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013B1 -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013B1
KR102239013B1 KR1020140155541A KR20140155541A KR102239013B1 KR 102239013 B1 KR102239013 B1 KR 102239013B1 KR 1020140155541 A KR1020140155541 A KR 1020140155541A KR 20140155541 A KR20140155541 A KR 20140155541A KR 102239013 B1 KR102239013 B1 KR 10223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rubber
trailing arm
sl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572A (ko
Inventor
이계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0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1Joining by glu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통부와 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통부와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되, 고무로 채워지는 러버부와 내통부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내통부는 내통부의 표면 및 내부에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슬릿은 러버부에 고무가 채워짐과 동시에 고무가 채워져 러버부와 접착되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TRAILING ARM BUS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에 구비된 내통부의 표면 및 내부에 다중 슬릿을 적용한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트레일링 암이 설치되고, 트레일링 암의 일단은 크로스멤버에 고정되며, 트레일링 암의 타단은 차량의 차체에 장착된다.
여기서 트레일링 암의 타단과 차체 사이에는 부시가 개재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발생되는 하중 또는 진동 중 일부를 완충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는 내통부와 러버부가 접착되는 접착부에 접착 성능이 내구에 결정적 요인이 되며, 내구 평가 중 접착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트레일링 암 부시에 구비된 내통부의 표면 및 내부에 다중 슬릿을 적용하여 내통부와 러버부가 접착되는 접착면의 접착성능을 개선하고, 다중 슬릿이 브릿지 기능을 하므로써, 러버부와 다중 슬릿이 접합되는 접합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에 있어서, 외통부와 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통부와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되, 고무로 채워지는 러버부와 내통부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내통부는 내통부의 표면 및 내부에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슬릿은 러버부에 고무가 채워짐과 동시에 고무가 채워져 러버부와 접착되는것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개의 슬릿은 내통부의 표면인 원주면에 형성된 제1 슬릿과 체결부가 삽입되고, 원주면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부에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슬릿은, 원주면에 형성되되 제2 슬릿이 형성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제1 슬릿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슬릿은, 일측의 측면부를 시작으로 내통부의 내부를 관통하고, 타측의 측면부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은 상호 수직형태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개의 슬릿은, 내통부의 측면을 기준으로 'ㅛ' 또는 '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내통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내통부의 원주면 및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을 적용하여 러버부와 내통부가 접착되는 접착면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접착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러버부와 복수개의 슬릿이 접합된 접합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내통부 및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내통부 및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10)는 외통부(100)와 외통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통부(200)와 외통부(100)와 내통부(20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되, 고무로 채워지는 러버부(300)와 내통부(200)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400)를 포함하고, 내통부(200)는 내통부(200)의 표면 및 내부에 복수개의 슬릿(230)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슬릿에는 러버부(300)에 고무가 채워짐과 동시에 고무가 채워져 러버부(300)와 접착되는것을 포함한다.
트레일링 암(Trailing Arm) 부시(10)는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 예를 들면 커플드 토션 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 CTBA)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링 암 부시(10)는 리어 서스펜션 모듈(Rear Suspension Module)의 트레일링 암(20)에 장착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외통부(100)는 트레일링 암(20)의 일측에 구비된 홀(21)에 압입 장착 될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통부(200)는 외통부(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할 러버부(300)와 접합될 수 있다. 내통부(200)는 러버부(300)와 접합되는 원주면(210)과 원주면(2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통부(200)는 표면 및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230)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슬릿(230)은 러버부(300)에 고무가 채워짐과 동시에 복수개의 슬릿(230)에도 고무가 채워져 러버부(300)와 접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슬릿(230)은 내통부의 표면인 원주면(210)에 형성된 제1 슬릿(231) 및 체결부(400)가 삽입되고, 원주면(2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부(220)에 형성된 제2 슬릿(2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릿(231) 및 제2 슬릿(232)은 상호 수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슬릿(231)은 제2 슬릿(23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슬릿(231)의 길이(D1) 및 제2 슬릿(232)의 길이(D2)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 도 있다.
제1 슬릿(231)은 원주면(210)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릿(231)의 깊이는 원주면(210)의 표면에서부터 제2슬릿(232)까지의 거리(D3)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개의 제2 슬릿(232)에 대해 4개의 제1 슬릿(23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슬릿(232)은 일측의 측면부(220)를 시작으로 내통부(200)의 내부를 관통하고, 타측의 측면부(220)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슬릿(232)은 내통부(200)에 3개의 제2 슬릿(232)이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슬릿(231) 및 제2 슬릿(232)은 러버부(300)와 접착되는 접착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제1 슬릿(231) 및 제2 슬릿(232)이 러버부(300)와 접합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 슬릿(230)이 형성된 위치와 개수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복수개의 슬릿(230)은 내통부(200)의 측면을 기준으로 대략 'ㅛ'또는 '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러버부(300)는 외통부(100)와 내통부(200)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고, 고무로 채워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통부(100)와 내통부(200) 사이에 고무 소재의 용융물을 주입하여 그 고무를 가류 성형하게 되면, 외통부(100)와 내통부(200) 사이에 러버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러버부(300)는 외통부(100)의 내주면과 내통부(200)의 외주면에 가류 접착될 수 있다.
체결부(400)는 내통부(200)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부(200)의 일측 측면부(220)를 시작으로 내통부(200)의 내부를 관통하고 타측 측면부까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400)는 측면부(220)의 일측으로 치우쳐 삽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4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내통부의 원주면 및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을 적용하여 러버부와 내통부가 접착되는 접착면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접착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러버부와 복수개의 슬릿이 접합된 접합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외통부
200 : 내통부
210 : 원주면 220 : 측면부
230 : 복수개의 슬릿 231 : 제1 슬릿
232 : 제2 슬릿
300 : 러버부
400 : 체결부

