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98B1 -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98B1
KR102236998B1 KR1020200127337A KR20200127337A KR102236998B1 KR 102236998 B1 KR102236998 B1 KR 102236998B1 KR 1020200127337 A KR1020200127337 A KR 1020200127337A KR 20200127337 A KR20200127337 A KR 20200127337A KR 102236998 B1 KR102236998 B1 KR 10223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alve
unit
chemical solu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성
Original Assignee
배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성 filed Critical 배영성
Priority to KR102020012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8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hydrophilic or hydrophobic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액 공급부와 신체를 연결하는 주입관상에 배치되고 약액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과 연결되고 신체에서 약액 공급부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의 약액 주입을 견딜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FILTER DEVICE FOR INJECTION OF MEDICINAL FLUID}
본 발명은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의 약액 주입을 견딜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필요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통상 환자의 신체에 주사바늘을 꼽아 놓은 상태에서 링거대에 액상의 약액이 함유된 약액주머니를 걸어놓고 중력에 의해 약액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약액공급장치를 통해 약액에 유압을 가하여 인위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공급되는 약액은 통상 인체에 유해한 이물질이 제거되어 있는데, 만약의 경우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에는 환자의 생명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약액공급부와 신체에 꼽은 주사바늘을 연결하는 주입관상에는 필터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는 혹시 모를 약액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신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종래 필터장치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주입관과 필터장치의 연결부위 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점이다. 공기가 틈을 통해 유입되고 주입관을 따라 신체의 내부로 유입되면,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주입관상에 머물러 약액의 주입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의 약액 주입을 견딜 수 있으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액 공급부와 신체를 연결하는 주입관상에 배치되고,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과 연결되고, 신체에서 약액 공급부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유닛은,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약액 공급부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제1 필터바디; 및 상기 제1 필터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유닛과 연결되는 제2 필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필터바디는, 일측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약액 공급부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필터바디 플랜지; 타측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신장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세틀부가 형성된 필터커버; 내주면은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제1 필터바디홀; 및 상기 제1 필터바디홀의 변형을 방지토록, 제1 필터바디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십자 형상의 필터홀지지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필터바디는, 상기 세틀부에 삽입되며, 상기 필터를 상기 세틀부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필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필터지지바; 상기 필터지지바와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제2 필터바디홀이 형성된 센터블록; 상기 센터블록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사이드돌기라인이 형성된 사이드블록; 상기 센터블록과 상기 사이드블록을 연결하며, 복수의 바가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형태의 블록브릿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유닛은, 신체에서 약액 공급부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과 연결되는 제1 밸브바디; 및 상기 제1 밸브바디와 결합되고 신체와 연결된 주입관에 연결되는 제2 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밸브바디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바디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밸브바디 플랜지; 타측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신장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세틀부가 형성된 밸브커버; 내부에서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제1 밸브바디홀; 상기 제1 밸브바디홀의 변형을 방지토록, 상기 제1 밸브바디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십자 형상의 밸브홀지지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밸브바디는, 상기 세틀부에 삽입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삼각 돌기가 형성된 밸브지지피스; 상기 밸브지지피스와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제2 밸브바디홀이 형성된 센터피스; 상기 센터피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가공되고 외측에는 사이드치형라인이 가공된 사이드피스; 및 상기 센터피스와 상기 사이드피스를 연결하며, 복수의 바가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형태의 피스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유닛과 연결되고 복수의 약액 공급부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약액을 혼합하여 상기 필터유닛으로 공급하는 매니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유닛은, 복수의 약액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약액을 혼합하는 스월러부재; 상기 스월러부재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공급부의 주입관과 연결되는 제1 매니폴드바디; 및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유닛에 연결되는 제2 매니폴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약액 공급부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나사산이 가공된 복수의 제1 매니폴드바디 플랜지; 타측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신장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월러부재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세틀부가 형성된 매니폴드커버; 및 내부에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제1 매니폴드바디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매니폴드바디는, 상기 세틀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월러부재를 상기 세틀부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스월러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월러지지블록; 상기 스월러지지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의 반대방향으로 신장되며,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제2 매니폴드바디홀이 형성된 센터부; 및 상기 스월러지지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센터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가공된 사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월러부재는, 상기 스월러지지블록에 밀착되고, 중앙부에는 믹싱홀에 형성된 원판 형상의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매니폴드커버의 세틀부 내면에 밀착되고, 약액이 유입되는 타원 형상의 복수의 개구부가 방사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판 형상의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 및 상기 믹싱홀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서 유입되는 약액를 선회시켜 상기 믹싱홀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회부; 상기 제1 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측으로 돌출된 서클바; 및 상기 서클바과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서 유입된 약액이 선회되며 상기 유입구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서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선회부는, 상기 제2 바디의 중앙측에 원형 링 형상으로 배치되고, 외측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블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에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서 유입된 약액을 상기 믹싱홀로 유도하는 유입구; 상기 가이드블록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서 상기 믹싱홀 방향으로 경사진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약액을 선회시켜 상기 믹싱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액 공급부와 신체 사이를 연결하는 주입관상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고압의 약액 주입 환경에서도 분리되지 않고 견딜 수 있다. 예를 들어 350psi 상태에서 60초 이상 견딜 수 있다.
