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72B1 - 의자용 등받이 - Google Patents

의자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72B1
KR102236972B1 KR1020200126354A KR20200126354A KR102236972B1 KR 102236972 B1 KR102236972 B1 KR 102236972B1 KR 1020200126354 A KR1020200126354 A KR 1020200126354A KR 20200126354 A KR20200126354 A KR 20200126354A KR 102236972 B1 KR102236972 B1 KR 10223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row
area
hole
senso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현
Original Assignee
양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현 filed Critical 양동현
Priority to KR102020012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12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 A47C23/2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tensioned springs, e.g. flat type of resilient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7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reinforcement sheets, gr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팔각형의
Figure 112020103536183-pat00017
모양을 한 테두리(F)를 가진 의자용 등받이로서,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18
의 높이가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19
의 높이보다 길고, 상기 테두리(F) 내부는 메쉬(M) 형태이며, 상기 메쉬(M)은 상부 영역(H)에 위치하는 제1 메쉬 영역(H2) 및 하부 영역(L)에 위치하는 제2 메쉬 영역(L1)을 포함하고, 상기 메쉬(M)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 메쉬홀(40a, 40b, 40c, 40d)의 중심에는 동전 모양의 센서 코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코어(10)는, 상기 제1 메쉬 영역(H2)에서는 두 개의 제1 또는 제2 상부 지지대(11a, 11b)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제2 메쉬 영역(L1)에서는 네 개의 하부 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상부 영역(H)의 최상부(H1)에는 2 행의 상단홀(3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등받이{CHAIR-BACK}
본 발명은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메쉬 형태를 취하되 별도의 센서 코어를 구비하여 탄성력과 실용성을 제고한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허리 건강을 고려하여 책상보다는 의자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의자가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등받이는 양쪽으로 등을 받쳐주는 형태나 메쉬망으로 처리한 형태 등이 인기가 많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일반적인 의자는 등받이(100), 팔걸이(110), 좌판(120), 의자다리(130), 바퀴(140)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등받이(100)는 의자에 있어서 편암함을 추구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즉 작업 중 몸을 뒤로 젖히는 경우 가장 힘을 많이 받는 곳이고 등과 직접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기능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등받이의 형태나 기능도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정작 인체를 충분히 고려하여 허리 부분과 등 부분을 나누어 각각 별도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의자는 현재까지는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702호의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편암함을 제공하고 지압효과나 푹신함를 주는 의자용 등받이를 얻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의 강도를 영역에 따라 달리하여 최적화된 안락함을 주는 의자용 등받이를 얻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등받이로서 돌출된 지압효과와 탄성력 있는 평평한 편안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를 얻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팔각형의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1
모양을 한 테두리(F)를 가진 의자용 등받이로서,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2
의 높이가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3
의 높이보다 길고, 상기 테두리(F) 내부는 메쉬(M) 형태이며, 상기 메쉬(M)은 상부 영역(H)에 위치하는 제1 메쉬 영역(H2) 및 하부 영역(L)에 위치하는 제2 메쉬 영역(L1)을 포함하고, 상기 메쉬(M)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 메쉬홀(40a, 40b, 40c, 40d)의 중심에는 동전 모양의 센서 코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코어(10)는, 상기 제1 메쉬 영역(H2)에서는 두 개의 제1 또는 제2 상부 지지대(11a, 11b)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제2 메쉬 영역(L1)에서는 네 개의 하부 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상부 영역(H)의 최상부(H1)에는 2 행의 상단홀(3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 영역(H)의 제1 메쉬 영역(H2)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1 메쉬홀(40a)을 포함하는 제1 열(R1)과 정사각형 형상의 제2 메쉬홀(40b)을 포함하는 제2 열(R2)로 이루어지고, 제1 메쉬홀(40a)와 제2 메쉬홀(40b)의 정사각형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1 열(R1)과 제2 열(R2)이 배치되고, 제1 열(R1)의 제1 메쉬 홀(40a)에 배치되는 센서 코어(10)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1 하부 지지대(11a)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되고, 제2 열(R2)의 제2 메쉬 홀(40b)에 배치되는 센서 코어(10)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하부 지지대(11b)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하부 영역(L)의 제2 메쉬 영역(L1)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3 메쉬홀(40c)을 포함하는 제3 열(R3)과 정사각형 형상의 제4 메쉬홀(40d)을 포함하는 제4 열(R4)로 이루어지고, 제3 메쉬홀(40c)와 제4 메쉬홀(40d)의 정사각형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3 열(R3)과 제4 열(R4)이 배치되고, 제3 및 제4 메쉬 홀(40c, 40d)의 중심에는 센서 코어(10)가 배치되고 4개의 제3 하부 지지대(22)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4
