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96B1 -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96B1
KR102236996B1 KR1020200129408A KR20200129408A KR102236996B1 KR 102236996 B1 KR102236996 B1 KR 102236996B1 KR 1020200129408 A KR1020200129408 A KR 1020200129408A KR 20200129408 A KR20200129408 A KR 20200129408A KR 102236996 B1 KR102236996 B1 KR 102236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meric
puffed
extract
inflammato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기
김현성
이형재
백무열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강황추출물 단독처리 또는 팽화강황추출물 단독처리와 비교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율을 유지하면서 기호도를 개선한 기능성 식품소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 for comprising Puffed curcuma longa}
본 발명은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으로,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브라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HETE(hydroxyeicosatetraenoic acid), 류코트리엔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한다.
대식세포는 일산화질소(NO),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염증에 반응하고, 염증 및 면역반응 모두에서 중요한 조절세포로 작용하는데, 이렇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며 내독소로 잘 알려진 LPS (lipopolysaccharide)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가장 잘 알려진 외부인자로서, 특히 RAW 264.7 세포와 같은 대식세포나 단핵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 beta)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부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PS가 대식세포를 자극하게 되면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라는 효소에 의해 L-알기닌이 L-시트룰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산화질소(NO)가 생성됨으로써 대식세포로부터 NO가 생성된다. 포유동물에서 NO는 세 가지 종류의 NO 합성효소(NOS, nitric oxide synthase), 즉 nNOS(neuronal NOS), eNOS(endothelial NOS) 및 iNOS(inducible NOS)에 의해 합성된다. 이 중에서 nNOS와 e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정상적인 생체기능을 위해 생성되며, 조직 내에서의 농도는 일정수준으로 낮게 유지된다. 그러나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과도하게 생성되어 병리적인 혈관확장, 세포독성, 조직 손상 등과 같은 생체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항염증제로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위장관계의 소화성 궤양출혈로 인한 이차적 빈혈 초래, 혈소판 기능 억제, 분만 유도 억제, 신장에 대한 부작용, 간장 손상, 과민 반응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 약물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강황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국내에서는 전남 진도, 전남 해남, 전북 부안, 경기 시흥, 충남 청양 등지에서 활발히 재배되고 있다. 그 뿌리줄기는 한약재와 향신료로 사용되며, 황색 색소 성분인 Curcumin과 Turmeron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커큐민(curcumin)은 강황(薑黃)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의 항산화 색소성분으로, 특유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로 인해 기능식품이나 의약품의 이상적인 원료로도 각광받고 있으며 강황의 항암, 항균 효과도 보고되며 최근 웰빙 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강황을 팽화시키는 경우, 강황에 대한 과한 가열 및 탄화를 방지할 수 있음이 알려져있어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음료 등 그 활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팽화된 강황을 단독으로 식품에 사용 시 기호도가 떨어져 이를 보완하면서도 팽화강황의 항염증 효능은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256호 (2009.06.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팽화강황의 기호도를 높이면서, 항염증 효능을 강화하기 위한 소재와의 혼합을 예의 연구한 결과,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를 포함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팽화강황은 팽화강황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포함되는 한약재의 중량비를 동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에서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은 2.5 내지 3.5 : 7.5 내지 6.5의 중량비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3 : 7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강황추출물 단독처리 또는 팽화강황추출물 단독처리와 비교하여 염증을 완화시키는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증에 효과적이면서 기호도를 개선한 기능성 식품소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강황, 팽화강황, 4종의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 및 이의 배합에 따른 조성물의 항염증능을 확인한 결과로서, 도 1a는 염증을 유도한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도 1b는 염증을 유도한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동물모델에서 강황, 팽화강황, 4종의 한약재의 혼합 추출물, 및 이의 배합에 따른 조성물의 항염증능을 확인한 결과로서, 도 2a는 DSS 음용수 자유급여를 통해 급성 대장염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강황, 팽화강황 및 한약재 추출물의 혼합물 경구투여에 따른 체중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2b는 DSS 음용수 자유급여를 통해 급성 대장염을 유도한 동물모델의 강황, 팽화강황 및 한약재 추출물의 혼합물 경구투여에 따른 대변질병도를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팽화강황의 기호도를 높이면서,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소재와의 혼합을 예의 연구한 결과,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를 포함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팽화강황은 팽화강황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서 베타인(betaine), 지아잔틴(zeazanthin), 카로틴(carotene), 티아민(thiamine), 비타민 A,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만성간염 또는 간경변의 치료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골피’는 구기자나무 또는 기타 동속 식물(가지과)의 뿌리 껍질을 말린 약재로서 해수, 천식, 토혈, 코피, 소변출혈, 고혈당, 고혈 등에 효과가 있으며 심혈관계통의 혈압강하 및 혈당강하작용이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글리시리진, 글라브릭산, 슈크로즈, 글루코즈, 리퀴리틴, 리코리시딘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해독 작용 및 부종억제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산형화과에 속하는 한약재 중 하나로 데커시놀이 함유되어 있으며, 변비, 탈모 혈액순환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팽화”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에서 압력을 급격히 낮춰 재료 내 전분의 호화를 유도하고, 재료 내 수분을 제거하며 부피가 커지는 공법을 의미한다. 팽화가 일어나면, 재료 내에서 팽윤과 호화가 일어나 조직이 커지면서 다공성을 갖게된다. 