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235B1 -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235B1
KR102237235B1 KR1020200166638A KR20200166638A KR102237235B1 KR 102237235 B1 KR102237235 B1 KR 102237235B1 KR 1020200166638 A KR1020200166638 A KR 1020200166638A KR 20200166638 A KR20200166638 A KR 20200166638A KR 102237235 B1 KR102237235 B1 KR 10223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helf
support
adjustmen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수
임가민
왈츠리아나
Original Assignee
신윤수
임가민
왈츠리아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수, 임가민, 왈츠리아나 filed Critical 신윤수
Priority to KR102020016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A47B57/58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with connection means slidable in a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결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기둥부에 결합되면서 이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Shelves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테리어 소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벽에 설치되는 벽 선반은 수납 공간 활용성이나 인테리어 장식의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벽 선반이 차지하는 부피가 큰 경우 오히려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선반의 각도가 조절되고 선반을 슬라이딩 접철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선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선반 각도가 조절되고 슬라이딩 접철이 가능한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결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기둥부에 결합되면서 이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은 접철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성이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각도조절부와 완충이동부가 표현된 투과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각도조절부의 작동과정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이 접철가능한 특징이 표현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벽과 선반 사이의 레일부가 표현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각도조절부와 완충이동부가 표현된 투과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100)은 지지기둥부(200), 받침부(300) 및 선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부(200)는 받침부(300)의 양 단에 한 쌍이 구비되어 지지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며, 선반부(400)는 받침부(300)와 지지기둥부(200)에 결합되되 그 각도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 요소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100)은 각도조절부(500)와 완충이동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400)는 각도조절부(500)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각도조절부(500)는 지지기둥부(2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510), 지지대(5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선반부(400)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절홈(521)을 포함하는 조절부재(520), 선반부(400)가 조절부재(520)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로드(401), 및 제1로드(401)와 연결되는 연결로드부(532), 및 연결로드부(53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들부(531)를 포함하는 조작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510)는 지지기둥부(2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조절부재(520)를 하부에서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520)는 제1로드(401)가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조절홈(521)과, 조절홈(521)의 상단에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제1로드(40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홈(5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반부(4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선반부(400)의 후단에는 완충이동부(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완충이동부(310)는 본체부(301), 장공(302) 및 지지고정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이동부(310)는 선반부(400)의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선반부(400)의 후단이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반부(400)의 각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그 고정된 후단도 이동이 되어야 보다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완충이동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선반부(400)의 제2로드(402)가 선반부(400)의 후단에 연결되고 이는 장공(302)에 배치되어 선반부(400)의 각도 조절됨에 따라 장공(302)을 따라 상하이동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303)는 도면에는 받침부(300)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선반부(400)의 원활한 각도 조절을 위하여 본체부(301)가 상하로 이동이 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받침부(300)에 상하로 형성되는 레일부(미도시)에 구비되어 선반부(400)의 각도 변경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각도조절부의 작동과정이 표현된 측면도이다.
조절부재(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홈(521)과 고정홈(52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조절홈(521)의 개방 영역을 채우거나 비우도록 구성되는 각도고정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고정부(540)는 제1로드(401)가 고정홈(5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선반부(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홈(521)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조절홈(522)의 하단에 위치하여 조절홈(521)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팽창되도록 상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구성될 수 있다. 핸들부(531)를 내측으로 밀어넣는 동작(push)을 하면 핸들부(531)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각도고정부(540)는 조절홈(521)의 개방 영역을 비우도록 조절홈(521)의 곡률의 중앙을 향하여 축소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선반부(400)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531)을 내측으로 밀어넣은 푸쉬 작동을 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이 접철가능한 특징이 표현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벽과 선반 사이의 레일부가 표현된 측면도이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100)은 접철되어 전체적인 부피 감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적어도 2개로 다단 분할되어 다단 분할된 받침부(300A, 300B)를 포함할 수 있고, 선반부(400) 역시 마찬가지로 다단 분할된 받침부(400A, 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좁히거나 넓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일측 분할 부재는 타측 분할 부재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타측 분할 부재는 그 내부에 일측 분할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슬라이딩 접철이 가능하도록 이동레일부(6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레일부(600)는 벽면에 고정되는 제1레일부(610)와 받침부(300A, 300B)의 다단 분할 부재 각각의 후면에 구비되어 제1레일부(6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레일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지지기둥부
300: 받침부
400: 선반부
500: 각도조절부
600: 이동레일부

