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975B1 -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975B1
KR102267975B1 KR1020200181269A KR20200181269A KR102267975B1 KR 102267975 B1 KR102267975 B1 KR 102267975B1 KR 1020200181269 A KR1020200181269 A KR 1020200181269A KR 20200181269 A KR20200181269 A KR 20200181269A KR 102267975 B1 KR102267975 B1 KR 102267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r
soil
water
root
irr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대영
김종대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텍 filed Critical (주)이에스텍
Priority to KR102020018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9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nd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Especially, the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xternal container which has one open side and at least one draining hole; and an internal contain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and has a plurality of openings on a sidewall to make air pruning propagation of plants poss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cy of plant management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nd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뿌리의 공기 단근(斷根, Air Pruning) 효과를 촉진하여 세근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식물 뿌리의 활착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nd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moting the air pruning effect of roots to increase the density of fine roots, It relates to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that allows for increased power and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도심의 공해 해소와 경관을 위한 도심 녹지화 정책의 일환으로서 공원, 도로 등의 곳곳에 조경수가 식재되고 있으며, 개인 소유의 주택이나 건물 등에도 그 미관을 위해 다양한 조경수가 식재되고 있다.As part of the urban greening policy for urban pollution relief and landscape, landscape trees are planted everywhere in parks and roads, and various landscape trees are also planted for aesthetics in privately owned houses and buildings.

이러한 조경수의 식재를 위해 일반적으로 플랜터(planter)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플랜터는 수분, 습도유지, 장식미의 부여 등 다양한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A planter is generally used for planting such a landscape tree, and the planter has a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various purposes, such as moisture, humidity maintenance, and decoration.

한편, 조경수로 사용되는 수목은 미리 이식하거나 완전한 단근 작업 및 뿌리돌림으로 세근이 발달한 재배품이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rees used as landscaping trees should be transplanted in advance or cultivated products with fine roots developed through complete short root work and root rotation.

그러나 현장에서는 세근이 발달된 조경수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식재 후 고사율이 높아진다.However, landscaping trees with well-developed fine roots are rarely used in the field, which increases the mortality rate after planting.

뿌리돌림 및 단근 작업은 이식률이 좋지 못한 수목의 굵은 뿌리를 끊어 놓아 잔뿌리(세근)가 많이 발생한 후 이식하여 조경 후 활착력이 좋아지도록 하는 준비작업으로써, 뿌리의 활착력을 증대시켜 조경수의 고사율을 현저히 낮추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작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Root rotation and short root work is a preparatory work to cut the thick roots of trees with poor transplantation rate to increase the viability after landscaping by transplanting after a large number of fine roots (fine roots) have been generated. Although it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rate, it costs a lot to perform the work.

이에, 뿌리돌림이나 단근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조경수를 식재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뿌리돌림이나 단근 작업 없이 식재된 조경수는 뿌리가 계속 자라게 되어 압축된 형태로 뿌리가 플랜터에 꽉 차게 된다.Accordingly, it is often the case that landscape trees are planted without root rotation or short root operation. In landscape trees planted without root rotation or short root operation, the roots continue to grow and the roots fill the planter in a compressed form.

또한, 이러한 뿌리는 나선형으로 휘감기게 되거나 꼬이게 되어 질식하게 될 뿐 아니라 정상적인 뿌리 구조가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며 결국 수분이나 영양분을 빨아들이는 것을 방해하고 결국은 죽게 된다.In addition, these roots become spirally wound or twisted, causing suffoca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normal root structure from being created and eventually absorbing moisture or nutrients and eventually die.

따라서,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여 뿌리의 공기 단근 재배(Air Pruning Propagation)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드는 단근 작업 및 뿌리 돌림을 수행하지 않아도 단근 효과 및 세근 발달을 촉진시키고 뿌리의 활착력을 증대시켜 조경수의 고사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플랜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roo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air and air pruning propagation of the root is made, thereby promoting the short root effect and fine root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 vigor of the root without performing costly short root work and root rotation. The development of a planter that can reduce the mortality rate of landscape tre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rees is required.

한편, 종래의 플랜터는 저장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부폐하기 쉬은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lant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asy to spoil because the circulation of the stored water is not made smoothly.

통상적으로, 화초라든지 분재를 포함하는 특정의 식물이 식재된 플랜터에는 일정한 시간마다 급수용수를 공급해주어야만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게 되는 데, 대개의 경우 플랜터에 급수용수를 공급하는 일은 수동으로 실행된다.In general, a planter in which certain plants including flowers and bonsai are planted must be supplied with water at regular intervals for the plants to grow normally, but in most cases, supplying water to the planter is performed manually. do.

하지만, 플랜터에 급수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의 특성을 고려해야만 되는 바, 정해진 주기에 급수용수를 공급하지 않게 되면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f the water supply is not supplied at a fixed period,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cannot grow normally.

따라서,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의 특성을 고려하고 급수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급수시간에 일정한 양의 급수용수가 공급되도록 설계된 자동급수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designed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derive the watering time, and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ing water at the derived watering time.

