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065B1 -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065B1
KR101911065B1 KR1020180065072A KR20180065072A KR101911065B1 KR 101911065 B1 KR101911065 B1 KR 101911065B1 KR 1020180065072 A KR1020180065072 A KR 1020180065072A KR 20180065072 A KR20180065072 A KR 20180065072A KR 101911065 B1 KR101911065 B1 KR 10191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eedle head
syringe cylinder
inner diameter
injec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구
Original Assignee
임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구 filed Critical 임성구
Priority to KR102018006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065B1/ko
Priority to PCT/KR2019/006763 priority patent/WO20192358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사기 실린더와,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주사바늘 헤드 및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중공에 내입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약액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 필터는 돔(dome) 형상을 이루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되는 주사기 실린더 헤드에 안착되며 하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통로가 형성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약액 흡입시 상기 흡입통로를 통해 상기 주사기 실린더로 흡입되고, 약액 토출시 상기 체크밸브부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약액이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후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Filtering divice of liquid medication for an injector}
본 발명은 약액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와 체크밸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필터기능과 체크밸브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약액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주사기와 주사 바늘을 이용한다. 약액을 보관하는 약액 용기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약액에 반응하지 않은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감염을 우려하여 밀봉되고, 유리,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고무 등이 복합되어 사용된다.
또한, 약액에 이물질이 발생되는 원인은 주로 약액 용기의 밀봉을 해제하고 약액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앰플에서 유리파편이나 고무마개에서 발생하는 고무조각과 같은 이물질이 약액에 혼합되어 발생되고, 이물질이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약액이 환자에게 투약되므로, 환자의 건강이 잠재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가 장착된 제품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지만, 주사바늘 헤드의 중공이 협소하기 때문에 필터의 크기를 무한정 크게 할 수 없는 실정이었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사 바늘 헤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용적을 늘리는 실정이었다.
아래 특허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필터에 대한 기술들이 국내외적으로 다수가 있고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필터장치들은 약액 흡입시 약액이 주사기 실린더에 흡입되게 하고 약액 토출시 약액이 흡입되는 경로는 차단되고 다른 경로를 통해 주사바늘을 통해 토출되게 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종래 기술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터와 체크밸브의 조합에 의해 약액을 적절하게 필터링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필연적으로 필터와 체크밸브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이되어 복잡한 구조를 야기한다.
또 약액 흡입시 1차 필터링 되고 약액 토출시 2차 필터링 되는 구조를 가지게 하여 안정성이 높다 하더라도 훨씬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것은 주사바늘 헤드에 삽입되기 때문에 구조가 너무 복잡하면 소형으로 제조하기 매우 힘들고 대부분 1회용 주사기의 특성상 제조하더라도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3835호(2017.3.2.) "필터 니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881호(2013.1.10.) "필터 니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3478호(2017.6.27.)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룰 구비하는 주사기"
본 발명은 주사기용 약액 필터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구체적으로 필터와 체크밸브가 다공성 재질로 일체 성형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약액 흡입시는 통과시키고 토출시 체크밸브와 같이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필터링 시킬 수 있는 체크밸브 기능이 있는 필터를 사용한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액 토출시 필터가 주사바늘 헤드 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기 실린더와,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주사바늘 헤드 및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중공에 내입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약액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 필터는 돔(dome) 형상을 이루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되는 주사기 실린더 헤드에 안착되며 하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통로가 형성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약액 흡입시 상기 흡입통로를 통해 상기 주사기 실린더로 흡입되고, 약액 토출시 상기 체크밸브부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약액이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후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는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최소 내경보다 짧으며, 상기 체크밸브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최소 내경보다 길고 최대 내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는 내경이 동일하고 후단부는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의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 내경보다 짧으며, 상기 체크밸브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 내경보다 길고 후단부 최대 내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와 체크밸브부 사이에는 테이퍼진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경계지점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는 내경이 동일하고, 후단부도 내경이 동일하되 선단부의 내경보다 길며,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내경이 확장되는 중간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에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가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가 억지 끼움되도록 돌출된 형상의 리브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보다 더 돌출된 제2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후단부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칼라가 외향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의 외측에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를 둘러싸면서 내주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칼라가 상기 나선 돌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필터와 체크밸브가 별도로 구비되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필터와 체크밸브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화 구조와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지지만 약액의 흡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약액의 토출시 이물질이 확실하게 필터링될 수 있어 고장이 거의 없고 필터링 효과를 신뢰할 수 있다.
