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201B1 - 실리콘 화분 - Google Patents

실리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201B1
KR102238201B1 KR1020200057573A KR20200057573A KR102238201B1 KR 102238201 B1 KR102238201 B1 KR 102238201B1 KR 1020200057573 A KR1020200057573 A KR 1020200057573A KR 20200057573 A KR20200057573 A KR 20200057573A KR 102238201 B1 KR102238201 B1 KR 10223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ower pot
rare earth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신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유신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유신
Priority to KR102020005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공간(2)을 가지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실리콘 고무와 희토류 광물 분말을 포함하는 본체(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희토 광물에 의해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을 돕는 것은 물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고, 부식의 우려가 없으며, 제조비용이 높지 않아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실리콘 화분{FLOWERPOT}
본 발명은 실리콘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본체가 실리콘 고무와 희토류 광물로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고,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실리콘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심어 실내에 비치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는 물론 실내정원을 가꾸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대개 도자기, 토기 또는 합성수지류로 제조되고 있으며, 배수구멍이 뚫어진 화분 몸체 내부에 흙을 담아 화초류나 난류 또는 분재용 식물을 실내에서 재배하도록 하고 있는바, 특히 고층 아파트와 같은 도심의 거주공간이나 사무실의 경우 삭막한 실내공간을 자연환경에 가깝게 연출하기 위해 식물이 심어진 화분을 여러 개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분에 심어져 실내에서 키워지는 식물들은 그 생장이 좋지 못하고, 쉽게 질병에 노출됨으로써, 별도의 비료나 영양제를 주기적으로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도자기류나 토기류의 화분은 용기도 무겁고 흙도 무거움에 따라 운반, 진열 시에 있어 취급성이 불량하고, 취급을 위한 심한 노동강도를 요하였으며, 그 가격 역시 고가여서 손쉽게 다량 구입하여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도가 좋지 못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진다는 단점 역시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류의 화분은 가볍다는 장점은 있으나, 외관이 좋지 못하고, 강도가 좋지 못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파손시 폐기가 어려워 환경오염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햇빛에 장기 노출될 경우 합성수지재의 강성변화로 표면이 갈라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573호에서는 금속재의 화분 본체의 내면에 타일을 배치하여서 되는 화분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화분은 타일로 인하여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좋지 못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물과 계속해서 접하는 화분의 특성상 금속재의 화분 본체가 쉽게 부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1300호에서는 종이재의 화분을 제안하여 포장과 이송을 간편하게 하였으나, 소형 화분의 제조에는 적합하나 강도가 약해 대형 화분의 제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취급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식물 생장을 도울 수 있는 화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KR 20-0372573 Y1 KR 10-0631300 B1 KR 10-2017335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실리콘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고, 부식의 우려가 없으며, 제조비용이 높지 않은 실리콘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리콘 화분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실리콘 고무와 희토류 광물 분말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은, La, Ce, Pr, Nd, Pm, Eu, Gd, tb, Dy, Er, Tm, Lu, Y 및 Sc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이상의 희토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조릿대 줄기의 섬유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소성 돌로마이트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직층이 구비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직층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진 경사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진 위사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제직되며, 그물망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분에 의하면, 희토 광물에 의해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을 돕는 것은 물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고, 부식의 우려가 없으며, 제조비용이 높지 않아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화분은 도 1과 같이, 통상 내부에 수용공간(2)을 가지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상기 화분은 실리콘 고무와 희토류 광물 분말을 포함하는 본체(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는 그 무게가 가벼워 취급성이 향상되고, 연성이 좋아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부식의 우려 역시 없다는 장점이 있고, 다양한 색상 및 모양으로의 성형이 가능하여 외관 역시 미려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 내구성 역시 우수하여 내구연한이 길다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은 화분 본체(1)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을 돕고, 질병을 예방한다. 아울러, 화분 본체(1)의 강도 역시 개선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은, 강한 환원력이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식물의 질병을 예방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발색 작용을 하며, 영양 흡수를 조절하여 식물에 양분 균형을 이루게 하고, 광합성, 물질대사 및 에너지대사에 촉매 역할을 하여 작물의 건강과 생장을 원활하게 하며, 외부 환경에 대한 방어 기능을 돕는다. 또한, 이러한 작용을 통해 뿌리를 발달시키고, 지상부의 생장을 촉진하여 생육을 돕는 것은 물론, 내병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희토류 광물 분말로는 La, Ce, Pr, Nd, Pm, Eu, Gd, tb, Dy, Er, Tm, Lu, Y 및 Sc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이상의 희토 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종 모두를 포함하는 희토 원소를 포함하는 광물 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광물은 하기 표 1과 같은바, 본 발명은 이러한 광물 중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 분말의 입도는 본체(1)의 성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면 족한바, 예시적으로 200~500mesh 정도일 수 있다.
