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21B1 -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21B1
KR102239221B1 KR1020190142599A KR20190142599A KR102239221B1 KR 102239221 B1 KR102239221 B1 KR 102239221B1 KR 1020190142599 A KR1020190142599 A KR 1020190142599A KR 20190142599 A KR20190142599 A KR 20190142599A KR 102239221 B1 KR102239221 B1 KR 10223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mnidirectional
processing unit
image proces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동민
조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주)헥스하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주)헥스하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티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14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은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360도 방향을 촬영하기 위한 단일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방위 촬영부와, 전방위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와,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되,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 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360 degree dash cam system for high quality vide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LTE 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실시간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버스나 택시에서 폭행사건이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차량 내부에 별도의 CCTV나 블랙박스를 설치한 경우 이러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증거를 확보할 방법이 만만치 않다.
현재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 외부를 촬영하는 자동차용 블랙박스를 설치하여 사고 발생시 증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통상 당사자 간에 합의를 하거나, 신고를 할 경우 경찰당국 당국 및 보험회사의 판단에 따라 상호의 과실정도에 따라서 피해액이 분담되고 있으나, 이때 과실정도의 판단이 모호한 경우가 많고 사실과 터무니없이 다른 금액이 일측에 부과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으며, 사고원인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보험회사는 가해자 및 피해자의 판단 및 상호 책임도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지급되는 보험금에 상당한 차액이 발생되므로 이를 위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거나 전문기관의 자문을 얻는 등 인적 및 물적으로 상당히 많은 경비의 지출이 요구되었다.
그렇지만 전문가 및 전문기관의 자문을 구하여 가해자 및 피해자의 판단 및 상호 책임도를 규정하더라도 사고를 당한 피해자가 납득하기 어려운 경우가 유발되었고, 그에 따라서 객관성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고처리의 필요성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더욱이 객관적인 자료가 없이 가해자 및 피해자의 판단 및 상호 책임도를 따지는 상황에서 사고 상황의 임의 조작이 성행되어 선량한 피해자가 발생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그에 따른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교통사고에 수반되는 상황판단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없어서 객관적인 사고 상황에 대한 규정을 내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 및 외부영향을 촬영하는 영상녹화시스템, 일명 블랙박스가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블랙박스에서는 4채널을 사용하여야 차량의 4면을 모두 촬영할 수 있어 비용 및 설치 부분에서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또한, 기존의 블랙박스는 고화질 영상을 저장할 수는 있으나 영상처리를 직접 처리할 경우, 너무 많은 전력소모로 인해 자동차 시동용 배터리에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
KR 20-2011-0000977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데이터 서버가 LTE 통신방식으로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정보를 차량용 촬영장치로 피드백할 수 있는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경고할 수 있는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360도 방향을 촬영하기 위한 단일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방위 촬영부와, 상기 전방위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되,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 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데이터 서버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서버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 및 각 객체의 중심영역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자동차의 후방영역을 촬영한 후방영상을 후방 카메라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좌표를 정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되,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경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초과할 경우, 소정의 지연시간 이후에 자동경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은 데이터 서버가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LTE 통신방식으로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정보를 차량용 촬영장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영상처리로 인한 차량용 촬영장치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경고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의 구성도
도 2는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차량용 촬영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4는 차량용 촬영장치의 다른 설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의 구성도이고, 도 2는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은 차량용 촬영장치(100), 후방 카메라(200), 데이터 서버(300),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의 주요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차량용 촬영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외부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인 자동차용 블랙박스로 정의된다. 차량용 촬영장치(100)는 전방위 촬영부(110), 영상 처리부(120),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전방위 촬영부(110), 영상 처리부(120),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저장용 메모리, 통신모듈,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모듈은 광대역통신 방식인 LTE 통신모듈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위 촬영부(110)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360도 방향을 촬영하기 위한 단일 렌즈 모듈을 포함한다.
