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732B1 -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732B1
KR102237732B1 KR1020200131690A KR20200131690A KR102237732B1 KR 102237732 B1 KR102237732 B1 KR 102237732B1 KR 1020200131690 A KR1020200131690 A KR 1020200131690A KR 20200131690 A KR20200131690 A KR 20200131690A KR 102237732 B1 KR102237732 B1 KR 10223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posite panel
water
connector
capill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은림
최형석
정대성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Priority to KR102020013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05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combined with solar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4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the system uses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TCP, Textile grid reinforcement and Capillary tube embedded composite Panel)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진감지 및 누수 제어가 가능하며 내진 및 단열성능을 구비한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복합패널시스템은 집열판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포함하는 배관수가 배관을 통해 개폐밸브를 통해 복합패널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탱크; 상기 배관수가 배관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모세관튜브에 공급되고, 상기 모세관튜브를 경유하여, 배관에 설치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다수의 복합패널; 및 상기 다수의 복합패널에 매설된 모세관튜브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일자형커넥터를 포함하되, 복합패널의 연결측면은 모르타르(M) 마감을 이용하여 일자형커넥터가 매립되면서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커넥터가 설치되는 패널연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COMPOSITE PANEL SYSTEM, AND REINFORCEMENT METHOD OF MASONRY STRU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TCP, Textile grid reinforcement and Capillary tube embedded composite Panel)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진감지와 누수제어, 내진성능 및 단열성능 향상이 가능한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조적조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합패널(TCP,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50)의 설치 및 구성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패널(50)은 경량 모르타르를 타설, 양생시켜 형성하는 복합패널 본체(10); 격자 형태의 섬유보강재로서, 조적벽체(60)의 내진보강을 위해 상기 복합패널 본체(10) 내에 매립되는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20); 및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 복합패널 본체(10) 내에 매립되는 모세관 튜브(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합패널 본체(10)는 자체 중량이 작기 때문에 현장에서 시공 가능하며, 경량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얇은 두께의 패널로 제작하여 작업성 및 취급성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20)는 도 1b와 같이, 위사와 경사(20a, 20b)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제작된 섬유보강재로서, 상기 조적벽체(60)의 내진보강을 위해 상기 복합패널 본체(10) 내에 매립되며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 고강도 섬유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의 직물로 제직하는 등의 방법으로 텍스타일 그리드를 제작한 후, 에폭시, 비닐에스테르, SBR 수지 등으로 함침시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모세관 튜브(30)는 조적조 건축물의 냉난방 부하를 절감시키도록 냉온수의 공급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하고, 동절기 온수 공급으로 벽체 단열 효과를 증대시키며, 하절기 냉수 공급으로 냉방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c와 같이 개폐밸브(34)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온수를 다수의 모세 유관(31)에 공급하는 냉온수 공급관(32); 및 상기 다수의 모세 유관을 경유하여 빠져나가는 냉온수를 배출, 상기 개폐밸브(34)로 유도하는 냉온수 배출관(33)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복합패널(50)은 일정한 크기로 제작하게 되는데 모세관 튜브(30)가 복합패널 본체(10) 내에 매립되어 있어 서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수단이 있어야 하고, 현장에서 바로 조립 설치해야 하지만, 복합패널에 적합한 연결수단으로서 소개된 것이 없었다.
도 1d는 종래 태양열 온수시스템의 예시도이다.
즉,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집열판(10a)에 집열되는 태양열에 의해 가열 및 순환되는 열매체유를 통해 열교환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저장탱크(15); 상기 집열판(10a)과 온수저장탱크(15) 내에 각각 설치하되 열매체유의 순환 이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집열판(10a)에서 가열된 열매체유의 자연대류에 의한 순환을 통해 온수저장탱크(15) 내 저장된 온수를 열교환 처리하기 위한 순환배관라인(14); 상기 집열판(10a)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크기로서 엠보싱 구조를 통해 태양열의 에너지 및 집열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볼록렌즈 배열판(12);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태양열을 볼록렌즈 배열판(12)을 이용하여 배관라인 내부의 물 등의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e는 종래 누수감지시스템의 예시도이다.
