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095B1 - Fabricated dual flower pot - Google Patents

Fabricated dual flower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095B1
KR102239095B1 KR1020190036918A KR20190036918A KR102239095B1 KR 102239095 B1 KR102239095 B1 KR 102239095B1 KR 1020190036918 A KR1020190036918 A KR 1020190036918A KR 20190036918 A KR20190036918 A KR 20190036918A KR 102239095 B1 KR102239095 B1 KR 10223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pot
pot
pots
extern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4719A (en
Inventor
한경수
박용순
Original Assignee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스그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3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95B1/en
Publication of KR20200114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이중 화분에 관한 것으로,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고,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ouble potted plant, wherein the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for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and the inner pot is prefabricated to place the inner pot in place. It was made to be able to carry it easily without being constrained.

Description

조립식 이중 화분{Fabricated dual flower pot}Fabricated dual flower pot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 이중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in which plants can be planted, and in particular, to a prefabricated double pot.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2714호(2006.03.23)에 내부화분이 외부화분과 결합되는 이중 화분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은 내부화분이 외부화분과 결합할 경우, 내부화분의 플랜지가 외부화분의 몸체에 지지되어 내부화분이 외부화분에 안착 되도록 하며, 외부화분에 담수된 물을 내부화분의 바닥면의 배수공을 통하여 내부화분 내의 식물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2714 (2006.03.23) describes a double flower pot in which an internal flower pot is combined with an external flower pot. In this technology, when the inner pot is combined with the outer pot, the flange of the inner pot is supported by the body of the outer pot so that the inner pot is settled on the outer pot. It is configured to supply to the plants in the internal potted through.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중 화분들은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없었고, 내부 화분의 부피가 커서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double pots could not adjust the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as needed for the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and the volume of the inner pot is so large that the inner pot can be placed anywher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carry around easily.

따라서, 본 발명자는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고,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이중 화분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can adjust the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as necessary for the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and implement the inner pot as a prefab so that the inner pot can be easily placed regardless of the place. A study was conducted on double pots that can be carried with them.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12714호(2006.03.23)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2714 (2006.03.23)

본 발명은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이중 화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capable of adjusting the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an inner flower pot and an external flower pot as needed for plants planted in the internal flower po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이중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flower pot that can easily carry and carry the internal flower pot regardless of the location by implementing the internal flower pot in a prefabricated mann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식물이 식재되는 내부 화분과, 내부 화분이 수납되어 조립되되 내부 화분과의 사이에 특정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화분을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이 외부 화분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밸브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abricated double potted plant including an inner pot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an outer pot in which a specific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ots and the inner pots are housed and assembled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valves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external flower pot, and control a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ternal flower pot and the external flower po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립식 이중 화분이 외부 화분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되, 급수 호스를 연결하여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급수 호스 연결구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er flower pot,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hos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hose to allow water to flow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ternal flower pot and the external flower po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내부 화분이 바닥면과; 바닥면에 일부분이 일체로 연결되고,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과; 측면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여 지지하는 측면 고정 수단과; 측면 하부와 바닥면 외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의 하부를 바닥면과 서로 고정하여 지지하는 바닥면 고정 수단과; 측면 상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화분 상부의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lanter includes a bottom surface; A side surfac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Side fixing mea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s and fixing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s that are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A bottom surface fixing means that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and fixes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that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floor surface to each other; It i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and includes a locking projection that is caught on the flange of the upper outer po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내부 화분이 측면에 다수개 통공되어,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내부 화분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물 유도 홈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ner pots are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s, and further includes a water induction groove for guiding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s and the outer pots to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pots.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외부 화분이 상부의 플랜지에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 화분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걸림 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external flower pots are formed on the flange of the upper part, and include a coupling groove that is coupl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nal flower po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립식 이중 화분이 외부 화분 상부의 플랜지에 다수 형성되는 결합홈과, 이와 결합되는 내부 화분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걸림 돌기 사이에 각각 거치되어,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에 특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거치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double potted plant is mounted betwee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on a flange of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potted plant,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tted plant coupled thereto, and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radles to form a specific space.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립식 이중 화분이 이중 화분 설치 장소의 지반에 구애받지 않도록 외부 화분을 지지하는 외부 화분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s further include an external flower pot support for supporting the external flower pots so as not to be restricted by the ground of the place where the double flower pots are installed.

