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714B1 - 단열 창호 프레임 - Google Patents

단열 창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714B1
KR102238714B1 KR1020200069075A KR20200069075A KR102238714B1 KR 102238714 B1 KR102238714 B1 KR 102238714B1 KR 1020200069075 A KR1020200069075 A KR 1020200069075A KR 20200069075 A KR20200069075 A KR 20200069075A KR 102238714 B1 KR102238714 B1 KR 102238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heat insulating
insulating member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김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선 filed Critical 김광선
Priority to KR1020200069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714B1/ko
Priority to KR1020210043881A priority patent/KR102643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1 프레임 몸체 및 제2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보다 낮은 열전달율을 가지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단열 부재의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향하는 양 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와 별도로 제조된 후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에 체결된다.

Description

단열 창호 프레임{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창이나 문의 유리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단열 기능을 가지는 단열 창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라 함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 것으로, 외곽 틀을 형성하는 창호 프레임과 창호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유리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창호는 채광 및 통풍을 위해 일반적으로 건물에 다수 설치되므로 창호 프레임의 내구성, 생산 비용 및 단열 성능은 각각 건물의 내구성, 건축 비용 및 단열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창호 프레임의 내구성 개선, 생산 비용 절감 및 단열 성능 개선을 위한 다수의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는 추세이다.
등록특허 10-2098163(2020.04.01.)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단열 창호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1 프레임 몸체 및 제2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보다 낮은 열전달율을 가지는 단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단열 부재의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향하는 양 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와 별도로 제조된 후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 홈이 만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만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의 상기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체결홈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체결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일단은 개방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체결홈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의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단열 부재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사이의 상기 단열 부재보다 외측 영역에 제공되고, 유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직접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향한 끝단으로부터 상기 단열 부재를 향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의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복수개가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몸체는, 상기 일면과, 상기 제1 프레임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일면의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내측 몸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감싸는 제3 면 및 제4 면과, 상기 제3 면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및 상기 제4 면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간에 연결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외측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몸체는 상기 내측 몸체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은 단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된 창호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 몸체에 형성된 체결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 몸체에 형성된 체결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열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 몸체에 형성된 체결홈 및 단열 부재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단열 창호 프레임에 유리홈 커버가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리홈 커버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2 프레임 몸체의 일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유리 고정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단열 창호 프레임에 상롯트 결합 부재가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롯트 결합 부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단열 창호 프레임에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단열 창호 프레임에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이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된 창호(1)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 1000a, 1000b)은 창문용 유리(10) 및 문(30)을 포함하는 창호(1)에 유리(10)의 테두리를 감싸고 유리(10)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21, 22, 22a, 23, 24)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 몸체(1100)에 형성된 체결홈(1010)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은 제1 프레임 몸체(1100), 제2 프레임 몸체(1200) 및 단열 부재(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는 서로 일면(1111, 1211)이 마주보도록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제공된다.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일면(1111, 1211)에는 각각 체결홈(1010)이 각각 형성된다.
체결홈(1010)은 각각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체결홈(1010)의 길이 방향은 각각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체결홈(1010)에는 단열 부재(1300)의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를 향하는 양 끝단이 각각 삽입된다. 체결홈(1010)은 길이 방향에 대한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될 수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가 연통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홈(1010)은 제1 홈(1011) 및 제2 홈(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011)은 각각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일면(1211)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된다. 제2 홈(1012)은 제1 홈(1011)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체결홈(1010)의 길이 방향 및 제1 홈(1011)이 만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만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1012)은 일면(1111, 1211)에 인접한 면 및 일면(1111, 1211)으로부터 먼 면 간의 폭이 만입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제공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끝단이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레임 몸체(1100)는 내측 몸체(1110) 및 외측 몸체(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몸체(111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 제1 면(1112) 및 제2 면(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12) 및 제2 면(1113)은 제1 프레임 몸체(1100)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의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외측 몸체(1120)는 제3 면(1121), 제4 면(1122) 및 타면(1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 및 제4 면(1122)은 각각 제1 면 및 제2 면(1113)을 외측에서 감싼다. 