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934A -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934A
KR20200097934A KR1020190015389A KR20190015389A KR20200097934A KR 20200097934 A KR20200097934 A KR 20200097934A KR 1020190015389 A KR1020190015389 A KR 1020190015389A KR 20190015389 A KR20190015389 A KR 20190015389A KR 20200097934 A KR20200097934 A KR 20200097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unit
control unit
animal care
ca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405B1 (ko
Inventor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정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운 filed Critical 정다운
Priority to KR102019001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61N2005/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거동을 확인하고, 반려동물 케어유닛이 반려동물의 상태 진단, 회복, 치료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고,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어,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for Pet Care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거동을 확인하고, 반려동물 케어유닛이 반려동물의 상태 진단, 회복, 치료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은 단순한 동물이 아닌 반려자로서 매우 소중한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즉, 가장 자연적이면서 인간과 의사를 소통하고 따뜻한 마음을 교감할 수 있는 반려동물이 이제는 가족 구성원의 일원으로 실내 공간에서 인간과 생활을 같이 하면서 반려동물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반려동물을 병원에 데려가고, 미용실에도 데려가서 털을 예쁘게 깎거나, 매일 산책을 시켜주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사람들은 모든 정성과 금전적인 비용을 들여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며 마치 자식처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반려동물용 케어유닛은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 내에 마련되거나 동물병원 동물호텔 등에 마련되어 반려동물이 잠 또는 휴식을 취하거나 먹이를 먹거나 치료 회복을 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계절 또는 케어유닛 주변의 온도에 따라 관리자가 일일이 케어유닛 내부의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반려동물의 관리자 또는 주인은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등에 입원해 있는 등의 사유로 자신이 반려동물과 떨어져 있는 경우 반려동물이 어떠한 상태로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반려동물이 동물병원 등에 입원해 있는 경우에 진단, 치료 또는 회복을 위한 케어유닛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고,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거주하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적절한 시점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라서 치료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고,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에 있어서,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작동과 관련한 설정상태 및 제어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표시부; 및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작동과 관련한 설정을 수행하거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작동설정제어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냉난방제어부, 습도제어부, 음이온제어부, 치료살균제어부,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 공기순환제어부, 영상카메라제어부, 실내등제어부, 음악치료제어부, 작동시간설정제어부 및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냉난방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냉난방표시부와,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내부의 온도, 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온습도표시부와, 치료살균모듈의 설정 및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치료살균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습기를 제어하는 습도유지기를 제어하는 습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료살균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에게 다양한 파장 또는 강도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조사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펠티어소자를 제어하여 냉난방 세기 및 냉난방 온도를 조절하는 냉난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저전력 레이저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전력 레이저의 조사강도를 제어하며,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의 선택을 제어하는 치료살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조사강도는 레이저의 파장 등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의 선택도 레이저의 조사강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치료살균제어부는 치료모드, 살균모드, 치료후살균모드 및 치료살균오프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생사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센서를 제어하는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는 기 설정된 양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동안 설정된 양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에게 산소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에 공급된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량측정센서를 제어하는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에는 산소공급수단으로부터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유입부와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산소량측정센서는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목적에 따라서 그 내부에 산소농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산소농도설정부를 가지고, 상기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는 상기 산소농도설정부와 연동하여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산소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고,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어,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상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상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좌측면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면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습도감지부;
상기 내부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유지부;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반려동물유무확인부; 상기 내부공간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공급부(110);
상기 내부공간에 살균을 수행하고, 상기 반려동물에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내부공간을 촬영하는 영상카메라(170); 상기 반려동물에게 소리를 제공하는 음성스피커부(185); 및
상기 온습도감지부,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상기 영상카메라(170)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냉난방공급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반려동물의 케어를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음이온생성부는 음이온을 내부공간으로 생성시켜 반려동물의 모피를 살균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습도감지부, 반려동물유무확인부 및 영상카메라(170) 각각으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며, 이를 기초로 습도유지부, 냉난방공급부(110), 음성스피커부(185), 음이온생성부 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제어패널은 내함(100) 전면부 외측에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내함(100) 전면부의 도어 상단에 제어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부(160)가 형성된다.
영상카메라부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촬영하여 주인의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영상카메라부는 영상카메라와 카메라 지지대(180)와 영상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카메라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지지대(180)는 플레이트가 ㄷ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 형상의 영상카메라를 카메라 지지대(180)가 둘러싸며 지지하고, 카메라 지지대(180)의 양단이 내함 상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영상카메라를 지지한다.
