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181B1 - 수면캡슐 - Google Patents

수면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181B1
KR102096181B1 KR1020180133046A KR20180133046A KR102096181B1 KR 102096181 B1 KR102096181 B1 KR 102096181B1 KR 1020180133046 A KR1020180133046 A KR 1020180133046A KR 20180133046 A KR20180133046 A KR 20180133046A KR 102096181 B1 KR102096181 B1 KR 10209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leep
capsule body
sleep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정보
김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정보, 김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정보
Priority to KR102018013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094Isolation chambers used therewith, i.e. for isolating individuals from external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4Oxygen tents ; Oxygen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61H2033/143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with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빛과 소음을 차단하고 캡슐 내부에 광합성작용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수면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면공간(110)이 형성되는 캡슐본체(100);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0); 상기 수면공간(110)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워 수면을 취하게 되는 수면베드(300); 및 상기 캡슐본체(100) 일측에 설치되며, 광합성 식물이 식재되는 광합성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면캡슐{Sleep capsule}
본 발명은 수면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의 빛과 소음을 차단하고 캡슐 내부에 광합성작용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수면캡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분한 수면은 일상생활을 활력적으로 영위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숙면을 취함으로써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이어갈 수 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하여 대기 중의 공기오염과 각종 스트레스 등에 시달리며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충분한 수면시간을 갖지 못하고 있다.
수면시간이 부족하거나 숙면을 취하지 못하면 피로가 안 풀리고 기억력이 저하되며 신경이 예민해진다. 특히 학생들의 경우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직장인들의 경우 업무 집중도가 떨어진다.
깊은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실내는 컴컴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창문 등에 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암막커튼을 설치하거나 수면용 안대를 착용하곤 한다.
최근에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휴식을 하거나 수면을 할 수 있도록 수면캡슐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외부 소정 위치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베드가 구비되며, 하부에는 받침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공조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바이탈체크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온도, 습도, 산소량과 상기 바이탈체크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 습도, 산소량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캡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사람이 누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캡슐로서, 바닥과 측벽 및 천장을 구비하고, 내부에 1인 혹은 2인이 누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벽에 설치된 케이스에 피톤치드 액을 담아 숙면 중 피톤치드를 공급하는 피톤치드 공급부; 상기 본체의 측벽에 설치되며, 노즐을 통해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상기 본체의 천장 혹은 측벽에 설치되며, 누워 있는 사람의 심리상태 및 건강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여 조명하는 라이트 테라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캡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캡슐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소형의 고압 봄베에 충전한 산소가스 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산소발생기가 캡슐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고압의 봄베를 사용하는 경우 숙련을 요구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7466호(2018.10.0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3053호(2013.06.14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캡슐 이용 시 사용자의 출입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빛과 소음을 차단하고 캡슐 내부에 광합성작용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수면캡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면공간(110)이 형성되는 캡슐본체(100);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0); 상기 수면공간(110)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워 수면을 취하게 되는 수면베드(300); 및 상기 캡슐본체(100) 일측에 설치되며, 광합성 식물이 식재되는 광합성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본체(100)의 일측에는 내부에 광합성기(4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21)이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1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22); 상기 수납공간(121)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다수의 통기공(122b)이 형성되는 도어(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 신체 일부를 커버하는 바이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충전된 피톤치드 액을 발산하는 피톤치드 공급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수면베드(300)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살균장치(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본체(100)의 일측에는 캡슐본체(100) 내부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기(400)로 배출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장치(180)가 설치되고, 상기 광합성기(400)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주입구(1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1)이 형성되는 고정커버(210); 상기 고정커버(210)의 외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레일(211)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면베드(300) 일측에는 전기적인 수단을 통해 열 또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10)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310)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방열수단(3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합성기(400)는 하부에 수조(411)가 설치되고, 상부에 산소공급구(412)가 형성되는 생육용기(410); 상기 생육용기(410)에 근접 설치되어 생육용기(410)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20); 및 상기 생육용기(410)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 흡입과 산소를 배출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팬(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은 수면캡슐 이용 시 사용자의 출입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빛과 소음을 차단시켜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캡슐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므로 자연 친화적이며, 외관이 미려하여 관상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면캡슐 