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486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486B1
KR102332486B1 KR1020210025055A KR20210025055A KR102332486B1 KR 102332486 B1 KR102332486 B1 KR 102332486B1 KR 1020210025055 A KR1020210025055 A KR 1020210025055A KR 20210025055 A KR20210025055 A KR 20210025055A KR 102332486 B1 KR102332486 B1 KR 10233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power generation
coupl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영
노회윤
김규헌
정희섭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실 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루버창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에 태양광 발전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개별적인 발전패널에 문제가 발생해서, 발전패널, 및 배선 등을 교환, 수리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개선된 태양광발전 루버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Photovoltaic Louver Window With Improved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실 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루버창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에 태양광 발전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개별적인 발전패널에 문제가 발생해서, 발전패널, 및 배선 등을 교환, 수리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개선된 태양광발전 루버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창은 프레임 내에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차양날개가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고, 레버의 조작을 통해 상기 차양날개를 틸팅시켜가며 차광과 차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루버창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31565호(공개일 2016.11.16)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루버창은 단순히 햇빛을 차단해주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추가적인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한편, 최근 환경오염 및 화석에너지 고갈 문제 등으로 인하여, 환경 친화형 대체 에너지원 개발 및 미래 에너지원의 다원화 등이 국제적인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태양 에너지를 활용한 태양전지가 미래의 유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또한 태양전지가 저가화되면서 관련 세계 시장 규모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은 주택의 지붕이나 아파트 베란다의 난간대에 별도의 구조물을 통해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설치 비용이 필요하고, 이러한 태양광 발전용 구조물에 의해 건물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건물의 외벽에 다수의 슬랫을 설치시켜 차양을 하는 루버시스템은 현대 차양의 가장 선진화된 형태로 건물의 냉난방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루버시스템은 건물 외벽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에 폭이 좁으면서, 길이가 긴 판체 형상의 슬랫을 등 간격으로 설치시키고, 이들 슬랫에 구동장치를 연결시켜 다수의 슬랫을 회동시켜 차양을 하는 구조이다.
이의 구성을 부언해서 설명하면, 규격이 다양한 장방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지는 루버; 상기 프레임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져 그 일측으로 돌출된 핸들로서 루버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루버들 중 정중간에 위치한 브라켓의 회동 샤프트에는 회동캡 대신에 휠과 결합되고, 상기 휠에는 후술되는 핸들의 핸들 샤프트가 끼움 고정될 수 있게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 대신 루버시스템에 모터를 구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다수의 루버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근래에 와서 아파트에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됨에 따라 실외기를 설치하는 공간이 생기게 되었고, 실외기에서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응축기에서 변환시킬 때 액화열을 방출하게 되므로 열을 방열하기 위하여 루버시스템이 각호마다 1~2개실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루버시스템 설치되어 햇빛을 받는 면적을 환기에만 사용하는 것은 낭비여서 루버에 태양광모듈을 부착하여 발전하여 루버시스템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루버시스템에서 발전된 전력을 일정한 곳에서 모아 공공전기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이 도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발전루버창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광발전루버창의 경우, 개별 블레이드에 부착된 발전패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루버창 전체를 분해하거나 혹은 다시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리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작업자가 공구만으로 수리를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거나, 혹은 실외기실 등에 태양광발전루버창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작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실외기실 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루버창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에 태양광 발전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개별적인 발전패널에 문제가 발생해서, 발전패널, 및 배선 등을 교환, 수리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개선된 태양광발전 루버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태양광발전루버창으로서,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지지프레임; 상기 관통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관통홀 각각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발전패널을 구비하는 복수의 발전블레이드모듈;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의 일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선커버; 상기 배선커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배선와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발전패널은 상기 프레임배선와이어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는, 태양광발전루버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하측에 하측결합홈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측결합홈이 형성되는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상기 하측결합홈에 일단이 고정되는 발전패널; 상기 발전패널의 타단을 감싸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상기 상측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패널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대하여 탈착함으로써, 상기 발전모듈을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측면에 상기 결합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요소를 구비하고, 상면에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커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의 상기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는 발전패널; 상기 결합홀 내부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제2블레이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양광발전루버창은, 상기 프레임배선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선커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배선와이어; 및 상기 블레이드배선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플레이트형태의 제1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평행하는 플레이트형태의 제2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발전패널; 상기 발전패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접속와이어; 및 상기 패널접속와이어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접속단자 및 상기 패널접속와이어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접속단자는 상기 배선접속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의 일단에는 제1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일부에는 제2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3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에는 상기 제1결합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제1프레임결합홈, 상기 제2결합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후크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제3결합후크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의 