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178Y1 -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 Google Patents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178Y1
KR200474178Y1 KR2020140002282U KR20140002282U KR200474178Y1 KR 200474178 Y1 KR200474178 Y1 KR 200474178Y1 KR 2020140002282 U KR2020140002282 U KR 2020140002282U KR 20140002282 U KR20140002282 U KR 20140002282U KR 200474178 Y1 KR200474178 Y1 KR 200474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water
connection pipe
side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2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나현
Original Assignee
윤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나현 filed Critical 윤나현
Priority to KR2020140002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17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1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에 관한 것으로, 옥상에 설치되는 하부 틀(20) 및 그 위쪽에서 끼워지는 상부 틀(10)로 이루어지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10)은 플랜지(11), 4개의 측벽(12) 및 바닥의 철망(13)을 포함하여 상면이 열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물 재배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플랜지(11)는 상기 측벽(12)의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틀(20)은 바닥판(21), 4개의 측벽(22) 및 다리(23)를 포함하여 상면이 열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틀(20)의 측벽(22)에는 바깥쪽으로 연결관(2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24)의 관통 구멍을 통해 하부 틀(20) 안쪽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개 이상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인접한 화분과 화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하부 틀(20)의 연결관(24) 일부에 유연한 고무 호스(25)가 끼워지며, 연결관(24)의 아래쪽에는 연결관(24)의 단부를 개폐하는 유연한 고무 마개(26)가 힌지 핀(27) 및 브래킷(미도시)에 의해 측벽(22)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부 틀(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복수 개의 물 넘침 구멍(28)이 측벽(22)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물 넘침 구멍(28)은 상기 연결관(24)보다 위쪽에, 그리고 하부 틀(20)에 상부 틀(10)을 끼웠을 때 철망(13)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13)을 관통하여 상기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될 수 있고, 철망(13)을 통해 식물이 뿌리를 내려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pot for rooftop greening, wherein the upper frame (10) comprises a lower frame (20) provided on the roof and an upper frame (10) (11) is formed from a top surface of the sidewall (12), a bottom wall network (13), four side walls (12) And the lower frame 20 includes a bottom plate 21, four side walls 22 and legs 23 and is formed into a box shape having an opened upper face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connection pipe 24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wall 22 of the lower frame 20 so that a flow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lower fram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ipe 24, The hydroponic pots have two or mor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flexible rubber hose 25 is fitted in a part of the connection pipe 24 of each lower frame 20 so as to form a flow path between adjacent pollen pots and a flowerpot, A flexible rubber stopp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d of the lower frame 20 is hinged to the side wall 22 by a hinge pin 27 and a bracket The water overflow hole 28 is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22 and the water overflow hole 28 is formed above the connection pipe 24 and the upper frame 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frame 20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is evaporated and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space through the wire net 13 in the form of water vapor and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space through the wire netting 13, This roots can be supplied with water by themselves. It provides.

Description

옥상 녹화를 위한 수경 화분{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FOR ROOF RECORDING}

본 고안은 옥상 녹화를 위한 수경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을 관통하여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될 수 있고, 철망을 통해 식물이 뿌리를 내려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분해,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복수 개를 연결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상호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옥상 녹화를 위한 수경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ponic pot for rooftop greening, in particular, water stored in a water storage space evaporates and can be supplied to a plant growing space through a wire net in the form of water vapor. Through the wire netting, To a hydroponic plant for simple rooftop greening which can easily be disassembled, assembled and maintained, and can be easily instal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nts even if the plant is not flat, and can supplement mutual water.

최근 건물 옥상에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옥상 녹화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시의 부족한 녹지 공간을 충족시키고, 고층건물에 근무하는 사람에게는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데에 크게 일조하고 있다. Recently, rooftop greening projects to create green spaces on the roof of building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hus satisfying the lack of green spaces in cities and providing a resting place for people working in high-rise buildings.

