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714Y1 -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 Google Patents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714Y1
KR200412714Y1 KR2020050036639U KR20050036639U KR200412714Y1 KR 200412714 Y1 KR200412714 Y1 KR 200412714Y1 KR 2020050036639 U KR2020050036639 U KR 2020050036639U KR 20050036639 U KR20050036639 U KR 20050036639U KR 200412714 Y1 KR200412714 Y1 KR 200412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internal
flange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6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인비트로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비트로플랜트 filed Critical (주)인비트로플랜트
Priority to KR2020050036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71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71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화분과 외부화분으로 구성된 이중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pot composed of an inner pot and an outer pot.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은: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구조를 가진 몸체(12), 상기 몸체(12)의 상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플랜지(11),수분을 전달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위로 이격되어 있는 배수공(13)을 포함하는 내부화분(10); 및 상기 내부화분(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몸체(31), 상기 몸체(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내부화분(10)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고 물 공급 입구로 사용되는 급수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화분(10)이 상기 외부화분(30)과 결합할 경우, 상기 내부화분(10)의 상기 플랜지(11)이 상기 외부화분(30)의 몸체(31)에 지지되어 상기 내부화분(10)이 상기 외부화분(30)에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화분(30)에 담수된 물을 상기 내부화분(10)의 바닥면의 배수공(13)을 통하여 내부화분(10)내의 식물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화분 내의 식물에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속의 수분함량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이 양호하게 생육될 수 있도록 하고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Doubl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body is wide and the lower part is a narrow structure 12, the flange 11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o transfer or discharge moisture An internal pot (10) formed in and including a drain hole (13) spaced abo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And a body 31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ternal pollen 10, and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31 to allow a user to easily grip the internal pollen 10 and used as a water supply inlet. 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32, when the inner pot 10 is coupled to the outer pot 30, the flange 11 of the inner pot 10 is the body 31 of the outer pot 30 Supported by the inner pot 10 to be seated on the outer pot 30, and the fresh water in the outer pot 30 is internally through the drain hole 13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10. It is configured to supply to the plants in the pot 10, by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the plants in the pot to mainta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ppropriately so that the plants can be grown well and to facilitate the pot management.

Description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water inlet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도 1은 종래 화분의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ventional potted plant.

도 2a는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내부화분의 정면도.Figure 2a is a front view of the internal pot of the dual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은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내부화분의 단면도.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nal pot of the double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내부화분의 평면도.Figure 2c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pot of the double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외부화분의 정면도.Figure 3a is a front view of the external pot of the dual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은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외부화분의 단면도.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ternal pot of the dual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은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외부화분의 평면도.Figure 3c is a plan view of the external pot of the dual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tate of the doubl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의 이용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ual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내부화분 11: 플랜지10: internal pot 11: flange

12: 내부화분 몸체 13: 배수공12: internal pot body 13: drain hole

14: 돌출부 30: 외부화분14: protrusion 30: external pot

31: 외부화분 몸체 32: 급수부31: external potted body 32: water supply

본 고안은 이중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화분과 외부화분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화분 내의 식물에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속의 수분함량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이 양호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이중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potted plant, and in particular, it has a dual structure of an inner potted plant and an outer potted plant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plant in the pot to maintai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oil so that the plant can grow satisfactorily and manage the potted plant. It relates to a double pot to facilitate the.

식물이 인간정서의 발달과 정신 건강 및 환경미화에 매우 유익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현재 이러한 이점을 잘 활용하기 위해 식물을 화분에 심어 가정이나 공공장소 등에 배치하여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화분은 일반 가정, 사무실, 학교 등 공공장소 등에 배치되어 감상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또는 도기 등의 재질로 되어 아랫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화분 본체의 내부에 부엽토 또는 마사토 등의 흙을 채우고 나무와 꽃 등을 심도록 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화분의 배수공으로 흙이 떨어지거나 화분에 물을 공급한 후에 배출되는 물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 화분 받침대가 추가로 사용된다. It is well known that plants are very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emotions, mental health and environmental beautification. Currently, to take advantage of these benefits, plants are planted in pots and placed in homes or public places for viewing. In general, the conventional flowerpot is placed in public places, such as homes, offices, schools, etc., and can be viewed, and is made of plastic, ceramic, metal, or pottery, etc. It is mainly used to fill the back soil and plant trees and flowers. In addition, the potted plant pedestal is further used to receive the water discharged after the soil falls into the drain hole of the pot or water supply to the po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공급된 수분(물)이 화분 내부에 채워진 흙을 지나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분이 공급된 후 짧은 시간 안에 외부로 유출되는 등 배수력은 좋은 반면 수분을 일정기간 함유하는 보수력은 좋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tted plant, as shown in Figure 1, is formed so that the drain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otted water (water) supplied from the top through the soil filled in the potted plant to flow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It was a reality that the drainage power is good, such as draining to the outside within a short time after being supplied, but the water holding capacity containing water for a certain period is not good.

