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32B1 - 오르골 장치 - Google Patents

오르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32B1
KR102240232B1 KR1020180025770A KR20180025770A KR102240232B1 KR 102240232 B1 KR102240232 B1 KR 102240232B1 KR 1020180025770 A KR1020180025770 A KR 1020180025770A KR 20180025770 A KR20180025770 A KR 20180025770A KR 102240232 B1 KR102240232 B1 KR 10224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gear
unit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5342A (ko
Inventor
유지열
Original Assignee
유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열 filed Critical 유지열
Priority to KR102018002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르골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구동태엽;
상기 구동태엽과 연결 구성된 오르골의 구동부본체;
상기 구동부본체가 구동하는 회전력으로 오르골을 연주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연주드럼;
상기 연주드럼과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2기어부;
상기 제2기어부와 축으로 이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3기어부;
상기 제3기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기어부;
상기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5기어부;
상기 제5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6기어부;
상기 제6기어부와 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나사부;
상기 축에 삽입되되,상기 축의 이동방향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정회전부를 구동하는 제7기어부;
상기 정회전부의 상부에 상기 축의 일단에 구성된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역회전부;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본체의 회전구동력으로 상기 연주드럼이 회전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상기 연주드럼과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1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기어부가 구동되며, 상기제2기어부의 구동에 따라서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3기어부가 상기 제2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4기어부가 상기 제3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5기어부도 상기 제4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5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6기어부는 상기 제5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축에 결합되되 자유롭게 이동할 수있도록 결합구성되는 상기 정회전부의 저면에 구성된 상기 제7기어부는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정회전부의 상부로 상기 제6기어부와 상기 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기 축의 일단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역회전부는 상기 제6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와 상기 역회전부에 각각에 장식된 장식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움직이는 오르골의 기능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르골 장치{The music box device}
본 발명은 오르골에 관한 것으로 태엽에 의하여 장식부가 회전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오르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배경기술에 의한 오르골 장치를 구비하는 케이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배경기술에 의하여 외관에는 케이크(10)와 상기 케이크(10)가 놓여지기 위한 받침대(20)가 있고, 상기 받침대(20)의 중앙부에 오르골 장치(30)가 장착되며, 상기 오르골 장치(30)의 회전판에 장식물(40)이 놓이게 된다.
상기 오르골 장치(30)는 일정한 음악이 자동 연주되는 음악 완구이며 ,길이가 다른 금속판을 음계순으로 달고, 이에 접하여 가시와 같은 바늘이 촘촘히 붙은 원봉을 부착해서 태엽의 힘으로 원통을 돌리면 바늘이 금속판을 튕겨서 소리를 내도록 장치되고 자동적으로 음악이 연주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오르골 장치(30)는 태엽, 태엽손잡이, 오르골, 음향판, 회전판 및 내부보호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르골 장치(30)는 케이크(10)를 먹은 후 상기 받침대(20)로부터 분리되며, 차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동안 오르골은 이렇게 단순한 곳에 사용되었다.
단순한 오르골에서 이제 보다 다양한 오르골의 출현을 고대하였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오르골을 요구하게 부응하여 발명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22176(2015.05.27)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8182(2012.03.2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44128(2006.11.10)
오르골의 회전부를 두개를 두어 음악연주와 함께 하나의 장식부는 시계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시청각적으로 오르골을 구성하여 심미감을 더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구동태엽;
상기 구동태엽과 연결 구성된 오르골의 구동부본체;
상기 구동부본체가 구동하는 회전력으로 오르골을 연주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연주드럼;
상기 연주드럼과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2기어부;
상기 제2기어부와 축으로 이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3기어부;
상기 제3기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기어부;
상기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5기어부;
상기 제5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6기어부;
상기 제6기어부와 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나사부;
상기 축에 삽입되되,상기 축의 이동방향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정회전부를 구동하는 제7기어부;
