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518B1 - 반려동물 냉난방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냉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518B1
KR102548518B1 KR1020220128385A KR20220128385A KR102548518B1 KR 102548518 B1 KR102548518 B1 KR 102548518B1 KR 1020220128385 A KR1020220128385 A KR 1020220128385A KR 20220128385 A KR20220128385 A KR 20220128385A KR 102548518 B1 KR102548518 B1 KR 10254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emperature
companion animal
control uni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윈드
Priority to KR102022012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본체; 상기 지지판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지지판 상의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부;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냉난방기{Heating and cooling device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가구의 급증 및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인하여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복지와 행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을 위한 다양한 기기 및 용품이 출시되고 있다.
반려동물 냉난방기는 외부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반려동물이 쾌적하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종래의 반려동물 냉난방기는 외부의 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작동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을 해치거나,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하여 기기의 표면에 이슬이 맺혀서 오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에게 직접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의 반려동물 냉난방기가 고안되었으나,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반려동물이 직접 쏘이는 것은 반려동물에게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털이 날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500호는 반려동물에게 직접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형식의 '애완동물용 냉난방 침대'를 개시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500호
본 발명은 외부의 온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냉난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난방에 의해 기기의 표면이 이슬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슬이나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기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본체; 상기 지지판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지지판 상의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부;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외부의 이슬점 온도보다 1 내지 7℃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판 상에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의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상기 지지판 상에 반려동물이 없는 경우의 상기 지지판의 온도보다 1 내지 3℃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물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 상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튜브는, 일부가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의 윗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날개부, 상기 날개부로부터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연장되고 상기 지지판의 측면 및 지지판홀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상기 튜브부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판 및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는 외부의 온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난방에 의해 기기의 표면이 이슬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슬이나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기기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우징 및 지지판을 제거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온도조절부 및 온도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 6은 방수튜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100)는, 지지판(120); 상기 지지판(120)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본체(110); 상기 지지판(120)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부(130); 상기 지지판(120) 상의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부(150);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의 전자부품들을 보호하고, 상기 지지판(120) 상부의 반려동물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반려동물을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는 반려동물을 감싸는 하우징(111) 및 상기 하우징(1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온도조절부(130), 송풍부(140) 및 제어부(160) 등의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바닥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1)은 반려동물을 감싸고 상기 바닥판(11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전자부품들을 감싸는 테두리부(111a) 및 상기 지지판(120)이 배치되는 지지판홀(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11)은 상기 지지판홀(111b)의 하부에 상기 온도조절부(130)의 일부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차단판(11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11c)은 상기 지지판(120) 및 온도조절부(130)의 상부를 상기 온도조절부(130)의 하부 및 다른 전자부품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본체(110) 하부의 온도가 상기 지지판(120)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1)의 테두리부(111a)는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좌측부분은 반려동물이 이동하는 곳으로서 높이를 낮게 하고, 우측부분은 반려동물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감싸는 기능을 하기위해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온도조절부(130)의 위치를 고정하고 감싸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바닥판(112) 상에 배치된 상기 온도조절부(130)가 관통하도록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홀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부(1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0) 하부의 온도가 상기 지지판(120)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11c) 및 온도조절부가이드(112)를 통해 온도조절부(130)의 하부 및 다른 전자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바, 냉각 및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온도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서 이슬이나 배설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차단판(111c) 및 온도조절부가이드(112)에서 차단할 수 있는 바,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플라스틱, 합금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지지판(120)은 상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온도조절부(13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반려동물이 쾌적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판(12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판(120)은 알루미늄으로 된 판일 수 있으며, 두께는 6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8mm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온도조절부(130)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는 바, 다른 냉난방 장치에 비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판(12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상기 지지판(120) 중에서 상기 온도조절부(130)에 접하는 부분만 냉각 또는 가열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0)의 두께를 위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온도 전달 효율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130)는 상기 지지판(120)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온도조절부(130)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을 하는 소자로서, 온도 조절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부(130)는 열전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14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방열판 및 방열판과 방열판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바,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조절부(130)는 상기 지지판(120)의 하부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하여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P는 상기 온도조절부(130)가 배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하나만 배치하면 상기 지지판(120)의 전체 면적으로 고르게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온도감지부를 상기 2개의 온도조절부(13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지지파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동물감지부(150)는 상기 지지판(120) 상에 반려동물이 위치해 있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동물감지부(150)는 반려동물이 있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16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물감지부(15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1)의 테두리부(111a)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동물감지부(15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더라도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동물감지부(150)는 광학센서 또는 로드셀일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온도감지부는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16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지지판(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온도감지부가 충격을 받거나 배설물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온도조절부(130)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일측 및 