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528B1 -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528B1
KR102239528B1 KR1020190135562A KR20190135562A KR102239528B1 KR 102239528 B1 KR102239528 B1 KR 102239528B1 KR 1020190135562 A KR1020190135562 A KR 1020190135562A KR 20190135562 A KR20190135562 A KR 20190135562A KR 102239528 B1 KR102239528 B1 KR 10223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handpiece
headgear
support shaft
root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to KR102019013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4Means for controlling working depth, e.g. supports or boxes with depth-gauging means, stop positioners or files with adjustably-mounted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1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of a 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3Depth measuring of periodontal pockets; Prob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메인케이스,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부와; 메인케이스에 결합하는 지지튜브, 지지튜브의 내측에 지지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전동축을 갖는 앵글바디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에 원통형 헤드기어를 수용하는 연장케이스, 연장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며 컨트롤러부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유도하는 튜브형 미들기어하우징, 미들기어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지지샤프트, 지지샤프트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헤드기어와 치합하여 헤드기어를 회전시키는 크라운기어, 헤드기어와 지지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헤드기어와 지지샤프트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되 탄성 변형 가능한 전기접속부를 갖는 헤드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는, 파일에 대한 전류의 안정적인 전달이 가능하므로, 근관장의 정확한 측정과 치근단공의 세밀한 위치파악을 할 수 있어 그만큼 신뢰성이 좋고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Dental endodontic treatment with elastic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중 전기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정확한 근관장 측정 및 효율적 근관치료를 할 수 있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치과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치료 중, 근관치료는, 심한 충치로 인해 세균이 치수(齒髓)까지 침투하거나, 치아의 파절 등으로 인해 치수가 노출된 경우 행해지는 치료로서, 치아를 빼지 않고 치아 내부의 치수만 제거하는 치료법이다.
참고로, 치수는 치강 내부에 가득 차 있는 혈관과 신경으로 이루어진 연조직으로서 치아에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며 감각을 느끼는 기능을 한다. 치수는 치근 끝의 좁은 구멍을 통해, 치근을 둘러싸고 있는 치조골 속 치주인대의 혈관과 신경에 연결되어 있다.
근관치료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특수한 기구를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하고, 비어 있는 근관(根管)을 소독하여 무균상태로 만든 다음 생체에 적합한 재료로 치수가 차지하고 있던 공간을 메우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감염된 치수를 제거하고 근관의 내부를 적절히 성형 및 세척함으로써 근관 내부의 감염조직이나 원인균 들을 가능한 많이 제거하고, 공간을 폐쇄하여 세균의 침입을 막는 것이다.
이러한 근관치료는, 감염치아(괴사치수 또는 치근단 병변을 가진 치아)로부터, 세균이나 감염 조직을 얼마나 많이 제거하느냐에 따라 그 성공률이 좌우된다. 효율적 제거를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엑세스홀의 형성 후에 이루어지는 근관장 측정이다.
근관장 측정은, 근관치료에 앞서 근관의 길이를 측정하는 선행단계로서, 전자식 근관장 측정기가 주로 사용된다. 근관장 측정기는, 인체의 전기적 저항적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침(전극) 단부가 치근단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근관장 측정기는, 환자의 입술과 치은열구를 도선으로 연결하고 도선에 40ㅅA의 전류를 흘려줄 때 6㏀의 저항이 생기는데, 상기 저항값이 거의 모든 사람에게 일정하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 장비이다. 즉, 치은열구에 위치한 치주인대에와 치근단의 치주인대가 같은 조직이므로, 치근단의 위치를 모르는 상태에서, 측정침을 근관에 삽입하고 치근단 측으로 조금씩 이동시며 6㏀의 저항이 생기는 지점을 치근단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근관치료용 핸드피스는 그 선단부에 파일을 갖는다. 파일은 근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느다란 도구로서, 근관 내부의 오염된 조직을 끌어내는 역할과 함께 전극의 역할을 겸한다. 전극의 역할을 한다는 의미는, 위에 언급한 도선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측정침의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의사는, 파일이 끼워진 핸드피스를 이용해 근관 내부의 조직을 인출함과 동시에, 파일의 깊이 조절을 통해 파일 끝단부가 치근단공에 도달하도록 하여 치근단공의 위치를 파악한다. 치근단공의 정확한 위치가 파악되어야 효과적인 근관충전이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그런데 종래의 근관치료용 핸드피스는, 파일에 전달되는 전류가 짧은 시간동안 빈번히 차단될 수 있는 문제를 갖는다. 가령, 파일을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전기 접점이 미세하게 떨리며 붙었다 떨어졌다는 반복하는 것이다. 