일단에는 제3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배선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후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탈착될 수 있는 커버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커버의 타단에는 커버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배선커버가 결합하는 부분에는 상기 커버후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후크가 탈착할 수 있는 제2프레임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선커버에는 공구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삽입홀에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배선커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선커버가 상기 상기 커버결합홀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선커버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패널 각각은 상기 발전블레이드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발전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블레이드에 부착된 발전패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실외기실 등에 태양광발전루버창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발전패널의 배선 접속해제, 발전패널의 교체, 배선연결, 배선수리 등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태양광발전루버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측단면도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블레이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블레이드모듈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측단면도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과 발전패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패널이 블레이드프레임에 삽입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패널이 결합프레임에 의하여 블레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루버창의 단면도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블레이드모듈의 회전 메커니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에 블레이드지지프레임 및 제1블레이드커버가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을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을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 내부에서의 배선의 접속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는 메인프레임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제1블레이드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는 메인프레임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제1블레이드커버 및 제2블레이드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 블레이드지지프레임, 및 배선커버의 결합된 단면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은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을 메인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는 배선커버를 메인프레임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혹은 '~모듈'등은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할 수 있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측단면도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효율이 개선된 태양광발전루버창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000); 상기 관통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0)에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결합되고, 발전패널(2100)을 구비하는 1 이상의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1 이상의 제2발전블레이드모듈(2000.2), 및 1 이상의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태양광발전루버창은 에어컨 실외기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0)에는 상기 관통부의 상측에 환기구(30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환기구(3000)는 세대의 전열교환기의 배기 및 흡기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A)는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닫혔을 때의 형태를 도시하고, 도 2의 (B)는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회전개방 되었을 때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2의 (B)는 에어컨 등이 동작하여 외부와 환기실 사이의 유체흐름이 발생하여야 하는 상황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회전은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지만, 전동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전동식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시간 혹은 태양의 고도 등에 따라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발전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태양광발전루버창은 실외에 접하는 측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제2발전블레이드모듈(2000.2),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은 순서가 반복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예를들어,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제2발전블레이드모듈(2000.2),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제2발전블레이드모듈(2000.2),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 -(후략)- 의 형태로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태양광발전루버창은 실내에 접하는 측에 해당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은 회전가능하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메인프레임(1000)에 결합되는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발전패널(2100)이 결합되는 형태에 해당한다.
상기 발전패널(2100)은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측을 향하여 상기 블레이드본체에 결합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패널(2100)은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결합되어 있고, 발전패널(2100)과 블레이드프레임(2200)가 결합된 어셈블리의 양단에 블레이드결합부(2300)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결합부(2300)에는 블레이드회전축으로 기능할 수 있는 축결합요소(23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축결합요소(2310)가 전술한 메인프레임(1000)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축결합요소(2310)에 따른 중심축을 중심으로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회전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은, 하측에 하측결합홈(2170)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측결합홈(2160)이 형성되는 블레이드프레임(2200);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상기 하측결합홈(2170)에 일단이 고정되는 발전패널(2100); 상기 발전패널(2100)의 타단을 감싸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상기 상측결합홈(2160)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패널(2100)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2400); 및 상기 발전패널(2100)에 접속되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과 상기 발전패널(2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패널접속단자(2120);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하측에는 볼록홈형태의 하측체결부(218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프레임(2400)의 상측에는 상측체결부(2410)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두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에 있어서, 상측의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하측체결부(2180)가 하측의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상측체결부(2410)에 체결될 수 있다.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모두 닫히는 경우(즉, 수직상태로 되는 경우), 인접한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상호 체결되어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서, 외부와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회전축(A)은 도 5에서와 같이 축결합요소(2310)의 중심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발전패널(2100)의 중심은 도 5에서와 같은 발전패널(2100)의 단면에서 길이방향 중심에 해당할 수 있다.