또한,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유닛과 약액을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유닛을 동일한 나사체결방식으로 구현함에 따라 필터유닛과 밸브유닛을 손쉽게 결합/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유지/보수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유닛과 밸브유닛의 연결부에 테이퍼진 형상을 적용하여 나사체결됨에 따라 더욱 단단히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약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의 필터유닛에 대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필터유닛에 대한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의 필터유닛과 밸브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개시된 필터유닛과 밸브유닛의 결합구조에 대한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필터유닛의 정면도와 후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밸브유닛의 정면도와 후면도.
도 7는 본 발명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의 필터유닛과 밸브유닛 및 매니폴드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7에 개시된 필터유닛과 밸브유닛 및 매니폴드유닛의 결합구조에 대한 측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인 스월러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인 스월러부재에서 약액의 혼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예들 및 각각의 구조들은 개별적으로 설명되더라도,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통합되어 적용되고 설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필터유닛(200) 및 밸브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200)은 약액 공급부(10)와 신체(20)를 연결하는 주입관상에 배치되고,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유닛(200)은 필터(210), 제1 필터바디(220) 및 제2 필터바디(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10)는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210)는 헤파필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필터바디(220)는 상기 필터(210)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약액 공급부(10)의 주입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필터바디(220)는 제1 필터바디 플랜지(221), 필터커버(222), 제1 필터바디홀(223) 및 필터홀지지빔(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바디 플랜지(221)는 상기 제1 필터바디(2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약액 공급부(10)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나사산(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222)는 상기 제1 필터바디(220)의 타측에 배치되고, 신장부(222a) 및 세틀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222)의 신장부(222a)는 상기 제1 필터바디(220)의 타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세틀부(222b)는 상기 신장부(222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틀부(222b)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21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바디홀(223)은 상기 제1 필터바디(2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바디홀(223)의 내주면(223a)은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하 검토할 센터블록(23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홀지지빔(224)은 상기 제1 필터바디홀(223)의 내부에 십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필터바디홀(223)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필터바디(230)는 상기 제1 필터바디(220)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필터바디(230)는 필터지지바(231), 센터블록(232), 사이드블록(233) 및 블록브릿지(23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블록브릿지(239)는 복수의 바가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센터블록(232) 및 상기 사이드블록(233)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지지바(231)는 상기 센터블록(232) 및 블록브릿지(239)에 연결되고, 상기 세틀부(222b)에 삽입되며 상기 필터(210)를 상기 세틀부(222b)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필터(2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세틀부(222b)의 내측 둘레에는 제1 서포트돌기(225b)가 배치되어 상기 필터(210)의 둘레를 지지하고, 상기 필터커버(222)의 내부에는 제2 서포트돌기(225b)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필터지지바(231)의 반대편에서 상기 필터(21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센터블록(232)은 상기 블록브릿지(239)에 연결되고,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센터블록(232)의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23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공간인 제2 필터바디홀(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블록(233)은 상기 블록브릿지(239)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블록(2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블록(233)의 내측에는 나사산(23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사이드돌기라인(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바디 플랜지(221)의 나사산(221a)은 약액 공급부(10)의 주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블록(233)의 내측 나사산(233a)은 이하 검토할 밸브유닛(300)에 나사체결되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돌기라인(234)은 상기 필터유닛(200)과 상기 밸브유닛(300)을 결합하지 않고, 상기 필터유닛(200)과 신체(20)와 연결되는 주입관을 바로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탄성재질의 