더불어 제조하는 공정과 방법이 매우 쉬워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리브 또는 칼라 및 나선 돌기, 단턱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주사바늘 헤드에 주사기 실린더 헤드를 두 단계로 나누어 삽입할 수 있어서, 약액 토출시 약액 필터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주사바늘 헤드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필터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가 장착된 주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약액 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약액 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주사바늘 헤드의 형상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가 장착된 주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의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 주사바늘이 구비된 주사기를 일 실시 예로 설명하겠지만, 주사기, 수액주사용 약액 호스 또는 상기 약액 호스에 연결된 밸브, 다방향성 밸브 등과 같은 약액이 유동되는 의료용 주사장치에 장착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사바늘'이라 불리는 상기 주사바늘은 도 2와 같이 인체에 꽂아지는 주사바늘(210)과, 상기 주사바늘(210)의 후단부에 연결된 주사바늘 헤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부에는 상기 주사바늘(210)의 중공과 연통되는 중공 형상의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끼워진다.
더불어 상기 주사기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약액을 수용시키는 주사기 실린더(300)와, 상기 주사기 실린더(300)의 중공에 내입되어 약액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 및 약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압을 형성시키는 피스톤 형태의 플런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사기 실린더(300)의 선단에는 주사기 실린더(300)의 중공과 연통되고,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끼워지는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돌출 형성된다.
도 3, 4,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약액 필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약액 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주사바늘 헤드의 형상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는 주사기 실린더, 주사바늘 헤드 및 약액 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기 실린더와 주사바늘 헤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약액 필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약액 필터(100)는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로 구성되는데, 상기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내의 중공에 내입되되, 상기 필터부(110)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선단부(200a) 측으로 향하고 상기 체크밸브부(120)는 후단부(200b) 측으로 향하도록 내입된다.
먼저, 상기 필터부(110)는 대략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중공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110)의 상단부는 둥근 형상을 가지면서 막혀있지만, 하단부는 개방된 형상이다. 그리고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110)의 하단부로 약액이 유입되어 상단부와 측면을 통해 필터링 되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110)의 내부 공간에 남게 된다.
여기서, 다공성 소재는 내부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나 무기계열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소재 내부에 기공이 많기 때문에 기공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고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한 부착력이 크기 때문에 기공의 좁은 틈을 타고 수분이 통과된다. 그러나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러지게 된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소재로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불소수지계의 다공성 플라스틱, 발포플라스틱, 다공성 금속, 다공성 세라믹, 우레탄 스펀지, EVA 스펀지, 다공성 테프론, 해면구조, 직조 플라스틱망, 직조 금속망, 직조섬유, 부직포 등과 같이 기공이 형성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110)의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내부에서 전후진 이동이 자유롭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주면이 선단부(200a)에서 후단부(200b)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최소 내경보다 상기 필터부(110)의 외경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a)와 (b)의 경우)
또 다르게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의 내주면은 내경이 동일하고, 후단부(200b)의 내주면은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의 내경보다 상기 필터부(110)의 외경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c)와 (d)의 경우)
다음으로 상기 체크밸브부(120)는 약액을 흡입시 흐름을 차단하고, 토출시 개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부(1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상호 연통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부(120)는 내경이 형성되는 원형 중공관 형상일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외경이 하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나팔과 같이 벌어지는 확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어떤 재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약액의 토출압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부(120)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약액이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측면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실링(sealing)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부(120)는 상기 필터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재질도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성 소재를 사용할 경우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도록 처리하여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흡입통로(12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통로(121)는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관통 홀 형상일 수 있거나 일부를 절개하여 하측으로 개방된 홈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하단 외경은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의 내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체크밸브부(120)가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 상부면에 안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한다.
