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163B1 - 창호프레임 - Google Patents

창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163B1
KR102098163B1 KR1020190153935A KR20190153935A KR102098163B1 KR 102098163 B1 KR102098163 B1 KR 102098163B1 KR 1020190153935 A KR1020190153935 A KR 1020190153935A KR 20190153935 A KR20190153935 A KR 20190153935A KR 102098163 B1 KR102098163 B1 KR 10209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front side
groove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수
최수복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to KR102019015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06B1/528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with ducts for cable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리드선 등의 배선의 간편한 교체보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을 개폐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개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덮개프레임의 전측이 걸림고정되는 고정부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호프레임{Window frame}
본 발명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리드선 등의 배선의 간편한 교체보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을 개폐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개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덮개프레임의 전측이 걸림고정되는 고정부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무공해이며 무한의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미래의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고, 현재에는 태양광 발전소나 건축물, 자동차 등의 발전 전력을 얻는데 이용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은 다양한 응용분야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태양전지를 건축물의 외피 마감재로 사용하는 건물 일체화(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기술은 21세기 유망 신기술로서 근래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건물 일체화 기술은 기존의 건축물 외피를 단순히 외적 자극에 대한 보호의 개념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에너지 창출의 도구로 발전시킨 적극적인 기술로서, 태양전지 수급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어 기존의 태양전지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이중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태양전지를 건축물 외장재로 이용한 것 중 하나가 태양전지를 창호 시스템에 결합한 창호형 태양전지이며,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기판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견디면서 기판 사이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창호형 태양전지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857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8575호 등으로 제안된 태양전지를 유리창에 구비하여 이용할 경우, 태양전지셀의 리드선의 정결한 정리를 위해 태양전지셀의 리드선이 창호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관계로 상기 리드선의 훼손 시 훼손된 상기 리드선의 교체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85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리드선 등의 배선의 간편한 교체보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을 개폐하는 상기 덮개프레임의 개폐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덮개프레임의 전측이 걸림고정되는 고정부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창호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내에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연결되고, 전측에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측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후측판과; 상기 후측판의 상부에서 상기 후측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전측판과; 상기 전측판의 하부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측판과 상기 전측판 사이에 상기 후측판 방향으로 볼록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바닥판의 상부면에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서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후측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내에 수용되는 후측연결판과; 상기 안착판의 전측에 상기 안착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부 전측에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측이 연결되는 전측연결판과; 상기 후측연결판과 상기 전측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의 상부면에서 상기 안착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연장판 사이 및 상기 연장판과 상기 전측연결판 사이에 각각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홈은 상기 연장판과 상기 전측연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홈과;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연장판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덮개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홈을 폐쇄하는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의 하부 전측에서 상기 전측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측홈에 끼움고정되는 전측끼움부재와, 상기 폐쇄판의 하부 후측에서 상기 후측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측홈에 끼움고정되는 후측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덮개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폐쇄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폐쇄유지부의 전측끼움부재의 내측과 후측끼움부재의 내측에 각각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장판의 상부에서 상기 전측연결판의 상부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 및 상기 전측연결판의 상부 후측에서 상기 연장판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폐쇄유지부의 전측끼움부재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상기 돌출부재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 전측에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에 상기 덮개프레임의 전측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프레임의 하부면 전측에 상기 단차홈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후측에 걸림고정홈이 형성되는 걸림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하부 전측에 하부 후측에 각각 전측슬릿과 후측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슬릿 주변의 하부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측에 통로가 형성되며, 후측에 걸림돌기가 상부에 형성된 확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고정판의 걸림고정홈에 걸림고정되는 승강작동구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를 수직통과한 상태로 상기 승강작동구의 통로에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고 하부가 상기 관통구 주변의 상기 케이스의 하부부위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의 하부를 안착지지한 상태로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슬릿과 후측슬릿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마감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전측에 형성되는 제 1단차홈과, 상기 제 1단차홈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차홈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 2단차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의 케이스는 상기 제 2단차홈에 안착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측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하부가 상기 제 1단차홈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판부재는 상기 걸림고리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측에서 상기 전측슬릿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측슬릿에 삽입되는 전측판과; 상기 지지판의 후측에서 상기 후측슬릿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후측슬릿에 삽입되는 후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감판부재의 전측판은 상기 지지판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중간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하부전측판과; 