주입관과 상기 복수의 사이드돌기라인(234)에 밀착되며 끼워져, 상기 필터유닛(200)의 제2 필터바디(230)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유닛(300)은 상기 필터유닛(200)과 연결되고, 신체(20)에서 약액 공급부(10)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유닛(300)은 체크밸브(310), 제1 밸브바디(320) 및 제2 밸브바디(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310)는 신체(20)에서 약액 공급부(10)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310)는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310)의 중앙부는 이하 검토할 밸브지지피스(33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 놓여있고, 약액이 주입되면 약액의 유압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310)의 가장자리가 도 4에 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제1,2 밸브바디홀(323,335)이 서로 개방되게 된다. 만약 신체(20)에서 약액 공급부(10)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게 되면, 상기 체크밸브(310)의 가장자리가 약액의 유압에 의해 닫히게 되므로, 제1,2 밸브바디홀(323,335)은 폐쇄되게 된다. 상술한 방식으로 체크밸브(310)는 작동하여 약액의 역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바디(320)는 상기 체크밸브(310)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밸브바디(320)는 제1 밸브바디 플랜지(321), 밸브커버(322), 제1 밸브바디홀(323) 및 밸브홀지지빔(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바디 플랜지(321)는 상기 제1 밸브바디(3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사이드블록(233)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233a)과 결합되는 나사산(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커버(322)는 상기 제1 밸브바디(320)의 타측에 배치되고, 신장부(322a) 및 세틀부(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커버(322)의 신장부(322a)는 상기 제1 밸브바디(320)의 타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세틀부(322b)는 상기 신장부(322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틀부(322b)의 내측으로 상기 체크밸브(31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바디홀(323)은 상기 제1 밸브바디(3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바디홀(323)의 내주면(323a)은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하 검토할 센터피스(332)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상기 밸브홀지지빔(324)은 상기 제1 밸브바디홀(323)의 내부에 십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밸브바디홀(323)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밸브바디(330)는 상기 제1 밸브바디(320)와 결합되고 신체(20)와 연결된 주입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밸브바디(330)는 밸브지지피스(331), 피스브릿지(339), 센터피스(332) 및 사이드피스(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피스브릿지(337)는 복수의 바가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형태이고, 상기 센터피스(332) 및 상기 사이드피스(33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밸브지지피스(331)는 상기 센터피스(332) 및 상기 피스브릿지(337)에 연결되고, 상기 체크밸브(310)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삼각돌기(33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지지피스(331)의 삼각돌기(331a)가 상기 체크밸브(310)의 중앙부를 지지함에 따라 약액의 유압이 상기 체크밸브(310)에 미치면, 상기 체크밸브(310)의 가장자리가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약액이 흐를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세틀부(322b)의 내측 둘레에는 제1 서포트돌기(325b)가 배치되어 상기 체크밸브(310)의 둘레를 지지하고, 상기 밸브커버(322)의 내부에는 제2 서포트돌기(325b)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밸브지지피스(331)의 반대편에서 상기 체크밸브(31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센터피스(332)는 상기 밸브지지피스(331)와 연결되고,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센터피스(332)의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33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공간인 제2 밸브바디홀(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피스(333)는 상기 피스브릿지(339)와 연결되고 상기 센터피스(33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피스(333)의 내측에는 나사산(33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사이드치형라인(3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치형라인(334)은 상기 밸브유닛(300)과 신체(20)와 연결되는 주입관을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탄성재질의 주입관과 상기 복수의 사이드치형라인(334)에 밀착되며 끼워져, 상기 밸브유닛(300)의 제2 밸브바디(330)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닛(200)과 상기 밸브유닛(300)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유닛(300)을 구성하는 제1 밸브바디 플랜지(321)에 형성된 나사산(321a)과 상기 필터유닛(200)을 구성하는 사이드블록(23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33a)에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밸브바디홀(323)의 내주면(323a)은 테이퍼져 있고, 상기 센터블록(232)의 외주면 또한 테이퍼부(2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테이퍼진 각도가 일치되므로, 체결되면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약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100)는 2가지 제원으로 설계될 수 있다.
우선 [표 1]에는 1.2μm 필터를 사용하고 체크밸브(3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HF12;Hepa Filter12)와 1.2μm 필터를 사용하고 체크밸브(310)를 사용하는 경우(HCF12;Hepa & Check valve Filter12)의 비교 제원을 나타낸다.