본 발명은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만큼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for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supplying as much moisture as necessary for plant growth.

또한, 본 발명은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flower pot is implemen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internal flower pot regardless of the location,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조립식 이중 화분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일 실시예의 조립 전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조립 후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 전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 후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ed double flower pot shown in FIG. 1.
3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before assembly of an embodiment of an inner flower pot of a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after assembly of the inner flower po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before assembly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flower po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after assembly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flower po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조립식 이중 화분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100)은 식물이 식재되는 내부 화분(110)과, 내부 화분이 수납되어 조립되되, 내부 화분과의 사이에 특정 공간(200)이 형성되는 외부 화분(120)을 포함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shown in FIG. 1 and 2, the assembled double potted 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pot 110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an inner pot is housed and assembled, with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s ( 200) includes an external flower pot 120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100)은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되는 물(300)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위 조절 밸브(130)를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double potted 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300 flowing into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as needed for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In order to ensure that it includes a water level control valve 130.

수위 조절 밸브(130)는 외부 화분(12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되는 물(300)의 수위를 조절한다.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130 is formed in a plural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external flower pot 120, and the water 300 flowing into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ternal flower pot 110 and the external flower pot 120 Adjust the water level.

사용자는 외부 화분(12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수위 조절 밸브(130)들 중에서 원하는 수위 위치의 수위 조절 밸브(130)는 개방시키고 다른 위치의 수위 조절 밸브(130)들은 폐쇄시킴으로써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에 고인 물(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n the water level control valve 130 at a desired water level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water level control valves 130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outer pot 120 and close the water level control valves 130 at other position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300 accumulated in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may be adjusted.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만큼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By implementing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as necessary for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so that as much moisture as necessary for plant growth can be efficiently supplied. .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립식 이중 화분(100)이 급수 호스 연결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호스 연결구(140)는 외부 화분(12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되, 급수 호스(도면 도시 생략)를 연결하여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물(300)이 유입되도록 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1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hose connector 140.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or 14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lower pot 120, and connects a water supply hose (not shown in the drawing) to a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ternal flower pot 110 and the external flower pot 120. 300) is allowed to flow in.

사용자는 급수 호스를 급수 호스 연결구(140)에 연결한 상태에서 급수 호스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 급수 호스 연결구(140)내의 급수 통로를 통해 물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되어 고인다.When the user injects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whil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hose to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or 140, water is transferred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in the water supply hose connector 140. It flows into and accumulates in a specific space 200 of.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조립 전 모양을 예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조립 후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before assembling the inner flower po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shape after assembling the internal flower po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화분(110)이 바닥면(111)과, 측면(112)과, 측면 고정 수단(113)과, 바닥면 고정 수단(114)과, 걸림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inner flower pot 11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1, a side surface 112, a side fixing means 113, a bottom surface fixing means 114, and a locking protrusion ( 115).

이 때, 외부 화분(120) 내에 내부 화분(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내부 화분(110)이 생분해될 수 있도록, 내부 화분(110)의 바닥면(111)과, 측면(112)과, 측면 고정 수단(113)과, 바닥면 고정 수단(114)과, 걸림 돌기(115)를 생분해성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 side surface 112 of the internal flower pot 110 so that the internal flower pot 110 can be biodegraded over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s coupled within the external flower pot 120. And, the side fixing means 113, the bottom fixing means 114,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5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바닥면(111)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 및 도 4 는 바닥면(111)이 원형일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The bottom surface 111 may have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3 and 4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111 is circular.

측면(112)은 바닥면(111)에 일부분이 일체로 연결되고,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힌다. 측면(112)은 상광 하협의 사다리 형태 또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 은 측면(112)이 펼쳐진 상태이고, 도 4 는 측면이 말아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11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11 and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The side surface 112 may have a ladde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surface 112 is unfolded, an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surface is rolled.