패널접속와이어(2110)는 상기 발전패널(2100)이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와이어에 해당한다. 서로 상하로 인접한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에 구비되어 있는 발전패널(21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이는 패널접속와이어(2110)가 프레임 내부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발전블레이드모듈의 내부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2200)과 발전패널(2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의 (A)는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도시한다. 블레이드프레임(2200)은 전체적으로 발전패널(2100)이 외면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부재(2110)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120)에 전체적으로 평행하는 형태를 갖는 제2프레임부재(2120)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는 하측에 하측결합홈(2170)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측결합홈(21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전패널(2100)은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상기 하측결합홈(2170)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은 상기 발전패널(2100)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접속와이어(2110); 및 상기 패널접속와이어(211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접속단자(2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은 플레이트형태의 제1프레임부재(2110)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평행하는 플레이트형태의 제2프레임부재(212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접속단자(2120) 및 상기 패널접속와이어(2110)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2110)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발전패널(2100)의 배선을 보호하면서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접속단자(2120)는 프레임측 배선과 연결되는 상기 배선접속단자(6100)와 결합될 수 있고, 이런 방식으로 복수의 발전패널(21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양단에는 상측결합홀(2140) 및 하측결합홀(2150)이 제1프레임부재(2110)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2120)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측결합홀(2140) 및 하측결합홀(2150)에 결합돌기(2330)가 삽입됨으로써, 블레이드결합부(2300)와 블레이드프레임(220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패널(2100)이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삽입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하측결합홈(2170)에 상기 발전패널(2100)의 하단부를 삽입한다. 이후, 도 8의 (B)에서와 같이 발전패널(2100)은 살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측으로 전체적으로 밀착시킨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패널(2100)이 결합프레임(2400)에 의하여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결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의 (B)에서와 같이 발전패널(2100)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 상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발전패널(2100)의 타단을 감싸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상기 상측결합홈(2160)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패널(2100)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2400)에 의하여 상기 발전패널(2100)의 상단부가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2400)은 압출된 부재로서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상기 결합프레임(2400)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대하여 탈착함으로써, 상기 발전모듈을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구조에서는 개별적인 발전패널(2100)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별도의 작업 없이 결합프레임(2400)을 제거하고, 발전패널(2100)을 교환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의 단면도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태양광발전루버창은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상기 관통홀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고,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도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압출된 형태의 부재임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및 상기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은 각각 상기 결합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요소(2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의 축결합요소(2310) 및 상기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의 축결합요소(2310)는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링크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의 회전과 상기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의 회전이 상호 연동된다.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블레이드결합부(2300)는 측면에 상기 결합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요소(2310)를 구비하고, 상면에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2330)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커버(2320);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는 제1블레이드커버(2320)의 상기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2330)에 상응하는 상측결합홀(2140) 및 하측결합홀(21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2330)들이 상기 상측결합홀(2140) 및 하측결합홀(2150)에 삽입되어,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블레이드프레임(2200)(도 10에는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결합부(2300)는 상기 결합홀 내부에 결합돌기(23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제2블레이드커버(2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블레이드커버(2340)가 상기 결합돌기(2330)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커버(2340)에 상기 결합돌기(2330)의 위치에 상응한 위치에 형성된 피스홀에 대해 피스 혹은 볼트를 삽입하고, 피스 혹은 볼트가 상기 결합돌기(233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결합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블레이드커버(2340)가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요소(2310)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결합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축결합요소(2310)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결합부(2300) 및 발전패널(2100) 등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상호 연동되기 위하여, 상기 축결합요소(2310)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에 후크 방식 등으로 결합된다. 또한, 복수의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적인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크(1300)에 결합한다.
따라서,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크(1300) 중 1 이상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가 회전함으로써, 복수의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는 상기 제1연결링크(1200) 및 상기 제2연결링크(1300)에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링크결합돌기(1110)가 형성되어 있고(도 10에서는 링크결합돌기(1110)가 상기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크(1300) 안으로 결합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및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에 연결된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에는 1 이상의 링크결합돌기(1110)가 형성되고, 형성된 링크결합돌기(1110)가 상기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크(1300)에 형성된 링크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 및 복수의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의 회전을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회전 메커니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의 축결합요소(2310) 및 상기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의 축결합요소(2310)는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링크에 체결되어, 상기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의 회전과 상기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의 회전이 상호 연동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결합부(2300.1, 2300.2, 2300.3)에 연결된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에는 링크결합돌기(미도시, 블레이드모듈결합부의 보이지 않는 면으로부터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트(!300)측으로 돌출되어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블레이드결합부(2300.1), 제2블레이드결합부(2300.2), 및 제3블레이드결합부(2300.3)의 블레이드모듈결합부(1100)의 링크결합돌기(미도시)는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크(1300) 중 1 이상에 삽입되어 있다.