모델명
길이(mm, ±0.5mm) 직경(mm, ±0.1mm)
A B C
HF12 25.2 - Ø11.80
HCF12 43.50 Ø11.90 Ø11.80
그리고 [표 2]에는 5μm 필터를 사용하고 체크밸브(3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HF50)와 5μm 필터를 사용하고 체크밸브(310)를 사용하는 경우(HCF50)의 비교 제원을 나타낸다.

모델명
길이(mm, ±0.5mm) 직경(mm, ±0.1mm)
A B C
HF50 25.2 - Ø11.80
HCF50 43.50 Ø11.90 Ø11.80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는 필터유닛(200), 밸브유닛(300) 및 매니폴드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200) 및 상기 밸브유닛(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을 참고하도록 하고, 이하 상기 매니폴드유닛(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매니폴드유닛(400)은 상기 필터유닛(200)과 연결되고 복수의 약액 공급부(10)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약액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약액을 혼합하여 상기 필터유닛(20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질병 치료를 위해 서로 다른 약효를 가진 약액들은 혼합하여 사람의 신체(20)에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유닛(200)에 상기 매니폴드유닛(400)을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매니폴드유닛(400)은 제1 매니폴드바디(410), 제2 매니폴드바디(420) 및 스월러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는 상기 스월러부재(430)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약액 공급부(10)의 주입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는 제1 매니폴드바디 플랜지(411), 매니폴드커버(412) 및 제1 매니폴드바디홀(4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 플랜지(411)는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일측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약액 공급부(10)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커버(412)는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타측에 배치되고, 신장부(412a) 및 세틀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커버(412)의 신장부(412a)는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타측에서 방사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세틀부(412b)는 상기 신장부(412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틀부(412b)의 내측으로 상기 스월러부재(43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홀(413)은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공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 매니폴드바디(420)는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매니폴드바디(420)는 스월러지지블록(421), 센터부(422) 및 사이드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월러지지블록(421)은 원판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세틀부(412b)에 삽입되며 상기 스월러부재(430)를 상기 세틀부(412b)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스월러부재(4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내부에는 스월러고정블록(419)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월러지지블록(421)의 반대편에서 상기 스월러부재(430)의 위치를 고정하며,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내부에서 약액의 유입 공간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센터부(422)는 상기 스월러지지블록(421)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매니폴드바디(410)의 반대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상기 센터부(422)의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4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공간인 제2 매니폴드바디홀(4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423)는 상기 스월러지지블록(421)과 연결되고 상기 센터부(4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부(423)의 내측에는 나사산(4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바디 플랜지(221)의 나사산(221a)과 상기 사이드부(423)의 내측 나사산(423a)을 체결하면 상기 센터부(422)의 테이퍼부(422a)가 상기 제1 필터바디홀(223)의 테이퍼진 내주면(223a)에 단단히 맞닿으면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약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호간에 테이퍼진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부(422)와 상기 사이드부(423)는 상기 스월러지지블록(4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드끼움라인(426)은 상기 매니폴드유닛(400)과 신체(20)와 연결되는 주입관을 바로 연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탄성재질의 주입관과 상기 복수의 사이드끼움라인(426)에 밀착되며 끼워져, 상기 매니폴드유닛(400)의 제2 매니폴드바디(420)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 도 9a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스월러부재(430)는 복수의 약액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약액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월러부재(430)는 제1 바디(450), 제2 바디(470), 선회부(460), 서클바(451) 및 서클유로(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450)는 원판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스월러지지블록(421)에 밀착되고, 믹싱홀(453)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470)는 원판 형상으로 이뤄지고, 상기 제1 바디(450)와 상기 매니폴드커버(412)의 세틀부(412b) 내면에 밀착되며, 약액이 유입되는 타원 형상의 복수의 개구부(471)가 방사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부(460)는 상기 제1 바디(450)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471) 및 상기 믹싱홀(453)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471)에서 유입되는 약액를 선회시켜 상기 믹싱홀(453)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회부(460)는 가이드블록(461), 유입구(462) 및 경사유로(4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461)은 상기 제2 바디(470)의 중앙측에 원형 링 형상으로 배치되고, 외측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46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46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461)에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471)에서 유입된 약액을 상기 믹싱홀(453)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경사유로(463)는 상기 가이드블록(461)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461)에서 상기 믹싱홀(453) 방향으로 경사진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462)에서 유입되는 약액을 선회시켜 상기 믹싱홀(453)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461)의 양측에 형성된 유입구(462)에서 유입되는 약액은 상기 경사유로(463)에서 선회하면서 믹싱홀(453)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서클바(451)는 상기 제1 바디(4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470)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클유로(452)는 상기 서클바(451)와 상기 가이드블록(461)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471)에서 유입된 약액이 자연스럽게 그 유동방향을 선회되며 흐를 수 있도록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클유로(452)를 따라 선회하는 약액은 상기 유입구(462)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록(461)의 외측 둘레는 경사져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471)에서 상기 서클유로(452)로의 약액의 진입 및 선회를 수월하게 한다.