그리고 건물 옥상 녹화 사업은 건물 최상층에서의 단열에 대해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녹화를 통해 경관의 개선, 기온의 조정, 공기의 정화 등을 실현할 수 있으며, 작은 새나 곤충 등과의 공생을 꾀하여 자연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of greening project of the building demonstrates a great effect on the insulation at the top of the building, it can realize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through the greening, the adjustment of the temperature and the purification of the air, and the coexistence with small birds and insects, It can contribute to restoration.

또한, 녹화된 옥상을 도심 농장으로 활용하여 친환경 재배 공간을 마련하고 학생들을 위한 재배 학습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orded rooftop can be used as an urban farm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ultivation space and to be used as a cultivation study place for students.

이와 같은 옥상 녹화 장치나 녹화 방법으로는 다양한 것이 제안된 바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5283호에 기재된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 장치'(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가 있다.  Various examples of such a rooftop greening device and a greening method have been proposed. A typical example of such a greening device is a 'planting module and a recording device for an artificial structure having the s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

종래 기술 1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11)가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로 이루어져 연결관(135) 및 연결 구멍(116)을 통해 네 개의 측벽이 다른 저수조들과 연결되며, 그 위에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식재 블록(119)이 안착되는 구조이다.  1, the water storage tank 111 is composed of a square box with an open top, four side walls are connected to other water storage tanks through a connection pipe 135 and a connection hole 116, And a planting block 119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top is seated.

또한 식재 블록과 저수조를 연결하는 심지(130)는 부직포 등과 같이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흡수부재(131)를 포함하므로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이 심지(130)를 타고 식재토(S)로 이동하며, 식재토(S)에 과공급된 물을 일부가 심지(130)를 타고 저수조(111)로 이동한다. Since the wick 130 connecting the food block and the water storage tank includes an absorbent member 131 such as a nonwoven fabric that can absorb wat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11 is transferred to the planting soil S And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plant material S is transferred to the water storage tank 111 on the wick 130.

식재 블록 측벽에 구비된 결합돌기(127)는 다른 식재 블록(119)의 결합홈(128)에 끼움 결합되고, 식재토(S) 아래에 설치된 거름망(133)은 흙은 통과하지 못하고 물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127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food block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8 of the other food block 119 and the sieve 133 installed below the planting soil S passes through only the water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은 물을 빨아들이는 심지(130)가 시간이 지나면 제 기능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부직포 등과 같은 흡수 부재를 포함하는 심지(130) 내부로 물과 함께 이물질이 통과하면서 심지(130) 내부에 이끼가 끼고 부패 물질이 생기게 되어 유로가 막히므로 실제로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이 식재토(S)로 이동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았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rt 1 has a problem that the wick 130 sucking water does not function after a lapse of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1 because the foreign material passes through the wick 130 including the absorbent member such as a nonwoven fabric, It was not smooth to move to the soil S.

또한 종래 기술 1은 한 번 시공하면 분해하기가 어려워 유지 보수가 쉽지 않은 구조로, 특히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인접한 식재 블록(119)을 파이프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데 블록이 설치되는 곳이 평평하지 않으면 파이프의 연결 위치가 서로 맞지 않아 조립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rt 1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repair due to difficulty in disassembling once constructed, and in particular, a structure in which adjacent planting blocks 119 are connected by pipes to supply water is adop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positions of the pipes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and the assembly can not be performed.