각각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온수 및 난방수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조절밸브(41); 상기 각각의 조절밸브의 근처의 공급관(43)에 설치되어 그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압력센서(44);
상기 각각의 조절밸브 및 압력센서가 연결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압력값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압력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며, 측정압력이 기준압력보다 설정범위 이상으로 낮거나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우 누수로 판단하는 제어판(45); 및 상기 제어판을 원격위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계되고, 상기 제어판으로부터 누수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송신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원격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누수 감시 시스템이 소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공급관과 같은 배관의 압력을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누수여부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107836호(발명의 명칭: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공개일자: 2020년05월27일) 대한민국 특허 제10-2107836호(발명의 명칭: 태양열 온수 시스템, 공개일자: 2017년11월21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8988호(발명의 명칭: 누수 감시 시스템, 공개일자: 2003년03월31일)
본 발명은 복합패널(TCP,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 설치하여 주거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 온수를 복합패널에 공급하여 난방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누수 및 지진감지 기능에 의한 2차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은 집열판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포함하는 배관수가 배관을 통해 개폐밸브 및 복합패널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탱크; 상기 배관수가 배관에 설치된 공급관를 통해 모세관튜브에 공급되고, 상기 모세관튜브를 경유하여, 배관에 설치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다수의 복합패널; 및 상기 다수의 복합패널에 매설된 모세관튜브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일자형커넥터를 포함하되, 복합패널의 연결측면은 모르타르(M) 마감을 이용하여 일자형커넥터가 매립되면서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커넥터가 설치되는 패널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패널의 몸통부의 수직연결은 모세관튜브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L자형커넥터를 이용하되, 상기 L자형커넥터가 몸통부의 상하연결부를 커팅하여 블록아웃시켜 커넥터형성공간(S)을 먼저 형성시키고, 상하로 연결된 모세관튜브에 L자형커넥터를 연결시킨 후, 상하로 배치된 L자형커넥터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형성공간(S)을 모르타르(M) 마감시키되, 상기 L자형커넥터는 몸통부의 상하연결부에 위치하여 모서리부로부터 수평연결관과 수직연결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관은 상부 및 하부의 모세관튜브에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된 수직연결관을 서로 실리콘재질의 연장관으로 연결시켜 배관수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은 (a) 집열판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포함하는 배관수가 배관과 개폐밸브를 통해 복합패널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탱크; 상기 배관수가 배관에 설치된 공급관을 통해 모세관튜브에 공급되고, 상기 모세관튜브를 경유하여, 배관에 설치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다수의 복합패널을 조적벽체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합패널을 구성하는 몸통부의 모세관튜브는 튜브커넥터를 구성하는 일자형커넥터를 이용하여 수평연결되고, 튜브커넥터를 구성하는 L자형커넥터를 이용하여 상하연결되도록 하되, 복합패널 상하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실리콘재질의 연장관 길이만 연장시켜 개구부 상하로도 모세관튜브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튜브커넥터가 설치되도록 패널연결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복합패널의 공급관과 배출관 주위의 배관에 설치되어 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압력센서와 제어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복합패널시스템에 일정 수준의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배관에 배관수가 추가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d) 탱크, 압력센서, 누수방지부, 급수부와 연결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탐지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 데이터처리부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는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송, 수신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에 의하면, 조적벽체에 설치된 복합패널(TCP)에 의하여 조적벽체 연성 및 강도를 증가시켜 조적벽체의 내진성능을 보강할 수 있고, 공급 온도 조절에 따른 단열 효과를 증대시킴에 따라 건물에너지 냉난방 부하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다수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도 이러한 효과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복합패널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은 내부 튜브와 제어부에 압력센서, 진동센서를 설치하여 내부 튜브의 누수와 지진에 의한 손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은 노후 조적조 건축물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벽식 주택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 효과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조적조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합패널(TCP)의 설치 및 구성예시도,
도 1d는 종래 태양열 온수시스템의 예시도,
도 1e는 종래 누수감지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 구성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을 구성하는 복합패널의 연결구성도와 제어부의 구성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 ]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 구성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합패널(140)의 연결구성도와 제어부(180)의 구성예시도이다.
