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978B1 -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 Google Patents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978B1
KR101265978B1 KR1020120140040A KR20120140040A KR101265978B1 KR 101265978 B1 KR101265978 B1 KR 101265978B1 KR 1020120140040 A KR1020120140040 A KR 1020120140040A KR 20120140040 A KR20120140040 A KR 20120140040A KR 101265978 B1 KR101265978 B1 KR 10126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il
mixed
composition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트리
Priority to KR102012014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978B1/ko
Priority to PCT/KR2013/004026 priority patent/WO20140881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5/00Fertilisers con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80Soil conditio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참숯 45~65중량%, 백운석 10~20중량%, 고상 고화제 10~20중량%, 액상 경화제 10~20중량% 및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배양토와 화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참숯 및 백운석이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에 의해 고착화되어 있어 화분이 넘어져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함수성이 우수하고 화초에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화초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뛰어나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Composition of Flowerpot having function of culture soil, Manufacturing method of Flowerpot having function of culture soil using thereof and Flowerpot having function of culture soil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참숯과 백운석을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배양토와 화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높으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우수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이란 토양이 없는 실내나 도시주택의 좁은 공간과 같이 식물을 재배할 수 없는 여건의 상태에서 자연을 실내로 끌어들이거나 관상가치가 있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흙이나 기타 배양토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용기를 이용하여 재배하는 것을 화분재배라고 하는데, 화분재배 시 배양토을 담을 수 있는 용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화분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용기의 재질과 모양은 그 속에서 자라는 식물의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재질의 용기를 선택해야 한다.
재질에 따른 화분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나,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분으로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플라스틱 화분, 흙으로 만들어 불에 구운 흙화분, 자기로 만든 자기화분 등이 이용된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화분은 가볍고 잘 깨지지 않으며 그 형태와 색이 아주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화분 내 토양의 온도조절이 어렵고 화분의 표면으로 공기와 수분이 전혀 유통되지 않아 뿌리의 과습과 생육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흙화분은 다공질이어서 수분과 공기의 유통이 양호하며 식물 재배관리 시 과습을 방지하고 뿌리의 생육도 양호하지만 토양이 건조해지기 쉽고 무거우며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자기화분은 모양이 아름답고 직사광선을 받아도 온도변화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수분과 공기의 유통이 불량하여 식물 재배시 습해를 받을 우려가 있고 뿌리의 생육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숯이 공기를 정화한다고 알려지면서 숯의 기능성을 이용한 화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485호(2006.02.09.)에는 대나무 숯을 이용한 화분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046호(2005.10.19.)에는 숯으로 만든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숯으로 만든 화분은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며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지만, 화분이 넘어지는 경우에는 배양토가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참숯과 백운석을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배양토와 화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높으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우수한, 배양토 겸용 화분을 개발하였다.
KR 20-0408485 Y1 2006.02.09. KR 20-0399046 Y1 2005.10.19.
본 발명의 목적은 참숯과 백운석을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배양토와 화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높으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우수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참숯 45~65중량%, 백운석 10~20중량%, 고상 고화제 10~20중량%, 액상 경화제 10~20중량% 및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상 고화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를 분쇄하여 제조한 고화제이며, 상기 액상 경화제는 리튬 실리케이트 80~90중량%에 아크릴 에멀전계 폴리머 10~20중량%를 혼합하여 30~40분 교반한 변성 리튬 실리케이트이며, 상기 무기질 추출수는 황토 49~53중량%, 장석 12~16중량%, 탄산칼슘(CaCO3) 15~19중량%, 수산화칼슘(Ca(OH)2) 6~10중량%, 질산칼슘(Ca(NO3)2) 4~8중량% 및 산화칼슘(CaO) 2~6중량%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무기질 파우더 0.5~2중량%를 98~99.5중량%의 물과 2~4시간 혼합한 후, 23~25시간 침전시키고 저온 열성 과정을 통하여 생산한 추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거푸집에 투입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자연 양생시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참숯 45~65중량%에 백운석 10~20중량% 및 고상 고화제 10~20중량%를 혼합하고, 액상 경화제 10~20중량%에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백운석과 고상 고화제가 혼합된 참숯에 투입하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은 배양토와 화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참숯 및 백운석이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에 의해 고착화되어 있어 화분이 넘어져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양토 겸용 화분은 함수성이 우수하고 화초에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화초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양토 겸용 화분은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뛰어나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에 화초가 자라나고 있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숯으로 화분을 제조하는 특허는 공지되어 있지만, 숯으로 만든 화분 안에 배양토가 필요한 구조는 종래의 화분과 동일하였다.