파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경우, 근관장의 정확한 측정이나 치근단공의 위치파악이 어려워진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2284호 (진동수단이 구비된 치과용 근관치료 충진재 처리기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70426호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국내 등록특허공보 특0159070호 (근관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과치료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근관장의 정확한 측정과 치근단공의 세밀한 위치파악을 할 수 있어 신뢰성이 좋고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부와; 상기 컨트롤러부에 결합되며, 컨트롤러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전동축을 구비한 앵글바디부와; 원통형 헤드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앵글바디에 장착되는 연장케이스, 상기 연장케이스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 상기 헤드기어와 치합하는 크라운기어를 갖는 지지샤프트, 상기 헤드기어와 지지샤프트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되 탄성 변형 가능한 전기접속부를 갖는 헤드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부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상기 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연장케이스 내에는, 상기 지지샤프트를 수용하며 컨트롤러부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상기 전기접속부로 유도하는 튜브형 미들기어하우징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기접속부가; 상기 지지샤프트에 면접 지지된 상태로 헤드기어에 접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헤드기어에 대한 커넥터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지지부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지지샤프트의 선단부에는, 헤드기어를 향해 개방된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수용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탄성지지부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헤드기어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수용홀은, 일정내경을 가지며 지지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수용홀의 내주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환봉형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일체를 이루며 볼록한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헤드기어의 외주면에 점접촉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샤프트에는 상기 수용홀을 가로지르는 핀구멍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핀구멍에 대응하는 관통형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샤프트에 대한 커넥터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공을 통과해 핀구멍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는 코일스프링, 또는 상기 수용홀의 바닥과, 커넥터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에 대해 척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자석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는, 파일에 대한 전류의 안정적인 전달이 가능하므로, 근관장의 정확한 측정과 치근단공의 세밀한 위치파악을 할 수 있어 그만큼 신뢰성이 좋고 근관치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드피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부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전기접속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지샤프트 및 전기접속부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전기접속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10)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드피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헤드부(40)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10)는, 컨트롤러부(20), 앵글바디부(30), 헤드부(40)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컨트롤러부(20)와 앵글바디부(30)와 헤드부(40)는 서로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컨트롤러부(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며 핸드피스를 조작하는 부분이고, 헤드부(40)는 파일(6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파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파일을 근관장 측정용 전극으로 사용하는 부분이다. 또한 앵글바디부(30)는 컨트롤러부(20)와 헤드부(4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부(20)는, 메인케이스(21), 모터(24), 제어회로부(23), 앵글하우징(26), 다수의 조작버튼(25)을 구비한다. 메인케이스(2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며 그 표면에 상기 조작버튼(25)을 갖는다. 메인케이스(21)의 디자인이나 조작버튼(25)의 위치 등은 인체공학적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어회로부(23)는 메인케이스(21)의 내부에 고정되며 핸드피스(10)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가령 모터(24)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 헤드기어(51)로의 전력공급에 관여하는 것이다. 제어회로부(23)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모터(24)는 제어회로부(23)로부터 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구동샤프트(24a)를 통해 외부로 회전토크를 출력한다. 모터(24)의 작동 모드는 조작버튼(25)을 통해 선택된다.
앵글하우징(26)은 모터(24)의 전방에 고정되며 구동샤프트(24a)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튜브형 부재로서 메인케이스(21)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앵글하우징(26)의 내부공간은 제1결합공간(26a)으로서 앵글바디부(30)의 종동축(32)을 수용한다.
앵글바디부(30)는, 지지튜브(31), 종동축(32), 전동축(33), 제1기어(34), 홀더(35)를 구비한다. 지지튜브(31)는 제1결합공간(26a)에 삽입된 상태로 앵글하우징(26)과 결합한다. 앵글하우징(25)에 대해 지지튜브(31)를 착탈 가능하다.