[특허 문헌] KR 10-2017-0053216호 (공개일자 2017년 05월 16일)[Patent Document] KR 10-2017-0053216 (published on May 16, 20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측벽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구비하여 상기 통기공과 연통되는 이격공간으로 식물의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뿌리의 단근 효과에 따른 세근 발달로 식물 뿌리의 활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ntainer and an inner container, and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s on the sidewall to be a space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vents, so that the root of the plant is in contact with the air.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nd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that can increase the vigor of plant roots by developing fine roots according to the short root effect of the roo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는 일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외부용기에 삽입되고, 측벽에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어 식물의 공기 단근 재배(Air Pruning Propagation)를 가능하게 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ant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 surface and having at least one drain hole formed thereon; and an inner container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sidewall to enable air pruning propagation of pla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용기는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내측바디; 및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body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 and

상기 내측바디와 결합되고, 다수개의 저면통기공 및 결합공이 구비된 내부밑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바디는 길이 방향의 절첩선이 다수개로 내재되어 상이한 규격 및 모양으로 절첩되는 제1면; 및 절첩된 상기 제1면이 삽입 장착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bottom plate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ttom vent holes and coupling holes; the inner body includes a first surface that has a plurality of fold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lded in different sizes and shapes;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the folded first surface is inserted and mou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면은 다수개의 측면통기공; 및 내주면에 다수개로 돌출 형성된 길이 방향의 뿌리이동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side vent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a root movement barri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면은 상기 제2면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 장착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2면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구비되어, 절첩된 상기 제2면의 일측단 및 타측단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to coup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olded second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측바디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측면통기공과 연통되는 일정 부피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d space of a predetermined volume communicating with the side vent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nd the root of the plant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ai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용기는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외측바디; 및상기 외측바디와 결합되는 외부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and lower open outer body; and an outer bottom plate coupled to the outer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밑판은 배수홀;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고, 배수 및 공기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배수유도홈; 상기 배수홀 하측에 부착되어, 배수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탈착식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관수탱크로 이동시키는 배수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in hole; a plurality of drainage guide grooves connected to the drainage holes and for drainage and air flow; a removable filter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to filter the drained water; and a drain return pipe disposed under the filter member to move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to the irrigation tan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를 포함한 스마트 프랜터 관리 시스템은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상기 플랜터와 연결되며, 상기 플랜터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공급라인; 상기 플랜터와 연결되며, 토양을 통과한 후 배수회수관에 집수된 물을 관수탱크로 환수하는 환수공급라인; 상기 토양의 미함량 영양분을 상기 관수공급라인으로 투입하는 양액공급라인; 상기 플랜터에 매설되어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플랜터의 관수, 환수 및 양액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n irrigation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lan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planter; a return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lanter and return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age return pipe to the irrigation tank after passing through the soil; a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for introducing non-nutrient content of the soil into the irrigation supply line; a sensor unit buried in the planter to measure the state of the soil;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irrigation, water exchange,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of the planter.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상기 토양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 및 상기 토양의 영양 상태를 측정하는 토질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ist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nd a soil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nutrient state of the soi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내부 용기에 측면통기공 및 저면통기공을 구비함으로써, 식물 뿌리의 공기 단근 재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단근 작업 및 뿌리 돌림을 수행하지 않아도 단근 효과 및 세근 발달을 촉진시켜 뿌리의 활착력이 증대되어 식물의 고사율이 현저히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side vents and bottom vent holes in the inner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allow air short root cultivation of plant roots, Even without performing work and root rotation, the short root effect and fine root development are promoted, thereby increasing the viability of the root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mortality rate of the plant.

또한, 내측바디의 제1면에 절첩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이 상기 절첩선에 의해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조립됨으로써, 상기 제1면의 절곡된 부분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일정 공간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측면통기공을 통해 상기 뿌리가 공기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식물의 공기 단근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ssembling a shape in which a fold line is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he first surfac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fold line, a constant between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By forming a spaced space of the space, the root is configured to be adjacent to the air through the side vents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o that the air short root effect of the plant can be exhibited.

또한, 플랜터 내부 토양의 수분량 및 영양 성분을 측정하는 센싱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관수공급라인, 환수공급라인 및 양액공급라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플랜터의 관수, 환수 및 양액공급이 자동으로 구현되어 식물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ontroller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that measures the moisture content and nutrient component of the soil inside the planter and controlling the irrigation supply line, the return water supply line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the planter irrigation, water exchange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are automatically implemented,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lant management.

아울러, 플랜터의 설치에 따른 도심의 공해 해소와 경관을 위한 도심 녹지화가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lieving pollution in the city center by installing a planter and greening the city center for landsc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바디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바디 및 내부밑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의 외부밑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밑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밑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ner body and the inner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bottom view of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bottom plate of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200) 및 외부용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er 10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container 200 and an outer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1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바디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바디 및 내부밑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저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n in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inner bottom plate, Figure 4 (a) is a bottom view of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용기(200)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200)에 삽입되고, 측벽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식물의 공기 단근 재배(Air Pruning Propagation)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inner contai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200 as shown in FIGS. 2 to 4 ( b ),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 so that air pruning of plants (Air Pruning) is provided. Propagation) is possible.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용기(2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용기로써, 외부용기(100)에 삽입되고 내부에 토양 및 토양에 식재된 식물을 포함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inner container 200 is a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planter 10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100 and includes soil and plants planted in the soil therein. will do

또한, 상기 내부용기(2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 및 규격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측벽에 다수개의 통기공이 구비되어 산소 공급 및 공기 단근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assembled in a shape and size desired by a user,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 so that oxygen supply and air short root effect can appear. do.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200)는 내측바디(210) 및 내부밑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ner container 200 may be composed of an inner body 210 and an inner bottom plate 220 .

상기 내측바디(210)는 상기 내부용기(200)의 측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The inner body 210 constitutes the side wall of the inner container 20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바디(210)는 조립에 의해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일정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하방은 상기 내부밑판(220)과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body 210 may have a hous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ed by assembly,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inner bottom plate 220 .