사용 시 사용자가 쉽게 잠들지 못할 경우 편의장치(디스플레이, 오디오 등)를 통해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 커버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의 수납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의 냉난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캡슐의 광합성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면캡슐에 대한 발명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면공간(110)이 형성되는 캡슐본체(100);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0); 상기 수면공간(110)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워 수면을 취하게 되는 수면베드(300); 및 상기 캡슐본체(100) 일측에 설치되며, 광합성 식물이 식재되는 광합성기(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면캡슐 이용 시 사용자의 출입이 용이하며, 외부로부터의 빛과 소음을 차단하고 캡슐 내부에 광합성작용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캡슐본체(100)의 상부에 빛과 소음을 차단하는 커버(2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광합성기(400)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수면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면캡슐은 캡슐 외부에 별도의 고압 봄베 또는 산소발생기가 설치되어 캡슐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봄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을 요구하게 되며,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며,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캡슐 내부에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므로 자연 친화적이며, 외관이 미려하여 관상 효과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앞에서 제시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캡슐본체(100), 커버(200), 수면베드(300) 및 광합성기(40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본체(100)의 일측에는 내부에 광합성기(4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21)이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1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22); 상기 수납공간(121)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다수의 통기공(123a)이 형성되는 도어(12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2) 일측에는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개구부(1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22)의 외부 둘레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2)는 투명 강화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스(122)를 투명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관찰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관상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광합성기(400)는 식물 성장을 위해 물 공급, 온도 조절 등을 꾸준히 유지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광합성기(400)의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위하여 도어(12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120) 내부에 수납된 광합성기(400)에는 식물 성장을 위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123)에는 다수의 통기공(123a)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도어(123)의 내면에는 상기 통기공(123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 유입을 방지하여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는 사용자 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111)가 설치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11)는 캡슐본체(100)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수면공간(110) 내부에 사람 출입 여부를 검출하여 제어기(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11)는 출입자의 몸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거나 또는 적외선을 전압의 형태로 변환시켜 사람 유무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본체(10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11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빛을 발산하는 무드등(160)을 포함한다.
수면캡슐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캡슐본체(100)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캡슐본체(100) 내부에 사용자가 출입함과 동시에 인체감지센서(111)에서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무드등(160)이 작동되어 빛을 발산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11)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기(500)에 전송되며, 상기 제어기(500)는 캡슐본체(100) 내부에 사람이 있을 경우 무드등(160)을 점등시키고, 캡슐본체(100) 내부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무드등(160)을 소등시킨다.
상기 캡슐본체(100)의 하부에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바퀴(170)가 설치된다.
수면캡슐을 적절한 장소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동이 용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본체(100)의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170)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170) 일측에는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브레이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 신체 일부를 커버하는 바이저(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00)가 차양 재질로 이루어져 빛이 차단되기는 하나, 빛이 강하게 발산되는 장소에서는 수면공간 내부로 빛이 약하게 들어오거나 또는 외부에서 수면공간이 보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캡슐본체(100)의 내측에 바이저(13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바이저(130)의 회동을 위해 핀, 힌지, 레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회동장치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이저(130)는 표면에 암막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자외선 차단 도료가 도포된다. 상기 바이저(130)는 외관이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신체를 커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바이저(130)를 통해 햇빛 차단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수면을 유도한다.
상기 바이저(130)의 내면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131)이 설치된다.
사용자가 수면베드(300)에 누운 상태에서 쉽게 잠들지 못할 경우 편의장치를 통해 수면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이저(130)의 내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131)을 통해 수면 유도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31)은 별도의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밤하늘, 새, 물, 별모양 등의 라이브 화면 등을 표시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캡슐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충전된 피톤치드 액을 발산하는 피톤치드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매트리스 등의 침구류는 사람들에게 편안한 숙면을 제공할 수 있지만, 별다른 기능이 없어 쉽게 잠이 들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그 기능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캡슐본체(100) 내측에 피톤치드 공급부(140)가 설치되며,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일정량의 피톤치드 액을 발산한다. 따라서 피톤치드 향에 의해 삼림욕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숙면을 취함은 물론, 살균작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부에는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12)와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13)가 설치된다.
