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778B1 -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778B1
KR102238778B1 KR1020200128865A KR20200128865A KR102238778B1 KR 102238778 B1 KR102238778 B1 KR 102238778B1 KR 1020200128865 A KR1020200128865 A KR 1020200128865A KR 20200128865 A KR20200128865 A KR 20200128865A KR 102238778 B1 KR102238778 B1 KR 10223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rotation
net support
temporary structu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곤
Original Assignee
(유)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2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또는 건축을 위해 설치된 가설구조물에 대한 안전망이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는 확보된 공간에 따라 안전망과 가설구조물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용효율이 높으며, 가설구조물에 설치한 후에도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 및 관리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Safety net support device that can change the slope of the safety net}
본 발명은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또는 건축을 위해 설치된 가설구조물에 대한 안전망이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공사현장이나 조선소의 선박 건조현장 등에서는 건조나 건축 작업을 위해 가설구조물이 설치되고 가성구조물 둘레에는 자재나 작업도구 등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도록 안전장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의 안전망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는 가설구조물에 설치되며, 파이프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강철 재질의 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 또는 요구하는 임의의 방향에 맞추어 교차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238562호에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안전망 설치장치는 파이프 지지대에 의해 안전망의 기울기가 결정되며, 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한 후 안전망의 기울기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8562호 :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망과 건조 또는 건축을 위해 설치된 가설구조물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이 용이한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는 건조 또는 건축 작업을 위해 설치된 가설 구조물에 하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설구조물 장착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자재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에 대한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은 상기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에 대해 나란하도록 상기 안전망지지부에 상기 회동지지축의 길이연장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회동제한축과, 하부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축이 양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가 수용되되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지지부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지지축의 길이방향 양측부 상단에 각각 상기 회동제한축의 일측 또는 타측이 안착되게 상기 지지부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하방으로 인입되며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회동제한홈이 형성되는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과, 상기 회동지지축과 상기 회동제한축을 연결하여 상기 회동제한홈에 수용된 상기 회동제한축을 상기 회동지지축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당김부재와 상기 안전망지지부 상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에 멀어지게 회동 시 상기 회동제한축이 상기 회동제한홈에서 이탈되게 상기 회동제한축과 상기 조작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이 관통되며 상단 외주면에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래칫기어돌기가 형성되는 래칫부재와,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이 상기 래칫기어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을 제한하며 상기 래칫기어돌기에 이격되게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나 타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되는 회동제한레버와,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되게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회동제한레버를 상기 래칫기어돌기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타측이 상기 회동제한레버와 접하는 레버 탄성가압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이 관통되며 상단 외주면에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는 고정기어부재와, 상기 안전망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와 상기 고정기어부재 및 상기 가설건축물 장착부의 상부가 수용되게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지지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 일측부에 폭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각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하단이 다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는 복수의 회동기어부재와, 복수의 상기 회동기어부재가 상기 기어에 이격되거나 접촉 유지되게 조절하는 회동 조절레버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는 확보된 공간에 따라 안전망과 가설구조물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용효율이 높으며, 가설구조물에 설치한 후에도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 및 관리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가 가설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의 회동기어부재 조절유닛 측을 확대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0)는 건조 또는 건축 작업을 위해 설치된 가설 구조물(1)의 수평연장프레임(2)에 하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설구조물 장착부(11)와, 가설구조물 장착부(11)의 상부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건축 또는 건조를 위한 자재(미도시)와 작업자(미도시)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망(6)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30)와, 가설구조물 장착부(11)의 상단과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을 연결하는 회동지지축(28)과, 가설구조물 장착부(11)에 대한 안전망지지부(30)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60);을 구비한다.