종동축(32)은 구동샤프트(24a)에 고정되며 모터의 회전토크를 전동축(33)으로 전달한다. 전동축(33)은 베어링을 통해 지지튜브(31)의 내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축회전하며 제1기어(34)를 통해 모터의 회전력을 헤드부(40)로 인가한다. 제1기어(34)는 전동축(33)의 단부에 고정되며 헤드부(40)에 포함되는 제2기어(42a)와 치합하는 기어이다.
홀더(35)는 지지튜브(31)의 외측부에 고정된 상태로 헤드부(40)의 결합캡(41)과 결합하는 부재로서, 내부에 제2결합공간(35a)을 제공한다. 제2결합공간(35a)은 미들기어하우징(44)의 후단부와 제2기어(42a)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제2기어(42a)는 제2결합공간(35a)의 내부에서 제1기어(34)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헤드부(40)는, 연장케이스(45), 연장케이스(45)의 연장단부에 설치되는 헤드기어(51) 및 콜렛척(52), 미들기어하우징(44), 지지샤프트(43), 크라운기어(42b), 전기접속부(40A)를 포함한다.
연장케이스(45)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에 상기 헤드기어(51) 및 콜렛척(52)을 수용한다. 연장케이스(45)는 절연체인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헤드기어(51)는 그 하단부 외주면에 기어이(51a)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로서, 내부에 콜렛척(52)을 가지고, 베어링하우징(55)에 수용된다. 베어링하우징(55)은 오일리스베어링(54)을 통해 헤드기어(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콜렛척(52)은 파일(6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60)은 콜렛척(52)의 파일끼움공간(53)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헤드기어(51)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 한다. 파일(60)의 회전중심축은 지지샤프트(43)의 회전축에 대해 직교한다.
미들기어하우징(44)은 전류를 통과시키는 금속으로 제작된 튜브형 부재로서 연장케이스(45)의 내부에 고정된다. 미들기어하우징(44)은, 컨트롤러부(20)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전기접속부(40A)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샤프트(43)는, 미들기어하우징(44)의 내부에 베어링(44a) 지지된 상태로, 앵글바디부(3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받아 축회전한다. 지지샤프트(43)를 축회전 시키는 이유는 헤드기어(51)를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지지샤프트(43)의 선단부에는 크라운기어(42b)가 장착된다. 크라운기어(42b)는 지지샤프트(43)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헤드기어(51)의 기어이(51a)에 치합한다. 크라운기어(42b)는 속이 빈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상단부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기계요소로서, 지지샤프트(43)를 그 중앙부에 갖는다.
아울러 지지샤프트(43)의 선단부에는 전기접속부(40A)가 더 설치된다. 전기접속부(40A)는 헤드기어(51)와 지지샤프트(43)의 사이에 설치되어 헤드기어와 지지샤프트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전기접속부(40A)를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적용한 이유는, 예를 들어, 헤드기어(51)의 회전 시 진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헤드기어(51)와 지지샤프트(43)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근관치료용 핸드피스에 있어서의 전기적 접속불량은, 근관장의 측정이나 근단부의 위치파악에 방해요소이다.