타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T는 상기 온도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온도감지부의 위치는 상기 온도조절부(130) 및 상기 하우징(111)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동일 또는 극히 비슷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보다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써모커플 등의 접촉식 온도감지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100)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지지판(120)의 외부 온도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16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바닥판(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바닥판(112)의 상부 중에서 상기 유입구(143)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유입구(142) 및 온도조절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송풍부(14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반려동물 냉난방기(100)는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지지판(120)의 외부 습도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16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바닥판(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온도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송풍부(140)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외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송풍부(140)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하여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송풍부(140)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유입구(142),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43) 및 공기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141)는 상기 바닥판(11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온도조절부(130) 사이 공간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42)는 상기 송풍모터(14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143)는 상기 2개의 온도조절부(130) 사이 공간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42)에 비하여 배출구(143)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온도조절부(130)의 방열판 및 방열판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지나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려동물 냉난방기(100)는 상기 지지판(1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120) 상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튜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20)이 냉각되는 경우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지지판(120)의 표면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배설물 등의 이물질로 상기 지지판(120) 상부가 오염될 수 있다. 상기 방수튜브(170)는 상기 지지판(120)의 가장자리 및 상기 하우징(111)의 지지판홀(111b)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이물질이 본체(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튜브(170)는 일부가 상기 지지판(120)의 가장자리의 윗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날개부(171), 상기 날개부(171)로부터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연장되고 상기 지지판(120)의 측면 및 지지판홀(111b)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부(172) 및 상기 튜브부(172)의 하부에 배치되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상기 튜브부(172)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판(120) 및 본체(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71)는 상기 하우징(111)에 접하는 부분의 높이가 상기 지지판(120)에 접하는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고, 윗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1)의 표면의 이물질이 상기 날개부(171)의 윗면을 타고 상기 지지판(120)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튜브부(172)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은 비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튜브부(172)는 상기 지지판(120)의 측면 및 지지판홀(111b) 사이에 배치에 배치되는 데,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지지판(120)의 측면 및 지지판홀(111b)의 테두리를 압박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173)는 상기 지지판(120)의 측면 및 지지판홀(111b)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120)의 측면 및 지지판홀(111b)의 테두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판(120)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벌어진 틈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제어부(160) 및 송풍부(140) 등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동물감지부(150) 및 온도감지부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각 구성을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컴퓨터일 수 있고, 상기 제어부(160)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의 상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외부의 이슬점 온도보다 1 내지 7℃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의 이슬점은 상기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로부터 수집한 온도 정보 및 습도센서로부터 수집한 습도 정보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각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의 이슬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의 이슬점은 외부의 전자기기로부터 송신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 WLAN 통신 모듈 등일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 상에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의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상기 지지판(120) 상에 반려동물이 없는 경우의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보다 1 내지 3℃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에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상기 지지판(120) 상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가 상기 이슬점의 온도에 근접하더라도 반려동물이 상기 지지판(120)이 외부의 대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의 체온에 의해 상기 지지판(120)의 표면 온도가 다소 높아지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제어를 하여도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20) 중에서 반려동물이 없는 부분인 가장자리 부분에 다소의 이슬이 맺히더라도 상기 방수튜브(170)에 의해 이슬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 상에 반려동물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이슬점보다 3 내지 5℃, 혹은 4℃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온도가 20℃이고 상대습도가 80%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기 저장된 이슬점 정보로부터 이슬점이 16.5℃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16.5℃보다 3 내지 5℃, 또는 4℃ 높은 19.5 내지 21.5℃, 또는 20.5℃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 상에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이슬점보다 1 내지 3℃ 미만, 혹은 2℃ 높게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외부 온도가 20℃이고 상대습도가 80%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기 저장된 이슬점 정보로부터 이슬점이 16.5℃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16.5℃보다 1 내지 3℃ 미만, 또는 2℃ 높은 17.5 내지 19.5℃ 미만, 또는 18.5℃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물감지부(150)에서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송풍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140)는 상기 온도조절부(130)를 냉각하여 상기 온도조절부(130)의 냉각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가 상기 외부의 온도보다 매우 높아서 도달해야 하는 온도 차가 큰 경우에는 상기 송풍부(140)가 유입하는 공기의 양을 보다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부에 반려동물이 상기 지지판(120)의 상부에 있는 경우에는 반려동물이 없는 경우보다 상기 지지판(120)의 온도를 1 내지 3℃ 더 낮게 제어해야 하므로 상기 송풍부(140)가 더 많은 공기를 유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반려동물 냉난방기, 110: 본체, 111: 하우징, 111a: 테두리부, 111b: 지지판홀, 111c: 차단판, 112: 바닥판, 112: 온도조절부가이드, 120: 지지판, 130: 온도조절부, 131: 펠티어소자, 140: 송풍부, 141: 송풍모터, 142: 유입구, 143: 배출구, 150: 동물감지부, 160: 제어부, 170: 방수튜브, 171: 날개부, 172: 튜브부, 173: 간격조절부, P: 온도조절부 위치, T: 온도센서 위치

Claims (5)

  1. 지지판;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는 홀을 갖는 본체;
    상기 지지판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지지판 상의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부;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 상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수튜브는, 상기 본체와 지지판에 접하고 일부가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의 윗면을 가리도록 형성된 날개부, 상기 날개부로부터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연장되고 상기 지지판의 측면 및 지지판홀 사이에 배치되는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상기 튜브부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지지판 및 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에 접하는 부분의 높이가 상기 지지판에 접하는 부분보다 높게 형성된 것인,
    반려동물 냉난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외부의 이슬점 온도보다 1 내지 7℃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온도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인,
    반려동물 냉난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판 상에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의 상기 지지판의 온도를, 상기 지지판 상에 반려동물이 없는 경우의 상기 지지판의 온도보다 1 내지 3℃ 낮게 제어하는 것인,
    반려동물 냉난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를 냉각하기 위한 송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물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송풍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인,
    반려동물 냉난방기.