그 밖에도 종래 기술 1과 비슷한 기술이 기재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027호(건축물의 녹화용 식물 식재 유닛 및 이를 인용한 옥상면 녹화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4746호(공동주택 옥상에 설치되는 녹화 시설물 구조),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247915호(식재 블록),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041196호(녹화 장치) 등이 있으나, 상기 문헌들에도 종래 기술 1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In addition, documents describing a technique similar to that of the prior art 1 include Korean Utility Model No. 20-0458027 (a planting plant unit for greening of a building and a rooftop surface recording structure cited therein), Korea Patent No. 10-0624746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247915 (planting block),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041196 (recording apparatus), and the like, There is no description of how to solve the problem.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을 관통하여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될 수 있고, 철망을 통해 식물이 뿌리를 내려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분해,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복수 개를 연결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상호 물을 보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옥상 녹화를 위한 수경 화분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stored in a water storage space from evaporating and passing through a wire net in the form of water vapor, It can supply water by itself, it is easy to disassemble, assemble and maintain, and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connecting multiple places even if it is not flat, and it provides a hydroponic pot for simple rooftop greening There is a purpose in doing.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옥상에 설치되는 하부 틀 및 그 위쪽에서 끼워지는 상부 틀로 이루어지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은 플랜지, 4개의 측벽 및 바닥의 철망을 포함하여 상면이 열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물 재배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측벽의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틀은 바닥판, 4개의 측벽 및 다리를 포함하여 상면이 열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틀의 측벽에는 바깥쪽으로 연결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의 관통 구멍을 통해 하부 틀 안쪽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개 이상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인접한 화분과 화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하부 틀의 연결관 일부에 유연한 고무 호스가 끼워지며, 연결관의 아래쪽에는 연결관의 단부를 개폐하는 유연한 고무 마개가 힌지 핀 및 브래킷에 의해 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부 틀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복수 개의 물 넘침 구멍이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물 넘침 구멍은 상기 연결관보다 위쪽에, 그리고 하부 틀에 상부 틀을 끼웠을 때 철망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을 관통하여 상기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될 수 있고, 철망을 통해 식물이 뿌리를 내려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을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sette for rooftop greening comprising a lower frame provided on the roof and an upper frame fitted over the roof, the upper frame comprising a flange, four side walls, Wherein the lower frame includes a bottom plate, four side walls, and a leg, and the upper frame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lower frame, a connection pipe is protruded outward from a side wall of the lower frame to form a flow path inside the lower frame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ipe, Hydroponics are used in two or mor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flexible rubber hose is fitted to a part of the connection pipe of each lower frame so as to form a flow path therebetween and a flexible rubber stopper is hinged to the side wall by the hinge pin and the bracket at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ipe to open and close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And a plurality of water overflow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The water overflow hole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ipe and below the wire mesh when the upper frame is fitted to the lower fra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is evaporated and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space through the wire net in the form of water vapor and the plant can feed water by itself through the wire net, Provides hydroponics for recording.

이 경우, 상기 연결관과 고무 호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나사 또는 스프링의 작동으로 내경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링 모양의 호스 밴드를 고무 호스의 바깥 둘레에 체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a ring-shaped hose band whose internal diameter is reduced or increased by operation of a screw or a spring can be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ubber hose in orde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rubber hose.

또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에는 직경 8mm 이하의 하이드로 볼이 촘촘히 수용된 후 그 위에 흙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hydroball having a diameter of 8 mm or less may be tightly accommod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space, and the soil may be accommodated thereon.

본 고안에 따르면,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을 관통하여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됨으로써 물을 자주 공급하지 않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evaporates and is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space through the wire net in the form of water vapor, so that plants can be cultivated without supplying water frequently.

또한 본 고안의 옥상 녹화를 위한 수경 화분은 분해,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복수 개를 연결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옥상 녹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ollen pollen for rooftop gre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isassemble, assemble and maintain,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rooftop greening because it is a simple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nts even if they are not fla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이 여러 개 조립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lan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recording apparatus for a artificial structure having the sam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ydropon flower for rooftop gre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hydroponics for rooftop greening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everal hydroponics for rooftop greening shown in FIG. 2 are assembled.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본 고안에 따른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을 관통하여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될 수 있고, 분해,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복수 개를 연결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pollen for rooftop greening can be supplied to a plant cultivation space through the water network in the form of water vapor by evaporation of water stored in a water storage space, and is easy to disassemble, assemble and mainta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s.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옥상에 설치되는 하부 틀(20) 및 그 위쪽에서 끼워지는 상부 틀(1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hydroponics for rooftop gre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frame 20 installed on the roof and an upper frame 10 fitted thereabove.

