 55중량%가 포함되도록 사용되며,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증류수, 정제수, 이온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충제도포층(60)은 도어(50)에만 형성된 것이 아니라, 본체(10) 및 도어(50)에 결합되는 필터(40)의 한쪽 면에도 형성됨으로써 환기구(30)를 통해 유입되는 작은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50)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 차단테이프(70)를 결합함으로써 곤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테이프(70)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에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선단이 얇아지는 날개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도어(50)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72)이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71)의 전면에는 살충제도포층(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71)는 도어(5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본체(10)와 양쪽의 도어(50) 사이에 형성된 틈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50)의 틈을 통한 곤충의 유입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살충제도포층(60)은 곤충의 접근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71)는 선단이 차단테이프(70)에 비해 두께가 얇고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도어의 개폐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차단테이프(70)는 접착층(72)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착 및 분리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여 살충제도포층(60)이 훼손되거나 오염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는 램프(20)에 자외선차단도료층(21)이 형성되어 있고, 필터(40) 및 도어(50)에 살충제도포층(60)이 형성되어 있어 곤충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체가 용이한 접착식 차단테이프(70)를 도어(50)에 결합함으로써 곤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어 더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10 : 본체 20 : 램프
21 : 자외선차단도료층 30 : 환기구
40 : 필터 50 : 도어
60 : 살충제도포층 70 : 차단테이프
71 : 날개부 72 : 접착층

Claims (5)

  1. 내측에 릴 타입의 호스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 도어와, 본체 및 도어에는 서로 연통되는 환기구가 형성되는 비상소화장치에 있어서,
    환기구(30)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그물망 구조의 필터(40)의 한쪽면 또는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램프(20)에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도료층(21)이 2 ∼ 50 ㎛ 두께로 도막으로 형성되고,
    도어(50)의 내측 테두리 부분 또는 양쪽 도어(50) 사이에 형성된 틈에는 도어(50)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72)이 배면에 형성되는 차단테이프(70)가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차단테이프(70)의 일측에는 한쪽에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선단이 얇아지면서 도어(50)의 끝단보다 돌출된 날개부(71)가 형성되고, 날개부(71)의 전면에는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항충 페인트 조성물에 의해 도포 또는 스프레이방식으로 살충제도포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도료층(21)은 글리콜류 용제에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Otyl Methoxycinnamate)와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를 9: 1로 혼합하고,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0.009 내지 0.09중량%,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올 0.001 내지 0.01 중량%, 1,3-부틸렌글리콜 5.0 중량%, 에탄올 10.0 중량%, 사이클로 메치콘 3.0 중량%, 향 0.2 중량%, 방부제 소량를 투입하여 유성원료를 유화시킨 후,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라(citronella)를 포함하는 수성원료 0.1 내지 1.0 중량%와 물을 혼합한 중량100%를 혼합 교반 및 여과 숙성시켜 도료를 제조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도포층(60)은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본체(10)와 도어(50)가 밀착되었을 때 발생하는 틈에 위치함으로써 곤충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항충 페인트 조성물에 의해 도포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살충제도포층(60)은 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EVA계 공중합 폴리머는 10 내지 30중량%, 견운모(sericite)는 50 내지 70중량%, 은나노-제올라이트는 1 내지 3중량%,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2.5 내지 3.5중량%, 타피오카와 감자와 옥수수 중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전분으로 이루어진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 중점제는 0.1 내지 0.3중량%, 폴리 멜라민 술포네이트는 0.2 내지 0.3중량%, 소포제는 0.6 내지 0.9중량%, 지연제는 0.2 내지 0.3중량%, 피레스로이드(Pyrethroides)계 방충분말인 비펜스린(bifenthrin)은 0.02 내지 0.04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6933A 2018-12-07 2018-12-07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KR10224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33A KR102240423B1 (ko) 2018-12-07 2018-12-07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33A KR102240423B1 (ko) 2018-12-07 2018-12-07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53A KR20200071153A (ko) 2020-06-19
KR102240423B1 true KR102240423B1 (ko) 2021-04-16

Family

ID=7113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33A KR102240423B1 (ko) 2018-12-07 2018-12-07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20B1 (ko) 2020-11-30 2023-05-11 (주)케이에프이 비상소화장치용 호스 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119B2 (ja) * 1992-12-29 2001-07-09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JP2004141516A (ja) * 2002-10-28 2004-05-20 Hosho Seisakusho:Kk 収納箱
KR200431952Y1 (ko) * 2006-06-15 2006-11-27 장순조 야행성 곤충 퇴치용 형광램프
JP2015032476A (ja) * 2013-08-02 2015-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ンプ用呼吸穴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車用ランプ構造
KR101589082B1 (ko) * 2014-10-02 2016-02-03 (주)태경제이비 화재 경보장치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발전장치
KR101692421B1 (ko) * 2015-07-28 2017-01-06 (주)올텍스 천연 항충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충 페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225A (ko) * 1999-06-30 2001-01-15 배영근 방충기능과 자외선차단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3185119U (ja) * 2013-05-21 2013-08-01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引き違い窓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119B2 (ja) * 1992-12-29 2001-07-09 マスプロ電工株式会社 車載用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JP2004141516A (ja) * 2002-10-28 2004-05-20 Hosho Seisakusho:Kk 収納箱
KR200431952Y1 (ko) * 2006-06-15 2006-11-27 장순조 야행성 곤충 퇴치용 형광램프
JP2015032476A (ja) * 2013-08-02 2015-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ンプ用呼吸穴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車用ランプ構造
KR101589082B1 (ko) * 2014-10-02 2016-02-03 (주)태경제이비 화재 경보장치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발전장치
KR101692421B1 (ko) * 2015-07-28 2017-01-06 (주)올텍스 천연 항충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충 페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153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423B1 (ko) 곤충 유입방지 비상소화장치
US20040082495A1 (en) Air scenting compositions for spray application on air scenting devices
DE112014001678T5 (de) Feuerfesten Türrahmen mit Wasservorhang und entsprechendes Konstruktionsverfahren
DE4309756A1 (de) Mikrokapseln mit kontrollierter Wirkstofffreisetzung
KR20070118241A (ko) 방벽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
AU2013335918B2 (en) Chemical volatilization body
CN106883695B (zh) 行道树涂料及其制备方法
DE202005007137U1 (de) Mobile Rauch- und Brandschutzvorrichtung
KR100348436B1 (ko) 방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방충 도료
EP1554924A1 (en) Heat-insulating material for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facility
CN1861704B (zh) 多功能杀虫涂料
CA2852134C (en) Air permeable scenting latex formulation for spray application on an air filter
JP6705805B2 (ja) 防虫シート
NZ197332A (en) Insecticidal formulation with pronounced residual action
US9149754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dust suppression wetting agent
JP2021038212A (ja) 害虫防除方法及びエアゾール製品
JPS63133933A (ja) 害虫誘引阻止材
JP4383019B2 (ja) 防蟻性組成物並びに防蟻性塗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798753U (zh) 一种多功能木质防火门
TWI504348B (zh) 用於控制無脊椎害蟲之殺蟲劑組合物及方法
JP2002114606A (ja) 防虫シート
JP2013022015A (ja) 防虫薬剤散布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防虫用エアーカーテン装置
EP3139742B1 (en) Pest repellents and their use
JPH0449394A (ja) 住居用遮蔽具
KR101381010B1 (ko)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을 이용하여 해충을 기피시키는플라스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