가설 구조물(1)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호 상하로 연속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연장프레임(미도시)을 각각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수직연장부(미도시)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수직연장프레임들을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각각 연장되며 다수의 수직연장부들이 상호 이격된 방향으로 연속배치되는 다수의 수평연장프레임(2)을 각각 포함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수평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0)가 가설구조물(1)의 수평연장프레임(2)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가설구조물(1)의 수평연장프레임(2)은 H빔이 적용되었으나, 후술되는 가설구조물장착부(11)의 프레임진입홈(14)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는 사각관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가설구조물 장착부(11)는 가설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클램프부(12)와, 클램프부(12)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21)를 구비한다.
클램프부(12)는 가설구조물의 수평연장프레임이 측방향으로 인입되게, 일측부에서 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수평연장프레임 길이연장방향으로 개방되는 프레임진입홈(14)이 형성되는 클램프프레임(13)과, 클램프프레임(13)의 상단을 관통하여 프레임진입홈(14)으로 진입되어 수평연장프레임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고정볼트(16)를 구비한다.
가압고정볼트(16)는 클램프프레임(13)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클램프프레임(13)에 관통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본체부(17)와, 볼트본체부(17)의 하단에 설치되어 볼트본체부(17)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어 프레임진입홈(14)에 인입된 수평연장프레임(2)을 가압하는 스위블 헤드(18)를 포함한다.
클램프부(12)는 프레임진입홈(14)에 인입된 수평연장프레임(2)의 상면을 스위블 헤드(18)로 가압함으로써 가설구조물에 고정된다.
상하연장부(21)는 클램프프레임(13)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길이연장바(22)와, 길이연장바(22)의 상단에 마련되어 안전망지지부(30)와 결합되는 제1힌지결합헤드(24)를 구비한다.
길이연장바(22)는 사각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강관 파이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1힌지결합헤드(24)는 수평연장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양측이 길이연장바(22)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수평연장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이 수용되는 힌지결합홈(25)이 형성된다.
제1힌지결합헤드(24)는 폭 방향 양측부 상단의 길이방향 중심측이 길이방향 양측보다 상방에 위치되게 돌출형성된다.
한편, 회동지지축(28)은 제1힌지결합헤드(24)의 양측부의 상방으로돌출된 부분과 힌지결합홈(25)으로 진입된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을 수평연장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안전망지지부(30)는 일단이 제1힌지결합헤드(24)의 힌지결합홈(25)에 삽입되어 회동지지축(28)이 관통되며 길이연장된 바 형상의 제2힌지결합헤드(31)와, 일단이 제2힌지결합헤드(31) 내로 삽입결합되며 제2힌지결합헤드(31)에 동일선산으로 길이연장되어 제2힌지결합헤드(31)와 회동되는 안전망지지본체(36)와, 안전망지지본체(36)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안전망지지볼트(38)를 구비한다.
제2힌지결합헤드(31)는 도 2를 참고하면, 회동지지축(28)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서 회동지지축(28)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안전망지지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회동제한축(61)이 관통되는 장공형태의 가이드공(32)이 형성된다.
안전망지지본체(36)는 회동지지축(28)이 관통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볼트설치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된다. 복수의 볼트설치공(미도시)은 한 쌍 씩 안전망지지본체(36)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안전망지지볼트(38)는 U-볼트가 적용되어 양측이 인접한 한 쌍의 볼트 설치공(37)을 관통하여 너트(39)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안전망지지볼트(38)는 각 일측이 안전망(6)의 폭 방향 양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안전망지지본체(36)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볼트설치공에 결합되어 안전망(6)을 지지할 수 있다. 또는 각 안전망지지볼트(38)를 관통하는 로프와 같은 복수의 선형부재(미도시)의 길이방향 양측이 안전망(6)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구속하면서 상호 매듭되면서 안전망(6)이 안전망지지볼트(38)에 결속될 수 있다.