상기 상부 틀(10)은 상면이 열린 사각 박스 형상으로, 상면의 플랜지(11), 4개의 측벽(12) 및 바닥의 철망(13)을 포함하여 내부에 식물 재배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11)는 상기 측벽(1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부 틀(10)이 하부 틀(20)에 끼워질 때 하부 틀(20)의 측벽(22) 상면에 안착 되도록 하는 기능과 함께 상부 틀(10)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상부 틀(10)의 높이는 10 ~ 15cm가 적당하다.The upper frame 1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top flange 11, four side walls 12 and a bottom wire netting 13 to form a plant growing space therein. The flange 11 has a function of extending outwardly of the side wall 12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of the lower frame 20 when the upper frame 10 is fitted into the lower frame 20 And has a function as a handle that can easily lift the upper frame 10 together. The height of the upper frame 10 is preferably 10 to 15 cm.

상기 하부 틀(20)은 상면이 열린 사각 박스 형상으로, 바닥판(21), 4개의 측벽(22) 및 다리(23)를 포함하여 내부에 물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측벽(22)의 높이는 25 ~ 30cm가 적당하고, 상기 다리(23)의 높이는 3cm 이상이 적당하다.The lower frame 20 includes a bottom plate 21, four side walls 22, and legs 23, and forms a water storage space therei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22 is preferably 25 to 30 cm, and the height of the leg 23 is preferably 3 cm or more.

상기 하부 틀(20)의 측벽(22)에는 바깥쪽으로 연결관(2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24)의 관통 구멍을 통해 하부 틀(20) 안쪽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A connection pipe 24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wall 22 of the lower frame 2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lower fram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ipe 24.

상기 연결관(24)은 필요에 따라 하부 틀(20)에 저장된 물을 버리는 배수구로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바닥판(21)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ipe 24 may be used as a drain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frame 20 if necessary, so that the connection pipe 24 is preferably formed close to the bottom plate 21.

본 고안의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개 이상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하부 틀(20)과 인접한 하부 틀(2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하부 틀(20)의 연결관(24)에 유연한 고무 호스(25)가 끼워진다.Since the hydroponics for rooftop g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wo or more of the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flexible rubber hose (25) is fitted to the connecting pipe (24).

또한 연결관(24)의 아래쪽에는 유연한 고무 마개(26)가 힌지 핀(27) 및 브래킷(미도시)에 의해 측벽(22)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고무 호스(25)가 연결관(24)에 끼워지지 않는 경우 상기 고무 마개(26)를 힌지 핀(27)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연결관(24)의 단부를 막음으로써 하부 틀(20)에 저장된 물이 새어나가지 않게 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를 두는 이유는 고무 호스(25) 및 고무 마개(26)를 서로 바꾸어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무 마개(26)의 분실을 막고, 고무 마개(26)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탈착하기 위해서이다.A flexible rubber stopper 26 is hingedly coupled to the side wall 22 by a hinge pin 27 and a bracket (not shown). When the rubber hose 25 is not caught in the connecting pipe 24, the rubber stopper 26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27 to block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24, Wate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e reason for placing the hinge engaging portion is to prevent the rubber stopper 26 from being lost dur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rubber hose 25 and the rubber stopper 26 interchangeably and to easily detach the rubber stopper 26 in a one-touch manner.

그리고 하부 틀(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복수 개의 물 넘침 구멍(28)이 측벽(2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물 넘침 구멍(28)은 측벽(22)에 형성된 연결관(24)보다 위에, 그리고 하부 틀(20)에 상부 틀(10)을 끼웠을 때 상부 틀(10) 바닥의 철망(13)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한다.A plurality of water overflow holes 28 are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22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frame 20. The water overflow holes 28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ipe 24 And the lower frame 20 is positioned below the wire mesh 13 at the bottom of the upper frame 10 when the upper frame 10 is fitted.

