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15U -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15U
KR20150003415U KR2020140001799U KR20140001799U KR20150003415U KR 20150003415 U KR20150003415 U KR 20150003415U KR 2020140001799 U KR2020140001799 U KR 2020140001799U KR 20140001799 U KR20140001799 U KR 20140001799U KR 20150003415 U KR20150003415 U KR 201500034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lowerpot
drain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754Y1 (ko
Inventor
지철권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1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54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에 따른 필요 급수량의 차이를 고려함과 함께 임의적으로 급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화분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을 구비시키고 각 배수공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분 내부 및 외부에 배수장치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내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 고임에 의해 식물 등이 썩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식물의 생장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통과, 상기 화분통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과, 상기 화분통의 내부에 상기 각각의 배수공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 및 상기 복수의 배수공 중 어느 배수공에 연결되어 해당 배수공에 연결된 내부 배수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U자형 벤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화분통 내의 수위가 상기 U자형 벤트관이 연결된 배수공의 수위보다 높아야만 U자형 벤트관을 통한 배수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Flowerpot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level}
본 고안은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에 따른 필요 급수량의 차이를 고려함과 함께 임의적으로 급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화분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을 구비시키고 각 배수공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분 내부 및 외부에 배수장치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내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 고임에 의해 식물 등이 썩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통의 하단부에 희토류 배양토 세트를 구비시킴으로써 물 고임에 의해 식물 등이 썩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간편하게 키우기 위한 용도로 화분이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의 구조를 살펴보면, 화분의 바닥면에 배수구가 구비되는데, 화분에 필요한 물을 한 번에 급수하면 배수구를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여러 번에 걸쳐 물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방안으로, 통상 화분 밑에 화분 받침대를 두어 사용하는데 이 경우 많은 양의 물이 화분에 급수되면 화분에 물이 고여 화분의 상토 및 식물이 썩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9825호는 화분의 측면에 상향 경사진 형태의 배수공을 구비시킴으로써, 한 번에 많은 양의 물이 급수되더라도 화분 내에 일정량의 물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화분 내의 수위가 배수공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화분 내의 물이 곧바로 배출되는 구조임에 따라, 화분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고자 할 때 이를 달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배수공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고여 있는 물에 의해 화분의 상토와 식물이 썩는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982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물에 따른 필요 급수량의 차이를 고려함과 함께 임의적으로 급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화분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수공을 구비시키고 각 배수공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분 내부 및 외부에 배수장치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화분 내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 고임에 의해 식물 등이 썩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통의 하단부에 희토류 배양토 세트를 구비시킴으로써 물 고임에 의해 식물 등이 썩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식물의 생장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통과, 상기 화분통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과, 상기 화분통의 내부에 상기 각각의 배수공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 및 상기 복수의 배수공 중 어느 배수공에 연결되어 해당 배수공에 연결된 내부 배수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U자형 벤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화분통 내의 수위가 상기 U자형 벤트관이 연결된 배수공의 수위보다 높아야만 U자형 벤트관을 통한 배수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자형 벤트관은, 상기 배수공의 위치에서 수평 연결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수평관의 하부로 U자 형태로 절곡된 U자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 배수장치는, 고리 형태의 환형 배수관과, 상기 환형 배수관의 내부 공간에서, 화분통의 중심에서 방사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환형 배수관에 연결되는 방사형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형 배수관 및 방사형 배수관의 표면에 통수공이 구비된다.
상기 환형 배수관의 일측에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U자형 벤트관은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환형 배수관의 배수구와 연결된다.
상기 화분통의 내측면에 복수의 거치대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거치대 상에 상기 내부 배수장치가 거치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화분통의 내측면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90도 절곡이 가능하다.
