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459B1 -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459B1
KR102238459B1 KR1020190031776A KR20190031776A KR102238459B1 KR 102238459 B1 KR102238459 B1 KR 102238459B1 KR 1020190031776 A KR1020190031776 A KR 1020190031776A KR 20190031776 A KR20190031776 A KR 20190031776A KR 102238459 B1 KR102238459 B1 KR 10223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notification
unit
signal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998A (ko
Inventor
이정록
송치영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3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158Devices to detect overheating or boiling with a single control element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기 포트는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출수 커맨드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유량을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을 도과되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ELECTRIC POT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정확한 온도의 음식물 제공이 가능한 전기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포트는 사용자에게 가열된 음용수 등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포트는 물 등을 저장하는 내통부와, 내통부에 저장된 물 등이 유동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배관부를 갖는다. 전기 포트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소정의 온도로 신속하게 가열한 후, 음식물을 배출시킬 때, 전기 포트 내의 각 부분에 따라서 온도가 다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온도의 음식물 공급을 위해서, 소정의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빠르게 음식물을 식힌 후 공급시킬 때에도, 각 부분의 음식물의 온도가 다름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고온 또는 저온의 음식물이 공급되거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한 음식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음식물이 정확한 온도로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유아용 전기 포트의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예컨대 정확한 온도를 갖는 물, 또는 분유가 제공되지 아니하여 유아가 화상을 입거나,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아는 정해진 시간마다 취식을 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취식 시간을 놓치는 등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하는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전기 포트는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출수 커맨드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유량을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을 도과되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은 점등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점등부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빛을 이용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커에 출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리을 이용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부는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녹음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알림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제1 시간으로써 상기 알림 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부는 시간 레벨과 알림 시간과의 대응 정보를 갖는 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시간 레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써 상기 시간 레벨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은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시간 레벨로써 아기의 개월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개월 수에 대응하는 상기 알림 시간이 도과한 후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저장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의 물을 제1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시간을 도과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에 가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내통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은 출수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수 커맨드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유량을 출수하는 단계, 상기 출수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과되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이 도과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알림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으로써 상기 알림 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기 포트는 타이머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출수 시기를 알려줄 수 있고,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출수를 통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간 테이블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포트(10)는 제어 회로(100), 입력부(200), 밸브부(310), 동력부(320), 알림부(400), 가열부(500). 내통부(610), 바디부(620), 노즐바디(710), 노즐부(720), 지지부(730), 내부 유로부(740) 및 관통공(750)을 포함할 수 있고, 바디부(620)는 캡부(621) 및 메인 바디(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는 입력부(200)로부터 수신한 외부의 커맨드(예를 들면, 사용자의 출수 커맨드, 사용자의 알림 시간 입력)등에 대응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200)는 외부(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고, 커맨드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 터치 스크린, 게이징 바, 컨트롤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310) 및 동력부(320)는 제어 회로(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밸브부(310) 및 동력부(320)는 출수부를 구성할 수 있다. 밸브부(310)는 가변 밸브로 구성되어 일단이 내부 유로부(740)에 연결되고,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유로부(740)로부터 출수되는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동력부(320)는 메인 바디(622) 내에 내장되고,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펌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320)는 제어 신호(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배출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내부 유로부(740)를 통해 외부로 음식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는 내통부(610) 내의 음식물의 미리 결정된 유량이 노즐부(720)를 통해 배출되는 출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는 밸브부(310)를 작동시켜서 밸브부(310)가 내부 유로부(740)와 노즐부(720) 사이를 개방하고, 동력부(320)의 펌핑 장치가 적절한 시간동안 소정의 펌핑 압력을 제공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내통부(610) 내의 유체 형태의 음식물은 미리 결정된 유량만큼 내통부(610), 내부 유로부(740), 밸브부(310) 및 노즐부(7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제어 회로(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부(400)는 사용자에게 재알림 시간이 도래되었음을 알릴 수 있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서 일정한 시간마다 재출수를 통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가열부(500)는 제어 회로(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내통부(610) 내의 음식물을 결정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바디부(620)는 전기 포트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620)는 내통부(610)가 수납될 수 있는 메인 바디(622), 및 상기 메인 바디(622)를 개폐할 수 있는 캡부(6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622)에는 내통부(610)가 내부에 탑재될 수 있는 탑재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바디(622) 내부에는 내부 유로부(740), 밸브부(310), 노즐부(720), 동력부(320), 가열부(500) 및 제어 회로(800)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622)의 일 측 상부에는 노즐부(720)가 노출될 수 있는 노즐 바디(710)가 마련되며, 상기 노즐 바디(710)의 하부에는 물컵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지지부(730)가 마련될 수 있다.