즉, 전방위 촬영부(110)는 입사되는 광(光)을 굴절시키는 것으로 하측으로 볼록한 광굴절면으로 이루어진 측면과, 광굴절면으로 입사된 광이 반사되는 광반사면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광반사면의 하부에 상기 광반사면에서 반사된 광이 아래로 출사되는 광출사면으로 이루어진 하면을 가진 반사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방위 촬영부(110)는 반사굴절 렌즈의 측면을 둘러싸서 수용하는 투명한 소재의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반사굴절 렌즈 홀더(holder)와, 반사굴절 렌즈의 상면을 가리는 것으로,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체결되어 반사굴절 렌즈를 고정하는 커버와, 광출사면을 통해 아래로 출사되는 광(光)이 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투과 렌즈와, 광 투과 렌즈를 투과한 광이 촬상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반사굴절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경통 어셈블리(barrelassembly)를 구비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위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120)는 전 방위 광학 렌즈부를 통해 원본 이미지를 획득하고, 우선적으로 불필요한 이미지 부분을 제거하여 원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원형 이미지(30)는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 왜곡 해소 및 부분 이미지 처리를 위해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원형 이미지의 단위(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 31)는 해상도, 원호, 픽셀, 이미지 왜곡 등을 고려하여 분할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31)를 기반으로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31)의 픽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픽셀 구조가 파악된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31)에 대한 기준 초점 픽셀(32)을 추출할 수 있다. 기준 초점 픽셀(32)은 확장 또는 축소가 필요하지 않은 픽셀일 수 있다. 픽셀 구조는 기준 초점 픽셀(32)을 기준으로 축소해야 하는 픽셀과 확장해야 하는 픽셀로 구분될 수 있다.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 왜곡 해소를 위해 픽셀 당 보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초점 픽셀(32)을 기준으로 확장된 영역에 대해서는 축소 면적(33)을 결정하여 축소를 수행하고, 축소된 영역에 대해서는 확장 영역(34)을 결정하고 보간을 통해 확장을 수행할 수 있다. 해상도, 원호, 픽셀, 이미지 왜곡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를 통해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복수의 원형 분할 단위 이미지가 복수의 평면 분할 단위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의 통신모듈은 영상 처리부(120)에서 생성된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데이터 서버(300)로부터 송신되는 객체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서버(300)는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진행한다. 데이터 서버(300)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영상 처리부(120)로 피드백한다. 즉, 객체인식을 진행하는 과정이 데이터 서버(300)에서 진행되고, 데이터 서버(300)는 인식된 결과만을 객체정보로써 영상 처리부(120)에 피드백함으로써 영상 처리부(120)의 연산부하가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송신하는 동시에 처리를 원하는 영상처리명령까지 데이터 서버(300)에 전송하고, 그 결과값만을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서버(300)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영상 처리부(120)로 피드백 하는데,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 및 각 객체의 중심영역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자동차 번호판이라는 객체가 인식될 경우, 자동차 번호판에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와, 자동차 번호판의 중심영역의 위치(좌표)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가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식별코드는 객체코드 및 부가코드를 포함하는데, 객체코드는 자동차 번호판이라는 형상에 부여된 코드이고, 부가코드는 자동차 번호판의 번호 등과 같은 부가 데이터 정보를 코드화한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영상 처리부(120) 입장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싱작업을 직접 처리하지 않고도 데이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차 번호판이라는 객체의 인식된 번호와, 그 이동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0)는 영상 처리부(120)의 요청에 의해 복수의 객체를 동시에 인식하고, 각각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120)는 자동차의 후방영역을 촬영한 후방영상을 후방 카메라(200)로부터 수신할 경우,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좌표를 정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차량용 촬영장치(100)가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고 탑승자가 많을 경우, 차량 후방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후방 카메라(200)가 설치되어 전송될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후방영상을 좌표 정합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한다.