이에 따라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화분 내부에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며, 조금이라도 관리를 소홀하게 하여 정기적으로 수분이 공급되지 않으면 수분의 부족 및 과공급에 의해 식물의 생육이 더디어 지거나 심하면 식물이 고사하게 되고, 과습에 의해 뿌리가 썩어서 죽게 되는 등 관리상 여러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공급된 물의 일부가 짧은 시간 내에 화분 외부로 배수되어 그대로 버려지게 되므로 인해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Accordingly, the manager or the user should supply water regularly to keep the water constant in the pot, and if the water is not supplied regularly due to neglect of any management, the growth of the plant may be caused by lack of water and oversupply. If the plant is slow or severe, the plant will die, and the roots will rot and die due to excessive humidity.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upplied 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pot within a short time because it is wasted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 water.

특히, 많은 수의 화분을 관리하여야 하는 대형 빌딩 또는 공공 기관의 경우 자주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 부재로 인하여 많은 식물이 고사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인원을 보유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적으로 화분을 판매하거나 공급하는 화원 또는 식물 재배 농장의 경우, 화분 내의 식물이 항상 싱싱하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상품으로서 가치를 보장받기 때문에, 화분 내의 식물이 최적의 생장 조건이 되도록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당히 많은 수고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In particular, large buildings or public institutions that need to manage a large number of pollen need to supply water frequently, so many plants can die due to lack of manage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lower garden or a plant growing farm that specializes in selling or supplying pots, the plants in the pots need to be kept fresh and healthy at all times to ensure their value as a product, so that the plants in the pots need to be hydrated to obtain optimal growth conditions. There are inconveniences that require a great deal of effort and effort to supply.

이러한 종래의 화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1984-000931호 "이중화분"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화분은 화분의 외주면을 화분과 일체로 된 급수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급수통과 화분을 나누는 격벽 중간부의 주변에 흡수성이 강한 재질로 된 심지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심지로 물을 흡수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심지가 항상 물에 젖어 있기 때문에 부식이 되기 쉽고, 볼트와 너트 또한 장시간 물 에 잠겨져 있기 때문에 부식이 되어 심지를 교체할 때 볼트와 너트까지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며 심지에 의해 물을 공급하므로 물의 공급량이 현저하게 부족하여 식물이 고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84-000931 "Double pot"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ollen. The flower pot of the prior art form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 pot into a water supply unit integral with the flower pot, and absorbs water into the wick by combining a wick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 absorbency around the middle of the partition wall dividing the water container and the pot with a bolt and a nut. It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plants. However, such a conventional flower pot is easily corroded because the wick is always wet with water, and since the bolt and nut are also immersed in water for a long time, there is a need to replace the bolt and nut when the wick is replaced. Sin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water is supplied by the wic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water is remarkably insufficient and the plant die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분 내의 식물에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속의 수분함량을 적정선으로 항상 유지하여 식물의 자연적인 생리현상에 의해 적절히 생육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the plant in the pot to maintai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oil at a proper line always by the natural physiological phenomenon of the pla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t that can be properly grown.