한편, 도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에서 후단부(200b)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경우에,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최대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최소 내경보다 길고,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최대 내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부(120)는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내에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로 전후진이 가능하고, 전진하더라도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주면에 걸려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를 통해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의 내경은 동일하고, 후단부(200b)의 내경은 확장되는 형상일 경우에,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최대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의 내경보다 길고, 상기 주사바늘 헤드 후단부(200b)의 최대 내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부(120)는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내에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로 전후진 가능하고, 전진하더라도 상기 주사바늘 헤드 후단부(200b)의 내주면에 걸려 상기 주사바늘 헤드 선단부(200a)를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약액 필터(10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 사이에 밀착부(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30)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내주면의 경사각보다 더 작은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약액 토출시 본 발명이 전진할 때 상기 밀착부(130)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경사진 내주면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다. 즉, 더 강한 실링(sealing)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a) 또는 (b)의 경우에는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경사진 내주면에 쐐기와 같이 밀착될 수 있고, 도 5 (c) 또는 (d)의 경우 상기 주사바늘 헤드 후단부(200b)의 경사진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밀착부(130)의 경사각은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즉, 상기 필터부(110)의 외주면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요철(11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약액 토출시 상기 필터부(110)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필터링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부(110)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철(111)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b)와 같이, 상기 필터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세로로 다수개의 산(111a)과 골(111b)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는 도 6(c)와 같이, 상기 산(111a)과 골(111b)이 가로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 예시한 형상 이외에 요철이 형성된 어떤 형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인데, 여기서 (a)는 약액을 흡입하는 경우이고, (b)는 약액을 토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a)의 경우, 약액 흡입시 주사기 실린더(300)의 플런저(400)를 당기면,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서 상기 주사바늘(210)을 통해 약액이 흡입되고, 흡입된 약액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로 유입된다.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로 유입된 약액의 압력 및 헤드 내부의 흡입압은 상기 필터부(110)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 전체는 후진하게 되고,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하단이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유입된 약액은 상기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흡입통로(121)를 통과하여 상기 주사기 실린더(30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시 필터링은 일어나지 않는다.
(b)의 경우, 약액을 토출하기 위해 주사기 실린더(300)의 플런저(400)를 밀면,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서 약액은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통해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약액은 상기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 내부의 공간을 채우면서 토출 압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부(110)와 체크밸브부(120)를 포함하는 약액 필터가 전진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전진하면서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외주면 또는 상기 밀착부(130)는 경사진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주면에 걸리면서 밀착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당연히 상기 체크밸브부(120) 또는 상기 밀착부(130)는 실링 기능을 하기 때문에 약액이 상기 체크밸브부(120)의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약액은 상기 필터부(110)를 통해 이물질이 필터링된 후 배출되고, 배출된 약액은 상기 주사바늘(210)을 통해 토출됨으로써 환자에게 투약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는 상기 약액 필터(100)의 고정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약액 토출시 토출압에 의해 상기 약액 필터(100)가 전진하여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실링을 하는데, 토출압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상기 약액 필터(100)가 정확하게 실링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구조를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부가 선단부(200a), 중간부(200c), 후단부(20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부(200a)는 내경이 동일한 관 형상이고, 상기 후단부(200b)도 내경이 동일한 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단부(200b)의 내경이 상기 선단부(200a)의 내경보다 길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200a)와 후단부(200b)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200c)는 내경이 확장되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선단부(200a)로부터 점점 내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후단부(200b)에 이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중간부(200c)와 후단부(200b)의 경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220)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삽입되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걸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후단부(200b)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리브(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30)는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 후단부(200b)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내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230)는 제1리브(231)와 제2리브(232)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브는 상기 제1리브(231)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단턱(220)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끼울 때 2단계로 나누어 끼울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1차적으로 상기 제1리브(231)를 넘으면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삽입되지만 상기 제2리브(232)에 걸려 정지하게 되고, 상기 주사기 실린더(300)를 더 밀어 넣으면 2차적으로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상기 제2리브(232)를 지나 상기 단턱(220)에 걸리면서 정지한다.
작동과정을 설명하자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약액 필터(100)가 내장된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억지 끼움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상기 제1리브(231)까지 삽입되고 상기 제2리브(232)를 넘지 않고 걸린 상태까지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1리브(231)는 압착되면서 찌그러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약액을 흡입하면 약액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로 흡입되고 상기 흡입통로(121)를 통해 주사기 실린더(300)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더 밀어넣어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상기 제2리브(232)를 타고 넘어 상기 단턱(220)에 안착될 때까지 힘을 주어 민다. 이때, 상기 제2리브(232)도 압착되면서 찌그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약액 필터(100)도 밀려 전진하게 되고 상기 약액 필터(100)의 밀착부(130) 또는 체브밸브부()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중간부(200c)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는 상기 단턱(220)에 걸려 정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약액을 토출시키기 위해 주사기 실린더(300)의 플런저(400)를 밀면 상기 주사기 실린더(300) 내의 약액은 상기 약액 필터(100)의 필터부(110)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주사바늘로 빠져나간다. 이때, 약액 속의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110)에서 필터링 된다.