상기 복합패널시스템(100)은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 효과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집열판부(110)를 이용하게 되며 상기 온수는 탱크(120)에 배관(130)을 통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탱크(120)로부터 역시 배관(130)을 통해 복합패널(TCP,140)에 온수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복합패널(140)의 공급관(144), 배출관(145) 주위의 배관(130)에는 압력센서(150)를 설치하여 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되, 복합패널(TCP,140)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배출관(145)에 설치된 누수방지부(160)를 통해 누수가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배출관(145)을 통해 배출된 온수를 배관(130)을 통해 집열판부(110)로 재순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120), 압력센서(150), 진동센서(170)등을 제어하는 제어부(180)가 구비되어 지진이 발생할 경우 복합패널(TCP,140)로 온수 공급을 중단시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복합패널(TCP,140)은 현장에서 조적벽체(200)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조적벽체(200)의 크기에 따라 다수를 서로 연결 설치할 필요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복합패널(TCP,140)은 서로 패널연결수단(300)으로 접합철물(310)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복합패널(TCP,140) 내부에 설치되는 모세관튜브(143)는 각각의 복합패널(TCP,140)에 설치되어 있어 이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튜브커넥터(320)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튜브커넥터(320)는 도 3b를 참조하면, 현장에서 커팅하여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도록 복합패널(TCP,140)은 커넥터형성공간(S)을 구비하여 간단하게 모세관튜브(143)를 연결설치하여 모르타르(M) 마감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성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집열판부(110), 탱크(120), 배관(130), 복합패널(TCP,140), 압력센서(150), 누수방지부(160), 진동센서(170), 제어부(180), 급수부(19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상기 집열판부(11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태양열을 이용하여 배관(130)을 통해 공급되는 배관수를 가열시켜 온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태양열을 집광하여 배관 내부의 배관수를 가열하는 방식, 태양열을 집열하고 집열된 태양에너지를 열저장매체를 통해 축열한 후 배관수의 온도를 높이는 방식 등을 이용하면 되고, 종래 건축물에 설치된 집열판, 태양열 패널을 이용하여 특히 동절기에 배관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집열판부(110)에는 배관수를 공급하는 배관(130), 온수의 배출관으로서 배관(130)이 연결되며, 온수는 배관(130)을 통해 탱크(120)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상기 탱크(12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집열판부(110)와 복합패널(TCP,140) 사이의 배관(130) 중간에 설치되어 집열판부(1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집열판부(110)는 태양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야간에는 온수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낮에 탱크(120)에 온수를 저장하여 야간에 온수를 배관(130)을 통해 복합패널(TCP,140)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탱크(12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는 도 2와 같이, 개폐밸브(121)를 통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되, 후술되는 제어부(180)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21)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관(13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파이프로서 집열판부(110)와 탱크(120)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130), 탱크(120)와 복합패널(TCP,140) 사이의 배관(130), 공급된 온수가 조적벽체(200)의 난방수단으로 역할을 한 이후,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다시 온수로 만들기 위하여 복합패널(TCP,140)로부터 집열판부(110)로 이송되도록 하는 배관(130)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도 2에 의하면,
탱크(120)와 복합패널(TCP,140)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130)에는 후술되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는 개폐밸브(121)와 복합패널(TCP,140)의 공급관(144) 주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150)가 추가로 설치되며,
복합패널(TCP,140)과 급수부(190) 사이에 설치되는 배관(130)에는 후술되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합패널(TCP,140)의 배출관(145) 주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150)와 압력센서(150) 주위의 누수방지부(160)가 추가로 설치되며, 누수방지부(160)와 집열판부(110) 사이에는 급수부(190)가 더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패널(14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와 모세관튜브(143)가 경량 모르타르에 의하여 매설되도록 제작하되, 얇은 두께의 패널로 제작하여 작업성 및 취급성이 우수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복합패널(140)은 온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44)과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45)은 모세관튜브(143)에 연결되며, 고정수단(146)에 의하여 조적벽체(2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복합패널(140)을 서로 종방향, 횡방향으로 연결시킴에 있어 모세관튜브(143)에 온수가 상기 공급관(144)에 의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이러한 모세관튜브(143)를 어떻게 연결시키고, 복합패널(140) 자체도 어떻게 안정적으로 조적 벽체(200)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일체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패널연결수단(300)을 개시하게 된다.
이에 먼저 복합패널(140)은 몸통부(141),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 모세관튜브(143), 공급관(144), 배출관(145), 고정수단(146)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몸통부(141)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 모세관튜브(143)가 내부에 매설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조적조 건축물인 조적벽체(200)의 크기에 대응하여 경량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경량 모르타르의 사용으로 자체 중량이 작기 때문에 현장에서 조립 시공이 가능하며, 경량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얇은 두께의 패널로 제작하여 작업성 및 취급성이 우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격자형태로서 조적벽체(200)의 내진보강을 위해 상기 몸통부(141) 내에 매립된다.