희토 원소를 포함하는 광물
광물명 화학식 R2O3(%)
(최대)
바스트뇌사이트(bastnasite) (Ce,La,Nd,Y)FCO3 75
모나자이트(monazite) (Ce,La,Nd,Sm)PO4 71
불화세라이트(fluocerite) (Ce,La)F2 70
세라이트(cerite) (Ce,La,Ca)9(Ca,Mg,Fe3+)(SiO4)3(SiO3OH)4(OH)3 65
제노타임(xenotime) (Y,Yb)PO4 62
가돌리나이트(gadolinite) (Y,Ce)2Fe2+Be2O2(SiO4)2 52
퍼거소나이트(fergusonite) (Ce,Nd,Y)NbO4 46
로파라이트(loparite) (Na,Ce,Ca)(Ce,Th)(Ti,Nb)2O6 34
유크세나이트(euxenite) (Y,Ca,Ce,U,Th)(Nb,Ta,Ti)2O6 30
갈렴석(allanite) Ca(Ce,La,Nd,Y)(Al2Fe2+)(Si2O7)(SiO4)O(OH) 28
사마르스카이트(samarskite) (Y,Ce,U,Fe,Nb)(Nb,Ta,Ti)2O6 22
인회석(apatite) (Ca,Ce)5(PO4)2(F,Cl,OH) 12
파이로클로어(pyrochlore) (Na,Pb,Ca,REE,U)2Nb2O6F 6
브래너라이트(brannerite) (U,Ca,Fe,Y,Th)Ti2O6 6
저어콘(zircon) (Zr,Th,Y,Ce)SiO4 4
이때,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은 상기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정도로 포함되면 족한바,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식물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성형성, 취급성 등이 좋지 못하게 된다.
또한, 본체를 구성할 시 실리콘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안료 0.1~5중량부를 배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안료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의 바닥면에 물빠짐을 위한 배수공(3)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화분 본체(1)의 형태는 제한하지 않는바, 종래 개시된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실리콘 고무와 희토류 광물 분말을 포함하는 본체(1)를 포함하는 실리콘 화분은, 그 무게가 가벼워 취급성이 향상되고, 연성이 좋아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부식의 우려가 없고, 식재되는 식물의 생장을 돕고, 질병을 예방한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조비용이 높지 않아 대량 생산 및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는 조릿대 줄기의 섬유 입자를 상기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릿대 줄기의 섬유 입자는 화분 본체(1)에 강도를 부여하며,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릿대 줄기의 섬유 입자는 잎과 마디를 제거한 조릿대를 0.1~2mm의 길이로 절단한 후, 파쇄하여 줄기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섬유 입자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정도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1)는 오리나무의 건잎, 꾸지뽕나무의 건잎 또는 2종 모두의 분말을 상기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건잎들은 우수한 수분 조절 능력을 부여함은 물론, 악취 역시 제거해줘 실내 공기를 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리나무의 건잎 또는 꾸지뽕나무 건잎의 분말은, 오리나무 또는 꾸지뽕 나무의 잎을 채취하고, 양건, 음건, 열풍 건조하는 등의 하는 방법을 통해 건조한 후, 이를 100~400mesh 정도로 분쇄하여서 된 것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본체(1)는 돌로마이트 분말을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로마이트 분말은 음이온 발생, 항균 및 탈취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이를 통해 화분이 위치되는 공간을 더욱 쾌적한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로마이트 분말은 통상 자연상태의 돌로마이트 분말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성 돌로마이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돌로마이트를 준비한 후 1차 분쇄한다. 상기 돌로마이트는 탄산석회(CaCO3)와 탄산마그네슘(MgCO3)이 1:1로 복탄산염을 이루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돌로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돌로마이트의 1차 분쇄는 상기 돌로마이트를 10~100mm의 입도 범위로 분쇄하는 정도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1차 분쇄된 돌로마이트 분말을 1000~14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소성하여, 돌로마이트 내 미세 기공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성된 돌로마이트 분말을 200~300mesh 정도로 최종 분쇄하여 소성 돌로마이트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실리콘 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은 종래 게시된 방법에 의하는바,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가압 프레스에 투입하여 화분 본체(1)를 성형 및 경화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섬유 입자 또는 건잎 분말들을 더 혼합할 경우,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과 함께 균일하게 배합 및 혼합한 후, 성형하는 정도면 족한바, 그 방법에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실리콘 화분은 그 내구성 및 강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본체(1) 자체의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직층(1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직층(11)은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경사와,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위사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제직되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화분 본체(1)에 우수한 강도를 부여하여 내구성을 개선하면서도 취급성 등 기타 실리콘 화분의 장점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때, 그물망 형태의 망목 크기는 제한하지 않는바, 예시적으로 0.5~5cm 정도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편직층(11)을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닌, 상기 본체(1)의 내측면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는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분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받침대 역시 상기 화분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화분의 사용상태도로서, 내부 수용공간(2)에 식물을 식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 화분과 동일하게 이용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 본체 2: 수용공간
3: 배수공 11: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직층