상기 정회전부의 상부에 상기 축의 일단에 구성된 상기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역회전부;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본체의 회전구동력으로 상기 연주드럼이 회전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상기 연주드럼과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1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기어부가 구동되며, 상기제2기어부의 구동에 따라서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3기어부가 상기 제2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4기어부가 상기 제3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5기어부도 상기 제4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5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6기어부는 상기 제5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축에 결합되되 자유롭게 이동할 수있도록 결합구성되는 상기 정회전부의 저면에 구성된 상기 제7기어부는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정회전부의 상부로 상기 제6기어부와 상기 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기 축의 일단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역회전부는 상기 제6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와 상기 역회전부에 각각에 장식된 장식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움직이는 오르골의 기능을 더해주도록 구성하는 오르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오르골의 음악연주와 더불어 오르골본체의 상부에 구성된 두개의 장식부가 하나의 장식부는 시계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시청각적으로 오르골을 구성하여 심미감을 더하는 것에 그 효과를 두고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오르골이 중앙부의 역회전부와 주변부의 정회전부에 장식부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제3기어부 내지 제6기어부가 잘 보이도록 도면을 구성한 것이다.
제3도는 제1기어부 내지 제6기어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4도는 제3도를 상부에서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5도는 정회전부의 이면을 보이는 도로써 제7기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역회전부의 전체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제7도는 역회전부와 제6기어부가 연결된 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이면에 구성된 나사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역회전부를 제외한 오르골본체와 정회전부를 결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태엽구동부와 구동부본체와 연결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10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오르골본체(100) 및 오르골본체는 정지상태로 구성되고 정회전부(200)는 회전하고 역회전부(300)는 정회전부와 반대로 회전하는 것을 보이는 정지상태의 구성도이다.
도2는 제3기어부(130)와 제3기어부와 연결된 제4기어부(140)와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되어있는 제5기어부(150) 및 제5기어부와 연결된 제6기어부(160)를 상세히 보이도록 구성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8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태엽과 연결 구성된 오르골의 구동부본체(170);
상기 구동부본체(170)가 구동하는 회전력으로 오르골을 연주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연주드럼(175)을 구성하되 연주드럼에 구성되는 요철부가 연주드럼이 이동할 때에 연주핀을 터치함으로서 연주핀에 의하여 아름다운 멜로디가 흘러나오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연주드럼(175)과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1기어부(110);
상기 제1기어부(110)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2기어부(120);
상기 제2기어부(120)와 축으로 이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3기어부(130);
상기 제3기어부(13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기어부(140);
상기 제4기어부(140)와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5기어부(150);
상기 제5기어부(150)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6기어부(160);
상기 제6기어부(160)와 축(162)으로 일체로 연결된 숫나사부(164);
상기 축(162)에 삽입되되,상기 축(162)의 이동방향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3기어부(130)와 연결되어 정회전부(200)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정회전부의 이면에 구성되는 제7기어부(250);
상기 정회전부(200)의 상부에 상기 축(162)의 일단에 구성된 상기 숫나사부(164)와 나사결합하는 역회전부(300)는 상기 역회전부 하단에 구성된 암나사부(384)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본체(170)의 회전구동력으로 상기 연주드럼(175)이 회전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상기 연주드럼(175)과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1기어부(1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기어부(120)가 구동되며, 상기제2기어부(120)의 구동에 따라서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3기어부(130)가 상기 제2기어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3기어부(130)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4기어부(140)가 상기 제3기어부(13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4기어부(140)와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5기어부(150)도 상기 제4기어부(14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5기어부(150)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6기어부(160)는 상기 제5기어부(15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축(162)에 결합되되 자유롭게 이동할 수있도록 결합구성되는 상기 정회전부(200)의 저면에 구성된 상기 제7기어부(250)는 상기 제3기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3기어부(13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정회전부(200)의 상부로 상기 제6기어부(160)와 상기 축(162)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기 축(162)의 일단의 상기 나사부(164)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역회전부(300)는 상기 제6기어부(16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2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3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200)와 상기 역회전부(300)에 각각에 장식된 장식부(210,3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움직이는 오르골의 기능을 더해주도록 오르골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6기어부(160)의 상기나사부는 숫나사부(164)로 구성되고 상기 역회전부(300)의 이면에 구성된 것은 상기 숫나사부와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384)로 구성된 것이다.
도9는 태엽구동부(190)와 지지대(191)를 보이는 도이다.
하부에는 태엽구동부(190)와 3개의 지지대(191)와 구동본체(170)를 고정하고 오르골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들로 구성되어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오르골본체 110:제1기어부 120:제2기어부 130:제3기어부
140:제4기어부 150:제5기어부 160:제6기어부 162:축
164:숫나사부 170:구동부본체 175:연주드럼 176:연주핀
180:스위치 190:태엽구동부 191:지지대
200:정회전부 210,310:장식부 250:제7기어부
300:역회전부 384:암나사부