Claims (9)

  1. 벽면에 위치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좌우에 서로 이격되어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기둥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지지기둥부에 결합되면서 이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선반부; 및
    상기 선반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기둥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조절홈을 포함하는 조절부재;
    상기 선반부가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1로드; 및
    상기 제1로드와 연결되는 연결로드부, 및 상기 연결로드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1로드가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조절홈과, 상기 조절홈의 상단에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상기 제1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홈
    을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선반부의 측면 후단에 배치되는 완충이동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완충이동부는,
    상기 선반부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선반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2로드가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받침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고정부
    를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1로드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절홈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절홈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홈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팽창되도록 상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각도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부는,
    상기 핸들부를 내측으로 푸쉬(push)작동하는 경우 상기 조절홈의 곡률의 중앙을 향하여 축소되어 상기 조절홈을 따라 상기 제1로드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선반부는,
    적어도 2개 부재로 다단 분할되어 일측이 타측의 부재의 내측으로 접철되도록 구성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9. 제8항에 있어서,
    벽면에 고정되는 제1레일부; 및
    상기 받침부의 다단 분할 부재 각각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레일부
    를 더 포함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KR1020200166638A 2020-12-02 2020-12-02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KR10223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38A KR102237235B1 (ko) 2020-12-02 2020-12-02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38A KR102237235B1 (ko) 2020-12-02 2020-12-02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235B1 true KR102237235B1 (ko) 2021-04-07

Family

ID=75469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638A KR102237235B1 (ko) 2020-12-02 2020-12-02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16A (ja) * 1991-06-26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装置
KR19980020595A (ko) * 1996-09-10 1998-06-25 최진호 오픈형 쇼케이스의 선박각도조절장치
JP2001070051A (ja) * 1999-09-02 2001-03-21 Kinya Sawada 家具用伸縮板体及びそれを用いた家具
KR20190128856A (ko) * 2018-05-09 2019-11-19 (주)에스라인 회전 진열대용 퍽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416A (ja) * 1991-06-26 1993-0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装置
KR19980020595A (ko) * 1996-09-10 1998-06-25 최진호 오픈형 쇼케이스의 선박각도조절장치
JP2001070051A (ja) * 1999-09-02 2001-03-21 Kinya Sawada 家具用伸縮板体及びそれを用いた家具
KR20190128856A (ko) * 2018-05-09 2019-11-19 (주)에스라인 회전 진열대용 퍽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7499A1 (en) Telescopic storage device
CN106557132B (zh) 具有薄细侧轨道的构件托架支座
US20210324994A1 (en) Multipurpose holder
KR20040073466A (ko) 키보드 지지 장치
KR102237235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선반
US20200263497A1 (en) Folding ladder and top tray thereof
US6053116A (en) Foldable table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101988838B1 (ko) 수납깊이 조절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수납깊이 조절형 서가
JP3141153U (ja) ノート型コンピュータの支持基台
US20130062298A1 (en) Display rack
KR200492097Y1 (ko)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101774101B1 (ko) 냉장고 선반
KR200483664Y1 (ko) 책장선반에 설치되는 서류 지지대
US20120055897A1 (en) Rack Assembly that can be Folded Partially
US20050029910A1 (en) Keyboard drawer system
US20130321999A1 (en) Mouse structure
US6601815B2 (en) Adjustable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418659B1 (en) Storage units and refrigerators
KR102173717B1 (ko) 기표대
KR200276773Y1 (ko) 테이블이 부설된 장식장
KR20180025632A (ko) 테이블이 구비된 절첩식 가구
CN109869982A (zh) 一种可折叠搁物架及制冷设备
KR102125657B1 (ko) 신축형 수납함
CN213035591U (zh) 动画绘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