캡슐본체(100)의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는 수면을 취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캡슐본체(100)의 수면공간(110)은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에,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부에는 온도센서(112) 및 습도센서(11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112)는 수면공간의 온도신호를 검출하여 제어기(500)에 전송하며, 적외선 온도센서, 써미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113)는 수면공간의 습도신호를 검출하여 제어기(500)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부에는 수면공간에 일정한 습기를 공급하도록 가습기가 설치된다.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수면베드(300)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살균장치(150)가 설치된다.
상기 수면베드(300)에는 사용자의 땀이나 먼지 등으로 인해 오염되고 진드기 등이 쉽게 서식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수면베드(300)를 살균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수면베드(300)의 양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살균장치(150)가 설치된다.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음향을 재생하는 오디오(114)가 설치된다.
상기 오디오(114)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캡슐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테블릿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캡슐본체(100)의 일측에는 캡슐본체(100) 내부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기(400)로 배출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장치(180)가 설치되고, 상기 광합성기(400)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주입구(190)가 형성된다.
캡슐본체(100) 내부에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및 기타 유해가스가 발생된다. 따라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캡슐본체(100) 내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본체(100) 일측에 이산화탄소 배출장치(180)가 설치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장치(180)는 막투과 속도에 따라 농축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내부에 멤브레인 또는 필터가 내장된 챔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장치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소주입구(190)에는 상기 광합성기(400)에 연결된 산소공급호스가 연결되어 광합성기(400)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캡슐본체(10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기(500)는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무드등(160), 디스플레이패널(131), 오디오(114), 살균장치(150)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1)이 형성되는 고정커버(210); 상기 고정커버(210)의 외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레일(211)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220);를 포함한다.
캡슐본체(100)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200)가 설치된다. 기존 수면캡슐은 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의 잠김상태를 해제시켜 개방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커버의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힌지를 중심으로 커버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캡슐본체(100)에 고정되는 고정커버(210)와 상기 고정커버(21) 외부에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커버(22)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커버(200)를 편리하게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사용자에게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불투명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재질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커버(22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커버(210) 사이에 발생된 틈새를 차단시키는 밀폐부재(222)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222)는 슬라이딩커버(22)와 고정커버(210) 사이로 빛과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커버(220) 둘레에 고무소재의 밀폐부재(222)를 형성하여 밀폐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면베드(300) 일측에는 전기적인 수단을 통해 열 또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10)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310)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방열수단(320)이 설치된다.
수면캡슐 사용 시 쾌적한 환경에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냉난방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면베드(300) 일측에는 열전소자(310)와 방열수단(320)이 설치된다. 상기 열전소자(310)는 열전도 현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신체에 직접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하며, 전류의 흐름에 의해 열 또는 냉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방열수단(320)은 열전소자(310)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된 폐열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열전소자(310)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냉난방을 위해 냉온풍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최대의 냉난방 효과를 내기 위해 열전소자 및 방열수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소자(310)는 수면베드(300)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되 수면베드(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310)를 수면베드(300)에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여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방열수단(320)은 열전소자(3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방열판(321); 상기 방열판(321)에 결합되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팬(322);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판(321)은 복수개로 형성되면서 표면적이 증대되어 냉각성능이 향상되고, 상기 냉각팬(322)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방열판이 신속하게 냉각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합성기(400)는 하부에 수조(411)가 설치되고, 상부에 산소공급구(412)가 형성되는 생육용기(410); 상기 생육용기(410)에 근접 설치되어 생육용기(410)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20); 및 상기 생육용기(410)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 흡입과 산소를 배출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팬(430);을 포함한다.