또한, 상기 내측바디(210)는 후술할 외측바디(110)에 소정으로 이격된 상태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body 210 may be inserted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body 11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내측바디(210)는 제1면(211) 및 제2면(212)을 포함하는 이중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inner body 210 may be configured as a double wall including a first surface 211 and a second surface 212 .

상기 제1면(211)은 길이 방향의 절첩선(211a)이 다수개로 내재되어 상이한 규격 및 모양으로 절첩되어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211 may have a plurality of fold lines 21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urface 211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folded in different sizes and shapes.

구체적으로, 상기 제1면(211)은 이중벽으로 구성된 상기 내측바디(210)의 내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하단을 가로지르는 절첩선(211a)을 포함하고, 상기 절첩선(211a)의 절첩에 위해 요구되는 규격 및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211 constitutes the inner wall of the inner body 210 composed of a double wall, and includes fold lines 211a crossing the upper and lower end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old lines ( 211a) can be manufactured in the size and shape required for folding.

또한, 상기 제1면(211)은 절첩되어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2면(2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211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rface 212 in a folded state.

따라서, 상기 제1면(2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는 방향이 이웃하는 절첩선(211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첩됨으로써,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어지는 단면을 갖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urface 211 may have a cross-section leading to a zigzag shape by being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djacent folding line 211a as illustrated.

또한, 이러한 상기 제1면(211)의 형상은 상기 제2면(212)과의 접촉부분에서 상기 제1면(211)과 상기 제2면(212) 사이에 측면통기공(211b)과 연통되는 일정 부피의 이격 공간(213)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토양의 통풍 및 공기 단근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irst surface 211 communicates with the side vent hole 211b between the first surface 211 and the second surface 212 at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second surface 212 .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spaced space 213 of a certain volume to be formed can be formed, so that ventilation and air short root of the soil are possible.

따라서, 상기 제1면(211)은 통풍과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first surface 211 is configured so that ventilation and oxygen supply can be made smoothly.

또한, 상기 제1면(211)은 측면통기공(211b) 및 뿌리이동방지턱(211c)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211 may include a side vent hole 211b and a root movement barrier 211c.

상기 측면통기공(211b)은 상기 제1면(211)에 고르게 분포하는 다수개의 통공일 수 있다.The side ventilation holes 211b may be a plurality of holes evenly distributed on the first surface 211 .

따라서, 상기 측면통기공(211b)은 상기 플랜터(10)의 토양에 산소를 공급하고, 뿌리의 공기 단근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여 세근이 발달시키며, 이에 따라 뿌리의 활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side vent holes 211b supply oxygen to the soil of the planter 10 and cause the air short root effect of the roots to appear, so that the fine roots develop, thereby increasing the root's vigor. .

또한, 상기 측면통기공(211b)은 후술할 저면통기공(221)과 함께 뿌리 뭉침 및 뿌리 과다 성장으로 인한 배수 불량을 차단하는 효과를 준다.In addition, the side vent hole 211b has an effect of blocking poor drainage due to root aggregation and excessive root growth together with a bottom vent hole 221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뿌리이동방지턱(211c)은 상기 제1면(21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뿌리가 나선형으로 휘감기는 비정상적인 성장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The root movement barrier 211c has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211, and is provided to prevent abnormal growth in which the root is spirally wound.

또한, 상기 뿌리이동방지턱(211c)은 상기 제1면(211)의 내주면에 상기 제1면(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어지는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ot movement barrier 211c is configur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surface 211, and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상기 제2면(212)은 절첩된 상기 제1면(211)이 삽입 장착되는 상기 내측바디(210)의 외벽일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212 may be an outer wall of the inner body 210 on which the folded first surface 211 is inserted and mounted.

또한, 상기 제2면(212)은 방수 및 방풍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212 is configured to have a waterproof and windproof function.

또한, 상기 제2면(212)은 결합돌기(212a) 및 결합부재(212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212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212a and a coupling member 212b.

상기 결합돌기(212a)는 상기 제2면(21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후술할 내부밑판(220)의 결합공(222)에 겹합되어 상기 내부밑판(220)과 상기 내측바디(2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212a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212, and is overlapped with the coupling hole 222 of the inner bottom plate 22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inner bottom plate 220 and the inner body 21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bine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돌기(212a)는 상기 제2면(212)의 하단 모서리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형상으로, 상기 내측바디(210)와 상기 내부밑판(22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부밑판(220)에 구비된 결합공(2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rotrusion 212a has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surface 212 , and the inner bottom plate 220 for coupling the inner body 210 and the inner bottom plate 220 . )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22 provided in.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212a)는 상기 결합공(222)과 동일한 위치 및 갯수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s 212a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nd number as the coupling holes 222 .

상기 결합부재(212b)는 상기 제2면(212)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2면(212)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The coupling member 212b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212 and is configured to coup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212 .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212b)는 탄성력을 갖는 상기 내측바디(210)의 조립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접촉하는 상기 제2면(212)의 일측단과 타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단과 타측단을 결합시킨다.Specifically, the coupling member 212b is configured to fix the assembled state of the inner body 210 having an elastic force, and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212 in contact with the assembled state. to couple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또한, 상기 결합부재(21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면(212)의 일측단과 타측단 각각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고리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212b may have a pair of annular shapes protruding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212, respectively, as shown.