외측 몸체(1120)의 타면(1123)은 제3 면(1121)의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및 제4 면의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간에 연결되는 면이다. 외측 몸체(1120) 및 내측 몸체(1110)가 서로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제3 면(1121) 및 제4 면의 타면(1123)으로부터 먼 끝단에는 일면(1111)의 일부를 덮는 프린지부(1124)가 제공될 수 있다. 외측 몸체(1120)는 내측 몸체(1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내측 몸체(1110)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지 못하도록 내측 몸체(1110)를 감싼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 부재(1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홈(1010)이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홈(1010) 및 단열 부재(130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단열 부재(13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홈(10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 부재(1300)가 체결홈(1010)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 몸체(1120)는 체결홈(1010)에 단열 부재(130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내측 몸체(111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몸체(1110) 및 외측 몸체(1120)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몸체(1120)는 내측 몸체(111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측 몸체(1110)는 강(steel) 재질로 제공되고, 외측 몸체(1120)는 내측 몸체(1110)보다 강도가 높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은 내측 몸체(1110)에 형성되는 볼트홀 및 체결홈(1010) 등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은 쉽고, 창호(도 1의 1)에 설치 시 노출되는 부분은 강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몸체(12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및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면(1211)이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과 서로 마주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 및/또는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일면(1211)에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이 유리(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23, 24)으로 제공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도 11의 삽입홀(1201)과 동일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지는 삽입홀(1201)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 부재(13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보다 낮은 열전달율을 가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열 부재(1300)는 폴리아미드 또는 PVC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단열 부재(13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와는 별도로 제조된 후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단열 부재(13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와는 별도로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 부재(1300)가 액체 상태로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 경화제와 함께 주입되어 경화 공정을 거친 후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가 결합된 부분을 밀링 공정 등을 이용해 절삭하여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를 서로 이격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가 절삭이 쉬우나 단가가 높은 알루미늄 재질이 아닌 알루미늄에 비해 비교적 단가가 낮고, 강도가 높은 강(Steel) 및/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단열 부재(13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를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열 부재(1300)의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를 향하는 양 끝단은 각각 체결홈(1010)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체결홈(10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양 끝단인 일단 및 타단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되고, 단열 부재(1300)는 체결홈(1010)의 개방된 일단이나 타단으로부터 체결홈(10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홈(1010)에 삽입됨으로써,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에 체결될 수 있다. 단열 부재(1300)는 내부에 빈 공간(13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1300)가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빈 공간(1310)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연통되고, 길이 방향에 따른 양 끝단이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빈 공간(1310)에는 단열 부재(1300)의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를 향하는 양 끝단을 연결하는 양 측벽 간을 연결하는 내측벽(1320)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벽(1320)에 의해 빈 공간(1310)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단열 부재(130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단열 부재(13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의 체결홈(1010)에 대응되는 영역 및 단열 부재(1300)를 관통하는 볼트(1330)에 의해 제1 프레임 몸체(1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볼트(1330)는 단열 부재(1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일정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볼트(1330)는 외측 몸체(1120)가 내측 몸체(1110)에 체결되기 전에 단열 부재(1300)가 체결홈(10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사이 공간의 단열 부재(1300)가 제공되는 영역보다 외측 영역 중 적어도 한쪽 영역에는 유리(도 1의 10)의 테두리가 삽입된다.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와 삽입된 유리(도 1의 10)의 테두리 간의 공간은 실리콘 접착제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 몸체(1100)에 형성된 체결홈(101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단열 부재(1300)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홈(1010) 및 단열 부재(1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홈(10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1011)이 만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만입되는 깊이가 깊어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 부재(1300)의 체결홈(1010)에 삽입되는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체결홈(10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도 4의 체결홈(1010)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 몸체(1100)에 형성된 체결홈(1010) 및 단열 부재(1300)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홈(1010)은 일면(1111)으로부터 균일한 폭으로 만입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단열 부재(13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일면(1111)의 체결홈(1010)에 대응되는 영역 및 단열 부재(1300)를 관통하는 볼트(1330)에 의해 제1 프레임 몸체(11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 부재(1300)는 체결홈(1010)에 도 3 또는 도 4의 경우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의 경우, 상술한 각각의 변형된 예에 대응되도록, 제1 프레임 몸체(1100)의 체결홈(1010) 및 단열 부재(1300)의 이에 삽입되는 부분은 도면상 단열 부재(1300)의 중심을 연직 방향으로 지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제2 프레임 몸체(1200)에 형성된 체결홈(1010) 및 단열 부재(1300)의 제2 프레임 몸체(1200)에 형성된 체결홈(1010)에 삽입되는 부분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은 창호(도 1의 1)에서 최상층 수평 프레임(도 1의 21) 및/또는 수직 프레임(도 1의 22 및 22a)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의 각 부분별 치수는 최상층 수평 프레임(도 1의 21)으로 제공되는 경우와 수직 프레임(도 1의 22 및 22a)으로 제공되는 경우 간에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이 최상층 수평 프레임(도 1의 21) 또는 수직 프레임(도 1의 22 및 22a)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유리(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도 10의 지지 부재(1500)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 2 프레임 몸체(1200)에는 삽입홀(120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단열 창호 프레임(1000)에 유리홈 커버(1400)가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유리홈 커버(14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은 유리홈 커버(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이 출입문(도 1의 30)을 둘러싸는 수직 프레임(22a)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사이 공간의 단열 부재(1300)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외측 영역 중 출입문(도 1의 30) 방향을 바라보게 제공되어 유리(도 1의 10)의 테두리가 삽입되지 않고 출입문(도 1의 30)이 열릴 때마다 노출되는 영역은 유리홈 커버(1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리홈 커버(1400)는 커버 몸체(1410) 및 체결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몸체(141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사이 공간을 가린다. 