안전망지지본체(36)는 사각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형관이나 사각 이상의 다각관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볼트설치공과 안전망지지볼트(38)는 도시된 것보다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안전망지지부(30)는 볼트설치공 없이 안전망(6)을 연결할 수 있는 링이나 후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60)은 회동지지축(28)에 대해 나란하도록 가이드공(32)을 관통하는 회동제한축(61)과, 하부가 가설구조물 장착부(11)에 고정설치되고 회동지지축(28)이 양측으로 관통되며 제2힌지결합헤드(31)가 수용되되 안전망지지부(30)의 회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지지부수용공간(67)이 형성되며 회동지지축(28)의 길이방향 양측부 상단에 각각 회동제한축(61)의 일측 또는 타측이 안착되게 지지부수용공간(67)과 연통되게 하방으로 인입되며 안전망지지부(30)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회동제한홈(75)이 형성되는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66)과, 회동지지축(28)과 회동제한축(61)을 연결하여 회동제한홈(75)에 일측부가 수용된 회동제한축(61)을 회동지지축(28) 방향으로 당기는 복수의 탄성당김부재(81)와, 안전망지지부(30) 상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레버(86)와, 조작레버(86)가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66)에 멀어지게 회동 시 회동제한축(61)이 회동제한홈(75)에서 이탈되게 회동제한축(61)과 조작레버(86)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링크(91)를 구비한다.
회동제한축(61)은 원형 바 형상으로, 양측이 제2힌지결합헤드(31)와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96)에 대해 돌출되며 돌출된 양측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걸림홈(62)이 형성된다.
한편, 회동지지축(28)은 양측이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96)에 대해 돌출되며 돌출된 양측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걸림홈(29)이 형성된다.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66)은 상호 볼트(77) 결합되어 제2힌지결합헤드(31)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지지부수용공간(68)과, 제1힌지결합헤드(24)가 고정되는 지지부수용공간(67)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단위하우징부재(71)를 구비한다.
한 쌍의 단위하우징부재(71)는 각각 제2힌지결합헤드(31)의 폭 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수용되어 고정되게 제1힌지결합헤드(24)의 측부형상에 대응되게 인입되되 상하연장부(21)의 길이연장바(22)의 상단이 관통되게 하단 중심측이 하방으로 개방된 제1힌지결합헤드수용부(72)와, 제2힌지결합헤드(31)의 폭 방향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수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고 하단이 제1힌지결하헤드수용부(72)의 상단과 연통되게 인입되되 제2힌지결합헤드(3)가 회동가능하게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제2힌지결합헤드수용부(73)가 각각 형성된다.
지지부수용공간(68)은 한 쌍의 단위하우징부재(71)의 제2힌지결합헤드수용부(73)가 상호 형합되어 형성되며, 지지부수용공간(67)은 한 쌍의 단위하우징부재(71)의 제1힌지결합헤드수용부(72)가 상호 형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탄성당김부재(81)는 양측에 고리가 형성된 용수철 스프링이 적용된다. 복수의 탄성당김부재(81)의 하나는 회동지지축(28)의 일측과 회동제한축(61)의 일측을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회동지지축(28)의 타측과 회동제한축(61)의 타측을 연결한다.
조작레버(86)는 안전망 지지본체(36)의 회동되는 방향의 일측부에 장착된 브라켓(85)을 회동제한축(61)에 나란하게 관통하는 레버회동지지축(90)에 각 일단이 관통되어 브라켓(85)과 안전망지지본체(36)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길이연장플레이트(87)와, 한 쌍의 길이연장플레이트(87)의 타단을 연결하는 핸들플레이트(88)와, 핸들플레이트(88)와 안전망지지본체(36) 사이에 한 쌍의 길이연장플레이트(87)를 여결하는 보강플레이트(89)를 구비한다.
복수의 연결링크(91) 중 하나는 일측이 회동제한축(61)의 일단에 관통결합되고 타측이 회동제한축(61)의 상방에서 회동제한축(61)의 일단과 마주하는 하나의 길이연장플레이트(87)에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연결링크(91) 중 나머니 하나는 일측이 회동제한축(61)의 타단에 관통결합되고 타측이 회동제한축(61)의 상방에서 회동제한축(61)의 타단과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길이연장플레이트(87)에 연결된다.