상기 하부전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판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중간전측판과; 상기 중간전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판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전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과 상기 고정부의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단차홈에 위치고정시키고, 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차홈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측과 마주보는 상기 단차홈의 내면부위에 일체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부의 케이스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에 위치고정시키고, 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차홈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덮개프레임의 전측을 상하회전이동시켜 프레임의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된 리드선 등의 배선의 간편한 교체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프레임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배선을 교체보수하는 과정 중에 상기 덮개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너무 쉽게 상기 프레임을 폐쇄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의 홈에 구비되는 폐쇄유지부를 통해 상기 덮개프레임이 외력에 의해 너무 쉽게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을 폐쇄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과 고정부의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위치고정부를 통해 상기 덮개프레임의 전측이 걸림고정되는 상기 고정부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호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덮개프레임이 프레임을 개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프레임을 개방한 상기 덮개프레임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덮개프레임이 프레임을 폐쇄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덮개프레임과 프레임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프레임으로부터 덮개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절개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절개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덮개프레임이 원터치방식으로 프레임을 개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위치고정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0은 위치고정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고,
도 21은 위치고정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3은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호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호프레임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덮개프레임(20), 가이드프레임(30) 및 연결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는 개방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프레임(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수평구비된다.
상기 덮개프레임(20)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개폐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후측에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내측에 가이드홈(30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의 후측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가이드홈(301)내에 수용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전측에는 상기 덮개프레임(20)의 후측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40)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판(310), 후측판(320), 상부판(330), 전측판(340), 가이드돌기(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31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후측에 상기 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320)은 상기 바닥판(310)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3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330)은 상기 후측판(320)의 상부에서 상기 후측판(3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340)은 상기 상부판(330)의 전측에서 상기 바닥판(3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350)는 상기 전측판(350)의 하부에 상기 바닥판(310)의 상부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320)과 상기 전측판(340) 사이에 상기 후측판(320)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상기 가이드홈(30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착판(410), 후측연결판(420), 전측연결판(430), 연장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41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바닥판(310)의 상부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후측연결판(420)은 상기 안착판(410)의 후측에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가이드홈(3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30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판(430)은 상기 안착판(410)의 전측에 상기 안착판(4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판(430)의 상부 전측에 상기 덮개프레임(20)의 후측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440)은 상기 후측연결판(420)과 상기 전측연결판(4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410)의 상부면 중심부에서 상기 안착판(4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전측판(340)과 상기 연장판(440) 사이 및 상기 연장판(440)과 상기 전측연결판(430) 사이에 각각 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덮개프레임이 프레임을 개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연장판(440)의 상부 후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상부판(330)의 상부에 접하고(도 6의 P1 참조.),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전측판(340)의 전측면 상부가 상기 전측판(340)의 전측면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안착판(410)의 상부면 부위와 접하면서(도 6의 P2 참조.)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후측방향으로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로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프레임을 개방한 상기 덮개프레임의 개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은 외력에 의해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방향으로 하강하려 하는 과정 중에,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상부판(330)의 전측이 상기 연장판(440)의 전측면의 반대측인 후측면 중간부와 접하면서(도 7의 P3 참조.)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를 더더욱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덮개프레임이 프레임을 폐쇄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40)의 후측연결판(42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가이드돌기(350)가 서로 접할 수 있도록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개방한 상기 덮개프레임(20)을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을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을 상하회전이동시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인입된 리드선 등의 배선(미도시)의 간편한 교체보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배선(미도시)을 교체보수하는 과정 중에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외력에 의해 너무 쉽게 상기 프레임(10)을 폐쇄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덮개프레임과 프레임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가이드홈(301)과 상기 연결프레임(40)의 후측연결판(420)의 용이한 결합 및 분리를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바닥판(310)의 상부면에 경사면(3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60)은 상기 바닥판(310)의 후측에서 전측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측연결판(420)은 상기 경사면(360)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상기 경사면(360)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가이드홈(301)내로 수용될 수 있다.