상기 물 넘침 구멍(28)의 기능은, 하부 틀(20)의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물이 저절로 흘러넘쳐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위가 너무 높아져 식물의 뿌리가 계속 물에 잠기고 썩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unction of the water overflow hole 28 is such that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frame 20 is excessively large, the water spontaneously flows over and drains. This can prevent the plant's roots from becoming soaked in water and decaying as the water level becomes too high.

하부 틀(20)에 저장된 물을 버리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고무 호스(25) 또는 고무 마개(26)를 빼낸 후 하부 틀(20)을 약간 기울임으로써 연결관(24)을 통해 물을 버릴 수 있다.In order to abandon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frame 20, the rubber hose 25 or the rubber stopper 26 is taken out and the lower frame 20 is slightly tilted to discard the wat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4 .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관(24)과 고무 호스(25)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호스 밴드(미도시)를 고무 호스(25)의 바깥 둘레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호스 밴드는 나사 또는 스프링의 작동으로 내경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링 모양의 부재이다.A hose band (not shown) may be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ubber hose 25 so as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4 and the rubber hose 25. [ The hose band is a ring-shaped member whose internal diameter is reduced or increased by operation of a screw or a spring.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 틀(10)을 하부 틀(20)에 쉽게 삽입하기 위해 상부 틀(10)의 외면과 하부 틀(20)의 내면에 테이퍼를 형성하여 상부 틀(10)과 하부 틀(20)을 각각 상광하협(위쪽이 넓고 아래쪽이 좁은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asily insert the upper frame 10 into the lower frame 20, a tap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20 be formed in a shape of an upper limit of light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er lower portion).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재배 공간에는 철망(13)의 위쪽에 직경 8mm 이하의 하이드로 볼(H)이 촘촘히 수용된 후 그 위에 흙(S)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soil S is accommodated in the plant growing space after the hydro ball H having a diameter of 8 mm or less is tightly accommodated above the wire netting 13.

하이드로 볼(H)은 순수한 황토를 8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 공 모양으로 성형한 것으로, 수경 재배 시 토양의 과습이나 건조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크기는 직경 3mm ~ 8mm의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The hydroball (H) is formed by baking pure ocher at a high temperature of 800 degrees Celsius or higher and has a function to prevent excessive moisture and drying of the soil during hydroponic cultivation. Sizes ranging from 3mm to 8mm in diameter are commonly used an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lant to be cultivated.

철망(13)의 눈의 크기는 상기 하이드로 볼(H)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 즉 눈의 직경이 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mesh of the wire net 13 is such that the hydro-ball H does not come off, that is, the diameter of the eye is 8 mm or less.

하이드로 볼(H) 사이의 공극으로는 물이 통과할 수 있고, 식물(P)의 뿌리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비가 오거나 상부 틀(10)의 위쪽으로부터 물을 공급할 경우 물이 흙(S), 하이드로 볼(H) 및 철망(13)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하부 틀(2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게 되며, 식물(P)의 뿌리 중 길게 자란 것도 하이드로 볼(H) 및 철망(13)을 통과하여 하부 틀(20)의 물 저장공간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Water can pass through the pores between the hydro balls (H) and pass through the roots of the plant (P). 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above the upper frame 10,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soil S, the hydro ball H and the wire net 13 in order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 frame 20, The roots of the plant P may be protruded toward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lower frame 20 through the hydro ball H and the wire net 13.

한편, 본 고안의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옥상에 설치되어 태양 광선에 직접 노출되므로 하부 틀(20)에 저장된 물은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13)을 관통하여 상부 틀(10)에 설치된 하이드로 볼(H) 및 흙(S)에 공급되게 된다.Since the water pollen for rooftop gre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oof and directly exposed to the sunlight,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frame 20 evaporates and passes through the wire net 13 in the form of water vapor, The ball H and the soil S. [

물은 끓는점(100℃)에 이르지 않아도 표면에서 끊임없이 증발이 일어나는데, 이는 액체 상태의 물이 태양 복사 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변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것이다.Water does not reach the boiling point (100 ° C) and evaporation occurs constantly on the surface, because liquid water absorbs solar radiation energy and turns into gaseous water vapor and is contained in the air.