내의 센서 코어(10)의 개수는 130 내지 140개이고, 상기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5
내의 센서 코어(10)의 개수는 125개 내지 13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코어(10)는, 내주면에 나사산(10c)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있고 상부 지지대(11a, 11b) 또는 하부 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는 너트부(10b); 및, 외주면에 나사산(10c)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10b)에 나사결합하는 볼트부(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편암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압효과나 푹신함를 주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력의 강도를 영역에 따라 달리하여 최적화된 안락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등받이로 돌출된 지압효과와 탄성력 있는 평평한 편안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통상적인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평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상부 영역(H)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상부 영역(H)의 상부 지지대(11a, 11b)의 형상을 설명하는 부분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하부 영역(L)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센서 코어(1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센서 코어(10)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기존의 통상적인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테두리(F)는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팔각형의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6
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F)는 크게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7
와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8
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09
의 높이가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10
의 높이 보다 작다. 이는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역 T'자형을 구현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몸을 뒤로 젖힐 때 탄력을 주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F) 내부는 메쉬(M) 형태를 구비하는 제1 및 제2 메쉬 영역(H2, L1)이 이루어지고, 메쉬(M) 내부에는 정사각형 형상의 제1 내지 제4 메쉬홀(40a, 40b, 40c, 40d)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 등에 지압 효과나 푹신함를 주기 위하여 제1 내지 제4 메쉬홀(40a, 40b, 40c, 40d)의 각각의 중심에는 동전 모양의 센서 코어(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상부 영역(H)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제1 메쉬 영역(H2)에서의 제1 및 제2 행(R1, R2)의 확대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영역(H)의 제1 메쉬 영역(H2)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1 메쉬홀(40a)을 포함하는 제1 열(R1)과 정사각형 형상의 제2 메쉬홀(40b)을 포함하는 제2 열(R2)로 이루어지고, 제1 메쉬홀(40a)와 제2 메쉬홀(40b)의 정사각형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1 열(R1)과 제2 열(R2)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메쉬 홀(40a, 40b)의 중심에는 센서 코어(10)가 배치되고 2개의 제1 또는 제2 하부 지지대(11a, 11b)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열(R1)의 제1 메쉬 홀(40a)에 배치되는 센서 코어(10)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1 하부 지지대(11a)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되고, 제2 열(R2)의 제2 메쉬 홀(40b)에 배치되는 센서 코어(10)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하부 지지대(11b)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된다.
두 개의 제1 열(R1)의 제1 메쉬 홀(40a)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지지대(11a)와 두 개의 제1 열(R1) 사이의 제2 열(R2)의 제2 메쉬 홀(40b)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지지대(11b)는 도 3c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앉을 때 많은 힘을 받는 하부 영역(L)에 비하여 허리 부분의 작은 힘을 받는 상부 영역(H)에서는 보다 유연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2개의 하부 지지대(22)가 센서 코어(1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03536183-pat00011
내의 센서 코어(10)의 개수는 125개 내지 135개인 것이 좋다. 135개보다 많으면 탄성력이 너무 강하여 강한 힘을 주어도 뒤로 젖히는 것이 매우 힘들고, 125개보다 적으면 탄성력이 너무 약하여 등받이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영역(H)의 최상부(H1)에는 2 행의 상단홀(3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최상단은 메쉬(M) 형태 보다는 폭이 두꺼운 프레임을 사용하되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단홀(3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의 하부 영역(L)의 하부 지지대(22)에 대한 설명도이다.