이러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는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를 에폭시, 비닐에스테르, SBR 수지 등으로 함침시켜 제조한 것을 이용하여 경량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몸통부(141)와 일체화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는 높은 인장강도와 고탄성 특성으로 조적벽체의 면내방향 횡하중 지지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의 높은 인장강도와 경량콘크리트 보강으로 인해 기존 조적벽체(200)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고 수평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는 플라스틱 그리드 보강재에 비해 고강도 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크고 인장 변형률이 낮은 특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구조물 축조 및 보강에 우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세관튜브(143)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냉난방 및 단열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 복합패널 몸통부(141) 내에 매립된다.
즉, 모세관튜브(143)는 조적조 건축물의 냉난방 부하를 절감시키도록 냉온수의 공급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동절기 온수 공급으로 조적벽체(200)의 난방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모세관튜브(143)는 예컨대 4~6㎜의 직경을 갖고 30~50㎜ 범위의 간격으로 상기 몸통부(141) 내에 모세 유관이 수직방향으로 정렬 배치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모세 유관은 가벼운 방수재질로서 커팅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된 것을 스페이서 등을 이용하여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모세관 튜브(143)는 몸통부(141) 외부의 배관(130)에 설치된 공급관(144)과 역시 배관(130)에 설치된 배출관(145)에 연결시켜 배관(130)으로부터 온수가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모세관튜브(143)는 상기 조적조 건축물의 동절기 온수 공급으로 벽체 단열 효과를 증대시키고, 하절기 냉수 공급으로 냉방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세관튜브(143)는 각각의 복합패널(TCP,140)에 설치되어 있어 이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튜브커넥터(320)를 이용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공급관(144)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몸통부(141) 내부에 매설된 모세관튜브(143)에 배관(13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설치되며, 복합패널(140)과 배관(1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진 것을 이용하면 된다.
먼저 상기 배출관(145)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몸통부 내부에 매설된 모세관튜브(143)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배관수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설치되며, 복합패널(140)과 배관(1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역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46)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복합패널(140)을 조적 벽체(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앵커볼트를 고정수단(146)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몸통부(141)에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조적벽체(200)에 앵커홀이 형성되어,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상기 몸통부(141)를 상기 조적벽체(200)에 체결 고정하면 된다.
또는, 상기 몸통부(141)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습식방법으로 현장에서 상기 조적벽체(200)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복합패널(140)은 조적벽체(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몸통부(141)에 매설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 모세관튜브(143)로 형성된 복합패널(140)은 조적 벽체(200)의 크기에 따라서 다수를 서로 연결시키고, 고정수단(146)을 이용하여 상기 조적벽체(200)에 고정시킨 후, 공급관(144), 배출관(145)을 각각 설치할 수 있는데, 도 3a 내지 도 3c는 이와 같이 복합패널시스템을 구성하는 복합패널(140)의 연결구성도를 개시하고 있다.
먼저, 도 3a는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 모세관튜브(143)가 매설된 몸통부(141)를 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패널연결수단(300)으로써 접합철물(310)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141)는 경량콘크리트 패널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를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십자형, ㅗ형의 접합철물(310)과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몸통부(141)의 연결부 표면을 서로 종항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몸통부(141)의 연결측면은 에폭시계열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 모세관튜브(143)가 매설된 몸통부(141)를 서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함에 있어, 패널연결수단(300)으로서, 튜브커넥터(320)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는 각각의 몸통부(141) 내부에 매설되어 달리 연결시키지는 않지만 모세관튜브(143)는 다수의 몸통부(141)가 연결됨에 따라 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관수가 몸통부(141)에 모두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야 한다.