즉, 식물(P)은 철망(13)을 통해 뿌리를 내려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물 저장공간으로부터 증발하는 수증기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부 틀(10)의 위쪽으로부터 물을 공급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at is, the plant P may roots through the wire net 13 to receive water by itself, or water may be supplied by water vapor evaporating from the water storage space. It is obvious that water can be supplied from above the upper frame 10 as required, as described above.

도 4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이 여러 개 조립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바깥쪽에 별도의 급수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설치하여 하나의 화분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전체 화분에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각 화분이 붙어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유연한 고무 호스(25)를 이용하여 각 화분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호스(25)의 길이 및 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각 화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FIG. 4 shows a plurality of water pollen pots for rooftop greening, and a separate water supply system and a control system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to supply water to one flower pot, thereby allowing water to flow to the entire flower pot. Although the respective pots are shown attached to the figure, the pots are connected by the use of the flexible rubber hose 25. Therefore, by adjusting the length and direction of the hose 25, Can be determined.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0 : 상부 틀 11 : 플랜지
12 : 측벽 13 : 철망
20 : 하부 틀 21 : 바닥판
22 : 측벽 23 : 다리
24 : 연결관 25: 고무 호스
26 : 고무 마개 27: 힌지 핀
28 : 물 넘침 구멍 P : 식물
S :흙 H : 하이드로 볼
10: upper frame 11: flange
12: side wall 13: wire mesh
20: lower frame 21: bottom plate
22: side wall 23: leg
24: Connector 25: Rubber hose
26: rubber plug 27: hinge pin
28: Water overflow hole P: Plants
S: soil H: hydroball

Claims (3)

옥상에 설치되는 하부 틀(20) 및 그 위쪽에서 끼워지는 상부 틀(10)로 이루어지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에 있어서,
상기 상부 틀(10)은 플랜지(11), 4개의 측벽(12) 및 바닥의 철망(13)을 포함하여 상면이 열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물 재배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플랜지(11)는 상기 측벽(12)의 상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틀(20)은 바닥판(21), 4개의 측벽(22) 및 다리(23)를 포함하여 상면이 열린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틀(20)의 측벽(22)에는 바깥쪽으로 연결관(24)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24)의 관통 구멍을 통해 하부 틀(20) 안쪽으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개 이상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인접한 화분과 화분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각 하부 틀(20)의 연결관(24) 일부에 유연한 고무 호스(25)가 끼워지며,
연결관(24)의 아래쪽에는 연결관(24)의 단부를 개폐하는 유연한 고무 마개(26)가 힌지 핀(27) 및 브래킷(미도시)에 의해 측벽(22)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부 틀(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로 복수 개의 물 넘침 구멍(28)이 측벽(22)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물 넘침 구멍(28)은 상기 연결관(24)보다 위쪽에, 그리고 하부 틀(20)에 상부 틀(10)을 끼웠을 때 철망(13)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물 저장 공간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 형태로 철망(13)을 관통하여 상기 식물 재배 공간에 공급될 수 있고, 철망(13)을 통해 식물이 뿌리를 내려 스스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24)과 고무 호스(25)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나사 또는 스프링의 작동으로 내경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링 모양의 호스 밴드(미도시)를 고무 호스(25)의 바깥 둘레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
A hydropon flower for rooftop greening comprising a lower frame (20) installed on the roof and an upper frame (10) fitted over the lower frame (20)
The upper frame 10 includes a flange 11, four sidewalls 12 and a wire netting 13 at the bottom thereof. The upper frame 1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 top,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The lower frame 20 includes a bottom plate 21, four side walls 22 and legs 23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 top,
A connection pipe 24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wall 22 of the lower frame 20 so that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lower frame 20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ipe 24,
The hydroponics for rooftop greening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wo or more of the hydroponics for rooftop greening so as to form a flow path between adjacent pollen pots and flower pots, (25) is inserted,
A flexible rubber stopp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d of the connecting pipe 24 is hinged to the side wall 22 by a hinge pin 27 and a bracket (not shown)
A plurality of water overflow holes 28 are formed through the side wall 22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20 and the water overflow hole 28 is formed above the connection pipe 24, When the upper frame 10 is fitted to the lower frame 20, the lower frame 20 is positioned below the wire mesh 13,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evaporates and can be supplied to the plant growing space through the wire netting 13 in the form of water vapor and the plants can feed their own water through the wire netting 13,
A ring-shaped hose band (not shown) having an inner diameter reduced or extended by the operation of a screw or a spring is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ubber hose 25 in order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connecting pipe 24 and the rubber hose 25 A water-pollen pot for rooftop green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 공간에는 직경 8mm 이하의 하이드로 볼(H)이 촘촘히 수용된 후 그 위에 흙(S)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수경 화분[3] The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ydroball (H) having a diameter of 8 mm or less is housed tightly in the plant growing space, and the soil (S)
KR2020140002282U 2014-03-22 2014-03-22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KR2004741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82U KR200474178Y1 (en) 2014-03-22 2014-03-22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282U KR200474178Y1 (en) 2014-03-22 2014-03-22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178Y1 true KR200474178Y1 (en) 2014-08-29