상기 스월러부재(430) 상술한 구성들로 이뤄져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스월러부재(430)의 작동원리가 게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복수의 제1 매니폴드바디 플랜지(411)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매니폴드바디홀(413)로 주입된 서로 다른 약액들(L)은 상기 스월러부재(430)로 유입되게 된다.
우선 서로 다른 효능을 가진 약액들(L)은 상기 제1 바디(450)에 배치된 복수개의 개구부(471)로 유입되고, 상기 개구부(471)에서 유입된 약액들(L)은 상기 서클유로(452)에서 가이드블록(461)의 둘레를 따라 선회하게 된다. 이때 1차적으로 서로 혼합되게 된다. 이후 약액들(L)은 가이드블록(461)에 형성된 유입구(462)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유입구(462)로 진입한 약액들(L)은 상기 가이드블록(46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상기 경사유로(463)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경사유로(463)의 중앙부로 갈수록 선회속도는 빨라지면서 2차적으로 재차 혼합되고, 믹싱홀(453)을 통해 상기 제2 매니폴드바디홀(425)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약액 공급부 20:신체
100: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200:필터유닛 210:필터
220:제1 필터바디 221:제1 필터바디 플랜지
221a:나사산 222:필터커버
222a:필터커버 신장부 222b:필터커버 세틀부
223:제1 필터바디홀 224:필터홀지지빔
230:제2 필터바디 231:필터지지바
232:센터블록 232a:테이퍼부
233:사이드블록 233a:나사산
234:사이드돌기라인 235:제2 필터바디홀
239:블록브릿지
300:밸브유닛 310:체크밸브
320:제1 밸브바디 321:제1 밸브바디 플랜지
321a:나사산 322:밸브커버
322a:밸브커버 신장부 322b:밸브커버 세틀부
323:제1 밸브바디홀 324:밸브홀지지빔
330:제2 밸브바디 331:밸브지지피스
331a:삼각돌기 332:센터피스
332a:테이퍼부 333:사이드피스
333a:나사산 334:사이드치형라인
335:제2 밸브바디홀 339:피스브릿지
400:매니폴드유닛 410:제1 매니폴드바디
411:제1 매니폴드바디 플랜지 411a:나사산
412:매니폴드커버 412a:매니폴드커버 신장부
412b:매니폴드커버 세틀부 413:제1 매니폴드바디홀
419:스월러고정블록 420:제2 매니폴드바디
421:스월러지지블록 422:센터부
422a:테이퍼부 423:사이드부
423a:나사산 425:제2 매니폴드바디홀
426:사이드끼움라인
430:스월러부재 450:제1 바디
451:서클바 452:서클유로
453:믹싱홀 460:선회부
461:가이드블록 462:유입구
463:경사유로 470:제2 바디
471:개구부
X:제1 방향 Y:제2 방향
L:약액

Claims (5)

  1. 약액 공급부와 신체를 연결하는 주입관상에 배치되고,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과 연결되고, 신체에서 약액 공급부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약액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약액 공급부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제1 필터바디; 및
    상기 제1 필터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밸브유닛과 연결되는 제2 필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바디는,
    일측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약액 공급부의 주입관에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필터바디 플랜지; 타측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신장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필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세틀부가 형성된 필터커버; 내주면은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제1 필터바디홀; 및 상기 제1 필터바디홀의 변형을 방지토록, 제1 필터바디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십자 형상의 필터홀지지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바디는,
    상기 세틀부에 삽입되며, 상기 필터를 상기 세틀부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필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필터지지바; 상기 필터지지바와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제2 필터바디홀이 형성된 센터블록; 상기 센터블록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사이드돌기라인이 형성된 사이드블록; 상기 센터블록과 상기 사이드블록을 연결하며, 복수의 바가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형태의 블록브릿지; 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은,
    신체에서 약액 공급부 방향으로 약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
    상기 체크밸브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과 연결되는 제1 밸브바디; 및
    상기 제1 밸브바디와 결합되고 신체와 연결된 주입관에 연결되는 제2 밸브바디;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바디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바디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밸브바디 플랜지; 타측에 배치되고, 방사방향으로 신장된 신장부와 상기 신장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크밸브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세틀부가 형성된 밸브커버; 내부에서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되고, 약액이 유동하는 제1 밸브바디홀; 상기 제1 밸브바디홀의 변형을 방지토록, 상기 제1 밸브바디홀의 내부에 배치되는 십자 형상의 밸브홀지지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바디는,