이에 복합패널(TCP,140) 내부에 설치되는 모세관튜브(143)는 각각의 복합패널(TCP,140)에 설치되어 있어 이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튜브커넥터(320)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튜브커넥터(320)는 현장에서 커팅하여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되 상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40)에 탱크(120)로부터 공급된 배관수가 하부에 위치한 복합패널(140)로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3b에 의하면, 복합패널(140)의 몸통부(141)의 수평연결은 모세관튜브(143)를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일자형커넥터(321)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몸통부(141)의 연결측면은 일자형커넥터(321)에 의하여 이격되어 있어 모르타르(M) 마감을 이용하여 일자형커넥터(321)가 매립되면서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일자형커넥터(321)는 중간수직플랜지 양 측방으로 모세관튜브(143)가 연결될 수 있는 수평연결관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모세관튜브(143) 수평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 및 도 3c에 의하면, 복합패널(140)의 몸통부(141)의 수직연결은 모세관튜브(143)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L자형커넥터(322)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L자형커넥터(322)가 몸통부(141)의 상하연결부를 커팅하여 블록아웃시켜 커넥터형성공간(S)을 먼저 형성시키고, 상하로 연결된 모세관튜브(143)에 L자형커넥터(322)를 연결시킨 후, 상하로 배치된 L자형커넥터(322)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형성공간(S)을 모르타르(M) 마감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L자형커넥터(322)는 몸통부(141)의 상하연결부에 위치하여 모서리부로부터 수평연결관과 수직연결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관은 상부 및 하부의 모세관튜브(143)에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된 수직연결관을 서로 실리콘재질의 연장관(323)으로 연결시켜 배관수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141)의 상하 연결면도 에폭시계열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도 3b에 의하면 복합패널(140)을 구성하는 몸통부(141)의 모세관튜브(143)는 튜브커넥터(320)를 구성하는 일자형커넥터(321)를 이용하여 수평연결되고, 튜브커넥터(320)를 구성하는 L자형커넥터(322)를 이용하여 상하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복합패널(140) 상하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실리콘 재질의 연장관(323) 길이만 연장시켜 개구부 상하로도 모세관튜브(143)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튜브커넥터(320), 모세관튜브(143), 실리콘재질의 연장관(323)은 커팅이 용이한 재질로 형성되고, 몸통부(141)도 경량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블록아웃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부의 복합패널(140)에 공급관(144)을 이용하여 배관수를 공급하고, 최하단의 복합패널(140)로부터 배출관(145)을 이용하여 누수방지부(160)를 거쳐 집열판부(110)로 다시 배관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력센서(15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복합패널(140)의 공급관(144)와 배출관(145) 주위의 배관(130)에 설치되어 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후술되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집열판부(110), 탱크(120), 복합패널(TCP,140), 압력센서(150), 누수방지부(160), 급수부(190)가 배관(13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있어, 어느 한 개라도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배관(130)을 따라 순환되는 배관수의 압력에 영향을 끼치게 되며, 특히 누수가 되는 경우 배관(130) 내부의 수압이 저하된다.
이에 압력센서(150)에 의하여 압력 저하를 계측되도록 하고, 계측된 압력 정보의 탐지 및 배관(130)으로 배관수가 추가 순환되지 않도록 배관(130)에 설치한 다수의 밸브를 개폐시켜 추가적인 누수가 제어되도록 하게 되며, 이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누수방지부(16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복합패널(140)의 배출관(145)과 급수부(19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누수가 제어부(180)에 의하여 탐지되면 복합패널시스템(100)의 배관(130)에 남아있는 배관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에 배관(130)에 T형 연결관과 밸브를 설치하여 누수가 탐지되면 제어부(180)에서는 누수방지부(160)의 밸브를 통해 배관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누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역시, 누수가 제어되면 다시 밸브를 통해 배관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제어부(180)에 의하여 진행된다.
상기 진동센서(17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어부(180)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복합패널시스템(100)에 일정 수준의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제어부(180)를 통해 배관(130)에 배관수가 추가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고,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50)와 누수방지부(160)를 제어하여 필요한 경우 배관수를 제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연동하여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탱크(120)의 밸브, 배관(130)에 설치된 압력센서(150), 배관에 설치된 누수방지부(160)의 밸브, 진동센서(170), 급수부(190)의 밸브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 모니터링, 제어함으로써 복합패널(140)에 공급, 배출되는 배관수의 순환, 배관수의 외부 배출, 급수 제어, 지진감지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감전, 화재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예컨대, 조적 벽체(200)에 박스형태로 설치되어 별도의 관리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 설치프로그램에 의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유선, 무선(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으로 수신, 송신하여 조작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탱크(120), 압력센서(150), 누수방지부(160), 급수부(190)와 연결되는 통신부(181)와,
상기 통신부(181)에 의하여 탐지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182)와,
데이터처리부(182)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83)와,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4)를 포함하고,
특히 진동센서(170,지진감지부)는 상기 데이터처리부(182)와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처리부(182)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는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송, 수신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급수부(19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집열판부(110)와 누수방지부(160)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수의 순환을 위한 물을 포함하는 배관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역시 T형 연결관과 밸브를 설치하여 제어부(180)에 의하여 필요한 양만큼 배관수가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패널시스템(100)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복합패널시스템(100)은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집열판부(110), 탱크(120), 배관(130), 복합패널(TCP,140), 압력센서(150), 누수방지부(160), 진동센서(170), 급수부(190)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별도 제작되고,
이러한 복합패널시스템(100)을 조적 벽체(200)에 앵커볼트와 같은 건식, 시멘트 모르타르와 같은 습식 고정수단(146)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조적조 건축물은 조적 벽체(200)를 일 부분으로 하는 학교 등의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4에 의하면 조적조 건축물이 시공되는 바닥에 조적벽체(200)가 시공되어 있으며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시공되며 점토벽돌 등을 이용하여 상, 하로 적층시켜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조적벽체(200)는 지진 등에 의한 수평력에 매우 취약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평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패널(140)을 조적벽체(200)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수단(146)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게 된다.