음성스피커부(185)는 MP3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음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스피커부(185)와 영상카메라(170)는 주인이 원격으로 케어유닛 내부의 반려동물과 화상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반려동물은 주인의 음성 또는 음악을 스피커를 통하여 듣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주인은 이러한 상황을 영상카메라(1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내함(100)의 측면에는 공기순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순환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면, 내함(100)의 측면에 배기구(210)와 흡기구(2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구(210)에는 환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상기 배기구(210) 및 흡기구(220)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하는 하우징(200)의 일측면에는 공기소통 그릴(230)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10)의 환풍팬이 강제로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배출시키면 흡기구(220)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신기가 흡입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케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내부의 습도가 높거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때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실내를 환기시킴으로써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 온습도감지부와는 기능이 다른 체온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감지부는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며, 제어부는 온습도감지부로부터 온습도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를 기초로 냉난방공급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체온감지부는 내부공간의 온도 측정이 아닌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온감지부는 적외선 온도측정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모피 부위 대신에 상기 콧등 부위의 체온을 수집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모피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체온과는 오차가 크다.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반려동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콧등을 측정하는 것이 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콧등 부위만을 타겟으로 이 부분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려동물의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콧등 부위와 모피 부위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난반사 여부를 검출하여 난반사가 발생하는 부분은 모피 부위로 판단하고 난반사가 발생하지 않는 부분은 콧등 부위로 판단하여 측정값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온감지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공간의 반려동물의 먹이통 또는 물통 위치에서 반려동물의 콧등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체온감지부는 선택적으로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경우 난반사 정도 등을 이용하여 콧등 부위를 찾아내어 측정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이 먹이나 물을 먹기 위해서 내부공간의 특정위치에 머무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배치된 체온감지부가 반려동물의 콧등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체온감지부에 포함되는 체온감지센서는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케어유닛의 본체부는 내함(100)과 하우징(200)과 커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함(100)의 전면측에 도어부(150)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이 가능하다. 하우징(200)은 내함(100)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 단에 구멍이 뚤려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00)의 일측단은 내함(100)이 결합되면서 내함(100)의 돌출된 도어부(150)가 폐쇄하고, 타측단은 커버부(300)가 폐쇄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습도유지부는 내함(10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습도유지부는 습도조절물통(130)과 수분컨테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습도조절물통(130)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의 일종이며, 수분컨테이너(140)는 용기에 스폰지 등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재질을 담고 있는 구조로서 일정한 양의 수분이 계속 발산되도록 한다. 수분컨테이너(140)가 머금은 수분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수분컨테이너(140)는 수분조절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서 충전할 수 있다. 수분컨테이너(140)는 상기 습도조절물통(130)으로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공급받아서 설정된 양만큼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냉난방공급부(110)는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은 펠티어 소자에 열전달 구조와 팬이 조립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 쌍의 열전소자 모듈은 각각 상기 내함(100)의 외측 상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내함(100)의 상면과 측면에는 각각 레이저조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는 내함(100)의 상면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홈부(120)에 복수 개의 광원이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레이저조사부는 저전력레이저를 천정과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조사함으로써 내부에 고르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설정된 양만큼 정확하게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
내함(100)의 상면에는 레이저조사부가 설치되는 제1홈부(120)와는 별도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홈부(1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2홈부(190)에는 실내등 기능을 수행하는 LED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냉난방공급부(110)의 한 쌍의 열전소자는 내함(10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이저조사부가 설치되는 제1홈부(12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각선 방향의 대향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유무확인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반려동물의 유무 또는 생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
반려동물이 케어유닛의 내부공간에 있는지 여부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 뿐만 아니라 영상카메라(17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영상카메라를 통하여 내부공간에 반려동물이 확인된 뒤에도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을 통하여 내부공간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는 등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수의사는 이산화탄소감지 모듈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호흡이 원활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산소치료의 착수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고,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1000)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10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어패널 설치부(16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1000)은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작동과 관련한 설정상태 및 제어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표시부; 및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작동과 관련한 설정을 수행하거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작동설정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태표시부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냉난방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냉난방표시부(1100)와,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내부의 온도, 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온습도표시부(1200, 1300)와, 치료살균모듈의 설정 및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치료살균표시부(1400, 1500, 1600, 1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난방표시부(1100)는 냉방 기능 또는 난방 기능의 강도를 강 중 약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온습도표시부(1200, 1300)는 온도표시부(1200)와 습도표시부(1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료살균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에게 다양한 파장 또는 강도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조사 모듈일 수 있다.
