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243B1 - 반려동물 건강매트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건강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243B1
KR102236243B1 KR1020190016252A KR20190016252A KR102236243B1 KR 102236243 B1 KR102236243 B1 KR 102236243B1 KR 1020190016252 A KR1020190016252 A KR 1020190016252A KR 20190016252 A KR20190016252 A KR 20190016252A KR 102236243 B1 KR102236243 B1 KR 10223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mat
health mat
biometric information
animal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300A (ko
Inventor
이진홍
이정환
박영욱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2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rds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 건강매트에 관한 것이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반려동물이 접촉하는 매트부,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부,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매트부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건강매트{COMPANION ANIMAL HEALTH MAT}
본원은 반려동물 건강매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반려동물은 가족의 구성원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보조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하우스나 쿠션, 매트 등이 개발되고 있다.
종류와 크기가 다양한 반려동물이 존재하나 시중에 판매되는 애완동물용 하우스, 쿠션, 매트 등은 반려동물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생산되고 있다. 또한, 반려동물은 스스로 매트의 구동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반려동물이 매트 위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도 매트가 작동됨으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반려동물의 체온유지, 체온조절, 생체정보 획득 등 반려동물을 위한 다기능 매트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9538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하여 건강매트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체온을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자 하는 반려동물 건강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이 건강매트 위에 위치하는지 여부, 건강매트를 통해 획득되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 반려동물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매트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반려동물이 접촉하는 매트부,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부,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매트부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온도 조절부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매트부의 하측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반려동물과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 측정부는, 상기 반려동물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상기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식별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은,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반려동물과 건강매트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반려동물 건강매트 및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상기 반려동물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상기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매트 제어방법은,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과 건강매트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매트 제어방법은, 상기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매트에 접촉되는 면적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종류와 크기를 고려한 건강매트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체온을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건강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반려동물 건강매트에 반려동물이 위치하는 것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지하고, 그에 따라 매트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므로, 자동으로 매트의 온도를 조절해 사람이 함께할 수 없는 경우에도 동물 스스로 매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동물이 매트 위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매트의 온도가 자동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 또한, 동물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복수의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1)은 반려동물 건강매트(10) 및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 및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이 그 위에 올라가서 활동하거나 수면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반려동물(50)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고양이, 강아지, 토끼, 햄스터 등의 다양한 동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동물용(반려동물) 건강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동물이 매트 위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매트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동물이 최적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미리 설정된 면적 또는 압력 값을 초과하여 동물과의 접촉이 감지되면 매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반려동물(50)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코일은 건강매트(1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정해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코일 중 반려동물(50)과 근접한 곳에 위치한 코일에 반려동물(50)의 생체 조직의 와류 전류가 유도됨에 따라 가변하는 발진 주파수를 측정하고, 발진 주파수를 심박 주파수로 변환하여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측정된 접촉 정도를 이용하여 반려동물(50)의 활동량, 수면시간, 생활 패턴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과 접촉하는 시간이 유지되고, 특정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반려동물(50)의 접촉 정도가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50)의 활동 상태는 수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과 접촉하는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하로 감지되고, 복수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반려동물(50)의 접촉 정도가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50)의 활동상태를 비수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과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는 무게 감지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건강매트(10)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정해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이 매트 위에 위치하는지 여부 즉,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에 따라 매트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이 매트 위에 위치하는 경우(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매트 위에 위치한 반려동물(50)에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반려동물(50)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건강매트(10)가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반려동물(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반려동물이 소형견이고 제2반려동물은 대형견일 수 있다. 