도 4는 전기접속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전기접속부를 지지샤프트와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43)의 상단부에 수용홀(43a)과 핀구멍(43b)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홀(43a)은 일정 내경을 가지며 헤드기어(51)를 향해 개방된 홈으로서 스프링(46)과 커넥터(47)의 일부를 수용한다. 또한 핀구멍(43b)은 고정핀(48)을 통과시키는 구멍으로서 수용홀(43a)의 중심축을 가로지른다. 고정핀(48)은 커넥터(47)의 이동거리를 필요한 범위내에 제한함과 동시에 지지샤프트(43)로부터 커넥터(47)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접속부(40A)는 커넥터(47)와 스프링(46)을 포함한다. 스프링(46)은 수용홀(43a)에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47)를 탄력 지지한다. 커넥터(47)는 스프링(46)의 작용에 의해 항상 헤드기어(51)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당연히, 핸드피스(10)를 손으로 잡고 흔들더라도 접속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스프링(46)은 커넥터(47)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헤드기어(51)에 대한 커넥터(47)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지지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47)는 접속부(47a)와 슬라이딩부(47b)를 갖는다. 슬라이딩부(47b)는 수용홀(43a)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수용홀의 내주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환봉형 부분으로서 장공(47c)을 갖는다. 장공(47c)은 고정핀(48)을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으로서 슬라이딩부(47b)의 길이방향, 즉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47a)는 슬라이딩부(47b)에 일체를 이루며 상면이 볼록한 디스크의 형태를 취한다. 접속부(47a)의 상면이 볼록한 형태를 취하므로 접속부(47a)와 헤드기어(51)의 외주면는 점접촉한다. 헤드기어(51)와 접속부(47a)가 점접촉하고, 또한 헤드기어(51)와 커넥터(4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헤드기어(51)의 회전시 마찰저항은 거의 없으며, 전기적인 접속만 유지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커넥터(4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48)을 통해 지지샤프트(43)에 결합한 상태로 스프링(46)의 작용을 받아 헤드기어(51)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커넥터(47)가 헤드기어(51)에 탄력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가령, 헤드기어(51)의 회전 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커넥터(47)가 헤드기어(51)로부터 벌어질 염려가 없다. 즉 전기적 접속이 끊어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전기접속부(40A)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6)을 대신해 자석(49a,49b)을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개의 자석(49a,49b) 중 하나는 수용홀(43a)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는 슬라이딩부(47b)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양 자석(49a,49b)의 극성은 상호 반대이며 서로에 대해 척력(斥力)을 작용시킨다. 자석(49a,49b)의 척력에 의해 커넥터(47)는 화살표 z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며 헤드기어(51)와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10)는, 전기접속부(40A)의 작용에 의해 헤드기어(51)로 인가되는 전류의 끊김현상이 없어, 헤드기어(51)에 끼워지는 파일(60)에 지속적인 전류가 인가되므로 근관장 측정의 신뢰성이 높고 치근단의 위치 확인이 매우 정확하여 근관치료의 치료효과가 매우 좋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핸드피스 20:컨트롤러부 21:메인케이스
23:제어회로부 24:모터 24a:구동샤프트
25:조작버튼 26:앵글하우징 26a:제1결합공간
30:앵글바디부 31:지지튜브 32:종동축
33:전동축 34:제1기어 35:홀더
35a:제2결합공간 40:헤드부 40A:전기접속부
41:결합캡 42a:제2기어 42b:크라운기어
43:지지샤프트 43a:수용홀 43b:핀구멍
44:미들기어하우징 44a:베어링 45:연장케이스
46:스프링 47:커넥터 47a:접속부
47b:슬라이딩부 47c:장공 48:고정핀
49a,49b:자석 51:헤드기어 51a:기어이
52:콜렛척 53:파일끼움공간 54:오일리스베어링
55:베어링하우징 60:파일

Claims (8)

  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부와;
    상기 컨트롤러부에 결합되며, 컨트롤러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전동축을 구비한 앵글바디부와;
    원통형 헤드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며 앵글바디에 장착되는 연장케이스, 상기 연장케이스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부에 상기 헤드기어와 치합하는 크라운기어를 갖는 지지샤프트, 상기 헤드기어와 지지샤프트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되 탄성 변형 가능한 전기접속부를 갖는 헤드부가 포함되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부, 상기 제어회로부와 접속되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연장케이스 내에는, 상기 지지샤프트를 수용하며 컨트롤러부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상기 전기접속부로 유도하는 튜브형 미들기어하우징이 더 포함되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접속부가;