또한, 메일라드 반응(Mailliard reaction)이 일어나 갈변이 발생하고, 포름산,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글리옥살 등의 휘발성 물질이 생성되어 풍미를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물질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침지 추출법, 고온 및 고압 증기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물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과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용매일 수 있으며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각 한약재를 혼합한 추출물은 동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를 동량으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혼합하는 경우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은 2.5 내지 3.5 : 7.5 내지 6.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3 : 7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따른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혼합한 조성물이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강황 추출물, 팽화강황 추출물의 단독처리 또는 한약재 추출물과의 복합 처리시 항염증능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을 유도한 세포에서 각 추출물 처리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일반 강황에 비해 팽화강황 단독 추출물의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및 TNF-α 발현수준이 감소하여 항염증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한약재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에 다른 비율에서는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팽화강황 추출물 및 한약재 추출물의 비율을 7:3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에서만 팽화강황 단독 처리와 유사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in vivo에서 강황 추출물, 팽화강황 추출물의 단독처리 또는 한약재 추출물과의 복합 처리에 따른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SS를 투여하여 급성 대장염을 유도시킨 마우스에 각 추출물을 경구투여하고 체중감소 및 대변 질병도를 확인한 결과, 다른 비교예들에 비해 팽화강황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체중감소가 억제되고 대변 질병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팽화강황 추출물 및 한약재 추출물의 비율을 7:3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에는 팽화강황 단독처리에 비해 체중 감소를 억제시키고 대변 질병도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상기 실시예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용 조성물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을 포함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시키고 염증이 유도된 동물의 체중감소 억제 및 대변 질병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바, 항염증용 약제 또는 면역증진보조제인 식음료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의 형태인 경우, 특정보건용 식품,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및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은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으로 혼용될 수 있으며,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가루,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 대상의 상태, 구체적인 병증의 종류, 진행 정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품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재료 준비
건조강황은 9kgf의 압력으로 팽화하였으며,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는 건조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가정용 분쇄기로 분쇄 후 20 mesh의 체에 걸러 입자를 고르게 한 후,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물이라 칭하였다. 강황, 팽화강황, 또는 한약재 혼합물 분말 시료를 각각 5g 칭량한 후, 200 mL의 70% 주정용 에탄올(Ethanol supplies World Co., Jeonju-si, Republic of Korea)을 가한 뒤,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2)를 사용하여 1차 여과한 뒤 0.25 μm syringe filter를 사용하여 2차 여과하였다. 추출물의 일부를 항량된 알루미늄 접시에 담아 105℃의 열풍건조기(HB-502M, HanBeak Scientific co. Bucheon-si, Republic of Korea)에서 건조하여 고형분 함량을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06025000-pat00001
= 고형분 함량 (%)
M = 투입한 시료 무게 (g)
W1 = 초기 항량된 알루미늄 접시 무게 (g)
W2 = 건조 후 알루미늄 접시 무게 (g)
강황, 팽화강황, 및 한약재혼합의 추출물은 최종 고형분 농도가 각각 10 μg/mL이 되도록 FBS 10%, Antibiotics 1%가 혼합된 DMEM 배지로 희석하였고, 각추출물 단독 또는 3 : 7, 5 : 5, 7 : 3 (강황 또는 팽화강황 추출물 :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비율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8과 같이 혼합하여 항염증 효능 측정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 및 팽화강황을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실시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건조 강황을 추출하여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건조강황을 9kgf 압력으로 팽화시킨 팽화강황을 추출하여 비교예 2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을 추출하여 비교예 3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 및 건조강황을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비교예 4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5>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 및 건조강황을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비교예 5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6>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 및 건조강황을 3 : 7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비교예 6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7>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 및 팽화강황을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비교예 7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8>
당귀, 구기자, 지골피, 감초 분말은 동일한 질량비율로 혼합한 한약재 혼합물 및 팽화강황을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하여 비교예 8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량에 따른 항염증능 확인 ( in vitro )
강황 추출물, 팽화강황 추출물의 단독처리 또는 한약재 추출물과의 복합 처리에 따른 항염증능을 확인하기 위해 염증을 유도한 세포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8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을 대조군을 각 10㎍/ml로 처리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및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항염증능을 보고자 하는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와 함께 12시간 배양한 후, LPS (Lipopolysaccharides)를 처리하여 12 시간 동안 염증 반응을 유도한 뒤 상층액을 수거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 정량은 상용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를 사용하였으며, 제공된 사이토카인 표준품을 이용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강황 및 한약재를 혼합하는 경우, 다양한 혼합 비율 조건에서 건조강황 단독 처리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팽화강황 및 한약재를 혼합물의 경우 팽화강황과 한약재 비율을 3 : 7 또는 5 : 5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팽황강황 단독 처리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와 같이 팽화강황 대 한약재의 비율을 7 : 3으로 혼합하는 경우 IL-6은 팽화강황 추출물 단독처리와 유사한 분비량을 나타냈으며, TNF-α는 팽화강황 단독처리에 비해 더 낮은 분비량을 나타내, 팽화강황 대 한약재의 비율을 7 : 3으로 혼합 시 팽화강황 단독 처리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염증 유도 동물모델에서 항염증 활성 확인 ( in vivo )