제1반려동물과 제2반려동물 각각이 매트 위에 한 발씩 올려놓은 경우,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전체면적(100%) 대비 제1반려동물의 접촉 면적을 2%로 감지할 수 있고, 제2반려동물의 접촉 면적일 8%로 감지할 수 있다. 반려동물(50)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부위가 매트와 접촉되더라도 접촉되는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반려동물은 몸 전체를 반려동물 건강매트(10) 위에 위치하여 배를 깔고 누운 상태이고, 제2반려동물은 매트 위에 한 발만 올려놓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서 제1반려동물로부터 감지된 접촉 면적은 6%이고, 제2반려동물의 접촉 면적일 8%로 감지할 수 있다. 제1반려동물이 몸 전체를 매트 위에 위치시키고 있으나, 제2반려동물의 한 발이 위치한 접촉 면적보다 작은 접촉 면적이 감지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매트 내부에 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중 활성화된 센서의 수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와 반려동물(50)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거나, 복수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무게 값 또는 압력 값의 총량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와 반려동물(50)의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매트와 반려동물(50) 간의 접촉되는 면적을 고려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건강매트(10)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매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접촉되는 면적 및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제1반려동물이 몸 전체를 매트 위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접촉 면적에 관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1반려동물의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매트의 온도를 조절해야 하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초과되지 못하는 경우,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제1반려동물이 몸 전체를 매트 위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접촉 면적에 관한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1반려동물의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매트의 온도를 조절해야 하나,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반려동물(50)의 체중이 평균보다 고온인 경우)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올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매트에 포함된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매트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매트의 외부에 구비된 에어 또는 물 등의 온도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매트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수동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17)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매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수집 및 획득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반려동물 건강매트(10)로부터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서 수신한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전원을 on/off 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구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구동 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속 모드, 순차적으로 온도를 증가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순차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 콘텐츠,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서버,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반려동물 건강매트(10)와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반려동물 건강매트(10) 및 사용자 단말(20)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30)의 일 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1) 구동의 제어 신호는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1) 구동의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1) 구동의 제어 신호의 일부는 건강매트(10)에서 생성되고, 나머지 구동의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1) 구동의 제어 신호는 사용자 단말(20)에서 제공받은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일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매트부(11), 온도 조절부(12), 생체 정보 측정부(13), 접촉 감지부(14), 제어부(15) 및 식별 정보 수집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구성이 앞서 개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매트부(11)는 프레임(미도시)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프레임(미도시)은 플라스틱의 소재로 매트부(11)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트부(11)는 반려동물(50)과 접촉할 수 있다. 매트부(11)는 반려동물(50)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스펀지, 고무, 케이폭 펠트 등 부드러운 소재의 패드에 천이나 플라스틱을 덮은 것일 수 있다. 반려동물(50)은 매트부(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매트부(11)는 반려동물(50)이 활동 및 휴식을 취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매트부(11)의 하측에는 복수의 감지 센서, 복수의 발열부, 복수의 냉각부, 복수의 코일, 복수의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는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는 제어부(15)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온도 조절부(12)는 발열 소자, 열전쌍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는 복수의 열전쌍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열전쌍 소자는 매트부(11)의 하측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열전쌍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15)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생체 정보 측정부(13), 접촉 감지부(14) 및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측정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복수의 열전쌍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온도 조절부(12)는 냉수관 및 온수관을 구비할 수 있다. 