또한, 화분의 상태에 따라 또는 주위 환경에 따라 주기적으로 일정한 양의 물을 자주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facilitate the pot management by reducing the hassle of frequently inject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olle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또한, 화분 내의 식물에 대하여 적절한 상태의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식물의 수면을 연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long the sleep of the plant by maintaining the moisture in the appropriate state for the plant in the po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이중화분에서는, 화분을 외부화분과 내부화분으로 구성하고 내부화분의 상부 외주면이 외부화분의 상부 외주면과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 외부화분에 물을 적절하게 채운 후 내부화분을 외부화분에 끼워 넣음으로써 내부화분이 외부화분에 안착되고, 외부화분과 내부화분 사이에 물 저장공간을 형성하여 내부화분 바닥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적절한 수분이 식물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du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len is composed of an outer pot and an inner pot,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o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face of the outer pot, so that the water in the outer pot After filling the inner pot with the inner pot, the inner pot is settled in the outer pot, and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pot and the inner pot so that the proper moistur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lant through the drain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pot. To be su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tail as follows.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의 내부화분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를 도시하며, 도 2b은 상기 내부화분(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c는 상기 내부화분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Figure 2a shows a front view of the internal pot of the doubl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pot (10). And FIG. 2C is a top view which shows when the said internal pot is seen from the top.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화분의 몸체(12)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몸체(12)의 상부의 원주면에는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어, 이하에 설명되는 외부화분과 결합시 내부화분이 외부화분에 지지가 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2 of the internal pot has a wide top and a narrow bottom. In addition, a flange 11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 so that when combined with the external potion described below, the inner pot is supported by the outer pot.

상기 플랜지(11)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14)는 사용자가 상기 내부화분(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화분(10)이 외부화분과 결합할 때, 더욱 안정되게 결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4)는 플랜지(11)에 하나만 형성하였으나, 사용조건에 따라 여러 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lange 1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4, which not only facilitates the user's grip of the inner pot 10, but also when the inner pot 10 is combined with the outer pot. It serves to bond more stably.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nly one protrusion 14 is formed on the flange 11, but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 may be formed depending on the use conditions.

상기 플랜지(11)의 주기능은 내부화분이 외부화분의 적정위치에 지지가 되도록 하는 것과 사용자가 내부화분(1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11)는 몸체의 전체 외주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몸체 외주면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에 상기 플랜지(11)가 형성되는 대신, 몸체(12)로부터 직접 다수개의 돌출부(14)가 서로 마주보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main function of the flange 11 is to allow the inner pot to be supported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outer pot and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inner pot 10 by the user, the flange 11 is applied to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t may not be formed over, but may be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In addition, instead of the flange 11 formed on the body 12,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directly from the body 12.

또한, 본 고안의 내부화분(10)의 바닥에는 배수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수분이 전달되거나 배출된다.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화 분(10)의 바닥 부분 중 상기 배수공(13)이 형성된 부분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13)은 본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형성,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internal po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drain hole 13, through which the water is delivered or discharg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ortion in which the drain hole 13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internal powder 1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ain hole 13 is shown circular in this embodiment, but may have another formation, for example, oval or square.

상기 내부화분(10)은 도기, 플라스틱, 세라믹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표면은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식물 또는 주위환경 또는 개인적인 취향에 맞혀 여러 가지 색상을 가질 수 있다. The internal pot 10 may be made of pottery, plastic, ceramics, and the like, and the surface may be embossed. It can also be of various colors to suit the plant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personal taste.

도 3a는 본 고안의 이중화분의 외부화분의 정면도이고, 도 3b은 상기 외부화분의 단면도이며, 도 3c은 상기 외부화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Figure 3a is a front view of the external pot of the dual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ternal pot, Figure 3c shows a plan view of the external po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부화분(30)의 몸체(31)는 상기 내부화분(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외부화분(30)은 내부화분(10)과 달리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화분(30)의 몸체(31)의 상부에는 급수부(32)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body 31 of the external polle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ternal pollen 10. The outer po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surface closed so that water can be stored unlike the inner pot 10. In addition, a water supply part 3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31 of the external pot 30.