치료살균표시부는 치료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치료살균시간표시부(1400)와 치료살균의 강도를 표시하는 치료살균강도표시부(1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살균강도표시부(1600)의 일측에는 치료회복 기능을 표시하는 치료회복기능표시램프(1500)가 배치하고, 타측에는 살균소독기능표시램프(170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치료살균제어부(2600)를 조작하여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치료살균강도표시부(1600)는 램프의 색을 달리하여 치료기능과 살균기능을 구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치료기능은 레드, 살균기능은 블루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냉난방제어부(2900, 3000, 3100), 습도제어부(2800), 음이온제어부(2700), 치료살균제어부(2600),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2500),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2400), 공기순환제어부(2300), 영상카메라제어부(2200), 실내등제어부(1800), 음악치료제어부(2000), 작동시간설정제어부(1900) 및 전원제어부(2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난방제어부(2900, 3000, 3100)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냉방 또는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펠티어 소자를 제어하여 냉난방 세기 및 냉난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팰티어 소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냉난방공급부(110)에 포함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냉난방제어부(2900, 3000, 3100)는 냉방제어부(3000), 난방제어부(2900), 냉난방 및 습도 조절부(3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냉방제어부(3000) 버튼을 눌러 냉방모드를 스위치 온 시키고 냉난방 및 습도 조절부(3100)를 버튼을 조작하여 냉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음이온제어부(2700)는 케어유닛의 내부에 음이온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케어유닛 내부에서 반려동물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음이온제어부(2700)는 온오프 스위치 일 수 있으며, 스위치 온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스위치오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영상카메라제어부(2200)는 케어유닛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영상카메라의 기능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으며, 실내등제어부(1800)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내부에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LED 라이트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음악치료제어부(2000)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음악이 나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볼륨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제어부(2100)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습기를 제어하는 습도유지기를 제어하는 습도제어부(2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습도유지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습도조절물통(130)과 수분컨테이너(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도유지부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습도제어부(2800)를 조작하여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는 습도유지기의 습도밸브를 온오프 제어하거나 습도밸브의 열림량을 제어하여 케어유닛 내부의 습도를 설정된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습도가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높은 경우 자동으로 공기순환 기능이 스위치 온 되어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사용자는 습도표시부(1300)를 확인하여 케어유닛 내부의 습도 또는 설정된 습도를 확인할 수 있고, 습도제어부(2800) 버튼을 스위치 온하고, 냉난방 및 습도 조절부(3100) 버튼을 조작하여 케어유닛 내부의 습도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치료살균제어부(2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치료살균제어부(2600) 버튼을 조작하여 저전력 레이저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조사할 수 있고, 상기 저전력 레이저의 파장, 조사강도를 조절하여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조사강도는 치료살균강도표시부(1600)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는 치료살균제어부(2600) 버튼을 눌러 치료모드, 살균모드, 치료후살균모드 또는 치료살균오프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이 순서대로 작동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치료살균제어부(2600) 버튼을 연속적으로 눌러 작동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작동모드는 작동시간설정제어부(1900)에서 작동 시간의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오프모드로 변환되면서 알림음이 수행될 수 있다. 설정되는 시간은 치료살균시간표시부(1400)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생사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센서를 제어하는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2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2500)는 기 설정된 양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동안 설정된 양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경고는 알림음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에게 산소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에 공급된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량측정센서를 제어하는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2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은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목적에 따라서 그 내부에 산소농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산소농도설정부를 가지고, 상기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2400)는 상기 산소농도설정부와 연동하여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산소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의 질병의 종류에 따라서 산소치료시 산소농도를 달리할 필요가 있으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패널(1000)의 산소농도설정부를 조작하여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에는 산소공급수단으로부터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유입부와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산소량측정센서는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소농도는 유입시의 수치보다 배출시의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산소농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내함
110: 냉난방공급부
120: 레이저조사부 설치를 위한 제1홈부
130: 습도조절물통
140: 수분컨테이너
150: 도어부
160: 제어패널 설치부
170: 영상카메라
180: 영상카메라 지지대
185: 스피커부
190: 실내등 설치를 위한 제2홈부
200: 하우징
210: 배기구
220: 흡기구
230: 공기소통 그릴
300: 커버부
1000: 컨트롤패널
1100: 냉난방표시부
1200: 온도표시부
1300: 습도표시부
1400: 치료살균시간표시부
1500: 치료회복기능표시램프
1600: 치료살균강도표시부
1700: 살균소독기능표시램프
1800: 실내등제어부
1900: 치료살균 시간설정부
2000: 음악치료제어부
2100: 전원제어부
2200: 영상카메라제어부
2300: 공기순환제어부
2400: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
2500: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
2600: 치료살균제어부
2700: 음이온제어부
2800: 습도제어부
2900: 난방제어부
3000: 냉방제어부
3100: 냉난방 및 습도 조절부

Claims (10)

  1. 내부에 반려동물이 거주할 수 있고, 공기조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 회복 기능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에 있어서,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작동과 관련한 설정상태 및 제어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표시부; 및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을 작동과 관련한 설정을 수행하거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작동설정제어부;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냉난방제어부, 습도제어부, 음이온제어부, 치료살균제어부,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 공기순환제어부, 영상카메라제어부, 실내등제어부, 음악치료제어부, 작동시간설정제어부 및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냉난방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냉난방표시부와,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내부의 온도, 습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온습도표시부와,
    치료살균모듈의 설정 및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치료살균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살균모듈은 상기 반려동물에게 다양한 파장 또는 강도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조사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저전력 레이저를 상기 반려동물에게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전력 레이저의 조사강도를 제어하며, 치료기능 또는 살균기능의 선택을 제어하는 치료살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살균제어부는 치료모드, 살균모드, 치료후살균모드 및 치료살균오프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생사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센서를 제어하는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센서제어부는 기 설정된 양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동안 설정된 양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설정제어부는 상기 반려동물에게 산소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에 공급된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량측정센서를 제어하는 산소량측정센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에는 산소공급수단으로부터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유입부와 상기 반려동물 케어유닛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산소량측정센서는 상기 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패널.