상기 화분통의 하단부에 희토류 배양토 세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희토류 배양토 세트 내에 구비되는 희토류 배양토는 마사토와 희토류 볼의 혼합물이며, 상기 희토류 볼은 희토류가 함유되어 있는 세라믹 담체이며, 상기 희토류는 상기 세라믹 담체에 0.1∼0.5wt%로 함유된다. 상기 희토류는 란탄(lanthanum), 세륨(cerium), 프라세오디움(praseodymium), 네오다늄(neodymium), 프로메튬(promethium), 사마륨(samarium), 유로퓸(europium), 가돌리늄(gadolinim), 테르븀(terbium), 디스프로슘(dysprosium), 홀뮴(holmium), 에르븀(erbium), 툴륨(thulium), 이테르븀(ytterbium), 루테튬(lutetium), 스칸듐(scandium), 이트륨(yttrium)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화분통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가 구비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의 내부 배수장치에 U자형 벤트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화분통 내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U자형 벤트관을 일정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배수가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화분 내의 수위를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화분 내의 상토 및 식물이 썩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화분통의 하단부에 희토류 배양토 세트를 구비됨에 따라 물 고임에 의한 부패 현상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의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배수장치 및 U자형 벤트관을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은 화분 내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화분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배수공이 이격 배치되며, 각 배수공의 위치에 해당되는 화분의 내부와 외부에는 각각 내부 배수장치와 U자형 벤트관이 구비되며, 이와 같은 구조 하에 특정 위치의 수위에서 내부 배수장치, 배수공 및 U자형 벤트관을 통해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은 먼저, 식물을 생장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통(10)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통(10)은 기본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화분통(10)의 배수를 위해 상기 화분통(10)의 내부에는 내부 배수장치(110)가 구비되고, 화분통(10)의 외부에는 내부 배수장치(110)와 연결되는 U자형 벤트관(1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화분통(10)의 측부에는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와 U자형 벤트관(130)을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배수공(120)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는 화분통(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는 세부적으로, 환형(環形) 배수관(111)과 방사형 배수관(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형 배수관(111)은 고리 형태의 배수관으로서 화분통(10)의 내측에 밀착하여 구비되며, 상기 방사형 배수관(112)은 화분통(10)의 중심에서 방사 형태로 연장되어 환형 배수관(111)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즉, 고리 형태의 환형 배수관(111) 내측 공간에 방사 형태의 방사형 배수관(112)이 구비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환형 배수관(111) 및 방사형 배수관(112)은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화분통(10) 내부의 수분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환형 배수관(111) 및 방사형 배수관(112)의 표면에는 복수의 통수공(113)이 구비되며, 화분통(10) 내부의 물은 상기 통수공(113)을 통해 환형 배수관(111) 또는 방사형 배수관(1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는 화분통(10)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내부 배수장치(110)는 화분통(10) 내측면에 구비된 거치대(11) 상에 거치되며, 각각의 내부 배수장치(110)의 고정을 위해 내부 배수장치(110)의 일측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거치대(11)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고정되는 돌기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를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시키는 이유는 화분통(10) 내부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화분통(10)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110) 중 이를 통해 화분통(10) 내부의 수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분통(10)의 측부에는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배수공(120)이 구비된다. 각 배수공(120)이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각 내부 배수장치(110)가 구비되는 위치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배수공(120)은 각각의 배수공(120) 위치에 구비되는 내부 배수장치(110)와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화분통(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110)가 이격, 구비되고, 각각의 내부 배수장치(110)가 화분통(10) 측부의 배수공(120)과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의 내부 배수장치(110)를 통한 배수는 U자형 벤트관(13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U자형 벤트관(130)은 상기 복수의 배수공(120) 중 어느 한 배수공(120)에 연결되어 해당 배수공(120)과 연결된 내부 배수장치(110)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U자형 벤트관(130)은 세부적으로 수평관(131)과 U자관(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공(12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상기 수평관(131)은 상기 배수공(120)의 위치에서 수평 연결되는 관이며, 상기 U자관(132)은 상기 수평관(13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수평관(131)의 하부로 U자 형태로 절곡된 관이다. 상기 U자형 벤트관(130)에 U자관(132)이 구비되는 이유는, 화분통(10) 내의 수위가 배수공(120)의 위치 즉, 해당 배수공(120)과 연결되는 내부 배수장치(110)의 위치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은 경우에만 수압에 의해 U자형 벤트관(130)을 통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화분통(10) 내부의 수위가 U자형 벤트관(130)이 연결된 배수공(120)의 수위보다 같거나 일정 범위 높이 이내에 있는 경우, U자관(132)에 작용하는 수압이 낮아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때, 상기 U자형 벤트관(130)의 수평관(131)은 상기 배수공(12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의 환형 배수관(111)의 일측에 구비된 배수구(11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U자형 벤트관(130)은 배수공(120) 및 배수구(114)는 나사 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U자형 벤트관(130)의 구조에 의해, 화분통(10) 내에 U자형 벤트관(130)이 연결된 배수공(120)의 위치에 상응하는 수위로 물을 급수하더라도 화분통(10) 내의 물이 U자형 벤트관(130)을 통해 즉각적으로 배수되지 않게 되며, 또한, 일정량 이상의 물이 화분통(10) 내에 급수되는 경우 수압에 의해 필요 이상의 물은 외부로 배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분통(10) 내에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110)가 구비된 상태에서, U자형 벤트관(130)을 특정 위치의 내부 배수장치(110)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화분통(10) 내의 수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110)는 