상기 외부화분(30)의 급수부(32)는 내부화분(10)이 외부화분에 끼워질 때, 상기 내부화분(10)의 돌출부(14)와 함께 상기 내부화분(1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급수부(32)는 외부화분(3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이중화분에서는 상기 급수부(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화분(30)에 적정량 이하로 감소할 경우, 내부화분(10)을 들어올리지 않고도 외부화분(30)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부(32)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급수부(32)는 정사각형, 타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The water supply part 32 of the external pollen 30 allows the user to easily manipulate the internal pollen 10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14 of the internal pollen 10 when the internal pot 10 is fitted to the external pot. It is responsible for holding.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art 32 serves to supply water to the external pot 30. In the dual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supply part 32 is formed, when the external pot 30 is reduced to an appropriate amount or less,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outer pot 30 without lifting the inner pot 10. Can be. Although the shape of the water supply part 3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as a rectangle, the water supply part 32 can be manufactured in a square, oval, semi-circular or polygonal.

상기 외부화분(30)의 몸체(31) 전체는 투명 물질로 형성하여 내부화면의 색감을 그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화분(30)의 수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상기 외부화분(30)의 몸체는 엠보싱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화분(10)과 어울리는 색상으로 착색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화분(30)은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SAN)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표면은 엠보싱 처리될 수 있다. The entire body 31 of the outer pot 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not only enjoy the color of the inner screen, but also to grasp the moisture state of the outer pot 30. In addition, the body of the external pot 30 may be embossed. And it may be colored in a color matching the inner pot (10). The external pot 30 may be made of plastic, polypropylene, 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SAN), or the like, and the surface may be emboss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화분(10)이 외부화분(30)과 결합할 경우, 내부화분(10)의 플랜지(11)가 외부화분(30)의 몸체(31)에 지지되어 상기 내부화분(10)이 상기 외부화분(30)에 안착된다. 내부화분(10)의 바닥면과 외부화분(30)의 바닥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소정량의 물을 담수 할 수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oubl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inner pot 10 is combined with the outer pot 30, the flange 11 of the inner pot 10 ) Is supported by the body 31 of the outer pot 30 so that the inner pot 10 is seated on the outer pot 3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pot 30 to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의 이용 상태를 도시한다. 외부화분(30)에 물을 채워넣고 내부화분(10)을 외부화분(30)에 안착시키면, 배수공(13)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화분(10)의 바닥부분이 물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내부화분(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13)을 통해 흙 등이 채워진 내부화분(10) 내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이 빨려 올라가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 화분이 위에서 아래로만 수분이 공급되는 반면, 본 고안에 의한 이중화분은 아래에서 위로 수분이 공급되는 자연적인 방식과 일치한다.5 shows a state of use of the dual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pot 30 is filled with water and the inner pot 10 is seated on the outer pot 30,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pot 10 in which the drain hole 13 is formed is submerged in water. Therefore, the water is sucked up by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internal pollen 10 filled with soil through the drain hole 1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pollen 10. This structure is consistent with the natural way in which conventional potted plants are only moisturized from top to bottom, while the double pot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moisturized from bottom to top.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화분을 위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 명한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describes one embodiment for the dual p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invention.

본 고안은 화분 내의 식물에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흙속의 수분함량을 적정선으로 항상 유지하여 식물의 자연적인 생리현상에 의해 적절히 생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분의 상태에 따라 또는 주위 환경에 따라 자주 주기적으로 일정한 양의 물을 자주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화분 관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화분 내의 식물에 대하여 적절한 상태의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식물의 수면을 연장시킨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supplies water to plants in pots so that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oil is alway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so that they can be properly grown by the natural physiological phenomena of the plan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ollen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te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hassle of frequently inject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frequently to facilitate the pot management. 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moisture in the proper state for the plant in the pot to prolong the sleep of the plant.