동물모델에서 강황 추출물, 팽화강황 추출물의 단독처리 또는 한약재 추출물과의 복합 처리에 따른 항염증능을 확인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에 5% DSS 음용수를 7일간 자유급여하여 급성 대장염을 유발시켰으며, DSS를 통해 급성 대장염을 유도하기 2일 전부터 매일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6을 각 100mg씩 마우스에 경구투여하였으며, 정상쥐 및 장염쥐는 물을 100mg씩 경구투여하고 체중감소 및 대변 질병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체중(%) 변화를 비교한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강황 또는 팽화강황을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건조강황 추출물과 한약재를 7 : 3의 비율로 혼합한 비교예 6의 경우 체중감소를 억제하는 데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팽화강황 및 한약재를 7 : 3의 비율로 혼합하는 실시예의 경우 건조강황을 사용한 다른 비교예들에 비해 현저히 체중감소가 억제되었으며, 팽화강황 단독 처리에 비해 적은량의 팽화강황을 처리하였음에도 더 우수한 체중감소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대변 질병도를 통해 대장염 억제 활성을 분석한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황 추출물인 비교예 1에 비해 팽화강황 추출물인 비교예 2가 더 유의적인 대장염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건조강황 추출물과 한약재를 7 : 3의 비율로 혼합한 비교예 6의 경우 강황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항염증 활성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팽화강황 추출물 및 한약재 추출물을 7 : 3의 비율로 투여한 실시예의 경우 건조강황을 사용한 다른 비교예들에 비해 현저히 대장염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팽화강황 단독 처리에 비해 적은량의 팽화강황을 처리하였음에도 더 우수한 대장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팽화강황 대 한약재 비율을 7 : 3으로 혼합하는 조성물이 팽화강황 단독 처리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상기 팽화강황과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를 포함하는 한약재의 혼합 조성물이 팽화강황의 단독 처리군에 비해 기호성을 개선시키면서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구기자, 지골피, 감초 및 당귀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을 2.5 내지 3.5의 중량비로 포함하고, 팽화강황을 7.5 내지 6.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화강황은 팽화강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포함되는 한약재의 중량비를 동일하게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한약재 추출물 및 팽화강황은 3 : 7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00129408A 2020-10-07 2020-10-07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36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08A KR102236996B1 (ko) 2020-10-07 2020-10-07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08A KR102236996B1 (ko) 2020-10-07 2020-10-07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996B1 true KR102236996B1 (ko) 2021-04-05

Family

ID=7546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408A KR102236996B1 (ko) 2020-10-07 2020-10-07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56B1 (ko) 2007-12-24 2009-06-11 주식회사오뚜기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강황 조성물
KR20160063636A (ko) * 2014-11-27 2016-06-07 강원도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95916B1 (ko) * 2019-09-17 2020-04-01 주식회사 비봉허브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팽화 강황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56B1 (ko) 2007-12-24 2009-06-11 주식회사오뚜기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강황 조성물
KR20160063636A (ko) * 2014-11-27 2016-06-07 강원도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95916B1 (ko) * 2019-09-17 2020-04-01 주식회사 비봉허브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팽화 강황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on et al., Evaluation of Solvent Extraction on the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Glycyrrhiza uralens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 18, No. 1, pp. 28-33, (2010) 1부.* *
배수미. 구기자 및 구기엽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761B1 (ko) 반려동물용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3768795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R Kubra et al. An overview on inventions related to ginger processing and products for food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KR20150007810A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arakol et al. Use of selected antioxidantrich spices and herbs in foods
KR102236996B1 (ko)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033828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Mahato et al. Medicinal Uses with Immense Economic Potenti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Aegle marmelos: A Concise Review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7770B1 (ko) 양주좀개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활성의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20160098571A (ko) 천일사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활성의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0904859B1 (ko) 보라밸리 감자의 생즙 및 전분을 이용한 위염, 위궤양 및십이지장궤양 환자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KR102383124B1 (ko) 고구마 껍질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
KR102236997B1 (ko) 팽화강황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220123813A (ko) 음양곽, 원지, 저령 추출물 및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60127328A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Lim et al. Morinda citrifolia
KR101314917B1 (ko) 숙취해소용 기능성 면의 제조방법
Ibrahim et al. Middle Eastern Diets as a Potential Source of Immunomodulators
KR1022466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94135B1 (ko) 오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