본 발명은 참숯과 백운석을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화분과 배양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 종래 형태의 화분이 필요 없는 새로운 개념의 기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은,
참숯 45~65중량%, 백운석 10~20중량%, 고상 고화제 10~20중량%, 액상 경화제 10~20중량% 및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포함한다.
숯(charcoal)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한다.
상기 참숯은 갈참나무, 굴참나무, 물참나무, 줄참나무 등의 참나무류로 만든 숯을 의미한다. 상기 참숯은 2~6㎜로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운석은 삼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고회석이라고도 하며, 화학성분은 CaMg(CO3)2이고,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 상기 백운석은 1~2㎜로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색식물은 그 잎의 세포 속에 타원형의 구조물인 엽록체가 많이 들어 있는 화합물이다. 엽록소는 그 빛깔이 녹색이기 때문에 엽록체가 녹색으로 보이고, 따라서 식물의 잎도 녹색으로 보인다. 엽록소들은 그 분자 속에 한 원자의 마그네슘(Mg)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녹색식물은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화합시켜 포도당이나 녹말과 같은 탄수화물을 만든다. 이 과정이 광합성인데, 이 광합성에서 엽록소는 태양의 빛에너지를 포착하여 이를 화학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탄수화물을 만들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마그네슘은 식물의 엽록소분자의 구성원소로서 엽록소 분자구조의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모든 효소에 보조인자로 작용하여 광인산화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마그네슘은 식물의 뿌리에서 물과 함께 흡수되어 물관을 통해 이동하며 다른 이온과 결합한 상태로 식물조직 내에 존재한다. 식물체 내에서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잎이 누렇게 되고 심하면 조직이 죽어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을 함유한 백운석을 포함함으로 인해 식물에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상 고화제는 석회, 석고, 보크사이트(Bauxite)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성 화합물인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vate)를 분쇄하여 클링커(Clinker) 형태로 제조되며, 이러한 클링커는 3CaO·3Al2O3·CaSO4인 아우인(Hauyne), CaO·CaSO4인 유리석회 및 CaSO4인 무수석고라는 3가지 광물을 포함한다. 상기 3가지 광물이 수화반응에 의해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 수화물을 생성하는데, 상기 수화반응에서 3CaO·3Al2O3·CaSO432H2O인 에트링자이트(Ettringite)라는 침상의 결정이 생성된다. 상기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SA)는 3CaO·3Al2O3·CaSO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상기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SA)는 수화하여 에트링자이트를 생성하며, 각 조성에 따라 팽창성, 급경성 또는 고강도성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액상 경화제는 변성 리튬 실리케이트 조성물로서, 리튬 실리케이트(Lithium Silicates) 조성물의 장점은 규산나트륨이나 규산칼륨보다 더 높은 몰 비의 액상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리튬실리케이트 용액을 가열하면 리튬이온은 높은 온도에서 칼슘이온처럼 침전 특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가역 반응이다. 또한, 이러한 리튬실리케이트 용액은 뜨거우면 고형화되고, 25℃ 정도에서 냉각시키면 수 시간 내에 다시 투명하고 안정된 액체의 리튬 실리케이트가 된다. 이러한 리튬 실리케이트의 SiO2 농도가 20~25%이고, 몰비가 8에 가까워 실온에서 안정하고 점도가 낮다. 이러한 리튬 실리케이트의 안정성은 수화된 리튬이온이 수화된 나트륨이나 칼륨이온 보다 더 커서 수화된 양이온은 큰 실리카 미셀들(Micelles)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실리케이트 80~90중량%에 아크릴 에멀전계 폴리머 10~20중량%를 혼합하여 30~40분 교반하면 액상 경화제인 변성 리튬 실리케이트 조성물이 생성된다. 여기서, 각종 계면활성제와 지방질분자는 극성기와 무극성 소수기로 이루어져 있고, 양자의 균형에 따라 분자의 회합 상태가 변한다. 이들 분자는 용액 중에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힘 등에 의해서 회합하여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회합체를 만들어 콜로이드성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회합체를 미셀이라고 한다.