냉수관 및 온수관은 제어부(15)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의 온수관은 외부에 구비된 온수통(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는 온수통(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를 전달받아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수통(미도시)은 제어부(15)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생체 정보 측정부(13), 접촉 감지부(14) 및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측정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온수통(미도시)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온도 조절부(12)는 외부에 구비된 공기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는 공기 공급부(미도시)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을 전달받아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미도시)는 제어부(15)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생체 정보 측정부(13), 접촉 감지부(14) 및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측정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공기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반려동물(50)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반려동물(50)의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반려동물(50)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매트부의 하측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측정된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반려동물(50)의 활동량, 수면시간, 생활 패턴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정도가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일정 시간 이상 동일한 생체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 반려동물(50)이 수면상태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복수의 코일 중 서로 다른 코일에서 생체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 반려동물(50)이 활동상태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매트 위에서 활동중인 반려동물(50)의 경우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돌아다니기 때문에, 생체 정보 측정부(13)는 제1 시점에 매트의 제1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1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시점에 매트의 제2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2 생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접촉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는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정도가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측정되는 반려동물(50)의 체온이 높을 경우, 온도 조절부(1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수면 상태로 추정된 경우, 온도 조절부(12)의 온도를 높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5)는 비수면 상태로 추정된 경우, 온도 조절부(1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14)는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접촉 감지부(14)는 반려동물(50)이 매트부(11) 위에 위치하는 경우, 매트부(11)와 접촉되는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14)는 반려동물(50)이 매트부(11)에 4발을 지지하고 서 있는 경우, 반려동물(50)의 발바닥과 매트부(11)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매트부(11)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은 상황에서, 접촉 감지부(14)는 접촉 면적을 10%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14)는 반려동물(50)이 매트부(11)에 몸 전체를 위치시키고 배를 깔고 누워있는 경우, 반려동물(50)과 반려동물의 몸의 일부 중 어느 하나와 매트부(11)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매트부(11)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가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의(b)와 같은 상황에서 접촉 감지부(14)는 접촉 면적을 20%로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50)은 매트부(11)에 몸의 일부를 위치시키고, 매트부(11)의 바깥 영역에 몸의 다른 일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어부(15)는 매트부(11)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5)는 접촉 감지부(14)에서 감지된 접촉 정도를 기반으로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매트부(11)의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부(12)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접촉 감지부(14)에서 감지되는 접촉 정도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는 미리 설정된 범위를 15%로 설정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도 3의 (a)와 같은 상황에서, 접촉 면적을 10%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부(14)는 도 3의 (b)와 같은 상황에서 접촉 면적을 20%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도 3의 (b)와 같은 상황에서 온도 조절부(12)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복수의 감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14)는 매트부(11)의 하측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센서는 무게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부(11)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14)는 복수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영역에 반려동물(50)이 위치하여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복수의 감지 센서는 무게 또는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센서를 활성화하고, 접촉 감지부(14)는 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예를 들어, 19개)를 제어부(16)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부(11)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접촉 감지부(14)는 복수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영역에 반려동물(50)이 위치하여 복수의 감지 센서 중 절반 이상의 감지 센서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예를 들어, 50개)를 제어부(16)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부(11)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5)는 접촉 감지부(14)에서 감지된 접촉 정도를 기반으로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복수의 감지 센서의 전체 개수 대비 활성화된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범위(미리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 조절부(12)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는 사용자의 지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범위는 활성화되는 감지 센서의 평균 개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5)는 미리 설정된 범위(개수)를 30개로 설정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4)는 도 4의 (a)와 같은 상황에서,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를 19개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접촉 감지부(14)는 도 4의 (b)와 같은 상황에서 활성화된 감지 센서의 개수를 50개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전체 면적 대비 반려동물(50)과 매트부(11)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도 4의 (b)와 같은 상황에서 온도 조절부(12)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반려동물(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반려동물(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반려동물(50)의 종류, 크기, 병력, 반려동물(50)을 키우는 사람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반려동물(50)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반려동물(50)이 개(강아지)일 경우, 비문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비문은 개(강아지)의 코에 있는 무늬이며, 개의 비문은 사람처럼 모두 다르기 때문에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비문을 수집하여 개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반려동물(50)의 발바닥 모양을 수집하여 반려동물(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반려동물(50)에 내장된 마이크로 내장칩을 이용하여 반려동물(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내장칩은 반려동물을 식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고유번호를 담은 마이크로 칩일 수 있다.