도 3은 차량용 촬영장치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4는 차량용 촬영장치의 다른 설치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촬영장치(100)는 운전석 주위에 부착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유리 부착형태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미러 부착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3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 감지센서(130)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영상 처리부(120)로 전송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데,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시각 및 청각수단을 이용하여 경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산화탄소 농도 예측모드가 설정된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초과할 경우, 소정의 지연시간 이후에 자동 경고 할 수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 농도변화율이 클수록 지연시간이 자동으로 감소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 예측모드에서는 전방위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자동차에 탑승인원과, 내부면적을 자동 감지하고, 탑승인원 및 내부면적까지 추가로 고려 - 이산화탄소 누적량 추정 - 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지연시간을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탑승자의 객체인식을 바탕으로 여성, 남성, 어린이 등을 구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인식 동작은 데이터 서버(300)에서 진행된다. 참고적으로 창문열림인식(창문열림시간), 문열림 인식(문열림 횟수 및 시간), 차량 공조기 동작상태까지 참고변수로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누적량을 추정하고 경고를 출력하는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0)는 사고발생영상이 수신될 경우 과실비율을 지능적으로 분석해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0)는 법규를 위반하는 차량영상을 지능적으로 분석하여 법규위반신고에 필요한 영상만을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0)가 영상에서 법규위반 차량을 판단할 때, 지도정보(주정차정보, 도로정보, 지자체 고시사항)를 함께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위반상황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0)는 360도 촬영영상 중에서 영상의 변화가 없는 부분을 피드백하고,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의 변화가 없는 부분은 자동 제거함으로써 저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0)는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객체의 움직임 또는 차량 속도를 고려하여 각 영역별 저장 영상 프레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영상 처리부(12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차 내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측면부를 촬영할 경우, 차량의 측면부에 해당하는 외부영상이 영상 처리부(120)로 전송된다. 이때,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외부영상을 좌표 정합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외부영상이 영상 처리부(120)로 전송될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복수의 외부영상을 좌표 정합한 후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 내부의 시트, 창문 등에는 서로 다른 위치 식별자가 부착될 수 있는데, 영상 처리부(120)는 복수의 위치 식별자를 참고하여 좌표정합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300)는 자동차 내부에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는 객체인식할 경우,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1)에서 어린이 보호모드가 자동실행된다.
어린이 보호모드는 시동유지 여부, 운전자 및 보호자의 하차여부를 객체인식 한 후, 어린이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실행한다. 즉, 운전자 및 보호자 없이 소정의 시간이상 어린이만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400)로 경고를 전송한다.
한편, 차량용 촬영장치(100)에서 데이터 서버(300)로 사고영상이 전송될 경우, 데이터 서버(300)는 수신받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영상인식하여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를 자동으로 파악한 후, 이러한 정보를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켜 견인차 업체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번호판의 번호를 인식한 후, 번호를 바탕으로 차량의 종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종류(전륜, 후륜, 사륜), 차량의 크기, 파손상태, 차량의 수에 따라 필요한 견인차의 대수와, 견인차의 크기, 견인형태(전륜,후륜,사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데이터 서버(300)는 견인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영상인식하여 전송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데이터 서버(300)는 영상인식을 통해 차량의 파손상태를 파악할 때, 차량의 각 바퀴부분의 손상여부를 수치로써 환산하여 전송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륜 좌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100% 가까울수록 손상상태가 큼), 전륜 우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 후륜 좌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 후륜 우측 바퀴의 손상상태를 1 ~ 100% 각각 환산하여 푸시 메세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은 데이터 서버가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LTE 통신방식으로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정보를 차량용 촬영장치로 피드백할 수 있어 영상처리로 인한 차량용 촬영장치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경고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차량용 촬영장치
110 : 전방위 촬영부
120 : 영상 처리부
130 :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200 : 후방 카메라
300 : 데이터 서버
4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6)