Claims (2)

  1. 구동태엽;
    상기 구동태엽과 연결 구성된 오르골의 구동부본체;
    상기 구동부본체가 구동하는 회전력으로 오르골을 연주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연주드럼;
    상기 연주드럼에 구성되는 요철부가 상기 연주드럼이 이동할 때 연주핀을 터치함으로 상기 연주핀에 의하여 아름다운 멜로디가 흘러나오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주드럼과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1기어부;
    상기 제1기어부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2기어부;
    상기 제2기어부와 축으로 이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3기어부;
    상기 제3기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4기어부;
    상기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되어 함께 구동되는 제5기어부;
    상기 제5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6기어부;
    상기 제6기어부와 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숫나사부;
    상기 축에 삽입되되,상기 축의 이동방향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정회전부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정회전부의 이면에 구성되는 제7기어부;
    상기 정회전부의 상부에 상기 축의 일단에 구성된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역회전부;로 구성되되,
    상기 역회전부 하단에 구성된 암나사부;
    상기 구동부본체의 회전구동력으로 상기 연주드럼이 회전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상기 연주드럼과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1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기어부가 구동되며, 상기제2기어부의 구동에 따라서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3기어부가 상기 제2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4기어부가 상기 제3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4기어부와 일체로 구성된 상기 제5기어부도 상기 제4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상기 제5기어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6기어부는 상기 제5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축에 결합되되 자유롭게 이동할 수있도록 결합구성되는 상기 정회전부의 저면에 구성된 상기 제7기어부는 상기 제3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기어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정회전부의 상부로 상기 제6기어부와 상기 축으로 일체로 연결된 상기 축의 일단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역회전부는 상기 제6기어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정회전부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부를 구성하며,
    상기 정회전부와 상기 역회전부에 각각에 장식된 장식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하여 움직이는 오르골의 기능을 더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장치.
  2. 삭제
KR1020180025770A 2018-03-05 2018-03-05 오르골 장치 KR10224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70A KR102240232B1 (ko) 2018-03-05 2018-03-05 오르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770A KR102240232B1 (ko) 2018-03-05 2018-03-05 오르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42A KR20190105342A (ko) 2019-09-17
KR102240232B1 true KR102240232B1 (ko) 2021-04-14

Family

ID=6807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770A KR102240232B1 (ko) 2018-03-05 2018-03-05 오르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317B1 (ko) 2019-10-30 2021-06-04 길형준 뮤직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760B2 (ja) * 1990-08-14 2000-05-22 株式会社スノーヴァ 雪粒集成人工雪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696U (ja) * 1992-06-25 1994-01-25 株式会社ワグナー商会 オルゴール付き踊り玩具
JP3044760U (ja) * 1997-06-25 1998-01-16 株式会社トイボックス オルゴール玩具
KR100644128B1 (ko) 2005-04-07 2006-11-10 김주상 오르골 장치를 구비하는 케이크
KR101128182B1 (ko) 2011-08-05 2012-03-22 황은미 팝업북 거치대가 포함된 오르골 장치
KR101522176B1 (ko) 2014-01-03 2015-05-27 김민욱 오르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760B2 (ja) * 1990-08-14 2000-05-22 株式会社スノーヴァ 雪粒集成人工雪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342A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232B1 (ko) 오르골 장치
US10825366B1 (en) Rotation structure of lamp decoration
JP2017522055A (ja) トルネードヨーヨー
JP2010284490A (ja) 多連ジャイロ・モータ独楽
US6582273B2 (en) Music box transmission mechanism
US20020165062A1 (en) Elevated rotational transmission mechanism
JP2009247882A (ja) 多連独楽
KR20190105338A (ko) 오르골 장치
KR20190105331A (ko) 오르골장치
KR20190105344A (ko) 시소 운동하는 오르골장치
CN207462660U (zh) 一种掌上磁悬浮陀螺
JP2011000414A (ja) 多連相互逆回転ジャイロ・モータ独楽
JP3170339U (ja) コマ玩具
CN209392734U (zh) 一种八音琴不倒翁玩具
TWI364727B (ko)
CN109955639B (zh) 一种动态雕塑体验互动装置
CN104043247B (zh) 一种音乐秋千
CN205586553U (zh) 一种模块化悠悠球
CN205042114U (zh) 一种手动式食品盒
CN201324532Y (zh) 连续投影玩具
WO2020232567A1 (zh) 一种带液体旋转的音箱设备
JP3204669U (ja) 折り畳み式知育マグネット
TWM607627U (zh) 具聲光變化之音箱
JP6843435B2 (ja) オルゴールの自動巻上げ演奏装置
TWM513440U (zh) 木箱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7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111

Effective date: 202101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