정리하면, 상기 리브(230)와 단턱(220)은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와 주사바늘 헤드(200) 및 약액 필터(100)를 정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약액 토출시 필터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는 상기 약액 필터의 고정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주사바늘 헤드와 주사기 실린더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부가 선단부(200a), 중간부(200c), 후단부(20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부(200a)는 내경이 동일한 관 형상이고, 상기 후단부(200b)도 내경이 동일한 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단부(200b)의 내경이 상기 선단부(200a)의 내경보다 길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200a)와 후단부(200b)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200c)는 내경이 확장되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선단부(200a)로부터 점점 내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후단부(200b)에 이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중간부(200c)와 후단부(200b)의 경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220)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삽입되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걸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후단부(200b) 외주면에는 외향 돌출된 칼라(240)가 형성된다.
상기 칼라(240)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 외측에는 원통형의 체결구(32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320)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선 돌기(3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320)의 내경은 상기 칼라(240)의 양단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320) 내에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가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칼라(240)는 상기 나선 돌기(32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가 상기 체결구(320)에 체결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끼울 때 2단계를 거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나선 돌기(321)는 2피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칼라(240)가 상기 나선 돌기(321)와 1피치 체결되면서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1차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2피치 체결되면서 2차적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가 상기 단턱(220)에 걸려 정지할 수 있다.
작동과정을 설명하자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약액 필터(100)가 내장된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에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를 억지 끼움하고 동시에 상기 칼라(240)를 상기 체결구(320) 내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와 주사기 실린더(300)를 서로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칼라(240)와 나선 돌기(321)가 1피치만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한다.
이때, 상기 약액 필터(100)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약액을 흡입하면 약액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로 흡입되고 상기 흡입통로(121)를 통해 주사기 실린더(300)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와 주사기 실린더(300)를 다시 돌려 상기 칼라(240)와 나선 돌기(321)가 2피치 이상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는 전진하게 되고,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약액 필터(100)도 밀려 전진하게 되며, 상기 약액 필터(100)의 밀착부(130) 또는 체브밸브부()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200)의 중간부(200c)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는 상기 단턱(220)에 걸려 정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약액을 토출시키기 위해 주사기 실린더(300)의 플런저(400)를 밀면 상기 주사기 실린더(300) 내의 약액은 상기 약액 필터(100)의 필터부(110)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주사바늘로 빠져나간다. 이때, 약액 속의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110)에서 필터링 된다.
정리하면, 상기 칼라(240)와 나선 돌기(321) 및 단턱(220)은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310)와 주사바늘 헤드(200) 및 약액 필터(100)를 정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약액 토출시 필터링이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약액 필터 110 : 필터부
111 : 요철 111a : 산
111b : 골 120 : 체크밸브부
121 : 흡입통로 130 : 밀착부
200 : 주사바늘 헤드 200a : 선단부
200b : 후단부 200c : 중간부
210 : 바늘 220 : 단턱
230 : 리브 231 : 제1리브
232 : 제2리브 240 : 칼라
300 : 주사기 실린더 310 : 주사기 실린더 헤드
320 : 체결구 321 : 나선 돌기
400 : 플런저

Claims (9)

  1. 주사기 실린더와,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주사바늘 헤드 및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중공에 내입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약액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 필터는,
    돔(dome) 형상을 이루며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에 형성되는 주사기 실린더 헤드에 안착되며 하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통로가 형성되는 체크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약액 흡입시 상기 흡입통로를 통해 상기 주사기 실린더로 흡입되고, 약액 토출시 상기 체크밸브부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약액이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된 후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는 선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최소 내경보다 짧으며, 상기 체크밸브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최소 내경보다 길고 최대 내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는 내경이 동일하고 후단부는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의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 