도 11은 프레임으로부터 덮개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측연결판(420)은 상기 경사면(36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상기 경사면(360)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가이드홈(30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의 홈(450)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홈(451)과 후측홈(4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홈(451)은 상기 연장판(440)과 상기 전측연결판(4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홈(452)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전측판(340)과 상기 연장판(4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프레임(20)이 외력에 의해 너무 쉽게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개방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폐쇄유지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쇄유지부(50)는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폐쇄유지부(50)는 고무 재질 등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폐쇄판(510), 전측끼움부재(520) 및 후측끼움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가스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쇄판(510)은 상기 홈(45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30)의 전측판(340)과 상기 덮개프레임(20)의 후측 사이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홈(450)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전측끼움부재(520)는 상기 폐쇄판(510)의 하부 전측에서 상기 전측홈 (451)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측홈(451)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끼움부재(530)는 상기 폐쇄판(510)의 하부 후측에서 상기 후측홈(452)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측홈(452)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폐쇄유지부(50)의 전측끼움부재(520)의 내측과 후측끼움부재(530)의 내측에 각각 중공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부(540)로 인해 상기 전측홈(451)과 상기 후측홈(452)에 각각 상기 전측끼움부재(520)와 후측끼움부재(530)를 끼움고정하는 과정 중에 상기 전측끼움부재(520)의 형상과 후측끼움부재(530)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 상기 전측홈(451)과 상기 후측홈(452)에 각각 상기 전측끼움부재(520)와 후측끼움부재(530)를 보다 용이하게 끼움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40)은 돌출부재(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6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440)의 상부에서 상기 전측연결판(430)의 상부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460)는 상기 전측연결판(430)의 상부 후측에서 상기 연장판(440)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유지부(50)의 전측끼움부재(52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는 상기 돌출부재(460)의 하부면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550)가 상기 전측끼움부재(520)의 전측방향 및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돌기(550)로 인해 상기 폐쇄유지부(50)가 상기 연결프레임(40)의 상부방향으로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전측에 단차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홈(110)은 제 1, 2단차홈(111, 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전측에는 상기 단차홈(110)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프레임(120)이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프레임(120)은 제 1, 2단차프레임(121, 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차프레임(121)의 전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내주면 중간부에 일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차프레임(121)의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단차프레임(121)의 후측은 상기 제 1단차프레임(121)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단차프레임(121)의 내측에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제 1단차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차프레임(122)의 전측은 상기 제 1단차프레임(121)의 후측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차프레임(122)의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단차프레임(122)의 후측은 상기 제 2단차프레임(122)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차프레임(122)의 내측에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제 2단차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차홈(112)은 상기 제 1단차홈(11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차홈(111)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에 일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에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을 상기 프레임(10)의 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프레임(20)의 하부면 전측에는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걸림고정판(2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210)은 상기 덮개프레임(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210)의 후측 중간부에는 걸림고정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일부절개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일부절개결합사시도이다.
상기 고정부(6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2 내지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610), 승강작동구(620), 걸림고리(630) 및 마감판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푸쉬래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는 상기 케이스(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전측슬릿(611)과 후측슬릿(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슬릿(611) 주변의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 전측 부위에 상기 전측슬릿(6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관통구(6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10)는 상기 제 2단차홈(112)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작동구(620)는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621)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작동구(620)의 전측에 통로(6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작동구(620)의 후측에는 1개의 확개편(623)이 형성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확개편(623)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고정판(210)의 걸림고정홈(211)에 걸림고정되는 1개의 걸림돌기(6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리(630)가 상기 케이스(610)의 관통구(613)를 수직통과한 상태로 상기 승강작동구(620)의 통로(622)에 상기 걸림고리(63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리(630)의 상부는 상기 통로(622)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리(630)의 하부는 상기 걸림고리(630)의 상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되어 상기 관통구(613) 주변의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부위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작동구(620)의 승강과정 중에 상기 걸림고리(630)의 상부는 상기 통로(62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작동구(620)와 걸림고리(630)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602577호를 통해 