또한, 상기 결합부재(212b)는 일측단에 구비된 고리의 이격공간에 타단의 고리를 배치하여 상기 고리의 통공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길이 방향의 걸이부재(212c)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부재(212b)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212b) is arranged so that the through hole of the ring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by disposing the ring of the other end in the spaced space of the ring provided at one end, and in the through hole in this arrangement state It is configured to couple the coupling member (212b) by using a hook member (212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fitted.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212b)는 상기 결합부재(212b)를 고정시키는 걸이부재(212c)를 포함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upling member 212b may preferably include a hanging member 212c for fixing the coupling member 212b.

또한, 상기 결합부재(212b)는 상기 일측단 및 타측단을 결합시킬 수 있는 다른 공지의 결합수단을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ther known coupling means capable of coupl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coupling member 212b may be applied.

상기 내부밑판(220)은 상기 내측바디(210)와 결합되고, 다수개의 저면통기공(221)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The inner bottom plate 220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210 and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bottom vent holes 221 .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밑판(220)은 상기 내부용기(200)의 저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내측바디(210)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다수개의 저면통기공(221) 및 결합공(22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bottom plate 220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body 2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ottom vent holes 221 and coupling holes 222. may include

상기 저면통기공(221)은 상기 내부용기(200)의 바닥면의 통풍 및 상기 플랜터(10)에 관수된 물이 토양층을 통과하고 난 후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ottom vent hole 221 is configured to allow the ventil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and the water irrigated with the planter 10 to be drained after passing through the soil layer.

따라서, 상기 저면통기공(221)은 상기 내부밑판(220)의 중심부측에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ttom vent hole 221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t the central side of the inner bottom plate 220 .

상기 결합공(222)은 상기 내부밑판(220)의 외측부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212a)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the coupling holes 222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ottom plate 2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212a are inserted thereinto.

따라서, 상기 결합공(222)은 상기 결합돌기(212a)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상기 내부밑판(220)과 상기 내측바디(2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coupling hole 222 is configured to couple the inner bottom plate 220 and the inner body 210 by inserting and fixing the coupling protrusion 212a.

또한, 상기 결합공(222)은 상기 결합돌기(212a)와 동일한 위치 및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222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position and number as the coupling protrusion 212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a)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용기의 외부밑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밑판의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bottom plate of the out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b) is an ex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plat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용기(100)는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수홀(12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outer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s opened and at least one drain hole 121 is formed as shown in FIGS. 5 to 6 (b).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용기(100)는 이중 구조를 갖는 상기 플랜터(1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내부용기(200)가 소정의 간격을 갖은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container 100 is disposed outside the planter 10 having a double structure, and the inner container 200 can be inserted therein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또한, 상기 외부용기(100)는 내부용기(200)와의 간격에 보온용 폰을 살포하여 결합되어, 식재된 나무의 보온 효과 뿐 아니라 외부용기(100)와 내부용기(200)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er container 100 is combined by spraying a thermal insulation phone in the interval with the inner container 200, so that the thermal effect of the planted tree as well as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inner container 200 can be integrated. do.

또한, 상기 외부용기(100)는 외측바디(110) 및 외부밑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ontainer 100 may include an outer body 110 and an outer bottom plate 120 .

상기 외측바디(110)는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함체일 수 있다.The outer body 110 may be an upper and lower open housing.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바디(110)는 상기 외부용기(100)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되고, 개방된 하방으로 상기 외부밑판(120)이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body 110 constitutes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and the outer bottom plate 120 can be coupled to the open lower side.

또한, 상기 외측바디(110)는 철제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프레임에 목재나 아크릴 판을 부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110 may be configured by attaching a wood or acrylic plate to a frame made of iron or reinforced plastic.

또한, 상기 외측바디(110)는 조경수의 식재로 사용되는 플랜터(10)의 특성상 외측면에 LED등을 이용한 광고 및 홍보용 화면 또는 영상을 구비하여 광고 및 홍보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110 may be configured to produce advertising and publicity effects by providing a screen or image for advertising and publicity using LED lights on the outer surfa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er 10 used for planting of landscape trees. .

또한, 상기 외측바디(110)는 일측에 벤치가 부착되어 사람들이 나무 아래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bench is attached to one side so that people can take a rest under a tree.

또한, 상기 외측바디(110)는 상단 개방부를 커버하는 테이블을 설치하여 상기 플랜터(10)가 벤치 및 테이블을 모두 포함하는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110 installs a table covering the upper opening portion so that the planter 10 can be used as a resting space including both a bench and a table.

또한, 상기 외측바디(110)는 원통형일 수 있으나, 사각형의 면을 다수개로 이음연결하는 다각기둥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body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a polygonal prism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rectangular surfaces are connected by joints.

상기 외측바디(110)가 목재로 구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되는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면 모서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외장 목재의 일정 위치에 홈을 가공하여 프레임 조립시 간편하게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outer body 110 i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de of wood, although not shown, a groove is machined at a certain position of the exterior wood fixed to the frame constituting the bottom edge so that it can be easily fitted and fixed when assembling the fram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work.

또한, 상기 플랜터(10)의 일면에 벤치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벤치 조립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ench assembly fixing hole that enables assembly of the bench on one surface of the planter 10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밑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부밑판(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바디(110)와 결합되어 상기 외부용기(10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bottom plat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outer body 110 as shown in FIG. 8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밑판(120)은 상기 외부용기(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용기(200)에서 배출되는 관수를 수용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bottom plate 120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and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charge irrig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inner container 200 .

따라서, 상기 외부밑판(120)은 배수홀(121), 배수유도홈(122), 필터부재(123), 배수회수관(124) 및 이동수단(125)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er bottom plate 120 may include a drain hole 121 , a drain guide groove 122 , a filter member 123 , a drain return pipe 124 , and a moving means 125 .