캡부(621)는 메인 바디(622)의 탑재 공간 내의 내통부(610)를 덮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캡부(621)는 메인 바디(622)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내통부(610)는 상기 메인 바디(622) 내에 탑재된다. 내통부(610)는 내부에 음식물 및 세척액 유체 등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을 갖는다. 내통부(610)는 가열부(500) 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어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에 적합하도록 열 전달율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세균 번식이 방지되기에 적합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내통부(610)의 바닥면에는 내부 유로부(740)와 연결되는 관통공(750)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유로부(740)는 내통부(610)와 연결되며, 내통부(610)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부재이다. 내부 유로부(740)의 일 단은 내통부(6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75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내부 유로부(74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내통부(610)의 측부를 따라서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유로부(740)의 타단은 밸브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720)는 밸브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720)는 노즐 바디(710)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방향으로 노출되어 내부 유로부(740)를 따라서 전달된 유체 등이 노즐부(7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포트(10)는 제어 회로(100), 입력부(200), 출수부(300) 및 알림부(4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회로(100)는 제어부(110) 및 타이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부(300)는 도 1에서 상술한 밸브부(310) 및 동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CMD_WD)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출수 커맨드(CMD_WD)는 사용자가 출수를 위해 입력부(200)에 신호를 발생기키기 위해 수행하는 각종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입력부(200)는 출수 커맨드(CMD_WD)에 대응하여 출수 신호(Sig_WD)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출수부(300)에 배출 신호(Sig_Wo)를 출력할 수 있고, 출수부(300)는 외부로 내통부(도 1, 610)에 저장되어 있던 음식물(Wt)의 미리 결정된 유량을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출 신호(Sig_Wo)와 함께 카운팅 신호(Sig_Ct)를 타이머부(120)에 출력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카운팅 신호(Sig_Ct)에 대응하여 출수부(300)의 출수 동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과하면, 알림부(400)에 알림 신호(Sig_Nt)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알림 신호(Sig_Nt)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Nt)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알림 정보(Nt)은 빛의 형태로 출력되거나 소리의 형태로 출력되거나 전파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기 포트(10)는 출수 동작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위한 알림 정보(Nt)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알림 정보(Nt)에 따라서 재출수를 통한 음식물의 조리를 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기 포트(10)가 유아의 수유에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알림 정보(Nt)에 따라서 정해진 시간마다 유아에 대한 수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어부(110)의 카운팅 신호(Sig_Ct)에 따라 타이머부(120)가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이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타이머부(120)는 출수부(300)의 출수 동작이 완료되거나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경과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포트(10)는 외부(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출수 커맨드(CMD_WD)를 수신하면(S110), 미리 결정된 유량의 음식물을 배출하는 출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0). 전기 포트(10)는 출수 동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S130),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을 도과하는 경우(S140),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S150).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세하게는 도 4a는 소리로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리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빛으로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리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c는 전파로써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리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기 포트(10)는 제어 회로(100), 입력부(200), 출수부(300) 및 스피커(41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카운팅 신호(Sig_Ct)에 기초한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과하면, 스피커(410)에 알림 신호(Sig_Nt)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알림 신호(Sig_Nt)는 미리 녹음된 재생 파일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알림 신호(Sig_Nt)는 부저음을 출력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데이터 값일 수 있다.
스피커(410)는 알림 신호(Sig_Nt)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스피커(410)는 미리 녹음된 재생 파일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멘트(예를 들면, "재알림 시간입니다.")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스피커(410)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부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기 포트(10)는 제어 회로(100), 입력부(200), 출수부(300) 및 점등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카운팅 신호(Sig_Ct)에 기초한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과하면, 점등부(420)에 알림 신호(Sig_Nt)를 출력할 수 있다.