상기 무기질 추출수는 황토 49~53중량%, 장석 12~16중량%, 탄산칼슘(CaCO3) 15~19중량%, 수산화칼슘(Ca(OH)2) 6~10중량%, 질산칼슘(Ca(NO3)2) 4~8중량% 및 산화칼슘(CaO) 2~6중량%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무기질 파우더 0.5~2중량%를 98~99.5중량%의 물과 2~4시간 혼합한 후, 23~25시간 침전시켜 생산한 추출수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은,
참숯에 백운석 및 고상 고화제를 혼합하고, 액상 경화제에 무기질 추출수를 혼합한 후, 상기 백운석과 고상 고화제가 혼합된 참숯에 혼합하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거푸집에 투입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자연 양생시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먼저 참숯 45~65중량%에 백운석 10~20중량% 및 고상 고화제 10~20중량%를 혼합하고, 그 다음 액상 경화제 10~20중량%에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백운석과 고상 고화제가 혼합된 참숯에 투입하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액상 경화제와 상기 고상 고화제가 접촉하게 되면, 잠재 수경성의 특성을 갖는 고상 고화제의 입자 피막이 파괴되고, 이러한 입자를 구성하는 Si-O와 Al-O의 공유결합이 끊어지면서 Si이온과 Al이온을 용탈시킨 상태에서 참숯 및 백운석과 혼합된다. 이때, 무기질 폴리머(Polymer) 반응에 의하여 mM2O·nSiO2·Al2O3·xH2O가 형성된다. 여기서, M은 K, Na 또는 Ca 일 수 있다. 이러한 반응물질에 무기질 추출수의 혼합으로 인해 내구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거푸집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례로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일 수 있다. 상기 거푸집의 중앙에는 추후 심어질 화초를 고려하여 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례로 5㎝일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길이는 거푸집의 높이가 10㎝인 경우에 상기 거푸집의 상단으로부터 6~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자연 양생시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에서 거푸집에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투입한 후 7~8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푸집을 제거한 후 8~12℃에서 5~7시간 동안 자연 양생시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은 배양토와 화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참숯 및 백운석이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에 의해 고착화되어 있어 화분이 넘어져도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양토 겸용 화분은 함수성이 우수하고 화초에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화초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양토 겸용 화분은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뛰어나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에 화초를 심은 후에,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과 상기 화초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고,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다져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초에 물을 주면,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은 함수성이 우수하여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이 공기 중으로 증발하여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 밑에 위치한 쟁반에 있는 수분을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를 분쇄하여 고상 고화제를 제조하였다.
리튬 실리케이트 85중량%에 아크릴 에멀전계 폴리머 15중량%를 혼합하고 35분 동안 교반하여 액상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황토 51중량%, 장석 14중량%, 탄산칼슘(CaCO3) 17중량%, 수산화칼슘(Ca(OH)2) 8중량%, 질산칼슘(Ca(NO3)2) 6중량% 및 산화칼슘(CaO) 4중량%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무기질 파우더 1중량%를 99중량%의 물과 3시간 혼합한 후, 24시간 침전시켜 무기질 추출수를 제조하였다.
참숯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2~6㎜로 분말화하였다.
백운석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1~2㎜로 분말화하였다.
먼저 상기 참숯 분말 50중량%에 상기 백운석 분말 15중량% 및 상기 고상 고화제 15중량%를 혼합하고, 그 다음 상기 액상 경화제 14중량%에 상기 무기질 추출수 6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백운석과 고상 고화제가 혼합된 참숯에 투입하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들었다.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의 크기로 거푸집을 만들었으며, 상기 거푸집의 중앙에는 추후 심어질 화초를 고려하여 직경 5㎝의 파이프를 구비하였다. 상기 파이프의 길이는 상기 거푸집의 상단으로 부터 7㎝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상기 거푸집에 투입하였다.
거푸집에 투입한지 7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10℃에서 6시간 동안 자연 양생시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조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사용상태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토 겸용 화분은 함수성이 우수하고 화초에 마그네슘을 공급하여 화초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참숯 및 백운석이 고상 고화제, 액상 경화제 및 무기질 추출수에 의해 고착화되어 있어 종래 형태의 화분이 필요 없으며, 공기와 바로 접촉하므로 배양토 겸용 화분 내에 있는 수분이 공기 중으로 이동되어 가습효과가 뛰어나며, 참숯이 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탈취효과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배양토 겸용 화분에 동양란을 심은 후 30일이 지난 후의 사진을 예시로 도 3에 나타내었다.