광합성은 식물이 빛을 이용하여 화합물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화학작용으로, 식물은 이산화탄소와 물과 빛으로 광합성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흡입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캡슐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생육용기는 식물에 빛이 공급되도록 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식물 성장을 위해 햇빛을 이용하거나 발광부(420)에 의한 빛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420)는 빛을 발산하는 장치로서,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발산하는 LED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 들면, 450nm 부근의 청색파장과 650nm 부근의 적색파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팬(430)은 외부공기를 생육용기(4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흡입하고, 광합성 작용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캡슐 내부로 배출되도록 송풍시킨다.
상기 수조(411)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제공하기 위한 급수장치(440)가 설치된다.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위해 물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장치(440)는 상기 수조(411) 일측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며, 물탱크, 펌프 및 급수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부(420), 급수장치(440) 및 순환팬(4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광합성기(400)에는 수조(411) 내부의 수위상태, 발광부(420) 및 순환팬(430)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는 센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들의 다양한 신호는 실시간으로 제어부(450)에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450)는 발광부(420), 급수장치(440) 및 순환팬(43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캡슐본체 110 : 수면공간
111 : 인체감지센서 112 : 온도센서
113 : 습도센서 114 : 오디오
120 : 수납부 121 : 수납공간
122 : 케이스 122a : 개구부
123 : 도어 123a : 통기공
130 : 바이저 131 : 디스플레이패널
140 : 피톤치드 공급부 150 : 살균장치
160 : 무드등 170 : 바퀴
180 : 이산화탄소 배출장치 190 : 산소주입구
200 : 커버 210 : 고정커버
211 : 레일 220 : 슬라이딩커버
221 : 가이드돌기 222 : 밀폐부재
300 : 수면베드 310 : 열전소자
320 : 방열수단 321 : 방열판
322 : 냉각팬 400 : 광합성기
410 : 생육용기 411 : 수조
412 : 산소공급구 420 : 발광부
430 : 순환팬 440 : 급수장치
450 : 제어부 500 : 제어기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면공간(110)이 형성되는 캡슐본체(100);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0);
    상기 수면공간(110)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워 수면을 취하게 되는 수면베드(300); 및
    상기 캡슐본체(100) 일측에 설치되며, 광합성 식물이 식재되는 광합성기(400);를 포함하며,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관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신체 일부를 커버하는 바이저(130)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저(130)의 내면에 수면 유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131)이 설치되고,
    상기 수면베드(300) 일측에는 전기적인 수단을 통해 열 또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310)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310)의 작동과정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방열수단(320)이 설치되며, 상기 방열수단(320)은 열전소자(3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방열판(321), 상기 방열판(321)에 결합되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팬(322)을 포함하고,
    상기 광합성기(400)는 하부에 수조(411)가 설치되고, 상부에 산소공급구(412)가 형성되는 생육용기(410); 상기 생육용기(410)에 근접 설치되어 생육용기(410)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20); 및 상기 생육용기(410)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공기 흡입과 산소를 배출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팬(430)을 포함하며,
    상기 생육용기(410)는 식물에 빛이 공급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420)는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발산하는 LED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본체(100)의 일측에는 내부에 광합성기(40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121)이 형성된 수납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22);
    상기 수납공간(121)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다수의 통기공(122b)이 형성되는 도어(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충전된 피톤치드 액을 발산하는 피톤치드 공급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수면베드(300)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살균장치(1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슐본체(100)의 일측에는 캡슐본체(100) 내부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광합성기(400)로 배출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장치(180)가 설치되고, 상기 광합성기(400)에 의해 발생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주입구(1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캡슐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레일(211)이 형성되는 고정커버(210);