측면 고정 수단(113)은 측면(112)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112)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여 지지한다. 예컨대, 측면 고정 수단(113)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11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 돌기(113a) 및 고정 홈(113b)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ide fixing means 113 are formed on each of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112 and support by fixing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112 that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For example, the side fixing means 11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ixing protrusions 113a and fixing grooves 113b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112 as shown in FIG.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측면(112)을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말거나 접은 후, 측면(112)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13a)를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 홈(113b)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 돌기(113a)를 접으면 측면(112)이 완성된다.After the side surface 112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the fixing protrusion 113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3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13a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surface 112. When folded), the side 112 is completed.

바닥면 고정 수단(114)은 측면(112) 하부와 바닥면(111) 외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112)의 하부를 바닥면과 서로 고정하여 지지한다.The bottom surface fixing means 114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ide surface 112 and the bottom surface 111, and fixes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112 that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floor surface 111 to each other with the floor surface. To support.

예컨대, 바닥면 고정 수단(114)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112)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는 고정 돌기(114a)와, 바닥면(111) 외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고정 홈(114b)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fixing means 114 i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4a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112 as shown in FIG. 3,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14b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111 ) May be implemen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측면(112)을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말거나 접으면서 측면(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14a)들을 바닥면(111) 외연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홈(114b)들에 차례로 끼우면, 측면(112)이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말리거나 접혀지면서 고정된다.When the side surface 112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 fixing protrusions 114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112 are inserted in sequence into the fixing grooves 114b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111 , The side surface 112 is fixed while being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걸림 돌기(115)는 측면(112) 상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화분(120) 상부의 플랜지(121)에 걸린다. 이 때, 걸림 돌기(115)에는 볼트(도면 도시 생략) 및 너트(도면 도시 생략) 결합을 위한 홈(도면 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5 are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112, and are caught on the flange 121 of the outer pot 120. In this case, a groove (not shown) for coupling a bolt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115.

사용자는 내부 화분(110)이 펼쳐진 부피가 적은 상태로 내부 화분(110)을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사용시에는 내부 화분(110)을 말거나 접어 조립한 다음 내부 화분(110)에 식물을 식재한다.The user easily carries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n a small state in which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s unfolded, and when using it,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s rolled or folded and assembled, and then plants are planted in the internal flower pot 110.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implementing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internal flower pot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that the internal flower pot can be easily carried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 place,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내부 화분(110)이 물 유도 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유도 홈(116)은 측면(112)에 다수개 통공되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되는 물(300)이 내부 화분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ner flower pot 11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nduction groove 116. The water induction groove 116 has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the side surface 112, so that the water 300 flowing into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pot. do.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된 물(300)은 내부 화분(110)의 측면(112)에 다수개 절개되어 형성되는 미세한 물 유도 홈(116)을 통해 내부 화분(110)으로 유도되어 내부 화분(11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한다.The water 300 flowing into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incisions in the side surface 112 of the inner pot 110 and the fine water induction groove 116 Through the induction to the inner pot 110 to supply water to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110).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외부 화분(120)이 결합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22)은 외부 화분(120) 상부의 플랜지(121)에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 화분(110)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걸림 돌기(115)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the outer flower pot 120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122).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2 are formed on the flange 121 of the outer pot 120 and are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15 formed on the inner pot 110.

외부 화분(120)의 플랜지(121)에 다수개 형성되는 결합홈(122)에 내부 화분(110)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걸림 돌기(115)가 안착되어 외부 화분(121) 안에서 내부 화분(110)이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 때, 결합홈(122)에 볼트(도면 도시 생략) 및 너트(도면 도시 생략) 결합을 위한 통공(도면 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5 formed on the inner planter 110 are seated i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2 formed on the flange 121 of the outer planter 120 so that the inner planter 110 in the outer planter 121 It will not rotate. In this case,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coupling a bolt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122.