내경보다 짧으며, 상기 체크밸브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 내경보다 길고 후단부 최대 내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와 체크밸브부 사이에는 테이퍼진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와 후단부의 경계지점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선단부는 내경이 동일하고, 후단부도 내경이 동일하되 선단부의 내경보다 길며,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에는 내경이 확장되는 중간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중간부와 후단부의 경계에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가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가 억지 끼움되도록 돌출된 형상의 리브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보다 더 돌출된 제2리브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헤드의 후단부 외주에는 하나 이상의 칼라가 외향 연장 형성되고,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의 외측에는 상기 주사기 실린더 헤드를 둘러싸면서 내주면에 나선 돌기가 형성된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칼라가 상기 나선 돌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0180065072A 2018-06-05 2018-06-05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1911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72A KR101911065B1 (ko) 2018-06-05 2018-06-05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PCT/KR2019/006763 WO2019235830A1 (ko) 2018-06-05 2019-06-04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72A KR101911065B1 (ko) 2018-06-05 2018-06-05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065B1 true KR101911065B1 (ko) 2018-10-23

Family

ID=6410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72A KR101911065B1 (ko) 2018-06-05 2018-06-05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0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742A (zh) * 2019-03-21 2019-05-2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发动机进气电子泄压阀的失效监测系统及方法
KR20200121691A (ko) * 2019-04-16 2020-10-26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20200121690A (ko) * 2019-04-16 2020-10-26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236998B1 (ko) * 2020-09-29 2021-04-05 배영성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51B1 (ko) 2012-12-03 2014-01-28 김근배 필터 주사기
KR200476102Y1 (ko) 2013-11-13 2015-01-29 박효남 표면적이 증가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용 필터니들
KR101618028B1 (ko)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624931B1 (ko) 2015-12-31 2016-05-27 김창배 주사기용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주사기용 필터
KR101817749B1 (ko) 2017-07-17 2018-01-11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
WO2018048264A1 (ko) 2016-09-09 2018-03-15 이창우 여과 기능을 갖는 니들 팁 및 주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51B1 (ko) 2012-12-03 2014-01-28 김근배 필터 주사기
KR200476102Y1 (ko) 2013-11-13 2015-01-29 박효남 표면적이 증가된 필터를 구비한 주사기용 필터니들
KR101618028B1 (ko) 2015-11-30 2016-05-18 최영철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 조립체
KR101624931B1 (ko) 2015-12-31 2016-05-27 김창배 주사기용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주사기용 필터
WO2018048264A1 (ko) 2016-09-09 2018-03-15 이창우 여과 기능을 갖는 니들 팁 및 주사기
KR101817749B1 (ko) 2017-07-17 2018-01-11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742A (zh) * 2019-03-21 2019-05-2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发动机进气电子泄压阀的失效监测系统及方法
KR20200121691A (ko) * 2019-04-16 2020-10-26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20200121690A (ko) * 2019-04-16 2020-10-26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219937B1 (ko) * 2019-04-16 2021-02-24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219938B1 (ko) * 2019-04-16 2021-02-24 임성구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236998B1 (ko) * 2020-09-29 2021-04-05 배영성 약액 주입용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065B1 (ko)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JP4295217B2 (ja) 液体注入用チューブのキャップ
JP5677846B2 (ja) 粉末薬物および液体薬物用のカートリッジ
KR100720640B1 (ko) 사전 충전식 주사기
KR101572663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101745445B1 (ko) 가압형 약물 주입 시스템
EP1093826A1 (en) Pre-filled syringe
AU2003220808B2 (en) Powder medicine applicator for nasal cavity
JP2006500161A (ja) 使い捨て注射器
JP2019508071A (ja) 注射器用フィルター組立体、これを含む注射器と点滴組立体
KR101563723B1 (ko) 주사기용 필터 주사바늘 조립체
US20120265150A1 (en) Injector device for administering multiple doses in a single delivery,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680211B1 (ko) 주사기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CN110384842B (zh) 过滤器注射器
EP2018885A1 (en) Application device
KR101699666B1 (ko) 약액 주사용 기기의 외캡
KR101596941B1 (ko) 주사기용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주사기
KR20180048860A (ko) 향상된 피어싱 팁을 가진 배출기
KR20160078299A (ko) 주사기용 필터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와 링거조립체
KR20190071415A (ko) 체크밸브 기능이 포함된 주사기용 약액 필터
KR101830639B1 (ko) 주사기
KR101891223B1 (ko) 내장용 필터 조립체를 이용한 안전 주사기
KR200305256Y1 (ko) 액체 주입용 튜브의 캡
KR102219937B1 (ko)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KR102219938B1 (ko) 주사기용 약액 필터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