도 4에 의하면 조적 벽체(200) 일측면에 3개의 복합패널(140)을 수평연결 시키고 있지만, 상하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때 수평연결은 패널연결수단(300)으로써 접합철물(310)도 함께 이용하게 되며, 패널연결수단(300)으로서, 일자형커넥터(321)와 L자형커넥터(322)를 포함하는 튜브커넥터(320)를 이용하여 복합패널(140)의 모세관튜브(143)를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상하 연결시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서로, 수평 및 상하 연결된 본 발명의 복합패널(140)에는 도 2를 참조하면 집열판부(110)가 배관(130)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집열판부(110)와 복합패널(140) 사이의 배관(130)에는 탱크(1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집열판부(110)에 의하여 가열된 배관수는 탱크(120)를 거쳐 시스템공급관(330)을 통해 복합패널(140)의 상부로 공급관(144)를 거쳐 공급되며, 다수의 복합패널(140)의 모세관튜브(143)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배분되면서 난방 효과를 구비할 수 있게 되며, 복합패널(140) 하부의 배출관(145)를 통해 누수방지부(160)와 급수부(190)를 거쳐 재순환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탱크(120)의 밸브, 배관(130)에 설치된 압력센서(150), 배관에 설치된 누수방지부(160)의 밸브, 진동센서(170), 급수부(190)의 밸브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이용함은 살펴본 바와 같고, 조적 벽체(200)의 크기와 설치되는 복합패널(140)을 고려하여 모세관튜브(143)는 서로 연결되도록 하거나 폐합시켜 배관수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합패널시스템
110: 집열판부 120: 탱크
121: 개폐밸브 130: 배관
140: 복합패널 141: 몸통부
142: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143: 모세관튜브
144: 공급관 145: 배출관
146: 고정수단
150: 압력센서 160: 누수방지부
170: 진동센서 180: 제어부
181: 통신부 182: 데이터처리부
183: 데이터저장부 184: 전원공급부
190: 급수부
200: 조적벽체 300: 패널연결수단
310: 접합철물
320: 튜브커넥터
321: 일자형커넥터 322: L자형커넥터
S: 커넥터형성공간

Claims (10)

  1. 집열판부(110)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포함하는 배관수가 배관(130)을 통해 개폐밸브(121)를 통해 복합패널(140)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탱크(120);
    상기 배관수가 배관(130)에 설치된 공급관(144)를 통해 모세관튜브(143)에 공급되고, 상기 모세관튜브(143)를 경유하여, 배관(130)에 설치된 배출관(145)을 통해 배출되는 다수의 복합패널(140); 및
    상기 다수의 복합패널(140)에 매설된 모세관튜브(143)를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일자형커넥터(321)를 포함하되, 복합패널(140)이 연결측면은 모르타르(M) 마감을 이용하여 일자형커넥터(321)가 매립되면서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커넥터(320)가 설치되는 패널연결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패널(140)의 몸통부(141)의 수직연결은 모세관튜브(143)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L자형커넥터(322)를 이용하되, 상기 L자형커넥터(322)가 몸통부(141)의 상하연결부를 커팅하여 블록아웃시켜 커넥터형성공간(S)을 먼저 형성시키고, 상하로 연결된 모세관튜브(143)에 L자형커넥터(322)를 연결시킨 후, 상하로 배치된 L자형커넥터(322)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형성공간(S)을 모르타르(M) 마감시키되, 상기 L자형커넥터(322)는 몸통부(141)의 상하연결부에 위치하여 모서리부로부터 수평연결관과 수직연결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관은 상부 및 하부의 모세관튜브(143)에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된 수직연결관을 서로 실리콘재질의 연장관으로 연결시켜 배관수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패널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판부(11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배관(130)을 통해 공급되는 배관수를 가열시켜 온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배관수를 공급하는 배관(130), 온수의 배출관으로서 배관(130)이 연결되며, 온수는 배관(130)을 통해 탱크(120)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집열판부(110)와 누수방지부(160)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수의 순환을 위한 물을 포함하는 배관수를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역시 T형 연결관과 밸브를 설치하여 제어부(180)에 의하여 필요한 양만큼 배관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부(190)가 더 설치되며,