외부 화분(120)의 결합홈(122)에 내부 화분(110)의 걸림 돌기(115)가 안착된 상태에서 걸림 돌기(115)에 형성되는 홈과 결합홈(122)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볼트(도면 도시 생략) 및 너트(도면 도시 생략) 결합하여 외부 화분(121)과 내부 화분(11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Bolt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115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122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15 of the inner flower pot 110 is seated in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external flower pot 120 By combining (not shown in the drawings) and nut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er pot 121 and the inner pot 110 can be firmly coupled.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립식 이중 화분(100)이 거치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50)는 외부 화분(120) 상부의 플랜지(121)에 다수 형성되는 결합홈(122)과, 이와 결합되는 내부 화분(110)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걸림 돌기(115) 사이에 각각 거치되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에 특정 공간(200)이 형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100 may further include a cradle 150. The cradle 150 is mounted betwee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22 formed on the flange 121 of the outer flower pot 120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5 formed on the inner flower pot 110 coupled thereto. , A specific space 20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lanter 110 and the outer planter 120.

이 때, 거치대(150)에 볼트(도면 도시 생략) 및 너트(도면 도시 생략) 결합을 위한 통공(도면 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 화분(120)의 결합홈(122)과 내부 화분(110)의 걸림 돌기(115) 사이에 거치대(150)가 거치된 상태에서 걸림 돌기(115)에 형성되는 홈과 거치대(150) 및 결합홈(122)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해 볼트(도면 도시 생략) 및 너트(도면 도시 생략) 결합하여 외부 화분(121)과 내부 화분(110) 사이에 특정 공간(200)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로 외부 화분(121)과 내부 화분(11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a through hole (not shown) for coupling a bolt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radle 150.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150 is mounted between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external flower pot 1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5 of the inner flower pot 110, the groove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115 and the cradle 150 and the coupling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groove 122, a bolt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are combined to form a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outer planter 121 and the inner planter 110. The flower pot 121 and the inner flower pot 110 may be firmly coupled.

거치대(150)에 의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에 특정 공간(200)이 형성될 경우, 통기성이 좋아져 내부 화분(110)에 식재된 식물 생장에 더 유리하고, 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에 특정 공간(200)을 통해 물을 저장할 수 있어 내부 화분(11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적절한 수분 공급도 원활해진다.When a specific space 20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ots 110 and the outer pots 120 by the cradle 150, ventilation is improved,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the growth of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s 110, and the inner pots Since water can be stored through a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110 and the outer pot 120, proper moisture supply to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110 is also facilitated.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100)이 외부 화분 지지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화분 지지대(160)는 이중 화분 설치 장소의 지반에 구애받지 않도록 외부 화분(120)을 지지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flower pot support 160. The external flower pot support 160 supports the external flower pot 120 so as not to be restricted by the ground of the place where the double flower pot is installed.

예컨대, 외부 화분 지지대(160)가 내부에 외부 화분(120) 형상의 홈(161)을 가지며, 외부 화분(120)의 플랜지(121) 하부가 지지되는 외벽(162)을 가진 정방형 틀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external flower pot support 160 may have a groove 161 in the shape of the external flower pot 120 therein, and may have a square frame shape having an outer wall 162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121 of the external flower pot 12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외부 화분(120)을 지지하는 외부 화분 지지대(160)를 사용할 경우, 설치 장소의 지반 상태에 상관없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시설물 위나, 경사진 곳이나, 수분이 많은 땅 등에도 이중 화분(100)을 설치할 수 있고,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이중 화분(100)이 유동 되지도 않아 이중 화분이 넘어지지 않으므로,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다.In the case of using the external planter support 160 that supports the external planter 120, the double planter 100 is also placed on asphalt, concrete facilities, slopes, or soil with a lot of moisture regardless of the ground condi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It can be installed, and since the double flower pot 100 does not flow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wind, the double flower pot does not fall, so a safe installation is possible.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 전 모양을 예시한 도면, 도 7 은 도 6 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이중 화분의 내부 화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 후 모양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before assembly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ner flower pot of a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assembly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nternal flower pot of the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t is a figure which exemplifies the shape afterward.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화분(110)이 바닥면(111)과, 측면(112)과, 측면 고정 수단(113)과, 바닥면 고정 수단(114)과, 걸림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inner flower pot 11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1, a side surface 112, a side fixing unit 113, a bottom surface fixing unit 114, and a locking protrusion ( 115).