커버 몸체(14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몸체(1410)의 빈 공간은 제1 프레임 몸체(1100)및 제2 프레임 몸체(12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양 끝단이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몸체(14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단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몸체(1410)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단열 효과가 높은 연질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1420)는 커버 몸체(1410)의 제1 프레임 몸체(1100)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를 향하는 양 끝단으로부터 단열 부재(1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체결부(1420)의 끝단에는 일면(1111, 1211) 및 프린지부(1124, 1224) 간에 생기는 단차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걸림 돌기는 유리홈 커버(1400)를 외측에서 단열 부재(1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끝부분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길이가 짧아지도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부(1420)는 PVC 등의 단열 효과가 높은 경질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은 지지 부재(1500) 및/또는 유리 고정 부재(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은 창호(도 1의 1)에 제공되는 유리(도 1의 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도 1의 23 및 24)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이 유리(도 1의 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도면상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지 부재(15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일면(1211a)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5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사이의 단열 부재(1300)보다 외측 영역에 제공되고, 유리(10)의 하부 테두리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1500)는 단열 부재(130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1500)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500)는 지지부(1510), 연장부(1520), 삽입부(1530) 및 걸림부(15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10)는 유리(10)의 테두리를 직접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500)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부(151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a)를 향해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510)가 유리(도 1의 10)의 중량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어느정도 휘어지게 되더라도, 지지부(1510)가 제1 프레임 몸체(1100a)를 향해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리(도 1의 10)가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1520)는 지지부(1510)의 제2 프레임 몸체(1200a)를 향한 끝단으로부터 단열 부재(1300)를 향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1500)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체결된 상태에서, 연장부(1520)의 제2 프레임 몸체(1200a)를 향하는 면은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일면(1211a)에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삽입부(1530)는 연장부(1520)의 끝단으로부터 제2 프레임 몸체(1200a)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1500)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체결된 상태에서, 삽입부(15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홀(1201)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걸림부(1540)는 삽입부(1530)의 연장부(152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부(15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1500)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체결된 상태에서, 걸림부(1540)의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일면(1211a)을 바라보는 면은 일면(1211a)을 포함하는 벽의 반대면에 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라 지지 부재(1500)가 제공되는 경우,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일면(1211a)의 지지 부재(1500)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삽입홀(120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걸림부(1540) 및 삽입부(1530)가 삽입홀(1201)을 통해 순차적으로 삽입되면, 지지부(1510)의 무게에 의해 지지 부재(1500)가 삽입홀(1201)에 삽입된 삽입부(1530)를 중심으로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연장부(1520) 및 걸림부(1540)가 각각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일면(1211a)을 포함하는 벽에 접촉됨으로써, 지지 부재(1500)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체결된다. 삽입홀(1201)은 복수개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도 1의 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제공되는 지지 부재(1500)의 위치 및 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삽입홀(1201)은 단열 부재(1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자는 단열 부재(1300)를 체결홈(1010)에 삽입시 단열 부재(1300)의 양 끝단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보다 편하게 단열 부재(1300)를 체결홈(101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유리 고정 부재(16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2을 참조하면, 유리(도 1의 10)는 유리 고정 부재(1600)가 제1 프레임 몸체(1100a)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 몸체(1100a)로부터 제2 프레임 몸체(1200a) 방향으로 삽입되어 지지 부재(1500)에 안착된다. 이 후, 유리 고정 부재(1600)가 제1 프레임 몸체(1100a)에 체결됨으로써 유리(도 1의 10)가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 고정 부재(1600)가 제공되는 경우, 제1 프레임 몸체(1100a)의 윗부분은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윗부분에 비해 낮은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에 상롯트 결합 부재(1700)가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상롯트 결합 부재(17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은 상롯트 결합 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롯트 결합 부재(1700)에는 상롯트(40)가 체결된다. 예를 들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이 출입문(도 1의 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도 1의 23)으로 제공되는 경우, 출입문(도 1의 30)이 회전되도록 출입문의 상단부분의 축이 연결되는 상롯트(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롯트 결합 부재(1700)가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사이의 상롯트(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롯트 결합 부재(1700)는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사이에 제1 프레임 몸체(1100a)의 외측 몸체의 프린지부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외측 몸체의 프린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사이에 위치된 상롯트 결합 부재(17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고정될 수 있다.