복수의 연결링크(91)는 길이연장플레이트(8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도 2를 참고하면, 회동제한축(61)이 회동제한홈(75)에 안착 시, 탄성당김부재(81)와 안전망지지부(3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도록 길이연장플레이트(87)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지지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설구조물(1)이 클램프부(12)의 프레임진입홈(13)으로 진입되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지지장치(10)를 위치시킨 후, 가압고정볼트(16)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가설구조물(1)에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한 조작레버(86)를 회동제한홈(75)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제한축(61)을 회동제한홈(75)에 이탈시킨다. 회동제한축(61)이 회동제한홈(75)에 이탈되게 조작레버(86)을 파지한 상태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안전망지지부(30)를 원하는 기울기로 회동시킨 후, 조작레버(86)를 파지해제한다. 조작레버(86)가 작업자에 파지해제되면, 탄성당김부재(81)에 의해 회동제한축(61)이 안잔망지지부(3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의 회동제한홈(75)으로 진입되어 안전망지지부(30)의 회동이 다시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0)는 확보된 공간에 따라 안전망(1)과 가설구조물(1)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용효율이 높으며, 가설구조물(1)에 고정설치한 후에도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30)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 및 관리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10)는 가설구조물장착부(111)와, 안전망지지부(130)와,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160)을 구비한다.
가설구조물 장착부(111)는 가설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클램프부(12)와, 클램프부(12)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121)를 구비한다.
상하연장부(121)는 클램프프레임(13)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길이연장바(22)와, 길이연장바(22)의 상단에 마련되어 안전망지지부(130)와 결합되는 제1힌지결합헤드(124)를 구비한다.
제1힌지결합헤드(124)는 수평연장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양측이 길이연장바(22)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수평연장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이 수용되는 힌지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양측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홈과 연통되며 회동지지축(128)이 관통되는 제1지지축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힌지결합헤드(124)는 일측부에 후술되는 래칫부재(161)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돌기(127)가 형성된다.
한편, 회동지지축(128)은 제1힌지결합헤드(124)와 힌지결합홈으로 진입된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을 수평연장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안전망지지부(130)는 일단이 제1힌지결합헤드(124)의 힌지결합홈에 삽입되어 회동지지축(28)이 관통되며 길이연장된 바 형상의 제2힌지결합헤드(131)와, 일단이 제2힌지결합헤드(131) 내로 삽입결합되는 안전망지지본체(36)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지지부(130)는 본 발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전망지지부(30)의 안전망지지볼트(38)가 결합되는 볼트결합공(37)이 형성된다.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160)은 가설구조물 장착부(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회동지지축(128)이 관통되며 외주면에 안전망지지부(130)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래칫기어돌기(162)가 형성되는 래칫부재(161)와, 안전망지지부(130)의 하부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하단이 래칫기어돌기(162)에 접촉되어 래칫기어돌기(162)에 이격되게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나 타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되어 하단이 래칫기어돌기(162)에 접촉된 상태에서 안전망지지부(130)가 직립되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나 기울기가 적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레버(166)와, 안전망지지부(130)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되게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수용공간(178)이 형성되는 하우징(176)과, 하우징(176) 내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회동제한레버(166)를 래칫기어돌기(162)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타측이 회동제한레버(166)와 접하는 레버 탄성가압부재(181)를 구비한다.
래칫부재(161)는 안전망지지부(30)의 회동방향으로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안전망지지부(130)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곡률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래칫기어돌기(162)는 래칫부재(161)의 상단의 호형곡률 연장선상으로 따라 연속 배열된다.
다수의 래칫기어돌기(162)는 래칫부재(161)의 상단에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되 동일방향으로 편향되게 각각 돌출된다. 회동제한레버(166)가 래칫기어돌기(162)에 접한 상태에서 안전망지지부(130)는 일방향 즉, 직립되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나, 반대방향 즉, 기울기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된다. 앞에서 안전망지지부(130)가 직립되는 방향은 상하연장부(121)에 나란한 방향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안전망지지부(130)가 회동이 제한되는 방향은 가설구조물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방향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110)가 가설구조물(1)에 설치 시 안전망지지부(130)가 기울어지는 방향이다. 이는 안전망(6)에 자재와 같은 낙하물의 하중 인가 시 안전망지지부(130)의 기울기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래칫부재(161)는 회동지지축(128)이 관통되는 제1지지축관통공과 일치하는 제2지지축관통공(163)과, 하단에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돌기관통공(164)이 형성된다.