각 배수공(120) 위치의 거치대(11)에 모두 구비되거나, 복수의 거치대(11) 중 어느 한 곳에만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U자형 벤트관(130)은 내부 배수장치(110)가 구비된 배수공(1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부 배수장치(110)가 거치되는 거치대(11)는 내부 배수장치(110)가 거치되지 않는 경우, 상향 또는 하향 90도로 힌지운동을 통해 절곡되어 화분통(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화분통(10)의 내측벽에 거치대 장착홈(1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화분통(10)의 측단면이 사다리꼴과 같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 화분통(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거치대(11)는 하단부의 거치대(11)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그 길이를 길게 설계함으로써 수직, 이격되어 배치되는 내부 배수장치(110)의 구비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물 고임에 의해 식물 등이 썩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화분통의 하단부에 희토류 배양토 세트(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배양토 세트는 화분통 내에 선택적으로 탈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희토류 배양토 세트 내에 구비되는 희토류 배양토는 마사토와 희토류 볼의 혼합물이며, 상기 희토류 볼은 희토류가 함유되어 있는 세라믹 담체이며, 상기 희토류는 상기 세라믹 담체에 0.1∼0.5wt%로 함유된 것이다. 상기 희토류는 란탄(lanthanum), 세륨(cerium), 프라세오디움(praseodymium), 네오다늄(neodymium), 프로메튬(promethium), 사마륨(samarium), 유로퓸(europium), 가돌리늄(gadolinim), 테르븀(terbium), 디스프로슘(dysprosium), 홀뮴(holmium), 에르븀(erbium), 툴륨(thulium), 이테르븀(ytterbium), 루테튬(lutetium), 스칸듐(scandium), 이트륨(yttrium)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10 : 화분통 11 : 거치대
110 : 내부 배수장치 111 : 환형 배수관
112 : 방사형 배수관 113 : 통수공
114 : 배수구 120 : 배수공
130 : U자형 벤트관 131 : 수평관
132 : U자관

Claims (8)

  1. 식물의 생장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통;
    상기 화분통의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
    상기 화분통의 내부에 상기 각각의 배수공에 연결되도록 구비된 복수의 내부 배수장치; 및
    상기 복수의 배수공 중 어느 배수공에 연결되어 해당 배수공에 연결된 내부 배수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U자형 벤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화분통 내의 수위가 상기 U자형 벤트관이 연결된 배수공의 수위보다 높아야만 U자형 벤트관을 통한 배수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벤트관은,
    상기 배수공의 위치에서 수평 연결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수평관의 하부로 U자 형태로 절곡된 U자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수장치는,
    고리 형태의 환형 배수관과,
    상기 환형 배수관의 내부 공간에서, 화분통의 중심에서 방사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환형 배수관에 연결되는 방사형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형 배수관 및 방사형 배수관의 표면에 통수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배수관의 일측에 배수구가 구비되며, 상기 U자형 벤트관은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환형 배수관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통의 내측면에 복수의 거치대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거치대 상에 상기 내부 배수장치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화분통의 내측면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90도 절곡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통의 하단부에 희토류 배양토 세트가 더 구비되며, 상기 희토류 배양토 세트 내에 구비되는 희토류 배양토는 마사토와 희토류 볼의 혼합물이며, 상기 희토류 볼은 희토류가 함유되어 있는 세라믹 담체이며, 상기 희토류는 상기 세라믹 담체에 0.1∼0.5wt%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는 란탄(lanthanum), 세륨(cerium), 프라세오디움(praseodymium), 네오다늄(neodymium), 프로메튬(promethium), 사마륨(samarium), 유로퓸(europium), 가돌리늄(gadolinim), 테르븀(terbium), 디스프로슘(dysprosium), 홀뮴(holmium), 에르븀(erbium), 툴륨(thulium), 이테르븀(ytterbium), 루테튬(lutetium), 스칸듐(scandium), 이트륨(yttrium)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KR2020140001799U 2014-03-06 2014-03-06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KR200479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99U KR200479754Y1 (ko) 2014-03-06 2014-03-06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99U KR200479754Y1 (ko) 2014-03-06 2014-03-06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15U true KR20150003415U (ko) 2015-09-16
KR200479754Y1 KR200479754Y1 (ko) 2016-03-04

Family

ID=5434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99U KR200479754Y1 (ko) 2014-03-06 2014-03-06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3416A (zh) * 2018-07-03 2018-10-30 福建工程学院 一种分层式透气保水防渗花盆及其制作方法
KR102238201B1 (ko) * 2020-05-14 2021-04-09 김유신 실리콘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3416A (zh) * 2018-07-03 2018-10-30 福建工程学院 一种分层式透气保水防渗花盆及其制作方法
KR102238201B1 (ko) * 2020-05-14 2021-04-09 김유신 실리콘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54Y1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5841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1572372B1 (ko)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GB2545163A (en) A plant growing system for static solution hydroponics
KR200479754Y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화분
CN106472271A (zh) 一种盆栽浮球自动供水系统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JP2011139695A (ja) 水槽または水受け容器用の水足し注水用水位調整装置。
US20070084109A1 (en) Plant pot with irrigation control
KR20150107908A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101682618B1 (ko) 오아시스형 반수경 어항화분
CN104396606A (zh) 一种留存水量限定装置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KR102203079B1 (ko)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KR20160024445A (ko)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JP4001181B1 (ja) 大型作物の栽培可能な鉢栽培水耕装置
CN202907519U (zh) 一种绿化屏风
US20190261588A1 (en) Plant growth system with root barrier
JP6559508B2 (ja) 植物栽培装置における排水装置
KR20150120195A (ko) 다단식 수경 재배기
CN204681972U (zh) 双区变容种植盆
CN109875330A (zh) 一种园林用的具有自动浇水功能的花盆架
KR200359189Y1 (ko) 화분 받침대
CN212589166U (zh) 一种花盆
KR100854759B1 (ko) 자동급수장치가 구비된 꽃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