단열 창호 프레임(1100a)의 상술한 구성, 구조 및 기능 외의 특징들은 도 2의 단열 창호 프레임(1100)의 구성, 구조 및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창호 프레임(1000b)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단열 부재(1300)는 도면상을 기준으로 제1 프레임 몸체(1100b)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b)의 높이가 길어지게 되는 경우, 제1 프레임 몸체(1100b)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b)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b)이 창호(도 1의 1)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되는 수평 프레임(도 1의 24)으로 제공되는 경우, 출입문(도 1의 30)의 하단 프레임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제1 프레임 몸체(1100b)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b)가 다른 수평 프레임(도 1의 21, 23) 또는 수직 프레임(도 1의 22)에 비해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게 제공되면 그 길이에 따라 단열 부재(1300)의 수가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단열 창호 프레임(1000b)의 상술한 구성, 구조 및 기능 외의 특징들은 도 9의 단열 창호 프레임(1000a)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3의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에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1800)이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1 브라켓(181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2 브라켓(182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단열 창호 프레임(1000a)이 창호(도 1의 1)에서 수평 프레임(도 1의 21, 23, 24)으로 제공되는 경우,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1800)을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22)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1800)은 제1 브라켓(1810) 및 제2 브라켓(1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810) 및 제2 브라켓(1820)은 수직 프레임(도1의 22, 22a)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수직 프레임(도1의 22, 22a)과 체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810) 및 제2 브라켓(182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810) 및 제2 브라켓(1820)은 제1 프레임 몸체(1100a)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810)은 유리 고정 부재(1600)가 제공되어 상부의 높이가 제2 프레임 몸체(1200a)에 비해 낮게 제공되는 제1 프레임 몸체(1100a)에 적용된다. 제1 브라켓(1810)은 제1 프레임 몸체(1100a)의 수직 프레임(도1의 22, 22a)이 연결되는 끝단 측에 내부로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1810)은 몸체부(1811) 및 볼트홀부(181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811)는 제1 프레임 몸체(1100a)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프레임 몸체(1100a)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볼트홀부(1812)는 볼트홀을 형성한다. 볼트홀부(1812)는 몸체부(1811)의 내측면에 제공된다. 수직 프레임(도1의 22, 22a)을 관통한 볼트는 볼트홀부(1812)의 볼트홀에 삽입된다. 볼트홀부(1812)는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의 직경에 따라 볼트홀의 직경이 변경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820)은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수직 프레임(도1의 22, 22a)이 연결되는 끝단 측에 내부로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브라켓(1820)은 몸체부(1821) 및 볼트홀부(18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821)는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프레임 몸체(1200a)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볼트홀부(1822)는 볼트홀을 형성한다. 볼트홀부(1822)는 몸체부(1821)의 내측면에 제공된다. 수직 프레임(도1의 22, 22a)을 관통한 볼트는 볼트홀부(1822)의 볼트홀에 삽입된다. 볼트홀부(1822)는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의 직경에 따라 볼트홀의 지경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의 단열 창호 프레임(1000b)에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1800)이 체결된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몸체(1100b)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b)의 높이에 따라 제1 프레임 몸체(1100b) 및 제2 프레임 몸체(1200b)에 제2 브라켓(1820)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1820)은 도 2의 단열 창호 프레임(1000)의 제1 프레임 몸체(1100)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1000a, 1000b: 단열 창호 프레임
1100, 1100a, 1100b: 제1 프레임 몸체
1300: 단열 부재 1400: 유리홈 커버
1500: 지지 부재 1600: 유리 고정 부재
1700: 상롯트 결합 부재 1800: 수평 프레임 체결 브라켓

Claims (5)

  1. 서로 일면이 마주보도록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1 프레임 몸체 및 제2 프레임 몸체;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서로 이격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보다 낮은 열전달율을 가지는 단열 부재; 및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사이의 상기 단열 부재보다 외측 영역에 제공되고, 유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단열 부재의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향하는 양 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체결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와 별도로 제조된 후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직접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향한 끝단으로부터 상기 단열 부재를 향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 몸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의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삽입부 및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복수개가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열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몸체를 향해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는,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프레임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일면의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내측 몸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감싸는 제3 면 및 제4 면과, 상기 제3 면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및 