회동제한레버(166)는 하부가 안전망지지부(130)의 제2힌지결합헤드(131)의 일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하부가 제2힌지결합헤드(131)와 면접하되,하우징(176)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가 안전망지지본체(36)의 측부에 이격되게 절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제한레버(166)는 하부가 래칫기어돌기(162)들 사이로 치합되어 일방향으로 회동되되 반대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되도록, 제2힌지결합헤드(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안전망지지부의 회동방향의 폭이 좁아지되 일면(166a)에 대해 타면(166b)이 인접하도록 편향되게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76)은 안전망지지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지지축(128)의 길이방향 내주면 일측이 수용된 제2힌지결합헤드(131)에 일측에 면접하고, 내추면 타측에 회동제한레버(166)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176)은 양측면 하단이 제1힌지결합헤드(124)에 접촉됨으로써 안전망 지지부(130)가 가설구조물 장착부(111)에 대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한다.
레버 탄성가압부재(181)는 일측이 회동제한레버(166)의 일면(166a)에 접하과 타측이 회동제한레버(166)의 일면(166a)과 마주하는 하우징(176)의 안전망지지부(130)의 회동방향이 내주면에 인입형성된 고정홈(179)에 삽입고정된다.
레버 탄성가압부재(181)는 회동제한레버(166)의 타면(166b)이 하단에 래칫기어돌기(162)에 접촉유지되게 회동제할레버(166)의 일면(166a) 하부를 가압한다.
작업자는 회동제한레버(166)에 회동이 제한된 안전망지지부(13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회동제한레버(166)의 하단이 래칫기어돌기(162)에 이격되게 레버탄성가압부재(181)가 신축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안전망지지부(130)를 원하는 기울기로 회동시킨 후, 파지하고 있는 레버탄성가압부재(181)를 파지해제하여 레버탄성가압부재(181)의 하단이 다시 어느 하나의 래칫기어돌기(162)에 치합되어 기울기가 조절된 안전망지지부(130)가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지지장치(110)는 회동제한레버(166)를 동작시켜 안전망지지부(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되거나, 기울기가 조절된 안전망지지부(1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210)는 가설구조물 장착부(211)와, 안전망지지부(130)와,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260)을 구비한다.
가설구조물 장착부(211)는 가설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클램프부(12)와, 클램프부(12)의 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221)를 구비한다.
상하연장부(221)는 클램프프레임(13)의 타측부에 일측부가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된 길이연장바(22)와, 길이연장바(22)의 상단에 마련되어 안전망지지부(130)와 결합되는 제1힌지결합헤드(224)를 구비한다.
제1힌지결합헤드(224)는 수평연장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양측이 길이연장바(22)와 후술되는 고정기어부재(261)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방으로 개방되고 수평연장프레임(2)의 폭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어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이 수용되는 힌지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양측부를 관통하여 힌지결합홈과 연통되며 회동지지축(128)이 관통되는 제1지지축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힌지결합헤드(224)는 일측부에 후술되는 고정기어부재(261)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돌기(127)가 형성된다.