식별 정보 수집부(16)는 반려동물(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50)과 다양한 크기의 반려동물(50) 각각에 맞는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는 식별 정보 수집부(16)에서 수집된 반려동물(50)이 고양이인 경우, 강아지에 비해 더 높은 온도를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식별 정보 수집부(16)에서 제공받은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반려동물과 매트의 접촉 면적에 관한 미리 설정된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반려동물(50)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의 강아지가 매트 위에 배를 깔고 위치하더라도, 접촉 감지부(14)에서 전체 면적(100%) 대비 5%에 해당하는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소형의 강아지가 매트 위에 배를 깔고 위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어부(15)는 전체 면적 대비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온도 조절부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정보 수집부(16)에서 소형견으로 식별되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어부(15)는 접촉 감지부(14)에서 감지한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더라도,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소형견(반려동물)이 접촉 감지부(14)에서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접촉 정도를 감지했다 하더라도, 제어부(15)는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수집 결과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5)는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수집 결과에 기반하여 소형견(반려동물)이 매트에 접촉하였을 때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범위를 기본값보다 낮게 조절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대형견이 매트 위에 두 발 정도만 올려놓은 경우, 대형견이기 때문에 접촉 감지부(14)에서 전체 면적(100%) 대비 15%에 해당하는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대형견이 매트 위에 두 발 정도만 올려놓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대형견이 매트 위에 위치하고자 하는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어부(15)는 전체 면적 대비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고 온도 조절부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정보 수집부(16)에서 대형견으로 식별되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제어부(15)는 접촉 감지부(14)에서 감지한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말해, 대형견(반려동물)이 접촉 감지부(14)에서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접촉 정도를 감지했다 하더라도, 제어부(15)는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수집 결과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15)는 식별 정보 수집부(16)의 수집 결과에 기반하여 대형견(반려동물)이 매트에 접촉하였을 때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범위를 기본값보다 높게 조절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7)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7)는 반려동물 건강매트(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12)는 컨트롤러(17)로부터 입력된 신호(즉, 제어 신호 또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신호는 무선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17)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온도 조절부(12)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WiFi, RFID 등)을 이용해 컨트롤러(17)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일예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컨트롤러(17)와의 접촉이 인식된 경우 컨트롤러(17)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17)와의 접촉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반려동물 건강매트(10) 내에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온도 조절부(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는 생체 정보, 감지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감지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생체 정보 및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생체 정보에 수집된 체온이 특정 범위를 넘어선 경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접촉 감지부(14)에서 감지된 제1반려동물의 생체 정보 중 체온이 기준 동물들의 체온을 넘어섰으나, 제1반려동물의 평균 체온이 현재 수집되는 체온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5)는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냄새 제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냄새 제거부(미도시)는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반려동물 건강매트(1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2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반려동물 건강매트(10) 위에 반려동물(50)이 소변 또는 대변을 눈 경우, 냄새 제거부(미도시)는 이를 감지하여, 반려동물 건강매트(10)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20)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 건강매트(10)가 위치한 곳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까지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 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반려동물 건강매트(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501에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반려동물과 반려동물 건강매트(10)의 접촉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반려동물 건강매트(10)는 단계 S503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
10: 반려동물 건강매트
11: 매트부
12: 온도 조절부
13: 생체 정보 측정부
14: 접촉 감지부
15: 제어부
16: 식별 정보 수집부
17: 컨트롤러
20: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반려동물이 접촉하는 매트부;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매트부의 하측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생체 조직의 와류 전류가 유도됨에 따라 가변하는 발진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기 발진 주파수를 심박 주파수로 변환하여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부;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매트부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 및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접촉 감지부의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정보 측정부는,
    측정된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활동량, 수면시간 및 생활 패턴을 추정하되,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매트부의 접촉 정도가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일정 시간 이상 동일한 상기 생체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 수면상태인 것으로 추정하고,
    제1시점에 상기 매트부의 제1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1생체 정보를 수집되고, 제2시점에 상기 매트부의 제2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2생체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활동상태인 것으로 추정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온도 조절부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매트부의 하측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반려동물과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측정부는,
    상기 반려동물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식별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달리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8. 매트부의 하측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생체 조직의 와류 전류가 유도됨에 따라 가변하는 발진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기 발진 주파수를 심박 주파수로 변환하여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반려동물과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고, 상기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반려동물 건강매트; 및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측정된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활동량, 수면시간 및 생활 패턴을 추정하되,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매트부의 접촉 정도가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일정 시간 이상 동일한 상기 생체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 수면상태인 것으로 추정하고,
    제1시점에 상기 매트부의 제1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1생체 정보를 수집되고, 제2시점에 상기 매트부의 제2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2생체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활동상태인 것으로 추정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상기 반려동물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는,
    상기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온도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려동물 건강매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시스템.