Family

ID=5200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282U KR200474178Y1 (en) 2014-03-22 2014-03-22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17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652A1 (en) *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그린월 Flowerpot including water supply tube
KR102386445B1 (en) * 2020-12-30 2022-04-14 최용윤 Cultivation fixing frame for root cro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94A (en) * 1995-07-24 1997-02-04 Masaharu Miyake Flower pot
JP2004507233A (en) 2000-08-01 2004-03-11 ジョン ファソック Bottom water supply type flower pot with ventilation function
KR101021889B1 (en) 2010-06-28 2011-03-18 주식회사 비엠테크 Veget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epwise breast wall
KR101126188B1 (en) * 2011-07-27 2012-03-22 송하견 Drain plate-less flower 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94A (en) * 1995-07-24 1997-02-04 Masaharu Miyake Flower pot
JP2004507233A (en) 2000-08-01 2004-03-11 ジョン ファソック Bottom water supply type flower pot with ventilation function
KR101021889B1 (en) 2010-06-28 2011-03-18 주식회사 비엠테크 Veget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epwise breast wall
KR101126188B1 (en) * 2011-07-27 2012-03-22 송하견 Drain plate-less flower p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652A1 (en) *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그린월 Flowerpot including water supply tube
KR102386445B1 (en) * 2020-12-30 2022-04-14 최용윤 Cultivation fixing frame for root cro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614B1 (en) Plant planting apparatus of wall
US8984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ponic growth
KR20160003218A (en) Tubular greening units
KR101893196B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30134662A (en) Continuous water supply available flowerbeds
AU2015100015A4 (en) Modular Garden Planter
KR101121032B1 (en) Cultivation box of crops for kitchen garden rooftop
KR101362020B1 (en) Hydroponic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0474178Y1 (en) Water culture flowerpots for a rooftop afforestation
KR200472887Y1 (en) Multi-Use Pot Assembly with Supporting Structure
KR100479212B1 (en)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1576724B1 (en) Pocket 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JP2006081535A (en) Container for culturing plant
CN211297835U (en) Multi-functional forestry seedling raising box
JP2009183280A (en) Greening device
JP5058214B2 (en) Rooftop greening equipment
JP2008253210A (en) Wall-surface greening device
JP2009000056A (en) Outside cover giving air-conditioning function to planting pot
KR200475509Y1 (en) Box Assembly for Planting
KR200473373Y1 (en) Box Assembly for Planting
KR101380567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KR101641680B1 (en) Plant Cultivation System
TWM481590U (en) Serializable automatic irrigation and draining planting basin
KR101528680B1 (en) Device for a multipurpose hydroponics
KR20160035429A (en) The fixing holder for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