한편, 회동지지축(128)은 제1힌지결합헤드(124)와 힌지결합홈으로 진입된 안전망지지부(30)의 하단을 수평연장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안전망지지부(130)는 일단이 제1힌지결합헤드(124)의 힌지결합홈에 삽입되어 회동지지축(28)이 관통되며 길이연장된 바 형상의 제2힌지결합헤드(131)와, 일단이 제2힌지결합헤드(131) 내로 삽입결합되는 안전망지지본체(36)와, 안전망지지본체(36)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안전망지지볼트(38)(도2 참조)를 구비한다.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260)은 가설구조물 장착부(1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안전망지지부(130)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이 관통되며 상단 외주면에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기어돌기(262)가 형성되는 고정기어부재(261)와, 안전망지지부(130)에 결합되되, 안전망지지부(130)의 하부와 고정기어부재(261) 및 가설건축물 장착부(111)의 상부가 수용되게 안전망지지부(3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지지부수용공간(277)이 형성되는 하우징(276)과, 안전망지지부(130)의 하부 일측부에 폭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하단이 다수의 상기 기어돌기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치합되는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와,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가 기어돌기(262)에 이격되거나 접촉 유지되게 조절하는 회동 조절레버유닛(270)를 구비한다.
고정기어부재(261)는 안전망지지부(130)의 회동방향으로 폭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안전망지지부(130)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곡률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수의 기어돌기(262)는 고정기어부재(261)의 상단의 호형곡률 연장선상으로 따라 연속 배열된다. 고정기어부재(261)는 회동지지축(128)이 관통되는 제1지지축관통공(미도시)과 일치하는 제2지지축관통공(163)과, 하단에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돌기관통공(164)이 형성된다. 고정기어부재(261)는 다수의 기어(262)가 제1힌지결합헤드(224)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되게 제1힌지결합헤드(224)의 측부에 결합된다.
하우징(276)은 안전망지지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동지지축(128)의 길이방향 내주면 일측이 지지부수용공간(277)에 수용된 제2힌지결합헤드(131)에 일측에 면접하고, 내추면 타측에 회동기어부재(266)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후술되는 회동기어부재 조절유닛(270)의 캠회전축(271)이 관통되는 캠회전축관통공(미도시)과, 탄성가압부재(27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79)이 마주하는 내주면에 형성된다. 하우징(276)은 양측면 하단이 제1힌지결합헤드(124)에 접촉됨으로써 안전망 지지부(130)가 가설구조물 장착부(111)에 대해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한다.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는 각 상부가 안전망지지부(130)의 제2힌지결합헤드(131)의 일측부에 상하로 각각 회동가능하게 축(269) 결합되는데, 하방에 위치한 고정기어부재(261)로 갈수록 상호 멀어지게 경사지게 배치되며 고정기어부재(261)의 상호 다른 기어돌기(262)에 각각 하단이 치합된다.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는 상호 마주하는 측 하단 모서리가 기어돌기(262)에 치합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는 각 상부가 상기 제2힌지결합헤드(131)의 일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로 상호 갈수록 상호 멀어지게 경사지게 연장된 제1연장부(267)과, 제1연장부(267)의 하단과 연결되며 제1연장부(267)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연장부(267)에 돌출되는 일측 하단 모서리 측이 기어돌기(262)들 사이로 치합되는 제2연장부(268)를 각각 구비한다.
제2연장부(268)는 길이방향 타단이 하우징(267)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제1연장부(267)의 일측면(267a) 연장선상에 대해 고정기어부재(26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는 후술되는 회동 조절레버유닛(270)의 탄성가압부재(275)가 회동기어부재(266) 가압 시, 제1연장부(267)의 하단에 의해 상방으로 굴절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회동 조절레버유닛(270)는 회동기어부재(266)들 사이의 안전망지지부(130)를 관통하는 캠회전축(271)과; 하우징(276)의 내주면 양측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회동기어부재(266)를 고정기어부(261)재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각 타측이 마주하는 회동기어부재(266)와 접하는 복수의 탄성가압부재(275)와; 회동기어부재(266)들 사이에 위치되게 캠회전축(271)에 설치되며 캠회전축(271)이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가 동시에 고정기어부재(261)에 이격되게 회동기어부재(266)들을 접촉되는 탄성가압부재(275)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캠(272)과; 하우징(276)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캠회전축(271) 단부에 장착되는 레버(273);를 구비한다.