    상기 지지샤프트에 면접 지지된 상태로 헤드기어에 접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헤드기어에 대한 커넥터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지지부를 갖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선단부에는, 헤드기어를 향해 개방된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수용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탄성지지부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헤드기어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일정내경을 가지며 지지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수용홀의 내주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환봉형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일체를 이루며 볼록한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헤드기어의 외주면에 점접촉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샤프트에는 상기 수용홀을 가로지르는 핀구멍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핀구멍에 대응하는 관통형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샤프트에 대한 커넥터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공을 통과해 핀구멍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코일스프링인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수용홀의 바닥과, 커넥터에 각각 고정되며 서로에 대해 척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자석인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KR1020190135562A 2019-10-29 2019-10-29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KR102239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62A KR102239528B1 (ko) 2019-10-29 2019-10-29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62A KR102239528B1 (ko) 2019-10-29 2019-10-29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528B1 true KR102239528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62A KR102239528B1 (ko) 2019-10-29 2019-10-29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52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070B1 (ko) 1994-06-09 1998-12-15 모리타 류이치로 근관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과치료장치
KR200392284Y1 (ko) 2005-05-26 2005-08-19 대륭전자(주) 진동수단이 구비된 치과용 근관치료 충진재 처리기구
US20060068356A1 (en) * 2004-09-30 2006-03-30 W&H Dentalwerk Burmoos Gmbh Dental handpiece with a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function
KR20110117148A (ko) * 2009-01-20 2011-10-26 라이즈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버클링 칼럼을 가진 전자 컴포넌트용 탄성 콘택트 디바이스
KR20110123853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핸드피스
KR101470426B1 (ko) 2014-08-11 2014-12-12 주식회사 올비트앤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KR20160000320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세양 파일 회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신경 치료용 핸드피스
KR20160013208A (ko) * 2013-06-07 2016-02-03 킴르 하이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전자담배
KR101841194B1 (ko) * 2016-12-26 2018-05-08 계양전기 주식회사 해머 드릴용 진동저감 핸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070B1 (ko) 1994-06-09 1998-12-15 모리타 류이치로 근관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과치료장치
US20060068356A1 (en) * 2004-09-30 2006-03-30 W&H Dentalwerk Burmoos Gmbh Dental handpiece with a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function
KR200392284Y1 (ko) 2005-05-26 2005-08-19 대륭전자(주) 진동수단이 구비된 치과용 근관치료 충진재 처리기구
KR20110117148A (ko) * 2009-01-20 2011-10-26 라이즈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버클링 칼럼을 가진 전자 컴포넌트용 탄성 콘택트 디바이스
KR20110123853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핸드피스
KR20160013208A (ko) * 2013-06-07 2016-02-03 킴르 하이테크 인코퍼레이티드 전자담배
KR20160000320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세양 파일 회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신경 치료용 핸드피스
KR101470426B1 (ko) 2014-08-11 2014-12-12 주식회사 올비트앤 근관 삽입 심도 감지 기능이 구비된 치아 근관 치료용 기구
KR101841194B1 (ko) * 2016-12-26 2018-05-08 계양전기 주식회사 해머 드릴용 진동저감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8796B2 (ja) 根管長測定機能を有する歯科用ハンドピース
NL1014480C2 (nl)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een endodontische behandeling.
CN110891516B (zh) 铰刀的电动式往复运动产生件及带铰刀的电动式往复运动产生件
US10646316B2 (en) Apex locator
KR960000163A (ko) 근관(根管)길이 측정기능을 구비한 치과치료장치
WO2004058089A1 (en) Endodontic file
KR100972647B1 (ko) 치과용 충전기
KR102239528B1 (ko) 탄력적 전기접속부를 갖는 치아 근관치료용 핸드피스
ATE326193T1 (de) Dentalkopfeinheit zur messung der wurzelkanallänge und halterung mit elektrischem kontakt dafür
US5639236A (en) Root canal dental handpiece
JP2020131010A (ja) 根管治療用の往復動発生具の振動筒、この振動筒を備えた往復動発生具およびキャップ
JP2002514933A (ja) 後充填用穴形成のための歯内治療器具
KR20120007746A (ko) 용이한 구강 내 관찰 및 용이한 국부 마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치과용 진동장치
KR102264975B1 (ko) 치과 치료 장치
JP2628132B2 (ja) 口腔清掃用具
SU16007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криволинейных каналов в костной ткани
US20070160959A1 (en) Endodontic device for detecting the root canal morphology
CN216933515U (zh) 牙科机头、牙科手机和根管预备机
JP2018105922A (ja) 根管治療用歯牙模型、囲み部材、歯牙模型
KR102617943B1 (ko) 진동 및 전기자극을 갖는 치과용 치경
JP4481146B2 (ja) 歯科用切削器具
JP2018192222A (ja) リーマ用の電動式駆動具及びリーマ付きの電動式駆動具
JPS5841927Y2 (ja) 根管治療用の電極針固定器具
JPS622007Y2 (ko)
CN113040869A (zh) 一种腹腔镜针式超声刀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