도 11의 (B) 및 (C)에서와 같이 제1연결링크(1200) 및 제2연결링크(1300) 중 1 이상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1블레이드결합부(2300.1) 및 제2블레이드결합부(2300.2), 제3블레이드결합부(2300.3)이 이동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00)에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 및 제1블레이드커버(2320)가 결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루버창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000);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상기 관통부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 상기 관통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관통홀 각각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결합되고, 발전패널(2100)을 구비하는 복수의 발전블레이드모듈(2000)(도 12에서 일부 미도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일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선커버(7000)(도 12에서 미도시); 상기 배선커버(7000),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배선와이어(6300);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발전패널(2100)은 상기 프레임배선와이어(6300)에 의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도면은 배선커버(7000) 및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에서 블레이드결합부(2300) 외의 구성을 제외한 형태를 도시한다.
발전패널(2100)의 패널접속단자(2120)는 배선접속단자(6100), 블레이드배선와이어(6200), 및 프레임배선와이어(6300)를 통하여 다른 발전패널(2100)의 패널접속단자(2120)와 접속한다. 한편, 배선접속단자(6100), 및 블레이드배선와이어(6200)는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2120)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가 되고, 블레이드배선와이어(6200)는 상기 배선커버(7000)(도 12의 (A)에서는 미도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배선와이어(6200)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결합하는 축결합요소(2310)의 중공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에 해당한다.
상기 블레이드배선와이어(6200)의 일단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접속단자(6100)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배선접속단자(6100)가 상기 패널접속단자(2120)와 접속하는 형태로 발전패널(21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반면, 유지보수시에는 간단히 배선접속단자(6100)와 패널접속단자(2120)의 결합을 해제하고, 간단히 발전패널(2100)을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은, 플레이트형태의 제1프레임부재(2110)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평행하는 플레이트형태의 제2프레임부재(2120);를 포함하는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발전패널(2100)이 결합된다.
상기 패널접속단자(2120)는 상기 배선접속단자(61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의 (B)에는 배선커버(7000)를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 및 메인프레임(1000)에 결합시켜 프레임배선와이어(6300)를 내부에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보수시, 사용자는 배선커버(7000)만을 부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배선수리, 발전패널(2100)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블레이드결합부(23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우선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프레임(2200)에 결합프레임(2400), 및 발전패널(21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상측결합홈(2160) 및 하측결합홈(2170)에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형성된 결합돌기(2330)가 삽입되도록,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결합한다.
이후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다른 단부측도 마찬가지로 결합돌기(2330)에 상측결합홈(2160) 및 하측결합홈(2170)을 넣어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결합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블레이드결합부(23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의 (A)는 블레이드프레임(2200)의 양단이 양단부측에 위치하는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다. 이
후, 도 14의 (B)에서와 같이 제2블레이드커버(2340)를 제1블레이드커버(2320)와 결합시키고, 피스, 볼트 등을 이용하여 제2블레이드커버(2340)를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결합시킨다.
분해는 전술한 조립의 역순으로 수행하면된다. 따라서, 내부의 발전패널(2100)에 이상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블레이드커버(2340)를 분리하고,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꺼낸 후에, 블레이즈프레임에 결합된 결합프레임(2400)을 분리함으로써, 간단하게 발전패널(2100)을 발전블레이드모듈(2000) 전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프레임(2200) 내부에서의 배선의 접속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제외한 도면에 해당한다. 전술한 제1프레임부재 및 제2프레임부재(2120) 사이의 공간에서 패널접속와이어(2110), 패널접속단자(2120), 배선접속단자(6100), 및 블레이드배선와이어(6200)가 위치하게 되고, 패널접속단자(2120)와 배선접속단자(6100)가 상호 접속됨으로써, 발전패널(2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6는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제1블레이드커버(2320)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은, 측면에 상기 결합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요소(2310)를 구비하고, 상면에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2330)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커버(23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블레이드커버(2320)의 상기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2330)에 블레이드프레임(2200)(25에서는 미도시)의 상응하는 결합홀이 결합된다.