이 때, 외부 화분(120) 내에 내부 화분(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내부 화분(110)이 생분해될 수 있도록, 내부 화분(110)의 바닥면(111)과, 측면(112)과, 측면 고정 수단(113)과, 바닥면 고정 수단(114)과, 걸림 돌기(115)를 생분해성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 side surface 112 of the internal flower pot 110 so that the internal flower pot 110 can be biodegraded over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s coupled within the external flower pot 120. And, the side fixing means 113, the bottom fixing means 114,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5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ynthetic resin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바닥면(111)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 및 도 7 은 바닥면(111)이 시각형일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외부 화분(120) 내면 역시 사각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surface 111 may have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6 and 7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111 is a visual typ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t 120 is also implemented in a square shape.

측면(112)은 바닥면(111)에 일부분이 일체로 연결되고,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힌다. 측면(112)은 상광 하협의 사다리 형태 또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 은 측면(112)이 펼쳐진 상태이고, 도 7 은 측면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11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11 and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The side surface 112 may have a ladde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surface 112 is unfolded,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surface is folded.

측면 고정 수단(113)은 측면(112)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112)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여 지지한다. 예컨대, 측면 고정 수단(113)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11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 돌기(113c) 및 고정 홈(113d)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ide fixing means 113 are formed on each of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112 and support by fixing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112 that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For example, the side fixing means 11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ixing protrusions 113c and fixing grooves 113d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 112 as shown in FIG. 6, but is not limited thereto.

측면(112)을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접은 후, 측면(112)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113a)를 타단에 형성되는 고정 홈(113b)에 삽입하면 측면(112)이 완성된다.After the side surface 112 is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the side surface 112 is completed by inserting the fixing protrusion 113a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surface 112 into the fixing groove 113b formed at the other end. .

바닥면 고정 수단(114)은 측면(112) 하부와 바닥면(111) 외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접히는 측면(112)의 하부를 바닥면과 서로 고정하여 지지한다.The bottom surface fixing means 114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outer edge of the side surface 112 and the bottom surface 111, and supports by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side surface 112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floor surface 111 to each other with the floor surface. do.

예컨대, 바닥면 고정 수단(114)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112)의 하부에 다수 형성되는 고정 홈(114c)와, 바닥면(111) 외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고정 돌기(114d)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bottom surface fixing means 114 ha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14c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112,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4d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111 ) May be implemen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측면(112)을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접으면서 측면(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홈(114c)들에 바닥면(111) 외연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 돌기(114ㅇ)들을 차례로 끼우면, 측면(112)이 바닥면(111) 형상을 따라 접혀지면서 고정된다.When the side surface 112 is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and the fixing protrusions 114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111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14c formed under the side surface 112 , The side surface 112 is fixed while being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1.

걸림 돌기(115)는 측면(112) 상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화분(120) 상부의 플랜지(121)에 걸린다. 이 때, 걸림 돌기(115)에는 볼트(도면 도시 생략) 및 너트(도면 도시 생략) 결합을 위한 홈(도면 도시 생략)이 형성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5 are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112, and are caught on the flange 121 of the outer pot 120. In this case, a groove (not shown) for coupling a bolt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115.