가압캠(27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들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대응되게 형성된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캠(272)은 캠회전축(271)에 고정설치되어 캠회전축(271)과 함께 회전되면서,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의 하단이 기어톱니(262)와 이격되게 회동기어부재(266)들의 하부들이 상호 멀어지게 밀거나, 복수의 회동기어부재(266)의 하단이 기어톱니(262)에 접촉되도록 한다.
탄성가압부재(275)는 회동기어부재(266)를 가압하여 회동기어부재(266)가 고정기어부재(261)의 상단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탄성가압부재(275)는 일단은 하우징(267)의 고정홈(269)에 설치되고 타측은 회동기어부재(266)의 제2연장부(266b)의 타면에 접촉되어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는 확보된 공간에 따라 안전망(6)과 가설구조물(1)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용효율이 높으며, 가설구조물(1)에 설치한 후에도 안전망(6)이 설치된 안전망지지부(30.130)의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여 관리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가설구조물 10 :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11 : 가설구조물장착부 28 : 회동지지축
30 : 안전망지지부 60 :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
61 : 회동제한축 66 :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
81 : 탄성당김부재 85 : 조작레버
90 : 레버회동지지축 91 : 연결링크

Claims (5)

  1. 건조 또는 건축 작업을 위해 설치된 가설 구조물에 하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설구조물 장착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자재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에 대한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은
    상기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에 대해 나란하도록 상기 안전망지지부에 상기 회동지지축의 길이연장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회동제한축과,
    하부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축이 양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가 수용되되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지지부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지지축의 길이방향 양측부 상단에 각각 상기 회동제한축의 일측 또는 타측이 안착되게 상기 지지부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하방으로 인입되며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회동제한홈이 형성되는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과,
    상기 회동지지축과 상기 회동제한축을 연결하여 상기 회동제한홈에 수용된 상기 회동제한축을 상기 회동지지축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당김부재와,
    상기 안전망지지부 상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회동제한축 지지하우징에 멀어지게 회동 시 상기 회동제한축이 상기 회동제한홈에서 이탈되게 상기 회동제한축과 상기 조작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2. 삭제
  3. 건조 또는 건축 작업을 위해 설치된 가설 구조물에 하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설구조물 장착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자재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에 대한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이 관통되며 상단 외주면에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연속되며 동일방향으로 편향되게 돌출되는 다수의 래칫기어돌기가 형성되는 래칫부재와,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되 하단이 상기 래칫기어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래칫기어돌기에 이격되게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나 타방향으로 회동이 제한되어, 하단이 상기 래칫기어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망지지부가 직립되는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나 기울기가 적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레버와,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가 수용되어 결합되게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회동제한레버를 상기 래칫기어돌기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타측이 상기 회동제한레버와 접하는 레버 탄성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4. 건조 또는 건축 작업을 위해 설치된 가설 구조물에 하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설구조물 장착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자재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망이 설치되는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에 대한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을 제한하거나 제한해제하는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 회동제한유닛은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안전망지지부와 상기 가설구조물장착부를 연결하는 회동지지축이 관통되며 상단 외주면에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회동궤적 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의 기어돌기가 형성되는 고정기어부재와,
    상기 안전망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와 상기 고정기어부재 및 상기 가설구조물 장착부의 상부가 수용되게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지지부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안전망지지부의 하부 일측부에 폭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각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하단이 다수의 상기 기어돌기 중 어느 하나에 치합되는 복수의 회동기어부재와,
    복수의 상기 회동기어부재가 상기 기어돌기에 이격되거나 접촉 유지되게 조절하는 회동 조절레버유닛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절레버유닛은