Claims (2)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구조를 가진 몸체(12); 상기 몸체(12)의 상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플랜지(11); 사용자의 사용을 용이하도록 상기 플랜지(11)에 형성된 돌출부(14); 및 수분을 전달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의 중앙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13)을 포함하는 내부화분.A body 12 having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 structure lower portion; A flange 11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 Protrusions 14 formed on the flange 11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user; And a drain hole (13) formed over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o transfer or discharge the moisture.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구조를 가진 몸체(12), 상기 몸체(12)의 상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플랜지(11), 수분을 전달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위로 이격되어 있는 배수공(13)을 포함하는 내부화분(10);A body 12 having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 structure lower portion, a flange 11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o transfer or discharge moisture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Internal pot 10 including a drain hole 13 is spaced apart upward; 상기 내부화분(1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몸체(31), 상기 몸체(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내부화분(10)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하고 물공급 입구로 사용되는 급수부(32)를 포함하는 외부화분(10)을 포함하며,Body 31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internal pollen 10, formed on top of the body 31 to allow the user to easily grip the internal pollen 10 and used as a water supply inlet It includes an external flower pot 10 including a portion 32, 상기 내부화분(10)이 상기 외부화분(30)과 결합할 경우, 상기 내부화분(10)의 상기 플랜지(11)가 상기 외부화분(30)의 몸체(31)에 지지되어 상기 내부화분(10)이 상기 외부화분(30)에 안착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화분(30)에 담수된 물을 상기 내부화분(10)의 바닥면의 배수공(13)을 통하여 내부화분(10)내의 식물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이중화분. When the inner pot 10 is combined with the outer pot 30, the flange 11 of the inner pot 10 is supported by the body 31 of the outer pot 30 so that the inner pot 10 ) To be seated on the external pot 30, and to supply the fresh water to the plant in the internal pot 10 through the drain hole 13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nal pot 10 Configured double pots.
KR2020050036639U 2005-12-28 2005-12-28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KR20041271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39U KR200412714Y1 (en) 2005-12-28 2005-12-28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639U KR200412714Y1 (en) 2005-12-28 2005-12-28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714Y1 true KR200412714Y1 (en) 2006-03-31

Family

ID=4176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639U KR200412714Y1 (en) 2005-12-28 2005-12-28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714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719A (en) 2019-03-29 2020-10-07 어스그린코리아(주) Fabricated dual flower pot
KR200493264Y1 (en) * 2020-01-23 2021-03-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웰그로 Pot having function of water supply, and method of fabricating of the same
WO2021149852A1 (en) * 2020-01-23 2021-07-29 (주) 웰그로 Pot having water feeding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000214A (en) 2020-06-25 2022-01-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 double partition flower pot
KR102538925B1 (en) * 2022-08-08 2023-05-31 정주하 Bottom-up water supply plan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719A (en) 2019-03-29 2020-10-07 어스그린코리아(주) Fabricated dual flower pot
KR102239095B1 (en) 2019-03-29 2021-04-12 어스그린코리아(주) Fabricated dual flower pot
KR200493264Y1 (en) * 2020-01-23 2021-03-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웰그로 Pot having function of water supply, and method of fabricating of the same
WO2021149852A1 (en) * 2020-01-23 2021-07-29 (주) 웰그로 Pot having water feeding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20000214A (en) 2020-06-25 2022-01-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 double partition flower pot
KR102538925B1 (en) * 2022-08-08 2023-05-31 정주하 Bottom-up water supply pla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54B2 (en) Moulded body for improving cultivation conditions for plants
US6691460B1 (en) Self-watering and fertilizing pot for plants
US6918207B2 (en) Moisturized, soilless, root-culture planter
US20150040474A1 (en) Plant pot with elevated ventilation hole
KR200412714Y1 (en) A double flower pot with protrusion and hole
KR100933307B1 (en) Artificial stone parts and artificial stone parts with water bag function
KR200278171Y1 (en) Dual sturcture flower pot
CN209676927U (en) A kind of automatic watering flower pot and a kind of Water storing flower-pot with water level instruction
CN202617777U (en) Indoor flowerpot
KR200416497Y1 (en) A double flowerpot with indicating plate
KR20080002196U (en) Flowerpot structure with water reservoir
JP2002058349A (en) Inner container for flowerpot
CN2720800Y (en) Double layer alimentary flower-pot
CN214902389U (en) Floating flowerpot
KR20220000214A (en) A double partition flower pot
KR100698609B1 (en) Wick water supply type flowerpot
CN2601501Y (en) Percolating water flowerpot with liquid dish
CN2708637Y (en) Automatic water supply flowerpot
CN207054203U (en) Water storage type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flowerpot
CN2501298Y (en) Moisture-proof water-proof flower pot
JP2003009669A (en) Flower bowl
KR200348057Y1 (en) Flowerpot being used without under water-vessel
JPS6332618Y2 (en)
KR20040075677A (en) The vase growing orchid and the method thereof
KR200266511Y1 (en) Bean sprouts cultiv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