널리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마감판부재(640)가 상기 걸림고리(630)의 하부를 안착지지한 상태로 상기 마감판부재(64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슬릿(611)과 후측슬릿(61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부재(640)는 지지판(641), 전측판(642) 및 후측판(6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641)은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에 수평구비되어 상기 걸림고리(641)가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고리(641)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측판(642)은 상기 지지판(641)의 전측에서 상기 전측슬릿(611)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측슬릿(61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 전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643)은 상기 지지판(641)의 후측에서 상기 후측슬릿(612)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후측슬릿(61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610)의 내부 후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판부재(640)가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방향으로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감판부재(640)의 전측판(642)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전측판(642a), 중간전측판(642b) 및 상부전측판(64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전측판(642a)은 상기 지지판(641)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판(64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측판(642b)은 상기 하부전측판(642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전측판(642b)은 상기 지지판(64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판(641)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판(642c)은 상기 중간전측판(642b)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전측판(642c)은 상기 지지판(64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판(641)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마감판부재(640)의 전측판(642)과 후측판(643)이 상기 전측슬릿(611)과 후측슬릿(612)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판부재(640)는 탄성력을 지닌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판부재(640)의 탄성력 향상을 위해 상기 하부전측판(642a)의 중간부에 관통구(64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마감판부재(640)를 분리하여 상기 걸림고리(630), 상기 탄성부재(621) 및 상기 승강작동구(620)를 보다 간편하게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5는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610)가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610)의 전측에 상기 케이스(6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고정판(6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600)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6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단차홈(110)의 제 1단차홈(111)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덮개프레임이 원터치방식으로 프레임을 개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을 상기 덮개프레임(2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부방향으로 원터치방식으로 가압할 경우,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60)의 승강작동구(620)가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덮개프레임(20)의 걸림고정판(210)의 걸림고정홈(211)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624)가 걸림해제 될 수 있다.
도 18은 위치고정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60)의 케이스(610)가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에 유동되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70)는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고정부(60)의 케이스(610)의 후측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위치고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70)를 이룰 수 있는 위치고정판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0)의 케이스(610)의 전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판(600)이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전측 내주면에 보다 강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위치고정부(70)를 이룰 수 있는 위치고정판의 전측에 경사면(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710)은 상기 단차홈(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에 1개의 상기 고정부(60)와 1개의 위치고정부(70)가 구비되거나 복수의 상기 고정부(60)와 복수의 상기 위치고정부(70)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은 위치고정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위치고정부(70)를 이룰 수 있는 위치고정판은 일예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의 후측과 상기 고정부(60)의 케이스(610)의 후측 사이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 상기 케이스(610)의 후측과 마주보는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의 후측 내면부위에 상기 위치고정부(70)를 이룰 수 있는 위치고정판이 일체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은 위치고정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결합단면도이다.
또는, 또 다른예로서,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60)의 케이스(610)의 후측에 상기 위치고정부(70)를 이룰 수 있는 위치고정판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예의 상기 위치고정부(70)를 이룰 수 있는 위치고정판의 후측에 경사면(7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710)은 상기 단차홈(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차홈(110)의 제 2단차홈(112)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도 23은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프레임(10)의 후측에는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유리부재(3)가 구비될 수 있다.
10; 프레임, 20; 덮개프레임,
30; 가이드프레임, 40; 연결프레임.

Claims (15)

  1. 상부가 개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후측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내에 수용되는 후측연결판, 상기 안착판의 전측에 상기 안착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부 전측에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측이 연결되는 전측연결판과, 상기 후측연결판과 상기 전측연결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판의 상부면에서 상기 안착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연장판 사이 및 상기 연장판과 상기 전측연결판 사이에 각각 홈이 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2.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 전측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측이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프레임과;
    상기 덮개프레임의 하부면 전측에 상기 단차홈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후측에 걸림고정홈이 형성되는 걸림고정판과;