Claims (5)

  1. 본체(1);
    상기 본체(1)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2);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는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희토류 광물 분말 1~10중량부, 조릿대 줄기의 섬유 입자 1~5중량부, 돌로마이트 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 자체의 내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편직층(11)이 구비되고,
    상기 편직층(11)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진 경사와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이루어진 위사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제직되며, 그물망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광물 분말은,
    La, Ce, Pr, Nd, Pm, Eu, Gd, tb, Dy, Er, Tm, Lu, Y 및 Sc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이상의 희토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릿대 줄기의 섬유 입자는, 잎과 마디를 제거한 조릿대를 0.1~2mm의 길이로 절단한 후, 파쇄하여 줄기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섬유 입자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오리나무의 건잎, 꾸지뽕나무의 건잎 또는 2종 모두의 분말을 상기 실리콘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로마이트 분말은, 탄산석회(CaCO3)와 탄산마그네슘(MgCO3)이 1:1로 복탄산염을 이루는 돌로마이트를 10~100mm의 입도 범위로 1차 분쇄하고, 1차 분쇄된 돌로마이트 분말을 1000~14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소성한 후 소성된 돌로마이트 분말을 200~300mesh 정도로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분.
KR1020200057573A 2020-05-14 2020-05-14 실리콘 화분 KR10223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573A KR102238201B1 (ko) 2020-05-14 2020-05-14 실리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573A KR102238201B1 (ko) 2020-05-14 2020-05-14 실리콘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201B1 true KR102238201B1 (ko) 2021-04-09

Family

ID=7544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573A KR102238201B1 (ko) 2020-05-14 2020-05-14 실리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2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455U (ja) * 1994-10-20 1995-05-02 ダイオ化成株式会社 植物栽培のための磁性体編織物及びシート
KR200372573Y1 (ko) 2004-10-01 2005-01-14 김학구 금속화분
KR100631300B1 (ko) 2004-05-13 2006-10-04 경기도(농업기술원)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KR20090023030A (ko) * 2007-08-31 2009-03-04 전기평 친환경 생활용기의 제조방법
KR101265978B1 (ko) * 2012-12-05 2013-05-22 주식회사 휴트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KR20150003415U (ko) * 2014-03-06 2015-09-16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KR102017335B1 (ko) 2018-10-01 2019-10-08 엄기성 알루미늄 화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455U (ja) * 1994-10-20 1995-05-02 ダイオ化成株式会社 植物栽培のための磁性体編織物及びシート
KR100631300B1 (ko) 2004-05-13 2006-10-04 경기도(농업기술원)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KR200372573Y1 (ko) 2004-10-01 2005-01-14 김학구 금속화분
KR20090023030A (ko) * 2007-08-31 2009-03-04 전기평 친환경 생활용기의 제조방법
KR101265978B1 (ko) * 2012-12-05 2013-05-22 주식회사 휴트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KR20150003415U (ko) * 2014-03-06 2015-09-16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KR102017335B1 (ko) 2018-10-01 2019-10-08 엄기성 알루미늄 화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2587A (zh) 一种适应环境变化的草花植物造景方法
CN104355799A (zh) 保水缓释轻质营养土
CN106905055A (zh) 一种园艺凹凸棒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9618870B (zh) 一种花卉或树木移栽用培养土及其制备方法
KR20120005653A (ko) 기능성 상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8212B1 (ko) 작물 재배용 배양토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작물의 재배 방법,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배포트, 벽면 녹화 유닛, 유기질 비료, 펠렛 연료 및 상기 배양토 조성물을 사용한 재배포트의 제조 방법.
KR102238201B1 (ko) 실리콘 화분
CN110150096A (zh) 一种花卉种植营养土及其生产方法
KR102173970B1 (ko)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6799B1 (ko) 새싹삼의 재배방법
CN105815145A (zh) 一种室内植物营养土
KR100696099B1 (ko) 임해지, 쓰레기매립지, 척박지, 골프장 조성지의토양개량을 위한 배합토 및 그 제조방법
KR100555063B1 (ko) 항균성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 화분
KR100750656B1 (ko) 압축 배양토 조성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5484A (ko) 식물 재배용 고형 비료의 제조방법,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고형 비료칩 및 그 고형 비료칩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용기
CN204948899U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结构
CN107360887A (zh) 石斛的种植基质及其制备方法
KR20100088308A (ko) 무농약 채소밭 겸 지피식물 재배를 위한 빗물저수조를 구비한 옥상용 화분
CN107285829A (zh) 一种秸秆复合营养土及其制造方法
JPH06165617A (ja) 人工土壌及び植栽工法
KR20100133199A (ko) 잔디 재배용 흙판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흙판
CN108605675A (zh) 一种多肉植物营养土及其栽培方法
CN109463191A (zh) 采用黄土模块式植树袋种植灌木的方法
KR101540794B1 (ko) 목재 부산물을 이용한 유묘 보호용 식생 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 매트, 상기 식생 매트의 제조방법
JP4139461B2 (ja) 植物育成用人工土壌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