    복수의 상기 회동기어부재들 사이의 상기 안전망지지부를 관통하는 캠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양측에 일측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동기어부재를 상기 고정기어부재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각 타측이 마주하는 상기 회동기어부재와 접하는 복수의 탄성가압부재와,
    복수의 상기 회동기어부재들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캠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캠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회동기어부재가 동시에 상기 고정기어부재와 이격되게 상기 회동기어부재들을 접촉되는 상기 탄성가압부재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압캠과,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상기 캠회전축 단부에 장착되는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KR1020200128865A 2020-10-06 2020-10-06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KR10223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865A KR102238778B1 (ko) 2020-10-06 2020-10-06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865A KR102238778B1 (ko) 2020-10-06 2020-10-06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778B1 true KR102238778B1 (ko) 2021-04-09

Family

ID=7544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865A KR102238778B1 (ko) 2020-10-06 2020-10-06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2294A (zh) * 2021-11-10 2022-01-28 天津二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高空坠物拦截装置及安装方法
KR102355981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안전 그물망 파이프 설치용 체결브래킷
CN115723900A (zh) * 2022-12-20 2023-03-03 盐城神力制绳有限公司 一种舰船周界防护网及防护夹具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62Y1 (ko) 2001-04-30 2001-10-12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JP2002180658A (ja) * 2000-12-13 2002-06-26 Hasegawa Kogyo Co Ltd 作業台
KR20050076222A (ko) * 2004-01-20 2005-07-26 김진극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200416899Y1 (ko) * 2006-02-15 2006-05-23 주식회사 남신테크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대
KR20080005780U (ko) * 2008-07-07 2008-12-01 이광호 각도조정이 가능한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20090057825A (ko) * 2007-12-03 2009-06-08 권택철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KR20120066482A (ko) * 2010-12-14 2012-06-22 전진욱 현수막 게시 장치
KR101853099B1 (ko) * 2017-09-13 2018-04-27 김석순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0658A (ja) * 2000-12-13 2002-06-26 Hasegawa Kogyo Co Ltd 作業台
KR200238562Y1 (ko) 2001-04-30 2001-10-12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050076222A (ko) * 2004-01-20 2005-07-26 김진극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200416899Y1 (ko) * 2006-02-15 2006-05-23 주식회사 남신테크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대
KR20090057825A (ko) * 2007-12-03 2009-06-08 권택철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KR20080005780U (ko) * 2008-07-07 2008-12-01 이광호 각도조정이 가능한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20120066482A (ko) * 2010-12-14 2012-06-22 전진욱 현수막 게시 장치
KR101853099B1 (ko) * 2017-09-13 2018-04-27 김석순 안전망 설치용 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81B1 (ko) * 2021-07-30 2022-02-08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안전 그물망 파이프 설치용 체결브래킷
CN113982294A (zh) * 2021-11-10 2022-01-28 天津二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高空坠物拦截装置及安装方法
CN113982294B (zh) * 2021-11-10 2022-10-21 天津二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高空坠物拦截装置及安装方法
CN115723900A (zh) * 2022-12-20 2023-03-03 盐城神力制绳有限公司 一种舰船周界防护网及防护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778B1 (ko) 기울기 가변형 안전망 지지장치
US6059266A (en) Recovery device
EP1927707B1 (fr) Dispositif de sécurité appliqué aux appareils de levage de panneaux des plafonds et murs
CN104797758A (zh) 打桩引导装置
JP2008546937A (ja) クライミング型枠のための関節式クライミングプレート
CN113167074A (zh) 伸缩式边缘保护柱
CA2777181C (en) A tilt tower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o ship and assemble a tilt tower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EP2508467B1 (fr) Appareil de levage et de manutention
KR102271893B1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JP7193374B2 (ja) 台棒の取付金具及び当該取付金具を使用した台棒の取り付け方法
EP0338142B1 (en) Stanchion or post
JP2019094713A (ja) 仮設足場用朝顔装置
JP2002281624A (ja) 送電鉄塔の頂上作業用デリック装置
US4955584A (en) Pump jack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JP7094046B2 (ja) 支持装置
KR102050079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체결장치
JP3668475B2 (ja) 屋根作業用安全装置
KR101632352B1 (ko)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US6129225A (en) Microcell module lifting and positioning system
JP6694774B2 (ja) 足場用幅木装置
JP3162625U (ja) 屋根上作業用安全金具
JP2006070572A (ja) チエン長さ調節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