사용자는 내부 화분(110)이 펼쳐진 부피가 적은 상태로 내부 화분(110)을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사용시에는 내부 화분(110)을 말거나 접어 조립한 다음 내부 화분(110)에 식물을 식재한다.The user easily carries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n a small state in which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s unfolded, and when using it, the internal flower pot 110 is rolled or folded and assembled, and then plants are planted in the internal flower pot 110.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implementing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internal flower pot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that the internal flower pot can be easily carried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 place,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한, 내부 화분(110)이 물 유도 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유도 홈(116)은 측면(112)에 다수개 절개되어,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되는 물(300)이 내부 화분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inner flower pot 11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induction groove 116. The water induction groove 116 is cut in a number on the side 112 so that the water 300 flowing into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pot. do.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200)으로 유입된 물(300)은 내부 화분(110)의 측면(112)에 다수개 절개되어 형성되는 미세한 물 유도 홈(116)을 통해 내부 화분(110)으로 유도되어 내부 화분(11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물을 공급한다.The water 300 flowing into the specific space 200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incisions in the side surface 112 of the inner pot 110 and the fine water induction groove 116 Through the induction to the inner pot 110 to supply water to the root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110).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내부 화분(110)이 외연에 외부 화분(120)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하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117)가 세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리브(117)은 내부 화분(110)이 외부 화분(120) 내에 결합시 외부 화분(120) 내면에 걸려서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에 특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ribs 117 for securing upper and lower air permeability may be formed vertically by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inner pots 110 and the outer pots 120 at the outer periphery. The plurality of ribs 117 are hu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t 120 when the inner pot 110 is coupled into the outer pot 120 so that a specific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so that it is ventilated up and down. Can be secured.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다수의 리브(117)가 중간 중간에 좌우 통기성 확보를 위한 다수의 통기홈(118)들이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홈(118)을 통해 다수의 리브(117)에 의해 격리되는 내부 화분(110)과 외부 화분(120) 사이의 특정 공간들 간에 공기가 자유롭게 유동되므로 좌우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ribs 117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118 for securing left and right ventilation in the middle. Since air flows freely between specific spaces between the inner pot 110 and the outer pot 120 isolated by a plurality of ribs 117 through the vent groove 118, left and right ventilation can be secur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내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필요한 만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 생장에 필요한 만큼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can be adjusted as necessary for plants planted in the inner po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pply as much moisture as necessary for plant growth. .

또한, 본 발명은 내부 화분을 조립식으로 구현하여 내부 화분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닐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nal flower pot is implemented in a prefabricated manner,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the internal flower pot regardless of the location, so that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with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화분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dustrially in the field of technology related to pollen for planting plants and the field of application thereof.

100 : 조립식 이중 화분
110 : 내부 화분
111 : 바닥면
112 : 측면
113 : 측면 고정 수단
114 : 바닥면 고정 수단
115 : 걸림 돌기
116 : 물 유도 홈
120 : 외부 화분
121 : 플랜지
122 : 결합홈
130 : 수위 조절 밸브
140 : 급수 호스 연결구
150 : 거치대
160 : 외부 화분 지지대
100: prefabricated double flower pot
110: inner pot
111: bottom surface
112: side
113: side fixing means
114: floor fixing means
115: stopping protrusion
116: water induction groove
120: external flower pot
121: flange
122: coupling groove
130: water level control valve
140: water supply hose connection
150: cradle
160: external planter support

Claims (7)

식물이 식재되는 내부 화분과;
내부 화분이 수납되어 조립되되, 내부 화분과의 사이에 특정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화분과;
외부 화분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 밸브를;
포함하되,
내부 화분이:
바닥면 형상을 따라 측면이 말아지거나 접혀져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부피가 적은 상태로 펼쳐진 내부 화분을 용이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이중 화분.
An inner pot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 external potted plant in which a specific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ots and the inner pots are housed and assembled;
A water level control valve that is formed in a plural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f the external flower pot and controls a level of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ternal flower pot and the external flower pot;
Including,
Inner potted:
The prefabricated double potted plant is implemented in a prefabricated form in which the sides are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flo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and use the expanded internal potted plant in a low-volum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식 이중 화분이:
외부 화분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되, 급수 호스를 연결하여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급수 호스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Prefab double pots:
A water supply hose connecto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flower pot and connecting the water supply hose to allow water to flow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ternal flower pot and the external flower pot;
Prefabricated double pots further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화분이:
바닥면과;
바닥면에 일부분이 일체로 연결되고,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과;
측면 양단 각각에 형성되어,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여 지지하는 측면 고정 수단과;
측면 하부와 바닥면 외연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바닥면 형상을 따라 말아지거나 접히는 측면의 하부를 바닥면과 서로 고정하여 지지하는 바닥면 고정 수단과;
측면 상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화분 상부의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Inner potted:
Bottom side;
A side surfac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Side fixing means form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s and fixing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ide surfaces that are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A bottom surface fixing means that is formed in a plurality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and fixes and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that is rolled or folded along the shape of the floor surface and fixed to each other;
It is formed along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caught on the flange of the upper outer pots;
Prefabricated double pots included.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 화분이:
측면에 다수개 통공되어, 내부 화분과 외부 화분 사이의 특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내부 화분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물 유도 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Inner potted:
A plurality of water induction grooves through the side to induce water flowing into a specific space between the inner pot and the outer pot to flow into the inner pot;
Prefabricated double pots further including.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 화분이:
상부의 플랜지에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 화분 상부에 다수 형성되는 걸림 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Outside pot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upper flange and coupl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potted plant;
Prefabricated double pots included.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 화분이:
외연에 세로로 다수개 형성되어 외부 화분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하 통기성을 확보하는 다수의 리브와;
다수의 리브 중간 중간에 다수개 형성되어 좌우 통기성을 확보하는 다수의 통기홈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
The method of claim 3,
Inner potted:
A plurality of ribs formed vertically on the outer edge to maintain a gap with an external flower pot to secure upper and lower ventila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groove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lurality of ribs to secure left and right ventilation;
Prefabricated double pots further including.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식 이중 화분이:
이중 화분 설치 장소의 지반에 구애받지 않도록 외부 화분을 지지하는 외부 화분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이중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Prefab double pots:
An external flower pot support for supporting the external flower pot so as not to be restricted by the ground of the double flower pot installation place;
Prefabricated double pots further including.
KR1020190036918A 2019-03-29 2019-03-29 Fabricated dual flower pot KR102239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918A KR102239095B1 (en) 2019-03-29 2019-03-29 Fabricated dual flower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918A KR102239095B1 (en) 2019-03-29 2019-03-29 Fabricated dual flower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719A KR20200114719A (en) 2020-10-07
KR102239095B1 true KR102239095B1 (en) 2021-04-12