    상기 탱크(120)는, 집열판부(110)와 복합패널(TCP,140) 사이의 배관(130) 중간에 설치되어 집열판부(1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어부(180)를 통해 상기 개폐밸브(121)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패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널(140)은,
    격자형태의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2)와 모세관튜브(143)가 내부에 매설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조적조 건축물인 조적 벽체(200)의 크기에 대응하여 경량 모르타르를 타설 및 양생시켜 형성된 몸통부(141);
    상기 몸통부(141) 내부에 매설된 모세관튜브(143)에 배관(13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설치되며, 복합패널(140)과 배관(1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급관(144); 및
    상기 몸통부 내부에 매설된 모세관튜브(143)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배관수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로서 설치되며, 복합패널(140)과 배관(13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배출관(145);을 포함하는 복합패널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복합패널(140)의 공급관(144)와 배출관(145) 주위의 배관(130)에 설치되어 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압력센서(1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압력센서(150)에 의하여 압력 저하를 센싱되도록 하고, 센싱된 압력데이타의 탐지 및 배관(130)으로 배관수가 추가 순환되지 않도록 배관(130)에 설치한 다수의 밸브를 개폐시켜 제어부(180)에 의하여 추가적인 누수가 제어되도록 하는 복합패널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복합패널(140)의 배출관(145)과 급수부(19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누수가 제어부(180)에 의하여 탐지되면 복합패널시스템(100)의 배관(130)에 남아있는 배관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누수방지부(16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누수방지부(160)는 배관(130)에 T형연결관과 밸브를 설치하여 누수가 탐지되면 제어부(180)에서는 누수방지부(160)의 밸브를 통해 배관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누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되, 누수가 제어되면 다시 밸브를 통해 배관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제어부(180)에 의하여 진행되도록 하는 복합패널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제어부(180)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복합패널시스템(100)에 일정 수준의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제어부(180)를 통해 배관(130)에 배관수가 추가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센서(17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50)와 누수방지부(160)를 제어하여 필요한 경우 배관수를 제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연동하여 작동하는 복합패널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탱크(120)의 밸브, 배관(130)에 설치된 압력센서(150), 배관에 설치된 누수방지부(160)의 밸브, 진동센서(170), 급수부(190)의 밸브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을 모니터링, 제어함으로써 복합패널(140)에 공급, 배출되는 배관수의 순환, 배관수의 외부 배출, 급수 제어, 지진감지하여 누수로 인한 누전, 감전, 화재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인 제어부(180)가 더 설치되도록 하는 복합패널시스템.