점등부(420)는 빛을 낼 수 있는 광원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알림 신호(Sig_Nt)는 광원 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으로써 역할 할 수 있다. 점등부(420)는 알림 신호(Sig_Nt)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점등부(420)는 미리 결정된 출수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점등부(420)는 광원 소자에 전원을 반복하여 인가함으로써 깜빡거리는 빛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기 포트(10)는 제어 회로(100), 입력부(200), 출수부(300) 및 무선 통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는 카운팅 신호(Sig_Ct)에 기초한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도과하면, 무선 통신부(430)에 알림 신호(Sig_Nt)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30)는 공중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각종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hip), MODEM(Modulator-Demodulator),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알림 신호(Sig_Nt)는 각종 무선 통신 장치에 입력으로서 인가되는 입력 신호으로써 역할 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30)는 알림 신호(Sig_Nt)에 대응하여 사용자 기기(MD)에게 무선 통신 신호(Nt)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MD)는 무선 통신 신호(Nt)에 대응하여 출수 시간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면, "출수 시간 입니다.")를 팝업 창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기 포트(10)와 사용자 기기(MD)는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기기(MD)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랩탑(Lap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리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리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포트(10a)는 제어 회로(100a) 및 입력부(200a)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100a)는 제어부(110a) 및 타이머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a)는 외부(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알림 시간 정보(IN_wt)을 수신하고, 알림 시간 신호(Sig_wt)를 제어부(110a)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a)는 상기 알림 시간 정보(IN_wt)에 대응하는 알림 시간(T_Nt)을 타이머부(120a)에 출력할 수 있다. 타이머부(120a)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을 알림 시간(T_Nt)으로 업데이트하고, 출수부의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알림 시간(T_Nt)을 도과하는 경우, 알림부에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포트(10a)는 외부로부터 알림 시간 정보(IN_wt)를 수신하고(S210), 이후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전기 포트(10a)는 출수 동작을 수행하고,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S230). 전기 포트(10a)는 경과 시간이 알림 시간(T_Nt)을 도과하면(S240),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S250).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5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기 포트(10b)는 제어 회로(100b) 및 입력부(200b)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100b)는 제어부(110b), 타이머부(120b) 및 메모리(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0b)는 외부(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시간 레벨 정보(IN_tl)을 수신하고, 시간 레벨 신호(Sig_tl)를 제어부(110b)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b)는 상기 시간 레벨 정보(IN_tl)에 대응하는 시간 레벨(TL_w)을 타이머부(120b)에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30b)는 시간 테이블(Tbl_T)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30b)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NAND), 수직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Vertical NAND;VNAND), 노아 플래시 메모리(NOR Flash Memory), 저항성 램(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RRAM), 상변화 메모리(Phase-Change Memory;PRAM), 자기저항 메모리(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M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정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SRAM), 동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DRAM), 래치(Latch), 플립플롭(Flip-Flop), 레지스터(Register)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부(120b)는 메모리(130b)로부터 시간 테이블(Tbl_T)을 수신하고, 시간 테이블 및 시간 레벨(TL_w)을 기초로 알림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부(120b)는 결정된 알림 시간을 기초로 알림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출수부의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결정된 알림 시간을 도과하는 경우, 알림부에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간 테이블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130b)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간 테이블(Tbl_T)을 저장할 수 있다. 시간 테이블(Tbl_T)은 시간 레벨과 알림 시간과의 대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시간 레벨(TL1)은 제1 알림 시간(T1)에 대응되므로, 외부로부터 제1 시간 레벨(TL1)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타이머부(120b)는 경과 시간이 제1 알림 시간(T1)을 도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시간 레벨은 아이의 개월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사용자는 아이의 개월 수를 전기 포트(10b)에 입력할 수 있고, 전기 포트(10b)는 미리 결정된 시간 테이블(Tbl_T)에 기초하여 아이의 개월 수에 대응되는 알림 시간만큼 도과한 이후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기 포트(10b)는 외부로부터 시간 레벨 정보(IN_tl)를 수신하고(S310), 시간 테이블(Tbl_T)로부터 시간 레벨 정보(IN_tl)_에 대응하는 알림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S310). 전기 포트(10b)는 이후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를 수신하고(S330), 이에 대응하여 전기 포트(10b)는 출수 동작을 수행한 후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S340). 전기 포트(10b)는 경과 시간이 알림 시간을 도과하면(S350),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S360).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 포트(10c)는 제어 회로(100c), 입력부(200c), 출수부(300c), 알림부(400c) 및 가열부(500c)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회로(100c)는 제어부(110c) 및 타이머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CMD_WD)를 수신하면 상술한 방식에 따라서, 타이머부(120c)는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타이머 부(120c)는 경과 시간으로써 미리 결정된 제2 시간(t2)이 도과되면, 가열부(500c)에 가열 신호(Sig_Ht)를 출력할 수 있고, 가열부(500c)는 이에 기초하여 내통부의 음식물을 가열(Ht)할 수 있다. 타이머 부(120c)는 경과 시간으로써 미리 결정된 제1 시간(t1)이 도과되면, 알림부(400c)에 알림 신호(Sig_Nt)를 출력할 수 있고, 알림부(400c)는 외부에 알림 정보(Nt)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을 위한 제2 시간(t2)은 알림을 위한 제1 시간(t1)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500c)는 출수부(300c)의 출수 동작(Wt)이 완료된 이후에는 음식물에 대한 가열을 수행하지 않고, 타이머부(120c)로부터 가열 신호(Sig_Ht)를 수신한 이후에 음식물에 대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10c)는 사용자가 출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출수로부터 제2 시간(t2)까지의 구간에서는 음식물에 대한 가열을 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이후 재출수가 필요한 제1 시간(t1)까지 음식물을 가열한 후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Nt)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시간(t2)은 제1 시간(t1)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제2 시간(t2)은 음식물의 온도를 미리 결정된 목표 온도까지 제1 시간(t1) 내에 도달시킬 수 있는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 포트(10c)는 외부(예를 들면, 사용자))로터 출수 커맨드(CMD_WD)를 수신하면(4110), 미리 결정된 유량의 음식물을 배출하는 출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420). 전기 포트(10c)는 출수 동작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고(S430),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시간(t2)을 도과하는 경우(S440), 내통부 안의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온도를 미리 결정된 목표 온도까지 올릴 수 있다(S450). 전기 포트(10c)는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시간을 도과하는 경우(S460),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출수를 알릴 수 있다(S470).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물을 저장하는 내통부;
    상기 내통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외부로부터 출수 커맨드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출수 커맨드에 대응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유량을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출수부의 출수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을 도과되면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 및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수 커맨드가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입력부에 다시 입력될 시간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재출수 시간 알림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가열부에 가열 개시를 지시하는 가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내통부에 저장된 물을 미리 지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은 점등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점등부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빛을 이용하여 상기 재출수 시간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스피커에 출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리를 이용하여 상기 재출수 시간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스피커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녹음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은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알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신호를 사용자 기기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재출수 시간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알림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알림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부는 시간 레벨과 알림 시간과의 대응 정보를 갖는 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는 외부로부터 시간 레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으로써 상기 시간 레벨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시간이 도과하면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시간 레벨로써 아기의 개월 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개월 수에 대응하는 상기 알림 시간이 도과한 후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포트.