하부 영역(L)의 제2 메쉬 영역(L1)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3 메쉬홀(40c)을 포함하는 제3 열(R3)과 정사각형 형상의 제4 메쉬홀(40d)을 포함하는 제4 열(R4)로 이루어지고, 제3 메쉬홀(40c)와 제4 메쉬홀(40d)의 정사각형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3 열(R3)과 제4 열(R4)이 배치된다.
제3 및 제4 메쉬 홀(40c, 40d)의 중심에는 센서 코어(10)가 배치되고 4개의 제3 하부 지지대(2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3 및 제4 메쉬 홀(40c, 40d)는 총 130 내지 140개인 것이 좋다. 140개보다 많으면 탄성력이 너무 강하여 허리에 강한 힘을 주어도 뒤로 젖히는 것이 매우 힘들고, 130개보다 적으면 탄성력이 너무 약하여 허리를 받치는 등받이의 하부 영역(H)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센서 코어(10)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센서 코어(10)를 4개의 하부 지지대(22)가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의자용 등받이에 있어서 센서 코어(10)의 일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코어(10)는 단순한 동전 형태가 아니라, 내주면에 나사산(10c)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있고 하부 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는 너트부(10b) 및 외주면에 나사산(10c)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10b)에 나사결합하는 볼트부(10a)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부(10a)를 필요한 만큼 상기 너트부(10b)에 결합하여 사람이 앉았을 때 지압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즉 볼트부(10a)를 조금 돌려 볼트부(10a)가 외부로 많이 돌출되면 보다 강한 지압 자극을 도출할 수 있고, 볼트부(10a)를 많이 돌려 볼트부(10a)가 깊이 들어가면 지압보다는 등 전체를 밀착시켜 편안함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볼트부(10a)와 너트부(10b)의 센서 코어(10)에 의하면 하나의 등받이로 돌출된 지압효과와 평평한 편안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설명은 설명 자체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균등한 형태의 다른 실시예에도 효력범위가 미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F: 테두리
L: 하부 영역
H: 상부 영역
M: 메쉬
8: 메쉬홀
10: 센서 코어
10a: 볼트부
10b: 너트부
10c: 나사산
11a, 11b: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
22: 하부지지대
33: 하단홀

Claims (3)

  1. 인체의 등을 형상화하여 팔각형의
    Figure 112020130708498-pat00012
    모양을 한 테두리(F)를 가진 의자용 등받이로서,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30708498-pat00013
    의 높이가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30708498-pat00014
    의 높이보다 길고,
    상기 테두리(F) 내부는 메쉬(M) 형태이며,
    상기 메쉬(M)은 상부 영역(H)에 위치하는 제1 메쉬 영역(H2) 및 하부 영역(L)에 위치하는 제2 메쉬 영역(L1)을 포함하고,
    상기 메쉬(M)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4 메쉬홀(40a, 40b, 40c, 40d)의 중심에는 동전 모양의 센서 코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 코어(10)는,
    상기 제1 메쉬 영역(H2)에서는 두 개의 제1 또는 제2 상부 지지대(11a, 11b)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제2 메쉬 영역(L1)에서는 네 개의 하부 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상부 영역(H)의 최상부(H1)에는 2 행의 상단홀(3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영역(H)의 제1 메쉬 영역(H2)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1 메쉬홀(40a)을 포함하는 제1 열(R1)과 정사각형 형상의 제2 메쉬홀(40b)을 포함하는 제2 열(R2)로 이루어지고,
    제1 메쉬홀(40a)와 제2 메쉬홀(40b)의 정사각형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1 열(R1)과 제2 열(R2)이 배치되고,
    제1 열(R1)의 제1 메쉬 홀(40a)에 배치되는 센서 코어(10)은 수직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1 하부 지지대(11a)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되고,