Family

ID=7288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918A KR102239095B1 (en) 2019-03-29 2019-03-29 Fabricated dual flower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975B1 (en) * 2020-12-22 2021-06-23 (주)이에스텍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71Y1 (en) * 2002-03-11 2002-06-20 곽남현 Dual sturcture flower pot
KR200412714Y1 (en) 2005-12-28 2006-03-31 (주)인비트로플랜트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WO2009128396A2 (en) 2008-04-13 2009-10-22 Itoh Mieko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101462350B1 (en) * 2013-08-15 2014-11-20 영 성 왕 cultivation apparatus grow perennial root plant for fo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6948U (en) * 1984-03-29 1985-10-18 宮城 耕治 Flower pots and cultivation equipment
KR200445116Y1 (en) * 2007-08-10 2009-06-30 윤찬덕 Displat stand for flowering plant
KR20140116701A (en) * 2013-03-25 2014-10-06 박지현 repotting dual flower po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71Y1 (en) * 2002-03-11 2002-06-20 곽남현 Dual sturcture flower pot
KR200412714Y1 (en) 2005-12-28 2006-03-31 (주)인비트로플랜트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WO2009128396A2 (en) 2008-04-13 2009-10-22 Itoh Mieko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101462350B1 (en) * 2013-08-15 2014-11-20 영 성 왕 cultivation apparatus grow perennial root plant for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719A (en)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434B1 (en)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KR101466363B1 (en) Vegetables, Floriculture, connected, simple pots
JP6650091B2 (en) Hydroponic cultivator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JP2012517221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lant cultivation
JP2009526545A (en) Vegetation box and landscape using this
KR102239095B1 (en) Fabricated dual flower pot
KR20190140796A (en) Wall greening system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20030096840A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GB2482654A (en) A vertical planting system
KR102038769B1 (en) Plant-grown pots with a watering pot
JP2009165400A (en) Planting unit, greening planting unit using the planting unit, and system for the greening planting unit
KR20160001316U (en) Vegetatiom Decorating Frame For Landscape at Imdor and Outdoor
KR20110032704A (en) Flower pot
KR102652374B1 (en) Desk pen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0474178Y1 (en)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KR102048147B1 (en) Folwerpot Modume
KR20150094277A (en) Cultivating device
KR101379738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water diffusion supply unit
KR102330902B1 (en) Natural circulation humidification pollen by osmotic pressure
JP2009291098A (en) Greening louver
KR101641680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KR101868233B1 (en) A humidifier to use a watering plants
JP2021052716A (en) Natural law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