도 16에서와 같이, 제1블레이드커버(2320)는 측면에 커버측면부재(232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측면부재(2320.1)에 축결합요소(2310)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축결합요소(231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짐으로써, 컴팩트한 구조에서 전술한 배선이 축결합요소(2310)의 중공을 통해 배선커버(7000) 내부와 외부로 연결될 수 있고,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회전에 대해 배선이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회전축(A1)은 제1발전블레이드모듈(2000.1)의 회전축에 해당하고, 제2회전축(A2)은 제2발전블레이드모듈(2000.2)의 회전축에 해당하고, 제3회전축(A3)은 제3발전블레이드모듈(2000.3)의 회전축에 해당한다.
도 17는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에서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제1블레이드커버(2320) 및 제2블레이드커버(2340)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블레이드결합부(2300)는 상기 결합홀 내부에 결합돌기(23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프레임(2200)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2320)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제2블레이드커버(2340)를 포함한다.
제2블레이드커버(2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커버(2320)의 결합돌기(2330)에 대해 결합이 되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프레임(2200)이 제1블레이드커버(23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간단한 공구로 제2블레이드커버(2340)를 개방하는 경우, 블레이드프레임(2200), 발전모듈 어셈블리를 제1블레이드커버(23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00),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 및 배선커버(7000)의 결합된 단면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일단에는 제1결합후크(5100)가 형성되어 있고, 일부에는 제2결합후크(5200)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3결합후크(5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후크(51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제1프레임결합홈(15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후크(52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후크지지부(15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이 메인프레임(10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및 해제는 별도의 기계 장비 없이 간단한 공구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에는 상기 제1결합후크(51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1프레임결합홈(1500),
(5000)의 상기 상기 제2결합후크(5200)가 결합될 수 있는 후크지지부(1510), 및 배선커버(7000)의 일부와 결합되는 제2프레임결합홈(15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선커버(7000)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 제3결합후크(5300)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일단에는 제3결합후크(5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배선커버(7000)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후크(530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탈착될 수 있는 커버결합홀(71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커버(7000)의 타단에는 커버후크(72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상기 배선커버(7000)가 결합하는 부분에는 상기 커버후크(720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후크(7200)가 탈착할 수 있는 제2프레임결합홈(152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 사용자는 간단한 공구로, 전체구조에서 배선커버(7000)를 분리하고, 필요시,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도 메인프레임(1000)에서 분리함으로써, 내부 배선, 발전블레이드모듈(2000)의 수리, 교체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공구만으로 상기 발전패널(2100) 각각은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2000)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발전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배선커버(7000)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발전패널(2100), 배선 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실외기실 등에 설치된 태양광발전루버창 전체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문제가 있는 부분만을 수리, 혹은 교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9은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을 메인프레임(10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제1결합후크(5100)를 메인프레임(1000)의 제1프레임결합홈(1500)에 결합시키고,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제2결합후크(5200)를 메인프레임(1000)의 후크지지부(1510)에 결합시킨다.