상기 배수홀(121)은 상기 외부밑판(12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통공 형상으로, 상기 플랜터(10)에 관수된 물이 토양층을 통과한 후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rain hole 121 is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plate 120,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water irrigated with the planter 10 can escape after passing through the soil layer.

또한, 상기 배수홀(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밑판(120)의 중심부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유도홈(122)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hole 121 may be preferably provid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outer bottom plate 120 as shown,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guide groove 122 .

또한, 상기 배수홀(121)은 배수된 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23)가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필터부재(123) 하단으로는 배수된 물을 수용하여 관수탱크(70)로 회수하는 배수회수관(124)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hole 121 has a filter member 123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drained water is attached to the bottom, and the filter member 123 receives the drained water to the bottom of the filter member 123 and collects it into the irrigation tank 70 A drain return pipe 124 may be disposed.

상기 배수유도홈(122)은 상기 배수홀(121)과 연결되고, 배수 및 공기 흐름을 위해 다수개로 구비되는 길이 방향의 홈일 수 있다.The drainage guide groove 122 may be a longitudinal groove connected to the drainage hole 121 and provided in plurality for drainage and air flow.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유도홈(122)은 상기 저면통기공(221)으로 배수된 물을 받아 상기 물이 상기 배수홀(121)로 이동하여 배수회수관(124)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이 상기 배수홀(121)로 연결되는 길이 방향의 홈으로 상기 배수홀(1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ain guide groove 12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bottom vent hole 221 and move the water to the drain hole 121 to the drain return pipe 124, once Th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2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groove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drain hole 121 .

따라서, 상기 배수유도홈(122)은 저면이 상기 배수홀(121)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물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drain guide groove 122 is configured to have a bottom surface inclined toward the drain hole 121 so that water and air flow smoothly.

상기 필터부재(123)는 상기 배수홀(121) 하측에 부착되어 배수되는 물을 필터링하도록 구비된다.The filter member 123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121 to filter the drained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재(123)는 상기 배수홀(121)로 유출되는 물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매쉬망 형상으로, 상기 필터부재(123)로 걸러진 이물질이 어느정도 쌓이면 쌓인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밑판(12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filter member 123 has a mesh shape provid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flowing out into the drain hole 121 and remove the filtered foreign substances, and when th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123 are accumulated to some extent,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bottom plate 120 so that it can be removed.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123)는 상기 플랜터(10)의 토양층을 통과하여 비교적 많은 양의 이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물을 필터링함으로써, 상기 물을 상기 배수회수관(124)을 통해 관수탱크(70)로 재 이송시켜 관수된 물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ilter member 123 passes through the soil layer of the planter 10 and filters the water contain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thereby transferring the water through the drainage return pipe 124 to the irrigation tank 70 ) so that the irrigated water can be reused.

이에, 상기 필터부재(123)는 상기 배수홀(121) 하단에 탈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재(123) 하단에 상기 배수회수관(124)이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lter member 12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21 , and the drain return pipe 124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member 123 .

상기 배수회수관(124)은 상기 배수홀(121) 하측에 배치되어, 필터링된 물을 상기 관수탱크(70)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drain return pipe 124 may be disposed below the drain hole 121 to move filtered water to the irrigation tank 70 .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회수관(124)은 플랜터(10)에 관수되어 토양층을 통과하고 필터링된 물을 수용한 후 관수탱크(70)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관수된 물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drainage return pipe 124 is configured to be irrigated by the planter 10, pass through the soil layer, receive filtered water, and then move to the irrigation tank 70, so that the irrigated water can be reused. do.

따라서, 상기 배수회수관(124)은 후술할 환수공급라인(30)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ain return pipe 124 may be connected to a return water supply line 30 to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수단(12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터(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moving means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planter 10 as shown in FIG. 7 .

따라서, 상기 이동수단(125)은 상기 외부밑판(120)의 저면 테두리에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프랜터(10)를 이동시키는 바퀴(125a) 및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바퀴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톱퍼(125b)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the moving means 125 are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outer bottom plate 120, and a wheel 125a for moving the planter 10 and a fixed stopper for fixing the wheel at the moved position ( 125b).

상기 고정스톱퍼(125b)는 상기 플랜터(10)의 위치가 확정되면 상기 바퀴(125a)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상기 플랜터(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osition of the planter 10 is determined, the fixed stopper 125b prevents the wheel 125a from moving to fix the planter 10 .

또한, 상기 고정스톱퍼(125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닿는 일단은 지지부(125c)를 갖고, 타단에 상기 고정스톱퍼(125b)를 수직이동시키는 회전바(125d)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밑판(120)를 관통하는 측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125d)의 회전으로 상기 고정스톱퍼(125b)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the fixed stopper 125b has a support portion 125c at one en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rotating bar 125d for vertically moving the fixed stopper 125b at the other end is provided, and the outer bottom plate (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side penetrating through 120 , so that the fixed stopper 125b can move up and down by rotation of the rotating bar 125d.

따라서, 상기 고정스톱퍼(125b)는 상기 지지부(125c)가 지면에 닿도록 상기 회전바(125d)를 회전시켜 상기 바퀴(125c)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fixed stopper 125b rotates the rotating bar 125d so that the supporting part 125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wheel 125c can be fixed without mov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1)을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1 including a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mart p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1)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터(10), 관수공급라인(20), 환수공급라인(30), 양액공급라인(40) 센서부(50) 및 컨트롤러(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er 10, an irrigation supply line 20, a return water supply line 30, and a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40, as shown in FIGS. 9 to 11, sensors It may include a unit 50 and a controller 60 .