  12. 출수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수 커맨드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유량을 출수하는 단계;
    상기 출수하는 단계가 완료된 이후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을 도과되면 상기 출수 커맨드가 다시 수신될 시간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재출수 시간 알림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출수 커맨드가 다시 수신된 이후에 출수될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알림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알림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재출수 시간 알림 정보를 상기 하나의 알림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전기 포트의 동작 방법.
KR1020190031776A 2019-03-20 2019-03-20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3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776A KR102238459B1 (ko) 2019-03-20 2019-03-20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776A KR102238459B1 (ko) 2019-03-20 2019-03-20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98A KR20200111998A (ko) 2020-10-05
KR102238459B1 true KR102238459B1 (ko) 2021-04-09

Family

ID=7280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776A KR102238459B1 (ko) 2019-03-20 2019-03-20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454A (ja) * 2000-06-22 2002-01-08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ポットの情報モニターシステム
JP2002248054A (ja) * 2001-02-23 2002-09-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湯沸し器
JP2004033355A (ja) * 2002-07-01 2004-02-05 Zojirushi Corp 電気ポット
JP2010214042A (ja) * 2009-03-19 2010-09-30 Panasonic Corp 保存容器およびその報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483A (ko) * 2015-11-16 2017-05-25 (주) 아이빌트 세종 스마트 분유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0454A (ja) * 2000-06-22 2002-01-08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ポットの情報モニターシステム
JP2002248054A (ja) * 2001-02-23 2002-09-03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湯沸し器
JP2004033355A (ja) * 2002-07-01 2004-02-05 Zojirushi Corp 電気ポット
JP2010214042A (ja) * 2009-03-19 2010-09-30 Panasonic Corp 保存容器およびその報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998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64606B (zh) 煮饭顺序自动选择装置、方法和装有该装置的电饭煲
CN106030212B (zh) 具备烹调容器的加热烹调器
JP6608772B2 (ja) 調理レシピ提供方法
US10986871B2 (en) Electronic vaporizer and sealed capsule
KR102238459B1 (ko) 음식물 가열 전기 포트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05518514A5 (ko)
CN101516237A (zh) 包括用于生成声学信号的声学部件的热水壶
CN106724812A (zh) 智能煮蛋器
WO2020173408A1 (zh) 容器盖、容器、食物加热方法和食物贩卖机
CN206491652U (zh) 智能电饭锅
US10869573B2 (en) Multimode tea making apparatus for making traditional beverages
CN203106830U (zh) 一种电饭煲用自动卸米装置
CN208206941U (zh) 一种具有定时功能的存储空间监测系统
JP2007330391A (ja) 誘導加熱調理容器
JP2007229029A (ja) 加熱調理器
CN207118811U (zh) 投料组件和烹饪装置
KR20090010581U (ko) 음식물 가열 용기
CN207676416U (zh) 一种烧烤贩卖机
WO2021092624A1 (en) Sound-emitting drinking device
CN104595943A (zh) 微波炉及其控制方法
CN105042549A (zh) 底置式蒸汽发生装置及底置式蒸汽发生装置的控制方法
JP2013522572A (ja) 学習機能を有する調理器具及びそれを利用した料理方法
JP2005144013A (ja) 食品加熱用容器
KR200297270Y1 (ko) 전기 보온식 국 운반차
US20230045194A1 (en) Combined hot water dispenser and beverage bre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