Claims (8)

  1. 외통부;
    상기 외통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통부;
    상기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되, 고무로 채워지는 러버부; 및
    상기 내통부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부의 표면 및 내부에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러버부에 고무가 채워짐과 동시에 상기 고무가 채워져 상기 러버부와 접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내통부의 표면인 원주면에 형성된 제1 슬릿; 및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고, 상기 원주면의 양측면에 구비된 측면부에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원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슬릿이 형성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릿과 연결되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일측의 상기 측면부를 시작으로 상기 내통부의 내부를 관통하고, 타측의 상기 측면부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슬릿은 상호 수직형태로 형성된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슬릿은, 상기 내통부의 측면을 기준으로 'ㅛ'또는 'ㅠ'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KR1020140155541A 2014-11-10 2014-11-10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KR10223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41A KR102239013B1 (ko) 2014-11-10 2014-11-10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41A KR102239013B1 (ko) 2014-11-10 2014-11-10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72A KR20160055572A (ko) 2016-05-18
KR102239013B1 true KR102239013B1 (ko) 2021-04-13

Family

ID=5611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41A KR102239013B1 (ko) 2014-11-10 2014-11-10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925B1 (ko) 2018-12-26 2021-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복합 재질 부시
DE102019132875A1 (de) 2018-12-26 2020-07-02 Hyundai Motor Company Verbundmaterialbuchse
DE102022107834B4 (de) 2022-04-01 2023-12-07 Jörn GmbH Elastomer-Metall-Buchs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CN115257268A (zh) * 2022-07-29 2022-11-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非对称结构的后纵臂衬套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5073A1 (en) * 2002-03-13 2003-09-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tabilizer ba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10101385A (ja) * 2008-10-22 2010-05-06 Molten Corp ブッシ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479U (ja) * 1992-03-02 1993-09-2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ブッシ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5073A1 (en) * 2002-03-13 2003-09-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tabilizer ba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10101385A (ja) * 2008-10-22 2010-05-06 Molten Corp ブ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72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013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
US10359091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US9566840B2 (en) Independent vehicle suspension having a spring-link suspension structure made from a fiber composite material
RU2015145480A (ru) Узел ра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элемент для поглощения удара
US9889889B2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hock absorber housing
ATE552147T1 (de) Stossabsorptionselement
US9505285B2 (en) Anti-vibration device
US20180154718A1 (en) Hybrid lower arm
KR100986086B1 (ko) 마운팅 부시유닛
KR102383225B1 (ko) Ctba용 부시유닛
US20160144901A1 (en) Vehicle body arrangement for a vehicle front part
KR102062178B1 (ko) 길이 조절 가능한 차량용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스트럿바
KR20170070726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용 부시유닛
KR101371733B1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ES2772842T3 (es) Chapa de techo de vehículos con elemento amortiguador de vibraciones
FR3044986B1 (fr) Poutre de 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traverse et un absorbeur de chocs
KR101753790B1 (ko) 엔드플레이트와 스토퍼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롤로드
CN205824017U (zh) 一种内芯、橡胶衬套及汽车
KR20150062287A (ko) 트레일링암의 마운팅브라켓
US10035545B2 (en) Side sill for a motor vehicle with a sill panel
ES2773135T3 (es) Motocicleta con dispositivo amortiguador lateral
KR101829196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볼트
CN103206481B (zh) 汽车减震器顶胶装置
KR101609645B1 (ko) 자동차용 부싱
KR20170099713A (ko) 스토퍼 조립구조를 가지는 트레일링암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