상기 관수공급라인(20)은 상기 플랜터(10)와 연결되며 상기 플랜터(10)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is connected to the planter 10 and is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planter 10 .

구체적으로, 상기 관수공급라인(20)은 상기 센서부(50)에서 측정된 플랜터(10) 내부 토양의 수분량이 기설된 기준값보다 작은 저수위로 측정되면 상기 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60)의 제어에 의해 관수탱크(7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플랜터(10)로 이송시켜 상기 플랜터(10)에 관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inside the planter 10 measured by the sensor unit 50 is measured at a low water level that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water stored in the irrigation tank 70 by the irrigation tank 70 may be transferred to the planter 10 to supply irrigation water to the planter 10 .

따라서, 상기 관수공급라인(20)은 상기 플랜터(10)와 인접한 일단에 관수디퓨져(21)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관수탱크(70)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may be connected to the irrigation diffuser 21 at one end adjacent to the planter 10 and connected to the irrigation tank 70 at the other end.

상기 환수공급라인(30)은 상기 플랜터(10)와 연결되며, 토양을 통과한 후 배수회수관(124)에 집수된 물을 관수탱크(70)로 환수하도록 구성된다.The water return supply line 30 is connected to the planter 10 and is configured to return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age return pipe 124 to the irrigation tank 70 after passing through the soil.

구체적으로, 상기 환수공급라인(30)은 상기 배수회수관(124)에 집수된 물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모아지면 상기 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물을 상기 관수탱크(70)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when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return pipe 124 is collected above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water return supply line 3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0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to supply the water to the irrigation tank ( 70) is configured to transfer.

따라서, 상기 환수공급라인(30)은 상기 플랜터(10)와 인접한 일단이 상기 배수회수관(124)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수탱크(70)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return water supply line 30 adjacent to the planter 1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age return pipe 124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irrigation tank 70 .

상기 양액공급라인(40)은 상기 토양의 미함량 영양분을 상기 관수공급라인(20)으로 투입하여 상기 플랜터(10)에 양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4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planter 10 by introducing the non-content nutrients of the soil into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

구체적으로, 상기 양액공급라인(40)은 상기 센서부(50)에서 측정된 토양의 영양분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정보를 수신한 컨트롤러(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양액탱크(90)의 양액유출밸브(91)가 개방되어 상기 양액이 상기 관수공급라인(20)에 투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양액이 관수와 함께 상기 토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40 is the nutrient solution tank 9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when the nutrients in the soil measured by the sensor unit 50 are measured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valve 91 is opened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introduced into the soil together with the irrigation.

따라서, 상기 양액공급라인(40)은 일단이 상기 양액탱크(9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수공급라인(20)의 일측와 연결되며, 상기 양액탱크(90)는 상기 양액탱크(90)를 개폐시키는 양액유출밸브(91)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4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tank 90,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and the nutrient solution tank 90 is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tank 90. A nutrient solution outlet valve 91 to open and clos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양액유출밸브(91)는 상기 컨트롤러(60)에 제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outlet valve 91 may be opened and closed by control by the controller 60 .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플랜터(10)에 매설되어 상기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The sensor unit 50 is embedded in the planter 1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state of the soil.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플랜터(10) 내부의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상기 토양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51) 및 상기 토양의 영양 상태를 측정하는 토질측정센서(52)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or unit 50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soil inside the planter 10, and a moisture measuring sensor 51 for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nd for measuring the nutrient state of the soil It may be a soil measurement sensor 52 .

또한, 상기 센서부(50)는 측정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60)로 전송하여 상기 컨트롤러(60)가 상기 정보값와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토양의 관수, 환수 및 양액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50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0 so that the controller 60 compares the information valu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control soil irrigation, water exchange,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측정센서(51)는 상기 토양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분량을 컨트롤러(60)에 전송하면, 상기 컨트롤러(60)가 상기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일 때 즉, 저수위로 측정되는 경우일 때 상기 관수공급라인(20)을 가동시켜 상기 토양에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oisture measurement sensor 51 measure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nd transmits the measured moisture content to the controller 60,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at is, to a low water level. When it is measured,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is operated to supply water to the soil.

또한, 상기 토질측정센서(52)는 상기 토양의 영양 상태 즉, 알칼리도, 산도, 미네랄등의 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컨트롤러(60)에 전송하면, 상기 컨트롤러(60)가 상기 정보와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토양에 필요한 영양분을 도출하고 도출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양액공급라인(40)을 가동시켜 상기 토양에 필요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oil measurement sensor 52 measures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soil, that is, alkalinity, acidity, minerals, etc., and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0, the controller 60 transmits the information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40 is operated to derive nutrients necessary for the soil by comparing the preset reference values and supplement the derived nutrients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required for the soil can be supplied.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센서부(50)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플랜터(10)의 관수, 환수 및 양액공급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ler 60 is provided to receiv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50 to control the irrigation, water exchange,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of the planter 10 .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1)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수분측정센서(51)에서 측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토양의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관수공급라인(20)을 가동시켜 상기 관수탱크의 물을 이동하여 상기 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1, and when the low water level of the soil is detected by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oisture measurement sensor 51, the irrigation supply line 20 to move the water in the irrigation tank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to the soil.

또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토질측정센서(52)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에서 상기 토양의 부족한 영양분이 도출되면 상기 양액공급라인(40)을 가동시켜 상기 양액이 상기 관수공급라인(20)으로 유입되어 토양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 receives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il quality measurement sensor 52 and operates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40 when insufficient nutrients in the soil are derived from the information,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is transferred to the irrigation supply line Controlled so that it flows into (20) and moves to the soil.