    상기 고정커버(210)의 외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레일(211)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33046A 2018-11-01 2018-11-01 수면캡슐 KR102096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46A KR102096181B1 (ko) 2018-11-01 2018-11-01 수면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46A KR102096181B1 (ko) 2018-11-01 2018-11-01 수면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181B1 true KR102096181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046A KR102096181B1 (ko) 2018-11-01 2018-11-01 수면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1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39U1 (ru) * 2020-10-10 2020-12-15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Вага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воздуха и улучше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помещения
CN113769228A (zh) * 2021-09-27 2021-12-10 深圳市中炫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绿植的卧室富氧助眠装置
WO2022075891A1 (ru) * 2020-10-10 2022-04-14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ВАГА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воздуха и улучше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помещения
WO2022115001A1 (ru) * 2020-11-27 2022-06-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АНТ - СПЭЙС СИСТЕМС" Метод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из космо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20075243A (ko) 2020-11-26 2022-06-08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수면 캡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346A (ja) * 1999-12-28 2001-07-06 Daikin Ind Ltd 睡眠カプセル
JP3706124B1 (ja) * 2005-05-10 2005-10-12 多美作 稲垣 健康増進装置
KR20130002887U (ko) * 2011-11-07 2013-05-15 윤준현 수면용 접이식 차광막
KR20130063053A (ko) 2011-12-06 2013-06-14 (주)엘지하우시스 숙면 캡슐
KR20140087490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헬코 산소캡슐용 출입문 개폐장치
KR20180107466A (ko) 2017-03-22 2018-10-02 에임텍 주식회사 수면용 캡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346A (ja) * 1999-12-28 2001-07-06 Daikin Ind Ltd 睡眠カプセル
JP3706124B1 (ja) * 2005-05-10 2005-10-12 多美作 稲垣 健康増進装置
KR20130002887U (ko) * 2011-11-07 2013-05-15 윤준현 수면용 접이식 차광막
KR20130063053A (ko) 2011-12-06 2013-06-14 (주)엘지하우시스 숙면 캡슐
KR20140087490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헬코 산소캡슐용 출입문 개폐장치
KR20180107466A (ko) 2017-03-22 2018-10-02 에임텍 주식회사 수면용 캡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39U1 (ru) * 2020-10-10 2020-12-15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Вага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воздуха и улучше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помещения
WO2022075891A1 (ru) * 2020-10-10 2022-04-14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ВАГА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воздуха и улучше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помещения
KR20220075243A (ko) 2020-11-26 2022-06-08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수면 캡슐
WO2022115001A1 (ru) * 2020-11-27 2022-06-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АНТ - СПЭЙС СИСТЕМС" Метод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из космо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3769228A (zh) * 2021-09-27 2021-12-10 深圳市中炫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绿植的卧室富氧助眠装置
CN113769228B (zh) * 2021-09-27 2023-09-29 深圳市中炫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绿植的卧室富氧助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181B1 (ko) 수면캡슐
KR102183235B1 (ko) 회전형 대인 방역기
CN107921156B (zh) 具有选择性地在设备的内部和外部进行不同消毒模式的配置的杀菌设备
US9265678B2 (en) Modular patient care enclosure
CN110124079A (zh) 一种实现人机共存的动态空间消毒方法及装置
KR20190052468A (ko) 스마트 베드 시스템
KR102464985B1 (ko) 이동식 방역기
KR20190052469A (ko) 스마트 베드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15187986A (ja) 目覚まし照明装置
CN209672423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浴霸装置
JPH113616A (ja) 照明装置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JP2008011996A (ja) 酸素富化空気吸引用ボックス
CN2422888Y (zh) 具有封闭坐卧空间的床
KR100635463B1 (ko) 건강 침대장치
KR102237708B1 (ko) 캡슐형 침대
KR102588855B1 (ko) 오존 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사우나 캡슐
CN212940645U (zh) 一种人体着装紫外线消毒舱
CN212880328U (zh) 可移动式紫外光消毒风箱
KR102238405B1 (ko) 반려동물 케어유닛의 컨트롤 패널
KR20210027658A (ko) 살균 소독용 사우나 캡슐
CN111904842A (zh) 一种熏疗生发装置
KR200365892Y1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KR20210123071A (ko) 자외선 공기 살균장치
JP2009014222A (ja) 睡眠環境の提供方法及び睡眠環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