    하부 전측에 하부 후측에 각각 전측슬릿과 후측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슬릿 주변의 하부부위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측에 통로가 형성되며 후측에 걸림돌기가 상부에 형성된 확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고정판의 걸림고정홈에 걸림고정되는 승강작동구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구를 수직통과한 상태로 상기 승강작동구의 통로에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고 하부가 상기 관통구 주변의 상기 케이스의 하부부위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의 하부를 안착지지한 상태로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슬릿과 후측슬릿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마감판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단차홈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프레임의 전측을 상기 프레임의 전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구비되고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내에 후측이 수용된 상태로 연결되고, 전측에 상기 덮개프레임의 후측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 후측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후측판과;
    상기 후측판의 상부에서 상기 후측판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전측판과;
    상기 전측판의 하부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측판과 상기 전측판 사이에 상기 후측판 방향으로 볼록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바닥판의 상부면에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서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홈은 상기 연장판과 상기 전측연결판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홈과;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연장판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덮개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홈을 폐쇄하는 폐쇄판과, 상기 폐쇄판의 하부 전측에서 상기 전측홈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측홈에 끼움고정되는 전측끼움부재와, 상기 폐쇄판의 하부 후측에서 상기 후측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측홈에 끼움고정되는 후측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덮개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폐쇄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유지부의 전측끼움부재의 내측과 후측끼움부재의 내측에 각각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장판의 상부에서 상기 전측연결판의 상부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 및 상기 전측연결판의 상부 후측에서 상기 연장판의 상부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폐쇄유지부의 전측끼움부재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상기 돌출부재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창호프레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전측에 형성되는 제 1단차홈과, 상기 제 1단차홈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차홈의 상부 후측에 형성되는 제 2단차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의 케이스는 상기 제 2단차홈에 안착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측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하부가 상기 제 1단차홈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부재는 상기 걸림고리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측에서 상기 전측슬릿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전측슬릿에 삽입되는 전측판과;
    상기 지지판의 후측에서 상기 후측슬릿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후측슬릿에 삽입되는 후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부재의 전측판은 상기 지지판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중간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하부전측판과;
    상기 하부전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판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중간전측판과;
    상기 중간전측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판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전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과 상기 고정부의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단차홈에 위치고정시키고, 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차홈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측과 마주보는 상기 단차홈의 내면부위에 일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케이스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프레임의 단차홈에 위치고정시키고, 후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단차홈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프레임.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53935A 2019-11-27 2019-11-27 창호프레임 KR10209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35A KR102098163B1 (ko) 2019-11-27 2019-11-27 창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35A KR102098163B1 (ko) 2019-11-27 2019-11-27 창호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163B1 true KR102098163B1 (ko) 2020-04-07

Family

ID=7029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935A KR102098163B1 (ko) 2019-11-27 2019-11-27 창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714B1 (ko) 2020-06-08 2021-04-09 김광선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332486B1 (ko) * 2021-02-24 2021-12-01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575A (ko) 2009-08-18 2011-02-24 주식회사 엘티에스 창호형 태양전지
KR101809520B1 (ko) * 2017-03-23 2017-12-15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배선처리가 용이한 창틀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575A (ko) 2009-08-18 2011-02-24 주식회사 엘티에스 창호형 태양전지
KR101809520B1 (ko) * 2017-03-23 2017-12-15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배선처리가 용이한 창틀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714B1 (ko) 2020-06-08 2021-04-09 김광선 단열 창호 프레임
KR20210152374A (ko) 2020-06-08 2021-12-15 김광선 단열 창호 프레임
KR102332486B1 (ko) * 2021-02-24 2021-12-01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163B1 (ko) 창호프레임
CN101606293B (zh) 用于太阳能模块的端子接线箱
KR102382575B1 (ko) 태양광 블라인드 전기 커넥터 연결구조
KR102164582B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KR20180131749A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KR101315272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창호
KR101457149B1 (ko) 지붕고정형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N108544966B (zh) 一种便于安装与检修的充电桩
KR102302062B1 (ko) 건축물 마감재용 태양광모듈조립체
CN106801490B (zh) 一种双玻太阳能组件式房屋防水层
KR102016285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연결구조
KR100680052B1 (ko) 유리창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KR101513233B1 (ko) 지붕고정형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CN212968239U (zh) 一种带夜灯的卡扣式插座面板
US8375715B2 (en) Energy converter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power
CN211743791U (zh) 一种滑动开合式光伏发电并网箱
CN203821655U (zh) 可拆卸光伏幕墙
CN109150073A (zh) 一种太阳能瓦片
CN219780048U (zh) 一种光伏支架装置及光伏发电系统
KR100928077B1 (ko) 태양전지 모듈 고정장치
CN218731984U (zh) 一种ip54防护等级插座
CN111446919B (zh) 一种光伏逆变器的固接系统
CN212005598U (zh) 一种太阳能路灯控制器安装组件
CN211088616U (zh) 一种能源柱
CN110995129B (zh) 一种智能型光伏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