또한, 상기 컨트롤러(60)는 배수회수관(124)에 수용된 물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환수공급라인(30)을 가동시켜 상기 물이 상기 환수공급라인(30)을 통해 상기 관수탱크(7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 operates the return water supply line 30 when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drain return pipe 12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so that the water flows through the return water supply line 30 to the water tank ( 70) to control the movement.

한편, 상기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1)에 제공되는 전원은 외부 전원식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외측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하고 인버터에 의해 변환된 전력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provided to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1 may be suppli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is stored in a battery and supplied as power converted by the inverter could b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내부 용기에 측면 통기공 및 저면 통기공을 구비함으로써, 식물 뿌리의 공기 단근 재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단근 작업 및 뿌리 돌림을 수행하지 않아도 단근 효과 및 세근 발달을 촉진시켜 뿌리의 활착력이 증대되어 식물의 고사율이 현저히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lanter having a du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ide vent hole and a bottom vent hole in the inner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allow air short root cultivation of plant roots. Even without performing work and root rotation, the short root effect and fine root development are promoted, thereby increasing the vigor of the root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mortality rate of the plant.

또한, 내측바디의 제1면에 절첩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면이 상기 절첩선에 의해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을 조립됨으로써, 상기 제1면의 절곡된 부분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일정 공간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측면통기공을 통해 상기 뿌리가 공기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식물의 공기 단근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having a fold line on the first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assembling a shape in which the first surfac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fold line, a constant between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The spac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root is adjacent to the air through the side vents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o that the air short root effect of the plant can be exhibited.

또한, 플랜터 내부 토양의 수분량 및 영양 성분을 측정하는 센싱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관수공급라인, 환수공급라인 및 양액공급라인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플랜터의 관수, 환수 및 양액공급이 자동으로 구현되어 식물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having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controller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unit that measures the moisture content and nutrient component of the soil inside the planter and controlling the irrigation supply line, the return water supply line and the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the planter irrigation, water exchange,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are automatically implemen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lant management.

아울러, 플랜터의 설치에 따른 도심의 공해 해소와 경관을 위한 도심 녹지화가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lieving pollution in the city center by installing a planter and greening the city center for landscape.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adequately defined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exist.

1 : 스마트 관리 시스템 10 :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20 : 관수공급라인 21 : 관수디퓨져
30 : 환수공급라인 40 : 양액공급라인
50 : 센서부 51 : 수분측정센서
52 : 토질측정센서 60 : 컨트롤러
70 : 관수탱크 80 : 펌프
90 : 양액탱크 91 : 양액유출밸브
100 : 외부용기 110 : 외측바디
120 : 외부밑판 121 : 배수홀
122 : 배수유도홀 123 : 필터부재
124 : 배수회수관 125 : 이동수단
125a : 바퀴 125b : 고정스톱퍼
125c : 지지부 125d : 회전바
200 : 내부용기 210 : 내측바디
211 : 제1면 211a : 절첩선
211b : 측면통기공 211c : 뿌리이동방지턱
212 : 제2면 212a : 결합돌기
212b : 결합부재 212c : 걸이부재
213 : 이격 공간 220 : 내부밑판
221 : 저면통기공 222 : 결합공
1: Smart management system 10: Planter with dual structure
20: irrigation supply line 21: irrigation diffuser
30: return water supply line 40: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50: sensor unit 51: moisture measuring sensor
52: soil measurement sensor 60: controller
70: irrigation tank 80: pump
90: nutrient solution tank 91: nutrient solution outlet valve
100: outer container 110: outer body
120: outer bottom plate 121: drain hole
122: drain guide hole 123: filter member
124: drainage return pipe 125: transportation means
125a: wheel 125b: fixed stopper
125c: support 125d: rotating bar
200: inner container 210: inner body
211: first side 211a: fold line
211b: side ventilation hole 211c: root movement barrier
212: second surface 212a: coupling projection
212b: coupling member 212c: hanging member
213: separation space 220: inner bottom plate
221: bottom vent hole 222: coupling hole

Claims (9)