  11. 반려동물 건강매트에 포함된 매트부의 하측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생체 조직의 와류 전류가 유도됨에 따라 가변하는 발진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기 발진 주파수를 심박 주파수로 변환하여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반려동물과 건강매트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 및 감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강매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반려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측정된 맥박, 심박수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활동량, 수면시간 및 생활 패턴을 추정하되,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매트부의 접촉 정도가 전체 면적 대비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고, 일정 시간 이상 동일한 상기 생체 정보가 측정되는 경우 수면상태인 것으로 추정하고,
    제1시점에 상기 매트부의 제1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1생체 정보를 수집되고, 제2시점에 상기 매트부의 제2영역에 위치한 코일에서 제2생체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반려동물이 활동상태인 것으로 추정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매트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건강매트의 접촉 면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과 비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맥박 및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반하여 온도 조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를 달리하는 것인, 반려동물 건강매트 제어 방법.
KR1020190016252A 2019-02-12 2019-02-12 반려동물 건강매트 KR10223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52A KR102236243B1 (ko) 2019-02-12 2019-02-12 반려동물 건강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52A KR102236243B1 (ko) 2019-02-12 2019-02-12 반려동물 건강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00A KR20200098300A (ko) 2020-08-20
KR102236243B1 true KR102236243B1 (ko) 2021-04-05

Family

ID=7229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52A KR102236243B1 (ko) 2019-02-12 2019-02-12 반려동물 건강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130B1 (ko) * 2021-07-27 2022-01-14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배변패드용 홀더
KR102352923B1 (ko) * 2021-07-27 2022-01-19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크기 조절형 배변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599B1 (ko) * 2021-02-16 2024-01-18 조도운 반려동물용 스마트 방석
KR102546180B1 (ko) * 2022-04-29 2023-06-21 노희준 전파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자동 제어가능한 반려동물 케이지용 스마트 냉온수 매트,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이지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43763B1 (ko) * 2022-06-08 2023-06-14 노희준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전자태그를 통해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반려동물 케이지,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KR102546181B1 (ko) * 2022-06-08 2023-06-21 노희준 코팅부가 형성된 냉온수 매트를 포함하여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반려동물 케이지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48518B1 (ko) * 2022-10-07 2023-06-28 주식회사 에코윈드 반려동물 냉난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2553A (ko) * 2012-11-12 2014-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매트 온도 관리 시스템 및 매트 온도 관리 방법
KR101568777B1 (ko) * 2014-01-08 2015-1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방석
KR101905092B1 (ko) * 2016-02-22 2018-11-28 열사람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체온 관리 장치
KR20180054133A (ko) * 2016-11-15 2018-05-24 손정란 반려동물용 침대 및 건강관리 시스템
KR20180071206A (ko) * 2018-05-08 2018-06-27 열사람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체온 관리 장치 및 이의 건강 상태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130B1 (ko) * 2021-07-27 2022-01-14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배변패드용 홀더
KR102352923B1 (ko) * 2021-07-27 2022-01-19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크기 조절형 배변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300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243B1 (ko) 반려동물 건강매트
US10482743B2 (en) Flexible temperature sensor including conformable electronics
US20130019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footwear
KR101568777B1 (ko) 애완동물용 방석
KR20160012112A (ko) 동물의 건강 및 웰니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의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4013243A (zh) 一种温度调控垫
CN108077105B (zh) 一种宠物窝环境控制方法及其装置、宠物窝
KR102361555B1 (ko)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CN103596490B (zh) 外周温度测量
CA2895615A1 (en) Active thermal mattress
CN109298638A (zh) 智能家居的控制方法、系统、智能脚垫及智能网关
CN109552391B (zh) 一种基于尿湿情况来控制环境温度的婴儿车
KR102016230B1 (ko) 스마트 냉온열 패드
JP2017093630A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生体情報測定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1790944B1 (ko) 원격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14753A (ko) 수면관리장치를 이용한 온수매트
KR101905092B1 (ko) 반려동물용 체온 관리 장치
US20230082292A1 (en) Smart scal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80107374A (ko) 부착형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4071325U (zh) 一种温度调控垫
KR101818595B1 (ko) 사물인터넷기반의 건강관리기능이 구비된 매트
CN107422757A (zh) 智能被子及床单系统
JP7453780B2 (ja) サーバ、温度調整装置、および温度制御システム
KR20210123081A (ko)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6112098B2 (ja) 動物用の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