Claims (6)

  1. 삭제
  2. 참숯 45~65중량%, 백운석 10~20중량%, 고상 고화제 10~20중량%, 액상 경화제 10~20중량% 및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상 고화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를 분쇄하여 제조한 고화제이며,
    상기 액상 경화제는 리튬 실리케이트 80~90중량%에 아크릴 에멀전계 폴리머 10~20중량%를 혼합하여 30~40분 교반한 변성 리튬 실리케이트이며,
    상기 무기질 추출수는 황토 49~53중량%, 장석 12~16중량%, 탄산칼슘(CaCO3) 15~19중량%, 수산화칼슘(Ca(OH)2) 6~10중량%, 질산칼슘(Ca(NO3)2) 4~8중량% 및 산화칼슘(CaO) 2~6중량%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무기질 파우더 0.5~2중량%를 98~99.5중량%의 물과 2~4시간 혼합한 후, 23~25시간 침전시켜 생산한 추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3. 삭제
  4.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거푸집에 투입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자연 양생시켜 배양토 겸용 화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참숯 45~65중량%에 백운석 10~20중량% 및 고상 고화제 10~20중량%를 혼합하고, 액상 경화제 10~20중량%에 무기질 추출수 5~10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백운석과 고상 고화제가 혼합된 참숯에 투입하여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고화제는 칼슘 설포 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를 분쇄하여 제조한 고화제이며,
    상기 액상 경화제는 리튬 실리케이트 80~90중량%에 아크릴 에멀전계 폴리머 10~20중량%를 혼합하여 30~40분 교반한 변성 리튬 실리케이트이며,
    상기 무기질 추출수는 황토 49~53중량%, 장석 12~16중량%, 탄산칼슘(CaCO3) 15~19중량%, 수산화칼슘(Ca(OH)2) 6~10중량%, 질산칼슘(Ca(NO3)2) 4~8중량% 및 산화칼슘(CaO) 2~6중량%를 혼합하여 분말화한 무기질 파우더 0.5~2중량%를 98~99.5중량%의 물과 2~4시간 혼합한 후, 23~25시간 침전시켜 생산한 추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양토 겸용 화분.
KR1020120140040A 2012-12-05 2012-12-05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KR10126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40A KR101265978B1 (ko) 2012-12-05 2012-12-05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PCT/KR2013/004026 WO2014088165A1 (ko) 2012-12-05 2013-05-08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040A KR101265978B1 (ko) 2012-12-05 2012-12-05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978B1 true KR101265978B1 (ko) 2013-05-22

Family

ID=4866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040A KR101265978B1 (ko) 2012-12-05 2012-12-05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5978B1 (ko)
WO (1) WO20140881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01B1 (ko) * 2020-05-14 2021-04-09 김유신 실리콘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0276A (en) * 2017-10-24 2019-07-24 Carbon Gold Ltd A grow b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50Y1 (ko) * 1999-09-14 2000-02-15 주식회사엔.비.엠 숯화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391A (ja) * 1999-10-01 2001-04-10 Hiromi Nagasaki 育苗、挿し木用培養マット、ポット型培養土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89620A (ko) * 2002-05-16 2003-11-22 이용수 황토 화분의 제조방법
JP2004261021A (ja) * 2003-02-28 2004-09-24 Hiroyo Uchimura 炭の植物栽培器
JP4047263B2 (ja) * 2003-10-17 2008-02-13 グリーンリサイクル株式会社 有機質資材を用いた植物栽培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450Y1 (ko) * 1999-09-14 2000-02-15 주식회사엔.비.엠 숯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01B1 (ko) * 2020-05-14 2021-04-09 김유신 실리콘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165A1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2201B (zh) 马缨花漂浮育苗方法
CN104770282A (zh) 绿植类室内微盆景及其制作方法
CN104145692A (zh) 一种苗床扦插紫薇苗的方法
CN105432410A (zh) 一种广玉兰用泥炭土/北投石复合培养基及其制备方法
KR101925909B1 (ko)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68025A (zh) 一种富养保水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301908B (zh) 一种在边坡上种植二月兰的方法
KR101265978B1 (ko) 배양토 겸용 화분의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배양토 겸용 화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양토 겸용 화분
CN105409523B (zh) 一种沙漠土壤化方法
CN102674976B (zh) 一种观叶花卉无土栽培营养套餐及其制备和应用
CN105580660B (zh) 一种旱地绿化生长容器及其组成的生态绿化墙
CN107151160A (zh) 一种含膨润土的多肉植物营养土
KR101534921B1 (ko) 복합 다공성 세라믹 화분
KR102258759B1 (ko) 응집성 상토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2603304U (zh) 用于园林绿化的滤水装置及具有滤水功能的栽培容器
CN102422761B (zh) 一种在边坡上种植佛甲草的方法
CN104041391A (zh) 一种新的室内无土栽培基质
KR100973744B1 (ko) 무기질을 함유하는 다공성 식재용 매질 및 그 제조방법
CN110268936A (zh) 一种基于苔藓生长的混凝土喷层表面生态重建方法
CN103011728B (zh) 一种假山保水材料的制备方法
CN102415250B (zh) 一种在边坡上种植剪秋罗的方法
EP2647658B1 (en) Formulations for watering plants
CN109479667A (zh) 一种可再生栽培基质的制备方法和附生类植物的栽培方法
CN105359879A (zh) 一种盆栽营养土
CN106171903A (zh) 一种促使鹅掌柴快速、优质生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