일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된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에 삽입되고, 측벽에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되어 식물의 공기 단근 재배(Air Pruning Propagation)를 가능하게 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내측바디; 및
상기 내측바디와 결합되고, 다수개의 저면통기공 및 결합공이 구비된 내부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바디는,
길이 방향의 절첩선이 다수개로 내재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어지는 단면을 갖도록 절첩되는 제1면; 및
절첩된 상기 제1면이 삽입 장착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은,
다수개의 측면통기공; 및
내주면에 다수개로 돌출 형성된 길이 방향의 뿌리이동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바디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상기 측면통기공과 연통되는 일정 부피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측면통기공 및 이격 공간으로 공기와 접촉하여 뿌리의 공기 단근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An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 surface and having at least one drain hole formed thereon; and
It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ntainer,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side wall to enable air pruning propagation of plants;
The inner container is
Upper and lower open inner body; and
It is coupled to the inner body, the inner bottom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ttom vent holes and coupling holes; includes,
The inner body,
A first surface that is folded to have a cross section that is embedded in a plurality of fold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ading to a zigzag shape; and
Including; a second surface on which the folded first surface is inserted and mounted;
The first side is
a plurality of side vent holes; and
It includes; a root movement barri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pluralit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ner body,
A spaced space of a certain volume communicating with the side vent hol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so that the root of the plant comes into contact with air through the side vent hole and the spaced space, so that the air short root effect of the root appears. A planter with a double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상기 제2면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 장착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2면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구비되어, 절첩된 상기 제2면의 일측단 및 타측단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ide is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and inserted and mounted in the coupling hole; and
a coupl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to coup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olded second surface;
A planter having a double structure, compris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된 외측바디; 및
상기 외측바디와 결합되는 외부밑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ontainer,
Upper and lower open outer body; and
an outer bottom plate coupled to the outer body;
Planter having a doub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밑판은,
배수홀;
상기 배수홀과 연결되고, 배수 및 공기 흐름을 위한 다수개의 배수유도홈;
상기 배수홀 하측에 부착되어, 배수되는 물을 필터링하는 탈착식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관수탱크로 이동시키는 배수회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outer bottom plate is
drain hole;
a plurality of drainage guide grooves connected to the drainage holes and for drainage and air flow;
a removable filter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ain hole to filter the drained water; and
a drain return pipe disposed under the filter member to move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to the irrigation tank;
Planter having a doub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 제 4항, 제 6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상기 플랜터와 연결되며, 상기 플랜터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공급라인;
상기 플랜터와 연결되며, 토양을 통과한 후 배수회수관에 집수된 물을 관수탱크로 환수하는 환수공급라인;
상기 토양의 미함량 영양분을 상기 관수공급라인으로 투입하는 양액공급라인;
상기 플랜터에 매설되어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플랜터의 관수, 환수 및 양액공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
A plant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6 and 7;
an irrigation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lan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planter;
a return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lanter and return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age return pipe to the irrigation tank after passing through the soil;
a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for introducing non-nutrient content of the soil into the irrigation supply line;
a sensor unit buried in the planter to measure the state of the soil;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o control irrigation, water exchange, and nutrient solution supply of the planter;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토양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센서; 및
상기 토양의 영양 상태를 측정하는 토질측정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or unit,
a mois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oil; and
a soil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nutrient state of the soil;
A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KR1020200181269A 2020-12-22 2020-12-22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67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269A KR102267975B1 (en) 2020-12-22 2020-12-22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269A KR102267975B1 (en) 2020-12-22 2020-12-22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975B1 true KR102267975B1 (en) 2021-06-23

Family

ID=7659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269A KR102267975B1 (en) 2020-12-22 2020-12-22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9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958B1 (en) * 2021-10-28 2022-07-07 (주)대하산업 A planter with storage block
CN114775843A (en) * 2022-06-02 2022-07-22 浙大城市学院 Green building wall structur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088A (en) * 2002-08-26 2004-03-18 Agrisearch:Kk Automatic fertilizing/watering apparatus
KR20050077576A (en) * 2004-01-28 2005-08-03 신상훈 Functional base
KR20110003843U (en) * 2009-10-13 2011-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n assemble type flowerpot
KR20130085149A (en) * 2012-01-19 2013-07-29 (주)수프로 Pot for growing a tree
KR20170053216A (en) 2015-11-05 2017-05-16 정윤섭 Prefabricated modular planter
KR20180078992A (en) * 2016-12-30 2018-07-10 송상호 Hydroponics flower port
KR20180083534A (en) * 2017-01-13 2018-07-23 박상현 Prefabiricated type bottom watering bed
KR20200114719A (en) * 2019-03-29 2020-10-07 어스그린코리아(주) Fabricated dual flower po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088A (en) * 2002-08-26 2004-03-18 Agrisearch:Kk Automatic fertilizing/watering apparatus
KR20050077576A (en) * 2004-01-28 2005-08-03 신상훈 Functional base
KR20110003843U (en) * 2009-10-13 2011-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n assemble type flowerpot
KR20130085149A (en) * 2012-01-19 2013-07-29 (주)수프로 Pot for growing a tree
KR20170053216A (en) 2015-11-05 2017-05-16 정윤섭 Prefabricated modular planter
KR20180078992A (en) * 2016-12-30 2018-07-10 송상호 Hydroponics flower port
KR20180083534A (en) * 2017-01-13 2018-07-23 박상현 Prefabiricated type bottom watering bed
KR20200114719A (en) * 2019-03-29 2020-10-07 어스그린코리아(주) Fabricated dual flower p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958B1 (en) * 2021-10-28 2022-07-07 (주)대하산업 A planter with storage block
CN114775843A (en) * 2022-06-02 2022-07-22 浙大城市学院 Green building wal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988B2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EP2677854B1 (en) Enhanced vegetative roof system
CA2847125C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US20100162624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67975B1 (en) A planter with dual structure and smart plan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37860B1 (en) The Device of the Multiple Vertical Planting Vegetation
US20160157439A1 (en) Plant and garden growing system
US20160037733A1 (en) Modular wall system for vertical gardens
CN205596680U (en) Flower planting frame
US20160316644A1 (en) Self-watering planter assembly
CN104686290A (en) An energy-saving, ecological, and automatic irrigation system
CN203590779U (en) Energy-saving ecological automatic irrigation system
KR20190089391A (en)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CN206498765U (en) A kind of automatic maintenance water planting and earth culture botanical system
KR100792582B1 (en) Auto supply water a flowerpot
KR200207813Y1 (en)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KR101838545B1 (en) A Water Storage Apparatus for Vegetation Port
KR101344914B1 (en) Auto-supplying apparartus of water
CN201609049U (en) Water plant-growing wall system
CN203523417U (en) Flower pot
CN108684376A (en) A kind of overpass stereo greening apparatus
CN213368902U (en) Gardens are with nursery stock breeding device
CN204811187U (en) Vegetable cultivation case
US20130047507A1 (en) Self-watering elevated growing system
CN116782760A (en) Modular hydroponic system for indoor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