  5. 삭제
KR1020220128385A 2022-10-07 2022-10-07 반려동물 냉난방기 KR10254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85A KR102548518B1 (ko) 2022-10-07 2022-10-07 반려동물 냉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85A KR102548518B1 (ko) 2022-10-07 2022-10-07 반려동물 냉난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518B1 true KR102548518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85A KR102548518B1 (ko) 2022-10-07 2022-10-07 반려동물 냉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51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388A (ja) * 1997-01-23 1998-08-04 Aisin Seiki Co Ltd 動物用冷暖房装置
KR100437936B1 (ko) * 2003-05-27 2004-07-02 씨씨모아 주식회사 냉난방 기능의 애완동물 침대
JP2009254287A (ja) * 2008-04-16 2009-11-05 Buruneezu Kk 寝具
KR101839096B1 (ko) * 2017-10-25 2018-03-15 이선영 반려동물용 냉온 조절 디바이스
KR20180079538A (ko) * 2016-12-30 2018-07-11 이희재 반려동물 냉난방 방석
KR20180002408U (ko) * 2017-02-01 2018-08-09 노희주 애완동물용 냉방 시스템
KR200489500Y1 (ko) 2018-01-05 2019-06-26 허준영 애완동물용 냉난방 침대
KR200489783Y1 (ko) * 2017-11-03 2019-08-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돈사용 보온매트
KR102057974B1 (ko) * 2019-01-25 2019-12-20 정윤진 반려동물용 냉난방 매트
KR20200097934A (ko) * 2019-02-11 2020-08-20 정다운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KR20200098300A (ko) * 2019-02-12 2020-08-2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매트
KR20210047100A (ko) * 2019-10-21 2021-04-29 주식회사 와이에스제너럴 반려동물 체온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패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388A (ja) * 1997-01-23 1998-08-04 Aisin Seiki Co Ltd 動物用冷暖房装置
KR100437936B1 (ko) * 2003-05-27 2004-07-02 씨씨모아 주식회사 냉난방 기능의 애완동물 침대
JP2009254287A (ja) * 2008-04-16 2009-11-05 Buruneezu Kk 寝具
KR20180079538A (ko) * 2016-12-30 2018-07-11 이희재 반려동물 냉난방 방석
KR20180002408U (ko) * 2017-02-01 2018-08-09 노희주 애완동물용 냉방 시스템
KR101839096B1 (ko) * 2017-10-25 2018-03-15 이선영 반려동물용 냉온 조절 디바이스
KR200489783Y1 (ko) * 2017-11-03 2019-08-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돈사용 보온매트
KR200489500Y1 (ko) 2018-01-05 2019-06-26 허준영 애완동물용 냉난방 침대
KR102057974B1 (ko) * 2019-01-25 2019-12-20 정윤진 반려동물용 냉난방 매트
KR20200097934A (ko) * 2019-02-11 2020-08-20 정다운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KR20200098300A (ko) * 2019-02-12 2020-08-2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매트
KR20210047100A (ko) * 2019-10-21 2021-04-29 주식회사 와이에스제너럴 반려동물 체온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003B1 (ko)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US4332214A (en) Heated bed for animals
KR102236243B1 (ko) 반려동물 건강매트
US20140208824A1 (en)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78245B1 (ko) 실내 공기 질 예측 제어 기능을 가지는 환기량 제어 시스템
CN103732098A (zh) 用于动态的且最佳的头发造型温度控制的方法和护发工具
US9485966B1 (en) Device and method of animal reward
US100643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animals
KR102548518B1 (ko) 반려동물 냉난방기
KR20180079538A (ko) 반려동물 냉난방 방석
KR20190116953A (ko) 비접촉 동물용 체온계 및 동물 체온 측정방법
US4257349A (en) Anabolic recovery heating unit for small animals
KR101903576B1 (ko) 스마트 벌통
GB2464097A (en) Insect holder
JP3186982B2 (ja) 動物収容箱
US11547098B2 (en) Terrarium or aquaterrarium
US6439028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measuring vapor flux from surfaces
KR102016230B1 (ko) 스마트 냉온열 패드
JP2020171488A (ja) ドライヤー
US20180092330A1 (en) Experimental animal cages including a thermographically transparent window
US6483080B2 (en) Fail safe device for incubator air warmer
CN111198582B (zh) 宠物用温度调节装置
JP7337275B2 (ja) 送風機制御システム
US20130261376A1 (en) Thermotherapy device
JP7453780B2 (ja) サーバ、温度調整装置、および温度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