    상기 세틀부에 삽입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삼각 돌기가 형성된 밸브지지피스; 상기 밸브지지피스와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제1 방향(X)에서 제2 방향(Y)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약액이 유동하는 제2 밸브바디홀이 형성된 센터피스; 상기 센터피스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내측에는 나사산이 가공되고 외측에는 사이드치형라인이 가공된 사이드피스; 및 상기 센터피스와 상기 사이드피스를 연결하며, 복수의 바가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된 형태의 피스브릿지;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KR1020200127337A 2020-09-29 2020-09-29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KR10223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37A KR102236998B1 (ko) 2020-09-29 2020-09-29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337A KR102236998B1 (ko) 2020-09-29 2020-09-29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998B1 true KR102236998B1 (ko) 2021-04-05

Family

ID=7546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337A KR102236998B1 (ko) 2020-09-29 2020-09-29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131A (ko) * 2014-06-13 2015-12-23 장근수 주사용 필터 유닛
KR101742089B1 (ko) * 2016-01-06 2017-06-01 이상운 수액세트용 일체형 수액라인 연결장치
KR20170112340A (ko) * 2016-03-31 2017-10-1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고압 수액라인용 메일 루어락 필터구조 및 장착방법
KR101833488B1 (ko) * 2017-03-09 2018-03-0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고압 수액라인용 필터구조
KR101911065B1 (ko) * 2018-06-05 2018-10-23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20190038126A (ko) * 2017-09-29 2019-04-08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3중 여과 필터 주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131A (ko) * 2014-06-13 2015-12-23 장근수 주사용 필터 유닛
KR101742089B1 (ko) * 2016-01-06 2017-06-01 이상운 수액세트용 일체형 수액라인 연결장치
KR20170112340A (ko) * 2016-03-31 2017-10-1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고압 수액라인용 메일 루어락 필터구조 및 장착방법
KR101833488B1 (ko) * 2017-03-09 2018-03-0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고압 수액라인용 필터구조
KR20190038126A (ko) * 2017-09-29 2019-04-08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3중 여과 필터 주사기
KR101911065B1 (ko) * 2018-06-05 2018-10-23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0292B2 (ja) マルチレートチューブ流量制限器
JP6931332B2 (ja) 鈍針安全薬剤送達システム
US7487800B2 (en) Flow restriction
EP2902071B1 (en) Connector
KR101651092B1 (ko) 주입량 및 주입방향 조절형 밸브
KR101404488B1 (ko) 의료용 기능성 다방향 스톱콕
JP4860706B2 (ja) 医療装置の流量制限器
CA2750899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dministration rate of medical fluid
RU2717712C2 (ru)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для медицинской системы подвед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2236998B1 (ko)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KR101348689B1 (ko) 다방향 밸브
KR20200027267A (ko) 의료용 약액 공급 셋트
US20180344928A1 (en) Flowrate regulating device for infusion set
JP2016147077A (ja) コネクタ
WO2018139145A1 (ja) 浄化カラム
KR20210123848A (ko) 의료용 멀티웨이 스톱콕
NZ543009A (en) Non-damming coupler
KR102484461B1 (ko) 내장 필터 보호형 인젝션 포트
KR102385837B1 (ko) 믹스 스프레이 약액 주입기
CN116920233B (zh) 一种医疗导管
JPH0626584B2 (ja) 分岐バルブ
KR200491771Y1 (ko) 매니폴드를 구비한 조영제 혼합 주입시스템
KR20200027266A (ko) 의료용 약액 공급 셋트
JP2005304582A (ja) 輸液用コネクタ
KR200250040Y1 (ko) 주사약액용호스 연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