  1.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며 360도 방향을 촬영하기 위한 단일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전방위 촬영부;
    상기 전방위 촬영부의 촬영영상을 영상처리하여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에서 전송되는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의 객체를 인식하되,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 하는 데이터 서버; 및
    상기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이산화탄소 농도 예측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전방위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탑승인원 및 내부면적을 자동감지하고, 탑승인원 및 내부면적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 누적량을 추정하되, 탑승인원 중 여성, 남성 및 어린이를 각각 구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할 뿐만 아니라 창문열림시간, 문열림 횟수 및 시간을 참고변수로 활용하여 이산화탄소 누적량을 추정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촬영영상을 복수의 영상으로 구분한 후, 객체의 움직임 또는 자동차의 속도를 고려하여 각 영역별 저장 영상 프레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영상처리부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인식된 객체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로 피드백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체정보는 객체 종류별로 미리 할당된 식별코드 및 각 객체의 중심영역에 대한 시간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자동차의 후방영역을 촬영한 후방영상을 후방 카메라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전방위 평면 이미지에 좌표를 정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초과할 경우, 소정의 지연시간 이후에 자동경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KR1020190142599A 2019-11-08 2019-11-08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KR10223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599A KR102239221B1 (ko) 2019-11-08 2019-11-08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599A KR102239221B1 (ko) 2019-11-08 2019-11-08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221B1 true KR102239221B1 (ko) 2021-04-13

Family

ID=7548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599A KR102239221B1 (ko) 2019-11-08 2019-11-08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45B1 (ko) * 2021-11-16 2022-04-26 김현우 안전 전동 킥보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977U (ko) 2009-07-22 2011-01-28 지킴이자동차블랙박스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20005751U (ko) * 2011-01-31 2012-08-16 주식회사 하이드 차량 내부감시 장치
KR101423873B1 (ko) * 2013-03-26 2014-08-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감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폭행상황 감지방법
KR20140006492U (ko) * 2013-06-19 2014-12-31 고명철 자동차 실내 환경 표시 및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977U (ko) 2009-07-22 2011-01-28 지킴이자동차블랙박스 주식회사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20005751U (ko) * 2011-01-31 2012-08-16 주식회사 하이드 차량 내부감시 장치
KR101423873B1 (ko) * 2013-03-26 2014-08-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감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폭행상황 감지방법
KR20140006492U (ko) * 2013-06-19 2014-12-31 고명철 자동차 실내 환경 표시 및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45B1 (ko) * 2021-11-16 2022-04-26 김현우 안전 전동 킥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696B2 (en) Vehicle environment im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083885B1 (ko) 지능형 운전 보조 시스템들
KR102150967B1 (ko)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자동차용 보안 시스템
EP3239945A1 (en) Vehicle safety system
JP4494983B2 (ja) ポータブル型車両番号認識装置およびポータブル型車両番号認識装置による車両番号認識方法
US20220297644A1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based on mobile iot ag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CN112235748B (zh) 一种挪车提醒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JPH08124069A (ja) 車両事故情報伝達装置
US11951997B2 (en)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alarm for detecting passengers locked in vehicle
KR102239221B1 (ko)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한 360도 블랙박스 시스템
KR102426735B1 (ko) 도난알림 기능이 적용된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자동차용 보안 시스템
US107105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incident , accident and/or scam of a vehicle
KR102283398B1 (ko) Ai 기반 복합 adas 룸미러
JP2021099720A (ja) 危険運転判定装置、危険運転判定方法、および危険運転判定プログラム
JP7057074B2 (ja) 車載器および運転支援装置
CN110933360A (zh) 车辆违章监控方法及系统
CN111797649A (zh) 汽车及其超员检测方法和装置
CN115299948A (zh) 一种驾驶员疲劳检测方法及检测系统
KR101773382B1 (ko) 운전중 통화 검출 및 경보 방법과 그 시스템
TWI728644B (zh) 行車警示裝置
KR20190014884A (ko) 운전패턴 활용을 위한 차량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95803B1 (ko) 차량 블랙박스를 이용한 차량단속장치
CN210627295U (zh) 交通事故自主处理系统
CN217546172U (zh) 具有警示的机车摄像装置及机车摄像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