상기 제4 면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간에 연결되는 타면과,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상기 타면으로부터 먼 끝단으로부터 상기 체결홈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까지 상기 일면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는 프린지부를 포함하는 외측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몸체는 상기 내측 몸체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공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일면의 프린지부에 덮히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는 단열 창호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제1 홈이 만입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만입되는 제2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 부재의 상기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체결홈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체결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일단은 개방되고,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체결홈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 몸체 및 상기 제2 프레임 몸체에 체결되는 단열 창호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의 상기 일면의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단열 부재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 몸체에 고정되는 단열 창호 프레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몸체는,
    상기 일면과, 상기 제1 프레임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일면의 양 끝단으로부터 각각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내측 몸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감싸는 제3 면 및 제4 면과, 상기 제3 면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및 상기 제4 면의 상기 일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 간에 연결되는 타면을 포함하는 외측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몸체는 상기 내측 몸체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공되는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0200069075A 2020-06-08 2020-06-08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238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075A KR102238714B1 (ko) 2020-06-08 2020-06-08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0210043881A KR102643432B1 (ko) 2020-06-08 2021-04-05 단열 창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075A KR102238714B1 (ko) 2020-06-08 2020-06-08 단열 창호 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81A Division KR102643432B1 (ko) 2020-06-08 2021-04-05 단열 창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714B1 true KR102238714B1 (ko) 2021-04-09

Family

ID=754439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075A KR102238714B1 (ko) 2020-06-08 2020-06-08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0210043881A KR102643432B1 (ko) 2020-06-08 2021-04-05 단열 창호 프레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881A KR102643432B1 (ko) 2020-06-08 2021-04-05 단열 창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8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777B1 (ko) * 2021-05-26 2021-11-16 금산씨엔씨(주) 창틀용 기능성 밀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213B1 (ko) * 2012-08-30 2012-12-31 (주)영남유리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20150125496A (ko) * 2014-04-30 2015-11-09 (주)두린 고정창 단열구조
KR20160007463A (ko) * 2015-12-29 2016-01-20 곽재문 단열 창호프레임
KR102098163B1 (ko) 2019-11-27 2020-04-07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197B1 (ko) * 2015-08-04 2016-06-14 주식회사 선우시스 커튼월 유닛 및 커튼월 유닛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213B1 (ko) * 2012-08-30 2012-12-31 (주)영남유리 단열기능을 가진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20150125496A (ko) * 2014-04-30 2015-11-09 (주)두린 고정창 단열구조
KR20160007463A (ko) * 2015-12-29 2016-01-20 곽재문 단열 창호프레임
KR102098163B1 (ko) 2019-11-27 2020-04-07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777B1 (ko) * 2021-05-26 2021-11-16 금산씨엔씨(주) 창틀용 기능성 밀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74A (ko) 2021-12-15
KR102643432B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241B1 (ko) 단열 창문틀
KR101077492B1 (ko)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765525B1 (ko) 커튼월의 다중 단열결합구조
KR200440844Y1 (ko) 유리 취부용 프레임
KR20090119404A (ko) 단열 구조를 갖는 출입문
KR101554922B1 (ko) 구조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시스템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296504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프로젝트창 구조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238714B1 (ko) 단열 창호 프레임
KR101763160B1 (ko) 커튼월 어셈블리
US20180223589A1 (en) Insulating door and frame
KR101763154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20150083194A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947016B1 (ko) 커튼 월
KR101600585B1 (ko) 단열 도어조립체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117278B1 (ko)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200487651Y1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KR101384134B1 (ko) 고 기밀성 단열 창호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200474464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976731B1 (ko) 결로 방지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H11280339A (ja) 断熱サッシの上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