이후, 도 19의 (B)에서와 같이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의 일부에 형성된 피스홀에 피스를 체결함으로써,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을 메인프레임(10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0는 배선커버(7000)를 메인프레임(1000)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커버(7000)에는 공구삽입홀(75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오 같은 상태에서, 도 20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공구삽입홀(7500)에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배선커버(7000),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선커버(7000)가 상기 커버결합홀(7100)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선커버(7000)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50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배선커버(7000)를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고, 배선커버(7000) 내부의 배선을 변경, 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태양광발전루버창으로서,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관통부의 양 내측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결합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지지프레임;
    상기 관통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관통홀 각각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결합되고, 발전패널을 구비하는 복수의 발전블레이드모듈;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의 일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선커버;
    상기 배선커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배선와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발전패널은 상기 프레임배선와이어에 의하여 상호 접속되고,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측면에 상기 결합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요소를 구비하고, 상면에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커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의 상기 1 이상의 돌출된 결합돌기에 상응하는 결합홀이 형성된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대하여 결합되는 발전패널;
    상기 결합홀 내부에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 상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을 상기 제1블레이드커버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제2블레이드커버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루버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하측에 하측결합홈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측결합홈이 형성되는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상기 하측결합홈에 일단이 고정되는 발전패널;
    상기 발전패널의 타단을 감싸고,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상기 상측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패널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대하여 탈착함으로써, 상기 발전패널을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루버창.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루버창은,
    상기 프레임배선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선커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배선와이어; 및
    상기 블레이드배선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선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플레이트형태의 제1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평행하는 플레이트형태의 제2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블레이드프레임;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에 결합되는 발전패널;
    상기 발전패널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접속와이어; 및
    상기 패널접속와이어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접속단자 및 상기 패널접속와이어는 상기 제1프레임부재 및 상기 제2프레임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접속단자는 상기 배선접속단자와 결합될 수 있는, 태양광발전루버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의 일단에는 제1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일부에는 제2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3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에는 상기 제1결합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제1프레임결합홈, 상기 제2결합후크가 결합될 수 있는 후크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제3결합후크에 의하여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는, 태양광발전루버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의 일단에는 제3결합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배선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후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탈착될 수 있는 커버결합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커버의 타단에는 커버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기 배선커버가 결합하는 부분에는 상기 커버후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후크가 탈착할 수 있는 제2프레임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광발전루버창.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선커버에는 공구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구삽입홀에 공구가 삽입되어, 상기 배선커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 및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배선커버가 상기 상기 커버결합홀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배선커버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태양광발전루버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패널 각각은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발전블레이드모듈은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블레이드지지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태양광발전루버창.







KR1020210025055A 2021-02-24 2021-02-24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KR10233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55A KR102332486B1 (ko) 2021-02-24 2021-02-24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055A KR102332486B1 (ko) 2021-02-24 2021-02-24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486B1 true KR102332486B1 (ko) 2021-12-01

Family

ID=7893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055A KR102332486B1 (ko) 2021-02-24 2021-02-24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471B1 (ko) * 2022-04-22 2023-07-31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태양광 패널을 갖는 루버창용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465A (ja) * 2002-05-17 2003-11-28 Taisei Corp ルーバ型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4814Y1 (ko) * 2009-02-24 2011-07-2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회전접이식 현관방충망
KR101206467B1 (ko) * 2012-01-26 2012-11-29 주식회사 에너솔라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102098163B1 (ko) * 2019-11-27 2020-04-07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프레임
KR102181471B1 (ko) * 2018-12-24 2020-11-2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6465A (ja) * 2002-05-17 2003-11-28 Taisei Corp ルーバ型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4814Y1 (ko) * 2009-02-24 2011-07-28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회전접이식 현관방충망
KR101206467B1 (ko) * 2012-01-26 2012-11-29 주식회사 에너솔라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102181471B1 (ko) * 2018-12-24 2020-11-2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KR102098163B1 (ko) * 2019-11-27 2020-04-07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창호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471B1 (ko) * 2022-04-22 2023-07-31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태양광 패널을 갖는 루버창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48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JP2014022408A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及び、建物
KR102330708B1 (ko) 발전패널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JP6028430B2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
CN105239704A (zh) 一种多功能绿色集成幕墙系统
KR102587367B1 (ko) 스마트 융복합 건물 외피 모듈러 시스템
KR100795172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가동형 이중외피시스템
KR102390070B1 (ko)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 시스템
CN203257308U (zh) 太阳能光伏发电遮阳百叶
KR102421976B1 (ko)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용 발전블레이드모듈
KR102460661B1 (ko) 발전효율이 개선된 태양광발전 루버창
KR200374308Y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100628982B1 (ko) 자동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102334510B1 (ko)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JP6872874B2 (ja) 建物
US6478072B1 (en) Solar screen mounting for an awning window
CN110739626B (zh) 一种电力工程用散热性电力柜
KR10229801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일체형 루버 시스템
KR20210111571A (ko)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KR101243383B1 (ko) 태양광발전 겸용 이중창호
KR102476637B1 (ko) 창호 일체형 루버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11502523A (zh) 遮阳装置及建筑物
KR20110017586A (ko) 버티컬 블라인더
KR20040085963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력공급장치
CN201188293Y (zh) 防雨前维修超薄型室外led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