    제2 열(R2)의 제2 메쉬 홀(40b)에 배치되는 센서 코어(10)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제2 하부 지지대(11b)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되고,
    하부 영역(L)의 제2 메쉬 영역(L1)은 정사각형 형상의 제3 메쉬홀(40c)을 포함하는 제3 열(R3)과 정사각형 형상의 제4 메쉬홀(40d)을 포함하는 제4 열(R4)로 이루어지고,
    제3 메쉬홀(40c)와 제4 메쉬홀(40d)의 정사각형은 서로 교차되도록, 제3 열(R3)과 제4 열(R4)이 배치되고,
    제3 및 제4 메쉬 홀(40c, 40d)의 중심에는 센서 코어(10)가 배치되고 4개의 제3 하부 지지대(22)에 의해 메쉬(M)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영역(H)인
    Figure 112020130708498-pat00015
    내의 센서 코어(10)의 개수는 130 내지 140개이고,
    상기 하부 영역(L)인
    Figure 112020130708498-pat00016
    내의 센서 코어(10)의 개수는 125개 내지 135개이고,
    상기 센서 코어(10)는, 내주면에 나사산(10c)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있고 상부 지지대(11a, 11b) 또는 하부 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는 너트부(10b); 및, 외주면에 나사산(10c)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10b)에 나사결합하는 볼트부(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6354A 2020-09-28 2020-09-28 의자용 등받이 KR10223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54A KR102236972B1 (ko) 2020-09-28 2020-09-28 의자용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54A KR102236972B1 (ko) 2020-09-28 2020-09-28 의자용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972B1 true KR102236972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354A KR102236972B1 (ko) 2020-09-28 2020-09-28 의자용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9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58A (ja) * 2003-11-28 2005-06-23 Itoki Crebio Corp 椅子及びその座板並びに背板
KR20080097295A (ko) * 2007-05-01 2008-11-05 (주)디에스피 사무용 의자
JP2010000166A (ja) * 2008-06-19 2010-01-07 Kokuyo Co Ltd 椅子の背凭れ部材
CN203860827U (zh) * 2014-03-26 2014-10-08 吴耀全 一种座椅背垫单元结构
KR101588702B1 (ko) 2015-06-29 2016-01-27 김란순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558A (ja) * 2003-11-28 2005-06-23 Itoki Crebio Corp 椅子及びその座板並びに背板
KR20080097295A (ko) * 2007-05-01 2008-11-05 (주)디에스피 사무용 의자
JP2010000166A (ja) * 2008-06-19 2010-01-07 Kokuyo Co Ltd 椅子の背凭れ部材
CN203860827U (zh) * 2014-03-26 2014-10-08 吴耀全 一种座椅背垫单元结构
KR101588702B1 (ko) 2015-06-29 2016-01-27 김란순 수평이동식 의자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0137A (en) Physiological chair
CN202908286U (zh) 一种可调角按摩沙发
TWI606799B (zh) 坐墊
US10575646B2 (en) Meditation seat
CN108577304A (zh) 一种动态调节表面形态的底垫和配备该底垫的学生座椅
KR102236972B1 (ko) 의자용 등받이
AU2021202097A1 (en) Injection Moulded Unupholstered Plastic Chair
CN206150841U (zh) 一种学生课堂学习用椅
CN201492017U (zh) 一种竹制跷跷板椅子
CN110623457A (zh) 适于男性人体工程学的座椅组合装置的制备方法
JP3199154U (ja) スツール
GB2502827A (en) A chair that pivots along a continuous floor rail between a vertical, forward leaning and reclined position
CN202136535U (zh) 新颖保健按摩椅
JP3237217U (ja) 椅子
CN212650619U (zh) 一种用于母乳喂养的多功能哺乳座具
CN213282228U (zh) 一种调整式按摩坐椅
JP3086945U (ja) 弾力のある椅子
KR200286447Y1 (ko) 메트겸용 쇼파
CN216293526U (zh) 一种多功能摇椅
CN210902282U (zh) 一种用于背部支撑的靠垫
CN202218733U (zh) 脊椎矫正座垫
CN212066266U (zh) 一种便于办公的多功能沙发
CN212233789U (zh) 一种适于男性人体工程学的椅垫椅背组合装置
JP3176181U (ja) 座椅子
CN209660979U (zh) 带有按摩保健功能的凹面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