KR1020190015389A 2019-02-11 2019-02-11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KR102238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89A KR102238405B1 (ko) 2019-02-11 2019-02-11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389A KR102238405B1 (ko) 2019-02-11 2019-02-11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934A true KR20200097934A (ko) 2020-08-20
KR102238405B1 KR102238405B1 (ko) 2021-04-08

Family

ID=7229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389A KR102238405B1 (ko) 2019-02-11 2019-02-11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18B1 (ko) * 2022-10-07 2023-06-28 주식회사 에코윈드 반려동물 냉난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07Y1 (ko) * 2001-12-10 2002-03-16 이현우 애완동물집
KR20040016805A (ko) * 2002-08-19 2004-02-25 정우협 동물용 및 애완동물용 수용체
KR200387111Y1 (ko) * 2005-03-30 2005-06-17 김정만 듀얼 안전창이 구비된 애완동물 보호기
KR20170046393A (ko) * 2015-10-21 2017-05-02 임종훈 생명체 보육 시스템 및 보육 방법
KR20170058571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KR101895770B1 (ko) * 2017-12-28 2018-09-07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407Y1 (ko) * 2001-12-10 2002-03-16 이현우 애완동물집
KR20040016805A (ko) * 2002-08-19 2004-02-25 정우협 동물용 및 애완동물용 수용체
KR200387111Y1 (ko) * 2005-03-30 2005-06-17 김정만 듀얼 안전창이 구비된 애완동물 보호기
KR20170046393A (ko) * 2015-10-21 2017-05-02 임종훈 생명체 보육 시스템 및 보육 방법
KR20170058571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KR101895770B1 (ko) * 2017-12-28 2018-09-07 서우엠에스 주식회사 모돈과 자돈의 생장관리를 위한 축사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18B1 (ko) * 2022-10-07 2023-06-28 주식회사 에코윈드 반려동물 냉난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405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404B1 (ko) 진단이 용이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US6861658B2 (en) Skin tanning and light therapy incorporating light emitting diodes
KR101863182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애완동물 케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060030908A1 (en) Skin treatment phototherapy device
KR101252939B1 (ko)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2221036A1 (en) An infant incubator with radiant heater
US20090159011A1 (en) Small animal incubator with a removable drawer
KR102220829B1 (ko) 스마트 기기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 케어유닛
KR102096181B1 (ko) 수면캡슐
KR20180046454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사물인터넷 기반 애완동물용 하우스
KR102238405B1 (ko)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KR20200120484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 용기
KR20170029304A (ko) 스마트 침대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41920A (ko) 헤어-드라이어 및 그 유닛
JP3186982B2 (ja) 動物収容箱
KR102464985B1 (ko) 이동식 방역기
KR102283005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자외선 살균 장치
KR2020008473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펫 헬스케어 시스템
CN112902052A (zh) 一种远紫外消毒照明装置、控制方法及设备
KR102476882B1 (ko) 조명을 이용한 동물 관리장치
KR20210090431A (ko) 반려동물 이송용 캐리어 어셈블리
KR102514297B1 (ko) 살균 기능을 갖춘 조명 장치
KR20220019121A (ko) Uvc 살균 소독장치
KR102360606B1 (ko) 스마트 펫 하우스
KR102320951B1 (ko) 반려동물용 헬스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