  9. (a) 집열판부(110)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포함하는 배관수가 배관(130)을 통해 개폐밸브(121)를 통해 복합패널(140)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탱크(120); 상기 배관수가 배관(130)에 설치된 공급관(144)를 통해 모세관튜브(143)에 공급되고, 상기 모세관튜브(143)를 경유하여, 배관(130)에 설치된 배출관(145)을 통해 배출되는 다수의 복합패널(140)을 조적 벽체(200)에 고정수단(146)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합패널(140)을 구성하는 몸통부(141)의 모세관튜브(143)는 튜브커넥터(320)를 구성하는 일자형커넥터(321)를 이용하여 수평연결되고, 튜브커넥터(320)를 구성하는 L자형커넥터(322)를 이용하여 상하연결되도록 하되, 복합패널(140) 상하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실리콘재질의 연장관 길이만 연장시켜 개구부 상하로도 모세관튜브(143)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튜브커넥터(320)가 설치되도록 패널연결수단(30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복합패널(140)의 공급관(144)와 배출관(145) 주위의 배관(130)에 설치되어 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후술되는 제어부(180)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압력센서(150)와 제어부(180)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복합패널시스템(100)에 일정 수준의 지진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제어부(180)를 통해 배관(130)에 배관수가 추가로 순환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센서(170)를 설치하는 단계;
    (d) 탱크(120), 압력센서(150), 누수방지부(160), 급수부(190)와 연결되는 통신부(181); 상기 통신부(181)에 의하여 탐지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182); 데이터처리부(182)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83); 및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4)를 포함하는 제어부(18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센서(170)는 상기 제어부(180)의 데이터처리부(182)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처리부(182)에 의하여 처리된 데이터는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송, 수신되도록 하는 복합패널시스템을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널(140)은 패널연결수단(300)으로서 접합철물(310)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복합패널(TCP,140) 내부에 설치되는 모세관튜브(143)는 각각의 복합패널(TCP,140)에 설치되어 있어 이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튜브커넥터(320)를 이용하며,
    상기 튜브커넥터(320)는 현장에서 커팅하여 사용이 간편하도록 하도록 복합패널(TCP,140)은 커넥터형성공간(S)을 구비하여 간단하게 모세관튜브(143)를 연결설치하여 모르타르(M) 마감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성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KR1020200131690A 2020-10-13 2020-10-13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KR10223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90A KR102237732B1 (ko) 2020-10-13 2020-10-13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90A KR102237732B1 (ko) 2020-10-13 2020-10-13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732B1 true KR102237732B1 (ko) 2021-04-09

Family

ID=7544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90A KR102237732B1 (ko) 2020-10-13 2020-10-13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7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493A (ko) * 1990-08-30 1992-03-27 윌리엄 이 램베르트 3세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KR200308988Y1 (ko) 2002-12-16 2003-03-31 신희승 누수 감시 시스템
KR20070047989A (ko) * 2005-11-03 2007-05-08 주식회사 강남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용 전열교환기의 구조
KR20140013566A (ko) * 2012-07-25 2014-02-05 장희승 조립·해체 및 시공이 간편한 냉·난방 파이프 모듈과 그 시공방법
KR20200021696A (ko) * 2018-08-21 2020-03-02 김정란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102107836B1 (ko) 2019-10-02 2020-05-27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493A (ko) * 1990-08-30 1992-03-27 윌리엄 이 램베르트 3세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KR200308988Y1 (ko) 2002-12-16 2003-03-31 신희승 누수 감시 시스템
KR20070047989A (ko) * 2005-11-03 2007-05-08 주식회사 강남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용 전열교환기의 구조
KR20140013566A (ko) * 2012-07-25 2014-02-05 장희승 조립·해체 및 시공이 간편한 냉·난방 파이프 모듈과 그 시공방법
KR20200021696A (ko) * 2018-08-21 2020-03-02 김정란 난방용 온수 패널 조립체
KR102107836B1 (ko) 2019-10-02 2020-05-27 재단법인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5663B1 (en) Stay-in-place insulated concrete forming system
KR100991851B1 (ko)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BR112020016422A2 (pt) Painel de construção isolado pré-fabricado
CN100415999C (zh) 基础墙系统
US20070151704A1 (en) Geothermal heat exchange system
US20210215351A1 (en) Building envelop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a building
KR102107836B1 (ko)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 및 모세관 튜브 매립형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US20150308697A1 (en) Building envelop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a building
Vassallo et al. Seismic design of a six-storey CLT building in Italy
KR102237732B1 (ko) 복합패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의 보강방법
WO2012119479A1 (zh) 一种有支承的外墙外保温复合墙体
CN206376277U (zh) 地下综合管廊的结构
CN110206194A (zh) 一种毛坯隔墙
WO2013171772A1 (en) Modular-based, concrete floor or roofing building structure
CN103953125A (zh) 一种预制空调板支座处防火安装施工方法
JP4957955B2 (ja) 戸建免震建物施工法
Mintz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omposite roofing system
KR20180093571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Liang et al. Introduction of a panelized brick veneer wall system and its building science evaluation
CN215670301U (zh) 一种钢结构的剪力墙组合结构
WO2012144880A2 (en)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17652006U (zh) 一种复合自保温外墙板半内嵌连接结构
CN205171704U (zh) 一种基于外墙下埋设的天棚辐射管构造
CN217420111U (zh) 一种复合自保温外墙板下托式连接结构
CN103031901B (zh) 绝热型结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